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894Y1 - 손톱깎기 - Google Patents

손톱깎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894Y1
KR200312894Y1 KR20-2002-0034665U KR20020034665U KR200312894Y1 KR 200312894 Y1 KR200312894 Y1 KR 200312894Y1 KR 20020034665 U KR20020034665 U KR 20020034665U KR 200312894 Y1 KR200312894 Y1 KR 200312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urved
nail
nail clipper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식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20-2002-0034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팅날의 형상이 상하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실제 손톱(22)과 유사하게 상하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톱깎기에 관한 것으로서, 손톱깎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톱깎기 {Nail clipper}
본 고안은 손톱깎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커팅날의 형상이 상하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실제 손톱과 유사하게 상하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톱을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톱깎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깎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이 그 일단부가 서로 접합되고, 그 타단부가 벌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상부직선커팅날(16)과 하부직선커팅날(18)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은 상기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근처에 가압바(13)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홀이 형성되고, 이 가압바(13)는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강판(12)의 하부강판전단부(17)에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상부강판(11)의 상부강판전단부(15)를 관통하여 그 위로 노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가압바(13)의 상단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강판(11)에 면접하는 작동손잡이(14)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손잡이(14)에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지렛대돌기(19)가 상기 상부강판(11)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작원리는 통상의 손톱깎기로서 당업자는 물론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즉,작동손잡이(14)를 그 지렛대돌기(19)가 상기 상부강판(11) 상에 면접하도록 조작하고, 가압하는 것에 의해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이 연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 각각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부직선커팅날(16)과 하부직선커팅날(18)이 동작하여 손톱을 다듬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손톱깎기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제조, 판매되어 누구나 용이하게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톱깎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손톱을 절단하는 커팅날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지 전후방향으로만 만곡되어 있다. 전후방향의 커팅날의 만곡 형상은 손톱을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하나의 손톱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하여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손톱을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손톱을 자세히 살펴보면, 손톱은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에 더해 상하방향으로도 만곡된 형상의 입체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도 식별부호 t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단차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손톱깎기로는 이러한 손톱(22)의 상하단차를 무시하고, 도 2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커팅날이 직선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손톱(22)을 다듬을 때, 용이하지 않고, 여러번의 커팅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으며, 또한, 커팅을 위한 가압시 상부직선커팅날(16)과 하부직선커팅날(18)이 완전히 맞물려서 가압되기 전까지는 손톱(22)은 왜곡될 정도의 힘을 받아 변형되면서도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계속해서 작동손잡이(14)를 작동시켜 손톱(22)을 절단하게 되면, 매끄러운 절단면이 형성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손톱(22)이 왜곡된 상태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손톱(22)을 매끄럽고 보기좋게 다듬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손톱(22)을 가지런히 다듬기 위해서는 절단작업을 수차례 반복해야 하며, 그에 따라 손톱(22)을 조금씩 여러번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다. 또한, 손톱(22)을 조금씩 여러번 절단하다 보면 절단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으며, 이를 매끄럽고 고르게 다듬고자 하는 경우, 원래 의도한 바 보다 더 손톱(22)을 더 깊이 다듬을 수 밖에 없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과도한 손톱(22)의 절단은 손톱(22) 아래의 통증에 약한 손가락(21) 단부가 심하게 노출되어 고통을 수반할 수 있게 되며, 심한 경우 손톱(22)이 살속을 파고 들어갈 정도로 변형되어 수술로서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커팅날의 형상이 상하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실제 손톱과 유사하게 상하단차를 가지며, 종래의 손톱깎기와 마찬가지로 전후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톱을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톱깎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톱깎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톱깎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톱깎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성인의 손가락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손톱깎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손톱깎기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강판 12 : 하부강판
13 : 가압바 14 : 작동손잡이
15 : 상부강판전단부 16 : 상부직선커팅날
17 : 하부강판전단부 18 : 하부직선커팅날
19 : 지렛대돌기 21 : 손가락
22 : 손톱 31 : 상부곡선커팅날
32 : 하부곡선커팅날 t1 : 손톱의 상하단차
t2 : 직선커팅날의 전후단차 t3 : 곡선커팅날의 상하단차
t4 : 곡선커팅날의 전후단차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의 커팅날은 손톱깎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와 하부강판전단부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는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 손톱을 자르는 커팅날이 형성되고, 이 커팅날의 인접 측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가 서로 밀착 접합되는 상부강판 및 하부강판;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강판에 고정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지렛대돌기가 형성된 작동손잡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톱깎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와 하부강판전단부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의 커팅날은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 손톱(22)을 자르는 커팅날이 형성되고, 이 커팅날의 인접 측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가 서로 밀착 접합되는 상부강판(11) 및 하부강판(12);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강판(12)에 고정되는 가압바(13); 및 상기 가압바(13)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지렛대돌기(19)가 형성된 작동손잡이(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톱깎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 손톱(22)을 자르는 커팅날이 형성되고, 이 커팅날의 인접 측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가 서로 밀착 접합되는 상부강판(11) 및 하부강판(12);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강판(12)에 고정되는 가압바(13); 및 상기 가압바(13)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지렛대돌기(19)가 형성된 작동손잡이(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톱깎기는 공지의 손톱깎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의 커팅날은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강판(11)과 하부강판(12)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15)와 하부강판전단부(17)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의 상하단차(t3)는 손톱(22)의 상하단차(t1)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와 유사한 정도의 높이차를 가지며 곡면을 이루도록형성된다. 즉, 개인차가 있기는 하나, 대개 1 내지 5㎜의 단차를 갖는 통상의 손톱(22)의 상하단차(t1)와 동일 또는 유사한 1 내지 5㎜의 범위의 높이차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의 범위의 높이차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하단차(t3)가 1㎜ 미만인 경우, 그 높이차가 너무 적어 종래의 손톱깎기와 유사하게 거의 직선에 가까운 커팅날이 형성되어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를 초과하는 경우, 그 높이차가 너무 커서 역시 손톱(22)의 절단 전에 손톱(22)을 가압하여 변형된 상태에서 손톱(22)을 절단하게 되어 역시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의 전후단차(t4)는 손톱(22)의 모양 및 크기와는 무관하게 오히려 손톱깎기 자체의 크기에 따라 전후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의 범위의 전후차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손톱깎기의 커팅날의 전후단차(t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 및 하부곡선커팅날(32)의 전후단차(t4)가 0.5㎜ 미만인 경우, 역시 커팅날의 전후방향의 단차가 너무 적어 거의 직선에 가까운 커팅날이 형성되어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2.5㎜를 초과하는 경우, 그 전후차가 너무 커서 역시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상부곡선커팅날(31) 및 하부곡선커팅날(32)의 전후단차(t4)는 종래의 손톱깎기의 커팅날의 전후단차(t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단차(t3)와 전후단차(t4)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들은 손톱(22)의 실제 형상과 유사한 절단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손톱(22)이 절단되기 직전까지는 가능한 한 손톱(22)을 변형시켜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손톱(22)의 절단시에는 손톱(22)이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에 전면적으로 면접한 상태에서 절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톱깎기를 사용하여 손톱(22)을 다듬을 때는 상기한 바의 상하단차(t3)와 전후단차(t4)를 갖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상부곡선커팅날(31)과 하부곡선커팅날(32)들에 의해 단지 한, 두 번 정도의 커팅작업으로 손톱(22)을 용이하게 그리고 매끈하게 다듬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커팅날의 형상이 상하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실제 손톱(22)과 유사하게 상하단차를 가지며, 종래의 손톱깎기와 마찬가지로 전후단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톱(22)을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톱깎기를 제공함으로써 손톱(22)을 용이하게 그리고 매끈하고 미려하게 다듬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손톱깎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와 하부강판전단부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의 커팅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의 상하단차가 1 내지 5㎜의 단차를 갖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손톱깎기의 커팅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의 전후단차가 0.5 내지 2.5㎜의 범위의 전후차를 갖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손톱깎기의 커팅날.
  4. 소정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그 일단부에 손톱을 자르는 커팅날이 형성되고, 이 커팅날의 인접 측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타단부가 서로 밀착 접합되는 상부강판 및 하부강판;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강판에 고정되는 가압바; 및 상기 가압바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지렛대돌기가 형성된 작동손잡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손톱깎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판과 하부강판의 밀착 접합되지 않은 상부강판전단부와 하부강판전단부 각각에 상기 전단부들에 대해 상하단차와 전후단차를 모두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만곡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만곡된 형태의 상부곡선커팅날과 하부곡선커팅날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깎기.
KR20-2002-0034665U 2002-11-20 2002-11-20 손톱깎기 KR200312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665U KR200312894Y1 (ko) 2002-11-20 2002-11-20 손톱깎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665U KR200312894Y1 (ko) 2002-11-20 2002-11-20 손톱깎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07A Division KR20040043581A (ko) 2002-11-19 2002-11-19 손톱깎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894Y1 true KR200312894Y1 (ko) 2003-05-14

Family

ID=4940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665U KR200312894Y1 (ko) 2002-11-20 2002-11-20 손톱깎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8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034A (en) Electric shaver having floating trimmer blades, a main blade, and hair raising portions
KR200312894Y1 (ko) 손톱깎기
JP2002052269A (ja) 少量の髪のカット或いは特殊スタイル用の散髪用ハサミ
JPH03121431U (ko)
KR20040043581A (ko) 손톱깎기
US20050172496A1 (en) Gigantic strength type cutter knife
KR200322300Y1 (ko) 손톱깎기
US2701414A (en) Dry shaving device
KR20040079754A (ko) 손톱깎기
JP4699035B2 (ja) 爪飛散防止ケース付き爪切り
JPH0240452B2 (ko)
KR200348034Y1 (ko) 집게 본체 양측 가위식 손톱깍기
WO2002076259A2 (en) Nail clipper with viewing window
KR200312902Y1 (ko) 손톱깎기
KR100475464B1 (ko) 손톱깎기
KR200322301Y1 (ko) 손톱깎기
JPH09136353A (ja) 発泡樹脂製食品容器とその成形用金型、及び製造方法
JPH04231991A (ja) 電気かみそり
KR200293380Y1 (ko) 손, 발톱깍기
JPH08141226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の外刃
JP3814872B2 (ja) 電気かみそり
JPH105460A (ja) 安全かみそり
JP3075179U (ja) 飛散防止付きつめ切り並びに、当該に設ける湾曲形ヤスリ。
KR200262420Y1 (ko) 손톱깎이 및 줄
KR200306870Y1 (ko)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