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90Y1 -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90Y1
KR200313490Y1 KR20-2003-0004257U KR20030004257U KR200313490Y1 KR 200313490 Y1 KR200313490 Y1 KR 200313490Y1 KR 20030004257 U KR20030004257 U KR 20030004257U KR 200313490 Y1 KR200313490 Y1 KR 200313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wtru
receiver
mobile unit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딕스테픈지
신성혁
볼로르치나데르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8Electroplating with moving electrolyte e.g. jet electropl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어떤 메세지가 수신기로 향하는 시기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있다면, 어느 채널의 표시자가 수신기로 향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물리층의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이 표시자가 그 이동형 유닛의 예상 표시자와 일치하면, 이동형 유닛은 그 특정한 통신 채널을 액세스하고, 그 안으로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처리한다.

Description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A RECEIVER FOR EFFICIENTLY DETECTING THE IDENTIFICATION OF A RECEIVED SIGNAL}
본 고안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제어 채널 중에서 특정한 제어 채널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형 유닛(mobile unit) 설계의 목적 중 하나는 배터리 수명의 최대화에 있다. 배터리의 수명이 실질적으로 길어지면 사용자의 편이는 상당히 증가한다. 배터리 수명을 제한하는 일차적인 요인은 이동형 유닛이 필요로 하는 프로세싱에 있다. 프로세싱 요건이 최소화되면 배터리 수명은 길어지지만, 프로세싱 요건이 증가하면 배터리 수명은 단축된다. 이것은 무선 시스템, 즉 기능 수행은 양호하지만 배터리의 수명은 단축된 시스템을 설계할 때 절충할 점 중 하나이다.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여러 프로세스 중에서 프로세싱 자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프로세스가 검출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특히 공유 채널을 갖고 있는 시스템에서는, 예비 검출 단계의 기간 중에 최소의 프로세싱 자원을 허용하는 효율높은 검출 프로세스를 설계할 동기가 있다. 예비 검출 단계는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수신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검출 프로세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여러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은 데이터가 이용 가능하다는 어떤 형태의 표시자 또는 메세지를 가질 것이다. 이어서,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데이터는 그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거나, 그 표시자는 이동형 유닛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조절하여야 하는 다른 어떤 채널의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한 가지 솔루션은 전용 채널을 각 무선 이동형 유닛에 할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러한 채널들이 장기간 휴지(休止) 상태를 유지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대역폭을 극히 비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된다.
각 이동형 유닛에 전용된 채널을 이용하는 다른 예는 공유 데이터 채널의 이용과 데이터의 패킷화이다. 이 방법에서는 복수 개의 채널이 복수 개의 이동형 유닛간에 공유된다.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데이터를 갖고 있는 이동형 유닛에는 그들 공유 데이터 채널 중 하나의 공유 데이터 채널이 동적으로 할당된다. 그 결과, 주파수의 이용 효율은 매우 높다.
공유 채널을 갖고 있는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형 유닛(예컨대, 최대 100 개의 이동형 유닛)간에 소수의 채널(예컨대, 4~6 개의 채널)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동형 유닛이 예비 검출 단계 기간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지만, 그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 위한 표시자또는 메세지는 거의 드물고, 이 시기 동안에 필요한 대부분의 프로세싱은 그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 향하지 않는 데이터로 소모된다. 어떤 이동형 유닛에 의해서 여러 개의 채널이 모니터링되고 있는 경우에는, 1 개의 채널만이 그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향하는 데이터를 갖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기에는 어떤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데이터를 갖는 채널은 없다. 따라서, 이동형 유닛이 관련 채널 내의 데이터만을 세밀하게 검색하게 하고, 그와 같이 행할 때 감소된 량의 전력과 컴퓨팅 자원을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유 채널 방식을 이용하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의 한 가지 특정 예에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통신 시스템이 있다. 고속 데이터 패킷 아키텍처(HSDPA)의 응용을 이용하는 3GPP 시스템의 경우, 이동형 유닛은 데이터가 그 이동형 유닛에 전송될 것을 예상하고 있지만, 그것이 정확하게 언제인지 또는 어느 채널을 통해서인지는 알지 못한다. 이 프로세스를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고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관련된 하향 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은 기지국(또는 노드 B)에서 각 이동형 유닛으로 전송된다. 이동형 유닛은 전용 물리 채널(DPCH)과 공유 제어 채널(HS-SCCH)을 모니터링한다. 기지국에서 이동형 유닛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때, 이동형 유닛은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그에 의해서, 이동형 유닛은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하여 전용 물리 채널(DPCH)과 공유 제어 채널(HS-SCCH)의 모니터링을 시도한다. 이 대기 모드에 의해서, 이동형 유닛은 프로세싱과 배터리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
기지국의 데이터를 이동형 유닛에 전송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전용 물리 채널(DPCH)에서 고속 하향 링크 공유 채널(HS-DSCH: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플래그가 전송된다. 이 플래그는 n 비트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이 플래그는 도 1b에 도시하고 있는 2n개의 HS-SCCH 중 하나를 지시한다. 예컨대, 2 비트 플래그는 4 개의 SCCH-HS를 지시한다(즉, 00, 01, 10 또는 11).
도 1a에 도시한 예의 경우, 플래그는 (1,0)이며, 이것은 도 1b에 도시한 3번째 채널을 지시하고 있다. 이동형 유닛이 플래그에 의해서 식별되는 제어 채널을 액세스하는 경우에, 그 특정한 HS-SCCH는 데이터 수신을 위해 이동형 유닛에 할당된 적절한 HS-DSCH로 이동형 유닛을 유도한다.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이동형 유닛은 HS-SCCH(1,0)에 의해서 식별된 HS-DSCH(001)에 조정된다. 이어서, 이동형 유닛은 HS-DSCH(001)을 통해서 그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a 내지 도 1c의 도식적인 표현은 HS-DSCH의 할당 프로세스를 도해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채널의 구성 및 용도는 HSDPA 표준의 실제 구현예와는 약간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세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공통의 데이터 채널을 할당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지만, 이 프로세스는 플래그를 전송하기 위해서 별도의 전용 제어 채널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예는 일반화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수신기의 각 수신기를 향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 향하는 정보는 통상, 복수 개의 제어 채널 중에서 1 개의 특정한 제어 채널 안에 있으므로, 이동형 유닛은 그 이동형 유닛으로 향하는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그 특정한 제어 채널을 신속하게 결정한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고안은 어떤 메세지가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내의 수신기로 향하는 시기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의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는 그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얻는다.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있다면, 어느 채널의 표시자가 수신기로 향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물리층의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이 표시자가 그 이동형 유닛의 예상 표시자와 일치하면, 이동형 유닛은 그 특정한 통신 채널을 액세스하고, 그 안으로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처리한다.
특정한 구성에 있어서, 통신 채널은 제어 채널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신호의 분석은 특정한 이동형 유닛을 위한 제어 정보의 표시자를 제공하는 패턴을 얻는데 충분하다.
도 1a는 공유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을 할당하는 이용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b는 복수 개의 제어 채널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c는 복수 개의 데이터 채널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사용된 다기능 이동형 전기통신 시스템(UMTS)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송신기의 블록도.
도 4는 프리앰블 발생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수신기의 블록도.
도 6은 프리앰블 처리기의 블록도.
도 7은 리드 뮬러 코드화법을 이용한 프리앰블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리드 뮬러 디코딩법을 이용한 프리앰블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프리앰블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송신기
12 : 프리앰블 발생기
13 : 코드화기
14 : 제어 메세지 발생기
16 : 결합기
18 : RF 상향 변환기 및 송신기
20 : 안테나
22 : x비트 제어 메세지
24 : 프리앰블
26 : 전송 메세지
40 : 수신기
42 : 안테나
44 : RF 하향 변환기
46 : 프리앰블 처리기
48 : 제어 메세지 처리기
50 :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
51 : 리드 뮬러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
52 : 비교기
70 : 프리앰블 처리기
72 : 신호 패턴
74 : N 개의 채널
76 : 비교기
본 고안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고안은 3GPP 시스템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 명세서에서 교시된원리는 수신기가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그 수신기에 전송되는 정보를 검출하여야 하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갖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다기능 이동형 전기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코어 네트워크(CN),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을 포함하고 있다. 2 가지의 범용 인터페이스에는 UTRAN과 코어 네트워크간의 Iu 인터페이스와 UTRAN과 WTRU간의 무선 인터페이스(Uu)가 있다. UTRAN은 몇 개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서브시스템은 Iur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호 접속된다. 이 상호 접속은 상이한 RNS간에 코어 네트워크 독립 절차를 허용한다. RNS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와 몇 개의 기지국(노드 B)로 더 분할된다. 노드 B는 Iub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RNC에 접속된다. 1 개의 노드 B는 1 개 또는 복수 개의 셀을 커버하고, 통상 복수 개의 WTRU를 커버한다. UTRAN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FDD 모드와 TDD 모드를 모두 지원한다. 양자의 모드에는 동일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동일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물리층과 대기(大氣) 인터페이스(Uu)만이 독립해서 지정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송신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기(10)는 프리앰블 발생기(12), 제어 메세지 발생기(14), 결합기(16), RF 상향 변환기 및 송신기(18) 및 안테나(2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메세지 발생기(14)는 x비트 제어메세지(22)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프리앰블 발생기(12)는 프리앰블(24)을 발생한다. 프리앰블(24)과 x비트 제어 메세지(22)는 결합기(16)에서 결합되어, x비트 제어 메세지(22)에 선행하는 프리앰블(24)을 갖는 전송 메세지(26)를 생성한다. 이어서, 전송 메세지(26)는 RF 상향 변환기 및 송신기(18)를 거쳐서 상향 변환 및 전송신되어 안테나(20)에 의해 방사된다.
도 4는 프리앰블 발생기(12)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프리앰블 발생기(12)는 복수 개의 병렬 채널(C1, C2, C3 …CN)을 처리할 수 있다. 프리앰블 발생기(12)는 N 개의 병렬 제어 채널(CC1, CC2, CC3 …CCN)을 수행하고, 각 제어 채널(CC1~CCN)은 M 비트로 이루어진 WTRU 식별자(WTRUID)를 포함하고 있다. 프리앰블 발생기(12)는 M 비트 WTRUID를 K 비트 프리앰블로 사상(맵핑)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코드화기(13)를 통해서 코드화를 수행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는 수많은 코드화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리드 뮬러, 리드 솔로몬, 해밍, 보스 쇼두라 호케넴(DCH) 및 골레이와 같은 코드화 방법도 이용 가능하다. 물론, 전술한 코드보다 품질이 우수한 다른 코드도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품질은 실시가 용이하고 2 개의 코드 워드간의 거리가 길다. 예컨대, 하나의 블록 코드에서, 2 개의 워드간의 해밍 거리는 그들 워드가 차이나는 위치의 수이다. 양호한 코드는 그의 최소 해밍 거리에 맞는 큰 값을 갖는다.
코드화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적어도 하나의 코드화기(13)에서는 복수 개의 프리앰블(P1, P2, P3 …PN)이 발생된다.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프리앰블(P1~PN)은 대응하는 제어 메세지(22)와 결합되어, 전송을 위한 전송메세지(26)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신기(40)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기(40)는 안테나(42), RF 하향 변환기(44), 프리앰블 처리기(46) 및 제어 메세지 처리기(48)를 포함하고 있다. 전송 메세지(26)는, 안테나(42)에서 수신되고 나면, RF 하향 변환기(44)에 의해서 하향 변환되어 프리앰블 처리기(46)로 전달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앰블 처리기(46)는 특정한 WTRU의 WTRUID를 수용하고 복수 개의 프리앰블(P1~PN)을 처리하여, 그들 프리앰블 중 어느 것이 그 특정한 WTRU의 WTRUID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WTRUID에 일치하는 어떤 프리앰블(P1~PN)을 갖는 전송 메세지(26)만이 제어 메세지 처리기(48)에 전달되어 그 제어 메세지(22)를 더 처리하게 된다.
도 6은 프리앰블 처리기(46)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프리앰블 처리기(46)는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0) 및 비교기(52)를 포함하고 있다.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0)은 프리앰블(24)과 전송 메세지(26)을 포함하고 있는 전송 메세지(26)를 수용하고 그 프리앰블(24)을 M 비트 식별자(ID)로 디코드한다. 본질적으로,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0)은 도 4에 도시한 프리앰블 발생기(12)에 의해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역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어서, M 비트 ID는 비교기(52)에서 WTRUID와 비교된다. 일치하지 않으면, 프리앰블(24)과 전송 메세지(26)는 더 이상 처리되지 않는다. 일치하면, 프리앰블(24)은 수용되고 전송 메세지(26)는 추가의 처리를 위해서 제어 메세지 처리기(48)에 전달된다. 도 6은 편의상 1 개의 채널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4에서 프리앰블 발생기(12)를 참고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바와 같이, 프리앰블 처리기(46)는 복수 개의 채널(C1~CN)을 실제로 처리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코드화 프로세스를 이용한 어떠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도 7과 도 8에서는 3GPP 시스템을 참고한 특정한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코드 맵핑은 프리앰블 발생기(12) 안의 각 코드화기(13) 내에서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것은 리드 뮬러 코드화법을 이용하여 32 비트 패턴으로 코드화되는 10 비트 WTRUID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리드 뮬러 코드화는 최대 10 비트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효율 좋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다. 따라서, 이 패턴은 제어 메세지(22)에 대한 프리앰블로서 배치해두고, 이어서 전송 메세지(26)는 전송된다. 이 예에서, WTRU에는 모니터링을 위해서 4 개의 제어 채널이 할당되며, 의도된 메세지는 그중 하나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측의 경우, 프리앰블 처리기(46)는 본질적으로 도 7에 도시한 코드화기(13)에 대해 역 동작을 수행하는 리드 뮬러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1)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리드 뮬러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1)의 출력은 일반적인 응용의 경우에 도 6을 참고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처리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디코딩 프로세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실시예는 많으며,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설명된 몇 가지 예에 한정되지않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예에서의 M 비트 ID는 경우에 따라서는 2M개의 ID의 가정을 나타낸다(예컨대, 현재의 예에서, 10 비트 ID는 210=1024 가지의 가정이 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경우, 리드 뮬러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51) 내의 디코딩 프로세스는 1024 가지 가정의 각 가정마다 수신된 원시 비트(raw bit)를 예상된 32 비트 패턴과 상관시켜서 4 개의 채널의 각 채널에 대해서 가장 강한 상관을 갖는 가정을 선택한다. 이들 4 개의 가정은 차례로, 비교기(52)에서 WTRUID와 관련된 32 비트 패턴과 상관된다. 이어서, 비교기(52)는 최적의 일치를 갖는 채널을 수용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프리앰블 처리기(7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검출은 비교기(76)에서 특정한 WTRUID에 "최적한 일치"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그 특정한 WTRUID에 대응하는 신호 패턴(72)(즉, WTRU의 "소유" ID)이 비교에 사용된다. N 개의 채널(74)이 물리층에서 수신되면, 비교기(76)에서 비교가 행해진다. 이 비교는 근본적으로, 일치된 필터링 동작 또는 상관 처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 특정한 WTRUID의 신호 패턴(72)과 가장 밀접하게 상관하는 인입 신호 패턴을 "최적한 일치"라고 결정한다. 이 다른 실시예는 선택 성공의 확률이 매우 높고, 프로세싱도 매우 적게 필요로 한다. 4 개 채널의 경우, 이 예는 4 ×1024 회의 상관 처리 대신에 4 회의 상관 처리를 필요로 한다. 이 다른 실시예는, 수신되고 있는 4 개의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한 정보가 그WTRU로 어드레스되는 표시자를 제공한다.
옵션의 실시예의 경우, "최적의 일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더 구속받고, 그에 의해서, 그 임계값을 초과하는 "최적의 일치들"만이 WTRUID와 일치한다고 고려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물리층의 일반적인 시그너처를 이용함으로써 더 향상될 수 있다. 여러 개 중 하나가 그 ID를 정확하게 일치시켰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전송된 제어 메세지 프리앰블을 처리하는 대신에, WTRU는 복수 개의 전송 중 어느 전송이 그 ID를 가장 근접하게 일치시키는 지를 결정해도 좋다. 이어서, WTRU는 그 하나의 전송의 전체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것은 어느 전송이 그 ID를 가장 밀접하게 일치시키는 지를 결정함으로써 달성되고, 항상 그 하나의 전송의 전체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서, 전체 제어 메세지 중 하나의 제어 메세지만을 처리하므로 그 ID의 검출 실패 확률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것은 모든 제어 메세지의 완전 처리시에 상당한 절감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어떤 메세지가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을 향하는 시기를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의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는 그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얻는다. 수신기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있다면, 어느 채널의 표시자가 수신기로 향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물리층의 복수 개의통신 채널을 통해서 인입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이 표시자가 그 이동형 유닛의 예상 표시자와 일치하면, 이동형 유닛은 그 특정한 통신 채널을 액세스하고, 그 안으로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처리한다.

Claims (7)

  1.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거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WTRU)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 개의 메세지를 전송하고, 각 메세지는 코드화된 프리앰블을 갖는 것인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WTRU)에 있어서,
    RF 하향 변환기와,
    물리층에서 상기 프리앰블을 처리하고 상기 프리앰블이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의 식별자(ID)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프리앰블 처리기와,
    상기 결정이 긍정적인 경우에만 제어 메세지를 처리하는 제어 메세지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는 상기 물리층의 상기 프리앰블을 디코드하는 프리앰블 디코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는 상기 디코드된 프리앰블을 상기 ID와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는 각각의 상기 프리앰블을 상기 ID와 상관시키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는 상기 프리앰블 중 어느 프리앰블이 가장 높게 상관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높게 상관되는 프리앰블은 임계값과 더 비교되고, 그에 의해서, 상기 임계값이 초과된다면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의 상기 ID가 검출되는 것이 결정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처리기는 상기 무선 송수신 유닛(WTRU)의 상기 ID를 각 프리앰블에 상관시키고 상기 ID에 가장 높게 상관되는 프리앰블을 결정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WTRU).
KR20-2003-0004257U 2002-02-13 2003-02-13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KR2003134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719902P 2002-02-13 2002-02-13
US35718902P 2002-02-13 2002-02-13
US60/357,199 2002-02-13
US60/357,189 2002-02-13
US35794302P 2002-02-19 2002-02-19
US60/357,943 2002-02-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044A Division KR20040045413A (ko) 2002-02-13 2004-05-03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90Y1 true KR200313490Y1 (ko) 2003-05-16

Family

ID=2773917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257U KR200313490Y1 (ko) 2002-02-13 2003-02-13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KR1020040031044A KR20040045413A (ko) 2002-02-13 2004-05-03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KR1020050075957A KR20050090960A (ko) 2002-02-13 2005-08-18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KR1020080012597A KR20080029983A (ko) 2002-02-13 2008-02-12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044A KR20040045413A (ko) 2002-02-13 2004-05-03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KR1020050075957A KR20050090960A (ko) 2002-02-13 2005-08-18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KR1020080012597A KR20080029983A (ko) 2002-02-13 2008-02-12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76195A1 (ko)
EP (2) EP1481483A4 (ko)
KR (4) KR200313490Y1 (ko)
AR (2) AR038509A1 (ko)
AU (1) AU2003215220A1 (ko)
DE (1) DE20302343U1 (ko)
HK (1) HK1053243A2 (ko)
TW (4) TWM240067U (ko)
WO (1) WO20030698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7105A1 (en) * 2002-05-10 2005-05-19 Hideji Wakabayashi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20060026971A (ko) * 2003-04-22 2006-03-2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 분할 듀플렉스 및 주파수 분할듀플렉스 사이의 자원 배당을 통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41450A1 (en) * 2003-04-22 2005-06-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resource allocation between time division duplex and frequency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S2325957T3 (es) 2003-08-25 2009-09-2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Funcionamiento de enlace ascendente mejorado en una transferencia suave.
US6940844B2 (en) 2003-10-17 2005-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WLAN capabilities of a dual mode GPRS/WLAN or UMTS/WLAN WTRU
US8526978B2 (en) 2003-10-29 2013-09-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delivering supplementary services to multi-technology capabl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7046648B2 (en) 2003-11-05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Node-B's and supporting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during handover
US7590080B2 (en) * 2003-11-07 2009-09-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hannel assignment to maximize battery efficiency in wireless systems
US7197341B2 (en) * 2003-12-22 2007-03-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KR100595645B1 (ko) 2004-01-0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JP4645208B2 (ja) * 2005-02-02 2011-03-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7205893B2 (en) * 2005-04-01 2007-04-17 Metglas, Inc. Marker for mechanically resonant article surveillance system
US8433355B2 (en) * 2005-04-21 2013-04-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oud packets to estimate path loss
US8731562B2 (en) * 2005-08-30 2014-05-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ction of control messages for HSDPA
KR100758270B1 (ko) 2005-12-09 2007-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방송 시스템 프레임의 물리계층신호코드 정보 검출을위한 복호 방법
US8831603B2 (en) 2006-06-30 2014-09-09 Agere Systems Llc Communications circuit and method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8295243B2 (en) 2006-08-21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an 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RU2429567C2 (ru) 2007-02-12 2011-09-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ы и процедуры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доступ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9832769B2 (en) 2009-09-25 2017-11-28 Northwestern University Virtual full duplex network communications
US20110116421A1 (en) * 2009-09-25 2011-05-19 Dongning Guo Rapid on-off-division duplex network communications
FR2988972A1 (fr) * 2012-03-29 2013-10-04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itement de la reception d'un signal de communication par voie radio, procede de traitement de l'emission, dispositifs et programmes d'ordinateur associes
KR101306753B1 (ko) 2013-01-16 2013-09-10 (주)에이투유정보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 휴대형 단말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US9913137B2 (en) * 2015-09-02 2018-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securi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487A (ja) * 1993-07-16 1995-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
CA2135856A1 (en) * 1993-12-10 1995-06-11 Steven Peter Allen Low power, addressable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5875387A (en) * 1995-04-07 1999-0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in a home control channel in a multichannel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0771125B1 (de) * 1995-10-23 2005-1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zwischen einem zellular aufgebauten Mobilfunknetz und einer Funkteilnehmerstation
US5930706A (en) * 1995-11-29 1999-07-27 Ericsson Inc. Detecting messages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s channel such as a paging channel
GB2308531B (en) * 1995-12-22 2000-03-0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DE19642265C1 (de) * 1996-10-11 1998-01-29 Becker Gmbh Verfahren zum Betreten und Verlassen eines Stromsparbetriebs eines Teilnehmers in einem ringförmigen Kommunikationsnetz
KR100271602B1 (ko) * 1997-05-31 2000-11-15 윤종용 무선호출수신기전원절약장치및방법
GB9723743D0 (en) * 1997-11-12 1998-01-07 Philips Electronics Nv Battery economis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6097933A (en) * 1997-12-04 2000-08-01 Glenayr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a pager
JP3110384B2 (ja) * 1998-06-15 2000-11-2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個別選択呼び出しの受信機、受信方法および受信手順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6072987A (en) * 1998-09-11 2000-06-06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TW419921B (en) * 1998-10-19 2001-01-21 Nat Science Council Asynchronous open loop demodulation circuit structure for pulse position modulation
US6516189B1 (en) * 1999-03-17 2003-02-04 Telephia, Inc.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data from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340720B1 (ko) * 2000-03-09 2002-06-20 서평원 오류발생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
WO2002025977A1 (en) * 2000-09-21 2002-03-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 user equipment for identifying transport blocks that are not directed to the user equipment
US7061879B2 (en) * 2001-08-10 2006-06-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mmunication unit battery li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13A (ko) 2004-06-01
KR20050090960A (ko) 2005-09-14
AU2003215220A1 (en) 2003-09-04
HK1053243A2 (en) 2003-09-26
EP1971034A1 (en) 2008-09-17
EP1481483A4 (en) 2005-07-13
TWM240067U (en) 2004-08-01
AU2003215220A8 (en) 2003-09-04
KR20080029983A (ko) 2008-04-03
TW200714089A (en) 2007-04-01
TWI258997B (en) 2006-07-21
TW200420154A (en) 2004-10-01
DE20302343U1 (de) 2003-08-07
WO2003069826A2 (en) 2003-08-21
EP1481483A2 (en) 2004-12-01
AR069369A2 (es) 2010-01-20
TW200303689A (en) 2003-09-01
AR038509A1 (es) 2005-01-19
WO2003069826A3 (en) 2004-02-12
US20030176195A1 (en) 200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3490Y1 (ko) 수신 신호의 식별자를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KR100976009B1 (ko) 상실된 페이지 확률을 감소시키는 퀵 페이징 채널
JP4512537B2 (ja) 黙示のユーザ機器識別のためのcdmaユーザ機器
KR101133746B1 (ko) 패킷 기반 셀룰라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의 제어 정보전송 방법 및 이의 수신 방법
US72004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used to support uplink and downlink channels
KR1011518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JP48985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ue)、および、ユーザ装置(ue)のためのページング処理方法
CN108632999B (zh) 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网络侧设备、终端、处理器
US8634337B2 (en)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N111034307B (zh) 新无线电中寻呼方面或与之相关的改进
WO201501918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 in machinte type communication
WO2018145768A1 (en) Wake-up signal with frequency information
CN113452461A (zh) 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2894166Y (zh) 通过多条通信信道与基站通信的无线发射/接收单元
CN113287331A (zh) 无线电通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827

Effective date: 2006042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