KR200313802Y1 -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 Google Patents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802Y1
KR200313802Y1 KR20-2003-0005181U KR20030005181U KR200313802Y1 KR 200313802 Y1 KR200313802 Y1 KR 200313802Y1 KR 20030005181 U KR20030005181 U KR 20030005181U KR 200313802 Y1 KR200313802 Y1 KR 200313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wall
vertical member
bracket
partition
midd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재 filed Critical 이우재
Priority to KR20-2003-0005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802Y1/ko
Priority to KR1020030043298A priority patent/KR100549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4Posts or frame members with projections for holding sound or heat insulating fil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U- or C-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 칸막이 내화 차음 구조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수직부재 중앙에 중간벽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탁월하게 향상 시키며, 칸막이 자재가 절감됨은 물론 자재 중량도 줄어들며, 칸막이 자재의 생산 공정 또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수직부재(30) 전후면판에 방화재(11)(11')을 볼트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30) 중앙부에 중간 벽(13)을 장착하며, 상기 중간 벽(13)과 상기 수직부재(30) 단부(32)(32') 사이에 내화·방음재(12)(12')가 충진 되어 설치되는 경량 칸막이(10)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3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 홀(33)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삽입 홀(33)에 삽입 회전 체결되어 상기 중간 벽(13)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벽 브라켓(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Middle Wall Bracket of Light Weight Partition}
본 고안은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부재 중앙에 장착되는 중간 벽의 장착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하며, 수직부재의 생산 공정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한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외부와 접하는 벽에는 내화 및 방음을 목적으로 칸막이를 설치를 한다. 또한 임대 빌딩이나 회사건물 같은 경우에는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칸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칸막이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수직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연이어 세우고, 상기 수직부재의 양측면의 전후면판에 방화재를 고정하며, 상기 수직부재 중앙에 중간 벽을 삽입장착하고, 상기 중간 벽과 상기 방화재 사이에 내화·방음재를 충진 하여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부재는 하나의 철판을 절곡하여 제작하였다. 즉 수직부재 중앙에 중간 벽을 설치키 위한 공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부재는 복잡한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자재가 많이 소모됨으로써 생산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중간 벽 긴결 브라켓의 형태가 단순한 "ㄷ"자 형태임으로써 중간 벽 삽입이 매우 어려워 시공 기간이 지연되며 현장에서 상기 자재(수직부재) 관리를 잘못할 경우 부재의 모양이 쉽게 변형 찌그러져 사용치 못하게 되는 등 시공·재정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수직부재 중앙에 장착되는 중간 벽의 장착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하며, 수직부재의 생산 공정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절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직부재 전후면판에 방화재를 피스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 중앙부에 중간 벽을 장착하며, 상기 중간 벽과 상기 수직부재 단부 사이에 내화·방음재가 충진 되어 설치되는 경량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 홀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삽입 홀에 삽입 회전 체결되어 상기 중간 벽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벽 브라켓으로 구성된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및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고안이 씨 스터드(C-STUD) 형 수직부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은 본 고안이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칸막이 (11)(11') : 방화재
(12)(12') : 내화·방음재 (13) : 중간 벽
(20) : 중간 벽 브라켓 (21)(21') : 몸체
(22)(22a)(22')(22a') : 고정 돌기 (23) : 리벳 구멍
(24)(24') : 결합 돌기 (25) : 리벳
(26)(26') : 중간 벽 삽입구 (30) : 수직부재
(31)(31') : 전후면판 (32)(32') : 단부
(33) : 삽입 홀 (34)(34') : 고정 홀
(35)(35') : 회전통로 (40) : 벽면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및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수직부재(30) 전후면판에 방화재(11)(11')를 피스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30) 중앙부에 중간 벽(13)을 장착하며, 상기 중간 벽(13)과 상기 수직부재(30) 단부(32)(32') 사이에 내화·방음재(12)(12')가 충진 되어 설치되는 경량 칸막이(10)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3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삽입 홀(33)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삽입 홀(33)에 삽입 회전 체결되어 상기 중간 벽(13)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벽 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 홀(33)은 중앙 상하부에 고정 홀(34)(34')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홀(34)(34') 일측에 회전통로(35)(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은 일측면 중앙에 상하부에 리벳구멍(23)이 천공된 결합돌기(24)(24')가 돌출 형성된"ㄷ"자 형태의 몸체(21)(21')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4)(24')가 서로 맞닿도록 하여 상기 리벳구멍(23)에 리벳(25)을 삽입하여 리벳(25) 고정 시킨다.
또한, 상기 몸체(21)(21')는 상기 결합돌기(24)(24')가 돌출 형성된 상기 몸체(21)(21')의 일측면에 상기 결합돌기(24)(24')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고정 돌기(22)(22')(22a)(22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21)(21')의 양측면 끝단에몸체(21)(21') 외부로 휘어져 나가도록 돌출 형성된 나팔관 형태의 중간 벽 삽입구(26)(2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고안의 체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 는 본 고안이 씨 스터드(C-STUD) 형 수직부재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체결 방법은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을 가로로 눕힌 후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의 일측을 상기 수직부재(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삽입 홀(33)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간 벽 브라켓(30)의 일측 몸체(21')를 삽입 시킨 후 상기 중간 벽 브라켓(30)을 90°회전시킨다.
상기 몸체(21)(21')의 일측면 중앙에는 결합돌기(24)(24')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 벽 브라켓(30)은 상기 몸체(21)(21')의 결합돌기(24)(24')를 서로 맞댄 후 리벳(25)으로 고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몸체(21)와 몸체(21')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21)와 몸체(21') 사이에 갭을 구비하여야만 상기 수직부재(30)의 일측면에 구비된 삽입 홀(33)에 몸체(21')를 삽입 시킨 후 90°회전시켜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을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간 벽 브라켓(20)을 삽입하여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몸체(21)(21')의 일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 돌기(22)(22')(22a)(22a')는 상기 삽입 홀(33) 중앙 상하부에 구비된 회전통로(35)(35')를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통로(35)(35')를 따라 고정 돌기(22)(22')(22a)(22a')가 90°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고정 돌기(22)는 상기 삽입 홀(33) 하부에 구비된 고정 홀(3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돌기(22)의 양측면이 상기 고정 홀(34)의 양측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 돌기(22')는 상기 삽입 홀(33)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 홀(3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 돌기(22')의 양측면이 상기 고정 홀(34')의 양측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이 좌, 우로 흔들리지 않고 완벽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씨 스터드(C-STUD) 형 수직부재(30)에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을 체결할 시에는 각각의 몸체(21)(21')가 한 쌍이 되어 그 일측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리벳(25) 체결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가 상기 씨 스터드(C-STUD) 형 수직부재(30)의 일측면을 중간에 두고 좌, 우로 서로 대칭되도록 중간 벽 브라켓(20)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부재(30)에 다수개의 중간 벽 브라켓(20)을 장착시킨 후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에 중간 벽(13)을 장착시킨다. 도 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 양측면 끝단에는 중간 벽 삽입구(26)(26')가 몸체(21)(21')의 외부방향으로 휘어나가도록 나팔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간 벽(1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여 중간 벽(13)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간 벽(13)을 시공한 후에는 상기 중간 벽(13)과 상기 전후면판(31)(31') 사이에 내화·방음재(12)(12')를 충진 한 후, 상기 전후면판(31)(31')의 외부면에 방화재(11)(11')를 피스 고정한다.
도 6 은 본 고안이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 양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 홀(33)에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를 각각 하나씩 삽입 회전 시켜 장착한다.
즉,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에 중간 벽 브라켓(20)을 장착 시에는 리벳(25)으로 고정된 각각의 몸체(21)(21')를 분리하여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몸체(21)는 상기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에 구비된 삽입 홀(33)에 고정 돌기(22a)(22a')를 삽입한 후 90°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회전된 고정 돌기(22a)(22a')의 양측면은 상기 삽입 홀(33) 중앙 상하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 홀(34)(34')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21)를 고정 시킨다.
또한 상기 몸체(21')도 상기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의 타측면에 구비된 삽입 홀(33)에 상기 몸체(21)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를 각각 분리하여 상기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의 양측 외부면에 장착한 후 중간 벽(13)을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에 삽입한다.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의 몸체(21)(21')의 양측면 끝단에 몸체 외부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중간 벽 삽입구(26)(26')가 나팔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중간 벽(13)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중간 벽(13)의 삽입이 끝난 후에는 상기 중간 벽(13)과 전후면판(31) 사이에 내화·방음재(12)를 충진 시킨 후 상기 전후면판(31) 외부면에 방화재(11)를 피스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사각 파이프 형 수직부재(30)는 일측면에 벽면(40)이 위치하여 작업 인부가 근접치 못하는 후방의 장소에서도 상술한 중간 벽 브라켓(20)을 간단하게 장착함으로써 시공성을 탁월하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간 벽 브라켓(20)을 사용하여 경량 칸막이를 시공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인부가 근접하지 못하는 후방의 장소에도 시공이 탁월하게 용이하고, 자재가 절약되며, 자재의 자중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자재의 생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수직부재에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중간 벽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써 경량 칸막이의 시공 자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원가를 대폭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의 중량을 대폭 줄임으로써 자재의 운반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직부재와 중간 벽 브라켓을 분리시킴으로써 전체 형상을 간단하게 하여 생산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중간 벽 브라켓에 중간 벽을 매우 용이하게 삽입 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여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수직부재(30) 전후면판에 방화재(11)(11')를 피스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30) 중앙부에 중간 벽(13)을 장착하며, 상기 중간 벽(13)과 상기 수직부재(30) 단부(32)(32') 사이에 내화·방음재(12)(12')가 충진 되어 설치되는 경량 칸막이(10)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3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 홀(33)과,
    상기 각각의 삽입 홀(33)에 삽입 회전 체결되어 상기 중간 벽(13)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벽 브라켓(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33)은 중앙 상하부에 고정 홀(34)(34')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홀(34)(34') 일측에 회전통로(35)(3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벽 브라켓(20)은 일측면 중앙에 상하부에 리벳구멍(23)이 천공된 결합돌기(24)(24')가 돌출 형성된"ㄷ"자 형태의 몸체(21)(21')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24)(24')가 서로 맞닿도록 하여 상기 리벳구멍(23)에 리벳(25)을 삽입하여 리벳(25) 고정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21')는 상기 결합돌기(24)(24')가 돌출 형성된 상기 몸체(21)(21')의 일측면에 상기 결합돌기(24)(24')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고정 돌기(22)(22')(22a)(22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21)(21')의 양측면 끝단에 몸체(21)(21') 외부로 휘어져 나가도록 돌출 형성된 중간 벽 삽입구(26)(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20-2003-0005181U 2003-02-21 2003-02-21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200313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181U KR200313802Y1 (ko) 2003-02-21 2003-02-21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1020030043298A KR100549280B1 (ko) 2003-02-21 2003-06-30 경량 칸막이의 중간 내화·차음 벽 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181U KR200313802Y1 (ko) 2003-02-21 2003-02-21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870A Division KR20040075789A (ko) 2004-02-23 2004-02-23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802Y1 true KR200313802Y1 (ko) 2003-05-22

Family

ID=37361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181U KR200313802Y1 (ko) 2003-02-21 2003-02-21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1020030043298A KR100549280B1 (ko) 2003-02-21 2003-06-30 경량 칸막이의 중간 내화·차음 벽 긴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298A KR100549280B1 (ko) 2003-02-21 2003-06-30 경량 칸막이의 중간 내화·차음 벽 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138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164B1 (ko) * 2004-12-24 2006-11-10 이우재 경량칸막이 벽체의 중간판재 결합장치
KR101481790B1 (ko) * 2013-07-03 2015-01-12 삼아디오시스템 주식회사 방화벽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라켓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280B1 (ko) 2006-02-03
KR20040075676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3325A (en) Demountable wall structure
US3830027A (en) Panel construction
US1609541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060261223A1 (en) Wall-supporting device
US3729883A (en) Demountable partition assemblies and the studs therefor
EP3318686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0313802Y1 (ko)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20090067930A (ko)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US4603527A (en) Prefabricated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houses and buildings
US2019230A (en) Building construction
KR200383562Y1 (ko) 스터드용 스페이서
KR20040075789A (ko) 경량 칸막이의 중간 벽 긴결 브라켓
KR200399757Y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KR100647732B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KR20140011581A (ko) 내외장 단열패널 시공방법과 그에 사용되는 하지 프레임 및 내,외장 단열패널
US3019863A (en) Wall structure
AU2017265160A1 (en) Modular walling system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20060026562A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KR20200110999A (ko) 건식벽체용 고 차음 스터드
KR100642164B1 (ko) 경량칸막이 벽체의 중간판재 결합장치
KR200437894Y1 (ko) 보조칸막이의 연결구조
KR200329027Y1 (ko) 경량 칸막이 조립장치
JPH0144691Y2 (ko)
CA1115923A (en) Panel joint assembly for double wall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