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776Y1 -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 Google Patents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776Y1
KR200313776Y1 KR20-2003-0004936U KR20030004936U KR200313776Y1 KR 200313776 Y1 KR200313776 Y1 KR 200313776Y1 KR 20030004936 U KR20030004936 U KR 20030004936U KR 200313776 Y1 KR200313776 Y1 KR 200313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handle
air pressure
ski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을
Original Assignee
박하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을 filed Critical 박하을
Priority to KR20-2003-0004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를 수용하는 뚜껑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에서부터 손잡이의 내주연 중심부를 통하여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항기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시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을 쉽게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압착판의 외주연 가장자리 일측부에 밸브가 형성되어 압착판을 해제 시킬 때는 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압력을 해제시키게 형성되는 공지된 고안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밸브의 구성과 작용은 보관 및 청소의 청결 상태 유지가 곤란하며, 구성의 요소가 많으므로 그에 따른 고장률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를 수용하는 뚜껑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에서부터 손잡이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되어, 사용시 뚜껑이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를 나사 삽입하여 손잡이의외주연 일측부에 형성된 공기압력조절구를 막아지게 한 상태에서 피부에 압착될 수 있는 작용을 구현하고, 해제시에는 뚜껑을 돌려서 손잡이에 형성된 공기압력조절구를 열어지게 하여 압착판 내주연의 공기압력을 유출될 수 있는 작용을 구현하여 피부에 압착된 압착판을 해제하는 작용을 구현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omitted}
본 고안은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를 수용하는 뚜껑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에서부터 손잡이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항기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시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을 쉽게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압착판의 외주연 가장자리 일측부에 밸브가 형성되어 압착판을 해제 시킬 때는 밸브를 통하여 공기의 압력을 해제시키게 형성되는 공지된 고안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밸브의 구성과 작용은 보관 및 청소의 청결 상태 유지가 곤란하며, 구성의 요소가 많으므로 그에 따른 고장륙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항기를 이용하여 피부에 부항을 압착할 경우 압착된 피부로부터 부항기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가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있어서,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를 수용하는 뚜껑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에서부터 손잡이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일측부에 천공된 공기압력조절구를 뚜껑의 삽·탈 수단으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를 착설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를 해제하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항기.
11. 압착판.
12. 천공부.
20. 손잡이.
21. 공기압력조절구.
30. 뚜껑.
88. 피부.
77. 손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에 있어서,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과 압착판의 배면부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를 수용하는 뚜껑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에서부터 손잡이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되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를 착설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를 해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10)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11)과 압착판(11)의 배면부에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20)를 수용하는 뚜껑(30)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12)에서부터 손잡이(20)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20)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21)가 형성된다.
이때, 압착판(11)과 손잡이(20)는 유리·금속·토기·목재·석재와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수축력과 탄성력이 원활한 고무재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10)는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11)과 압착판(11)의 배면부에 손잡이(20)를 일체로 형성하되, 뚜껑(30)에 손잡이(20)가 삽입되었을 때 손잡이(20)의 일측부에 천공된 공기압력조절구(21)를 뚜껑(30)의 삽·탈 수단으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손잡이(20)의 외주연과 뚜껑(30)의 내주연을 암나사와 수나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에 천공부(12)를 형성하고, 천공부(12)에서부터 손잡이(20)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20)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공기압력조절구(21)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는 손잡이(20)의 외주연에 뚜껑(30)이 나사 삽입되어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에 형성된 천공부(12)를 통하여 공기압력조절구(21)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을 막아서 압착판(11)이 피부(88)에 압착될 때 압착판(11)의 내주연 공기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는 피부(88)에 압착된 압착판(11)의 내주연 공기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손잡이(20)의 외주연에 나사 삽입되어 부설된 뚜껑(30)을 풀어서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에 형성된 천공부(12)를 통하여 공기압력조절구(21)에 이르는 공기의 유동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하여서 압착판(11)이 피부(88)에서 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77은 인체의 손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항기를 이용하여 피부에 부항을 압착할 경우 압착된 피부로부터 부항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부항기에 뚜껑만 분리되어 청소하기가 용이하여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하기가 편리하며, 압착판의 크기와 압착판에 따른 공기압력에 무관하게 고안의 작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Claims (2)

  1.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10)에 있어서, 피부에 압착되는 압착판(11)과 압착판(11)의 배면부에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손잡이(20)를 수용하는 뚜껑(30)이 나사 삽·탈되게 부설되고,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12)에서부터 손잡이(20)의 내주연을 통하여 손잡이(20)의 외주연 일측부까지 천공되는 공기압력조절구(21)가 형성되어.사용시 손잡이(20)에 뚜껑(30)의 삽·탈 수단으로 압착판(11)의 내주연 중심부의 천공부(12)에서부터 손잡이(20)의 일측부에 천공된 공기압력조절구(21)를 통하여 압착판(11)의 내주연 공기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20)의 외주연과 뚜껑(30)의 내주연을 암나사와 수나사로 형성하여 상호 삽·탈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KR20-2003-0004936U 2003-02-17 2003-02-17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KR200313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36U KR200313776Y1 (ko) 2003-02-17 2003-02-17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36U KR200313776Y1 (ko) 2003-02-17 2003-02-17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776Y1 true KR200313776Y1 (ko) 2003-05-22

Family

ID=4940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936U KR200313776Y1 (ko) 2003-02-17 2003-02-17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7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34A (ko) * 2014-12-09 2016-06-17 임헌경 실리콘 부항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34A (ko) * 2014-12-09 2016-06-17 임헌경 실리콘 부항컵
KR101709722B1 (ko) 2014-12-09 2017-02-23 임헌경 실리콘 부항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7647B (da) Beskyttelsesorgan til alt-i-oeret hoereapparat samt vaerktoej til brug ved udskiftning heraf
KR101862089B1 (ko) 휴대용 산소마스크
DE50111220D1 (de) Ventil
US8251090B2 (en) Faucet having a pressure release function
EP1335630A3 (de) Im Ohr tragbares Hörhilfegerät oder Hörhilfegerät mit im Ohr tragbarer Otoplastik
KR200313776Y1 (ko) 공기압력조절구가 형성된 부항기
US6735791B1 (en) Disposal adapter
DE602004012851T2 (de) Tragbare handbetriebene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pneumatischen druckimpulsen auf einen ohrkanal
US8087639B1 (en) Oxygen tank key
EP1726739B1 (en) Putty knife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the application of substances for mural coatings and the like
KR20100108176A (ko) 원터치진공흡착구
JP6718404B2 (ja) 通気弁及び配管構造
EP2454961A2 (en) Ventilation sole for a shoe
EP1406041A3 (fr)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cartouche perforable
KR20160009060A (ko) 다이어프램 밸브
KR200313508Y1 (ko) 공기조절구가 형성된 흡착구
CA2330869A1 (en) Sink drain assembly including sink seal cap removal tool
KR20160034014A (ko) 좌변기 탈취 장치
KR200318414Y1 (ko) 진공 흡착구
KR200256405Y1 (ko) 대변기용 급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203207Y1 (ko) 폐잔류가스 배출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용기
KR200211172Y1 (ko) 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CN211095238U (zh) 一种安全舒适型耳道清洁器
KR200183406Y1 (ko) 타일 절단기
JP4326873B2 (ja) 鏡付き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