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849Y1 -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 Google Patents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849Y1
KR200312849Y1 KR20-2003-0005351U KR20030005351U KR200312849Y1 KR 200312849 Y1 KR200312849 Y1 KR 200312849Y1 KR 20030005351 U KR20030005351 U KR 20030005351U KR 200312849 Y1 KR200312849 Y1 KR 200312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unit
supply
spr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언
Original Assignee
한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20-2003-0005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8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7Dispensing from the bottom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8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flexible dispensing chamber
    • A47K5/1209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flexible dispensing chamber with chamber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Abstract

본 고안의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의 공급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 칫솔질에 적당한 양의 치약을 공급하되 불소 등이 함유된 기능성 양치수를 공급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SUPPLY DEVICE OF TOOTHPASTE AND FUNCTIONAL GARGLING WATER}
본 고안의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의 공급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 칫솔질에 적당한 양의 치약을 공급하되 불소 등이 함유된 기능성 양치수를 공급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강한 치아와 구강의 청결을 위해서는 1일 수회의 양치를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칫솔이나 구강청정제 및 치약 등이 개발되어져 왔다. 그러나, 페이스트 상의 치약이 담긴 용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짜서 그 속의 치약을 배출시켜 칫솔모에 묻혀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양치수로는 수돗물이나 정수 등을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보건 복지부에서는 국민의 구강보건을 위하여 구강보건법 제6조에서 수돗물의 불소화 사업 및 학교 구강보건사업 등을 법제화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 제4조는 정량불소 투입기를 규정하고 있으며 시행규칙 제10조에서는 양치에 필요한 불소용액의 농도를 매일 1회 양치하는 경우에는 0.05퍼센트, 주1회 양치하는 경우에는 0.2퍼센트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특히 치아의 건강을 위해서는 불소 성분이 함유된 양치수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에도 적절한 농도로 이를 제공할 가정용이나 사무실용 공급기기가 없다는 점이 문제이며, 기타 자이리톨 성분 등이 함유된 기능성 양치수를 공급할 기기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는,
첫째, 1회의 양치에 적합한 양의 치약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하며,
둘째, 불소 또는 자이리톨 등의 성분을 일정 농도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양치수를 공급을 위하여, 저장조에 정량의 액체를 투입해야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그 투입량을 조절하여 정량의 액체를 저장조에 투입할 수 있는 정량투입장치를 장착한 양치수 저장조를 포함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하며,
셋째, 저장조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하되 정해진 공급량에 도달하면 액체의 공급을 중단하고, 저장조의 모든 액체가 유출되기까지 중단상태를 유지하는 공급 중단장치를 포함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내에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 정수필터를 통한 수돗물의 공급을 적정량에서 정지시키는 공급중단장치와 불소, 자이리톨 등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액용기로부터 상기 용액을 저장조에 정량 공급하는 정량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양치수 공급부; 와 치약용기로 부터 공기압에 의해 일정량의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공급부를 포함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하되,
상기 양치수 공급부의 정량 공급장치는 유입관에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따라 유입된 액체를 원통체 내부로 유출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헤드부재와 하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되, 하부고정부가 원통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 원통체 내부에 유입된 액체를 피스톤부재로 유입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액체를 제2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키되,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 피스톤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고정되고 스프링 지지대가 관통하는 관통관을 구비한 상부고정부와, 스프링 지지대가 체결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그 하단에는 스프링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고, 하부고정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피스톤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 및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하여 좌,우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공급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양치수 공급부의 공급 중단장치는 저장조에 유입된 유량을 감지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되, 밸브 지지대에 의해 유입관 내의 홈에 지지되며 유입관을 통한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4 연결부재와,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4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치약 공급부는 치약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외주면에는 1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홈은 치약용기 내면에 형성된 1이상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치약용기; 상기 치약용기의 하부와 결합하고 외주면의 일단에는 폐쇄스프링 고정부를 가지고 그 내면에는 배출구 폐쇄부재를 갖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의 일단에는 폐쇄스프링 고정부를 형성하고 그 타단에는 개방부 홈이 형성된 개방부를 가지되 그 중심부에는 치약 배출공을 갖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치약 배출부; 고정부재의 내면에 밀착 삽입되어 공기압을 형성하는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과 결합하여 가압부 지지대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 그 일단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의 가압부 관통공에 삽입되어 가압부 스프링을 지지하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버튼의 이동한계를 정하는 배출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외면의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배출량 조절을 위한 너트가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가 관통하는 가압부 관통공을 갖는 가압부 고정부재와, 압력관 일단에는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공을 가지되 그 타단에는 치약용기와 결합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압력관 내부에 탄지되어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밸브 및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압력관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버튼과 상기 치약 배출부의 개방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의 양치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의 양치수 공급부의 정량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의 치약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의 치약 공급부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20 : 양치수 공급부
22 : 공급 중단장치 24 : 정량 공급장치
30 : 치약 공급부
110 : 유량 감지부 111 : 제1 연결부재
112 : 부표 체결구 113 : 부표
120 : 밸브부 121 : 제2 연결부재
122 : 밸브 지지대 123 : 밸브
124 : 제3 연결부재 130 : 개방부
131 : 제4 연결부재 132 : 개방 손잡이
160 : 저장조 162 : 양치수 배출구
164 : 필터
200 : 용액용기 210 : 유량 표시창
300 : 원통체 310 : 헤드부재
311 : 제1 유입구 312 : 체크밸브
313 : 제1 유출구 321 : 수나사부
322 : 하부고정부 이동로 400 : 피스톤 부재
411 : 제2 유입구 412 : 체크밸브
413 : 제2 유출구 420 : 유출관
500 : 스프링 구동부 511 : 상부고정부
512 : 코일 스프링 513 : 하부고정부
515 : 스프링 지지대 516 : 관통공
517 : 스프링 고정용 단턱 518 : 관통관
600 : 조절부 611 : 조절너트
612 : 암나사부
710 : 치약 용기 712 : 가이드
714 : 가압판 716 : 가압판 홈
730 : 치약 배출부 731 :폐쇄스프링 고정부
733 : 배출구 폐쇄부재 734 : 폐쇄부
735 : 개방부 737 : 개방부 홈
739 : 배출공 750 : 가압부
751 : 가압버튼 752 : 배출량 조절부
753 :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 754 : 가압부 지지대 이동로
755 : 가압부 관통공 770 : 압력관부
771 : 압력관 772 : 제1밸브
773 : 제2밸브 774 : 가압부 고정부재
776 : 외기 유입공 790 : 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양치수 공급기기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 양치수 공급부(20), 치약 공급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플라스틱 재질이나 스테인레스 재질 등의 재료로 성형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적절한 형상의 것으로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치수 공급부(20) 및 치약 공급부(30)의 작동용 손잡이 또는 버튼 등은 하우징 외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2 는 도1에서의 양치수 공급부(2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수 공급부는 저장조(160)와, 상기 저장조(160)에 연결된 유입관내에 설치된 공급중단장치(22)와, 용액용기(200)의 용액을 상기 저장조(160)에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조(160)는 플라스틱 사출품 등과 같이 본 고안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코크 또는 적절한 양치수 배출 장치(미도시)가 체결되는 배출구(16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용기(200)는 플라스틱 사출품 기타 적절한 용기를 선택하되, 외부에서 용액의 상태를 관찰 가능한 유량 표시창(21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 중단장치(22)는, 부표(113), 제1 연결부재(111) 및 부표 체결구(112)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110); 제2 연결부재(121), 밸브 지지대(122), 밸브(123) 및 제3 연결부재(124)를 포함하는 밸브부(120); 및 제4 연결부재(131)와 손잡이(132)를 포함하는 개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량감지부(110)에 있어서 부표(113)는 저장조(160)에 유입된 유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상기 부표 체결구(112)를 통해 상기한 제1 연결부재(111)에 연결된다. 상기 부표 체결구는 유량에 따라 부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절한 체결구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그 끝단에 걸쇠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121)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120)에 있어서 제2 연결부재(121)는 그 끌단에 턱을 형성하여 전술한 제1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며, 상기한 제3 연결부재(124)는 그 끝단에 턱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4 연결부재(131)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밸브(123)는 유입관을 통해 액체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의 것을 채택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4개의 날개로 된 밸브 지지대(122)를 가지며, 이는 유입관내에 형성된 홈(150)에 걸쳐지는 구조로 하여 밸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밸브 지지대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날개의 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홈(150)에 전체적으로 걸쳐질 수 있는 디스크의 형상 등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방부(130)에 있어서, 제4 연결부재(131)는 그 끝단에 걸쇠를 형성하여 전술한 제3 연결부재(124)와 연결되되, 이는 개방 손잡이(1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급 중단장치(22)에 연결된 유입관에는 카본필터, 기타 정수용 필터부(164)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한 도2에 따른 공급 중단장치의 작용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조(160) 내에 액체가 유입되면 상기한 부표(113)는 부력에 의해 투입된 액체면의 높이 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제1 연결부재(111)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부재(121)가 연동하며,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밸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상기 제3 연결부재가 연동되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개방 손잡이에 연결된 제4 연결부재(131)를 연동시킨다. 따라서 부표가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하면 이에 따라 각 연동된 연결부재간의 연동에 의해 밸브(123)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관로를 폐쇄하여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한편 일정량의 액체가 유출됨에 따라 부표는 아래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11)는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연결부재의 이동이 제2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이동과는 무관하므로 밸브는 유입관을 폐쇄하여 공급중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조(160)의모든 액체가 유출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개방 손잡이(132)를 당겨 줌으로써 제4 연결부재가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제3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가 연동하여 밸브가 열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액체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양치수 공급기기의 양치수 공급부(20)의 정량공급장치(24)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장치는, 제1 유입구(311), 체크밸브(312) 및 제1 유출구(313)를 포함하는 헤드부재(310)와 하부에 수나사부(321)를 형성하되, 후술하는 하부고정부(513) 이동로(322)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300); 제2 유입구(411), 체크밸브(412), 제2 유출구(413) 및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된 유출관(420)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400); 상부고정부(511), 코일 스프링(512), 하부고정부(513),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 및 스프링 지지대(515)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500); 및 암나사부(612)가 형성된 조절너트(611)를 구비하는 조절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체(300)에 있어서 헤드부재(310)는 적절한 유입관에 연결되어져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311)와, 일정량의 액체가 유입된 후에는 헤드부재의 내부에 적절하게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1 유입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312)로 구성되고, 하부고정부의 이동로(322)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조절너트(611)의 암나사부(612)와 결합하는 수나사부(321)가 형성되어진 원통의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부재(400)는 상기 제1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유출구(313)를 통해 유출되어 원통체 내부에 모여진 액체를 유입하는 제2 유입구(411)와,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일정량의 액체를 제2 유출구(413)를 통해 유출시키되, 일정량의 액체가 유출된 후에는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적절하게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유입구(411)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41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유출구(413)는 피스톤부재(400)의 내부를 통해 유출관(420)에 연통된다. 상기 유출관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재료와 형상을 갖는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400)는 상기 원통체(300)의 내면에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된다.
상기 스프링 구동부(500)는 원통체에 연결되어 코일스프링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511)와, 피스톤부재(400)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을 가지되, 코일 스프링 하부고정부(513)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체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를 포함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512)은 상기 상부고정부(511)와 상기 하부고정부(513)간에 적절한 인장력을 갖는 것으로 채택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경우에 따라 1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 및 스프링 지지대를 포함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스프링 구동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 지지대(515)에 의해 지지되되, 하부고정부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516)과 상부고정부의 스프링 지지대 관통관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517)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대는 하부고정부에 연결되어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관통관(518)을 통해 상하 이동하며 이는 조절너트를 맨아래 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도 상부고정부의 관통관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일 스프링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복원력을 갖는 소재 등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절부(600)는 상기한 원통체(300)의 수나사부(321)와 결합하는 암나사부(612)가 형성된 조절너트(61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피스톤부재 이동한계 및 코일스프링의 이동한계를 정해줌으로서 결과적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도2, 도3에 의하여, 정량 공급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조절부(600)의 조절너트(61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조절너트를 우회전시키면 상향 이동하고, 좌회전시키면 하향 이동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너트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코일스프링(512)이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는 조절너트(611)가 고정된 위치로 한정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코일 스프링 하부고정부(513)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체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를 갖는 피스톤부재(400)의 최대로 하향 이동할 수 있는 길이도 상기 조절너트(611)가 고정된 위치에 한정된다.
상기한 조절너트의 위치는 액체의 양을 정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원통체에 눈금 등의 표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미리 계산되어진 액체의 양을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액체의 정량을 상기한 조절너트의 위치를 통해 조절한 후에는 상기 피스톤부재(400)를 조절너트가 고정된 위치까지 잡아당기게 되며, 이 경우 피스톤부재가 하향 이동한 공간은 진공의 상태로 되어 상기 헤드부재(310)의 체크밸브(312)를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제1 유입구(311)에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조절너트(611)로 조절된 만큼의 정량의 액체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재를 조절너트의 위치에서 놓아주면 상기 스프링 구동부(500)의 코일스프링(512)의 힘에 의해 피스톤부재(400)가 원위치(즉,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복귀되는 위치)로 복귀하면서, 피스톤부재의 제2 유입구(411)를 막고 있는 체크밸브(412)를 개방시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 유출구(413)를 통해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유출된 액체는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된 유출관(420)을 통해 저장조(160)에 공급된다.
상기 정량 공급장치(24)를 통해 공급되는 용액은 필요에 따라 불소, 자이리톨 액 등과 같이 양치를 통해 구강건강을 꾀할 수 있는 용액으로서 이는 상기 용액용기(200)에 담겨져서 정량 공급장치(24)를 통해 저장조(160)에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160)를 포함하여 된 양치수 공급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장조(160)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정량 공급장치 또는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치를 모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1이상의정량 공급장치(24) 또는/및 공급 중단장치(22)를 저장조(16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4a, 도4b 및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및 양치수 공급기기의 치약 공급부(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약 공급부(30)는 치약용기(710), 치약 배출부(730), 가압부(750) 및 압력관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치약용기(710)는 외형이 원형 기타 적절한 형상으로 되고 그 내면에는 치약에 압력을 가하여 배출케하는 가압판(714)과 상기 가압판(714)은 치약용기(710)의 내면에 밀착하여 이동하되, 그 외주면에 형성된 1이상의 홈(716)이 상기 치약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1 이상의 가이드(712)를 따라 밀착하여 이동한다. 또한 상기 치약용기의 상면에는 압력관(771)과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있으며, 그 하부에도 치약 배출부(730)와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치약 배출부(730)는 상기 치약용기(71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일단에는 폐쇄스프링 고정부(731)를 갖고, 그 내면에는 배출구 폐쇄부재(733)를 갖는 폐쇄부(734)와 상기 폐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끼워지고 중심부에는 치약 배출공(739)이 형성되되, 그 일단에는 상기 폐쇄스프링 고정부(731)에 고정된 스프링의 일측이 고정되고 그 타단에는 연결부재(790)가 결합되는 개방부 홈(737) 형성된 개방부(735)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관부(7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관(771)의 측면에 형성되고 그외면에는 나사산을 가지되, 그 일측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753)가 관통하는 가압부 관통공(755)을 갖는 가압부 고정부재(774)와 압력관 내부에 탄지되어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밸브(772) 및 제 2 밸브(7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력관부는 그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치약용기(710)와 너트 결합되며, 그 타단에는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공(776)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750)는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774)의 내면에 밀착 삽입되어 공기압을 형성하는 가압버튼(751)과 상기 가압버튼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연동하되,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774)에 형성된 가압부 지지대 이동로(754)를 따라 이동하고, 그 일단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753)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774)의 가압부 관통공(755)에 삽입되어 가압부 스프링을 지지하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75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750)는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774)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버튼(751)의 이동한계를 정하는 배출량 조절부(75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압버튼(751)과 상기 치약 배출부의 개방부(735)는 연결부재(79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연동한다. 상기 연결부재(790)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개방부 홈(737)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가압버튼의 양쪽 측면에 공지으 체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필요에 따라 가압버튼의 외주면 중앙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결합되어질 수도 있으며, 기타 본 고안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변형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치약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치약의 배출을 원하는 경우 상기 가압버튼(751)을 누르게 되며, 이 경우 압력관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상기 치약용기(710)내의 가압판(714)으로 밀려들어가 압력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버튼(751)과 상기 연결부재(790)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상기 치약 배출부(730) 개방부(735)도 아래로 당겨지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배출구 폐쇄부재(733)로 막혀있던 치약 배출공(739)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가해진 압력만큼 치약이 배출되는 것인데, 치약이 배출되고 가압버튼의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버튼은 가압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개방부(735)는 폐쇄부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폐쇄부재에 의해 치약 배출공이 폐쇄된다. 한편 상기한 복귀 과정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는 외기 유입공(776)을 거쳐 상기 제2 밸브(773)를 통해 유입되어 진다. 또한 상기 가압부(750)는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774)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버튼(751)의 이동한계를 정하는 배출량 조절부(752)를 포함하므로 상기 가압버튼(751)을 누름으로서 치약용기(710)의 가압판(714)에 가해지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약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할 경우, 1이상의 정량 공급장치를 통해 적절한 양의 불소 또는 자이리톨액 등을 저장조에 공급하되, 기계적 장치에 의함으로써 저 비용에 의한 경제적 이점을 살리고, 전자식 부품을 배제함으로써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이상의 공급 중단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량의 액체가 공급된 이후에는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가 모두 유출될 때까지 그 공급을 중단시켜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액체의 농도 등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되, 재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손잡이를 당겨 액체의 재공급을 가능케 하는 저가의 안정된 공급 중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약 공급장치를 통해 1회의 양치에 적절한 양의 치약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그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에 상응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내에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 정수필터를 통한 수돗물의 공급을 적정량에서 정지시키는 공급중단장치와 불소, 자이리톨 등의 용액을 저장하는 용액용기로부터 상기 용액을 저장조에 정량 공급하는 정량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양치수 공급부; 와 치약용기로 부터 공기압에 의해 일정량의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공급부를 포함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수 공급부의 정량 공급장치는,
    유입관에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액체를 원통체 내부로 유출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헤드부재와 하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되, 하부고정부가 원통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
    원통체 내부에 유입된 액체를 피스톤부재로 유입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액체를 제2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키되,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
    피스톤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고정되고 스프링 지지대가 관통하는 관통관을 구비한 상부고정부와, 스프링 지지대가 체결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그 하단에는 스프링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고, 하부고정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피스톤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 및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하여 좌,우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공급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치수 공급부의 공급 중단장치는,
    저장조에 유입된 유량을 감지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되, 밸브 지지대에 의해 유입관 내의 홈에 지지되며 유입관을 통한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4 연결부재와,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4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공급부는,
    치약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외주면에는 1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의 홈은 치약용기 내면에 형성된 1이상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치약용기;
    상기 치약용기의 하부와 결합하고 외주면의 일단에는 폐쇄스프링 고정부를 가지고 그 내면에는 배출구 폐쇄부재를 갖는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의 일단에는 폐쇄스프링 고정부를 형성하고 그 타단에는 개방부 홈이 형성된 개방부를 가지되 그 중심부에는 치약 배출공을 갖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치약 배출부;
    고정부재의 내면에 밀착 삽입되어 공기압을 형성하는 가압버튼과, 상기 가압버튼과 결합하여 가압부 지지대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 그 일단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를 형성하되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의 가압부 관통공에 삽입되어 가압부 스프링을 지지하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가압부 고정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로 결합하여 상기 가압버튼의 이동한계를 정하는 배출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외면의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배출량 조절을 위한 너트가 결합되는 배출량 조절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가압부 스프링 지지대가 관통하는 가압부 관통공을 갖는 가압부 고정부재와, 압력관 일단에는 외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공을 가지되 그 타단에는 치약용기와 결합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압력관 내부에 탄지되어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밸브 및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압력관부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버튼과 상기 치약 배출부의 개방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KR20-2003-0005351U 2003-02-24 2003-02-24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KR200312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351U KR200312849Y1 (ko) 2003-02-24 2003-02-24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351U KR200312849Y1 (ko) 2003-02-24 2003-02-24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849Y1 true KR200312849Y1 (ko) 2003-05-16

Family

ID=4940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351U KR200312849Y1 (ko) 2003-02-24 2003-02-24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523B1 (ko) * 2020-04-13 2020-10-07 김태현 구독경제 기반의 치약 자동 충전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523B1 (ko) * 2020-04-13 2020-10-07 김태현 구독경제 기반의 치약 자동 충전 공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472A (en) Shower mounted dental hygiene dispenser
TWI461172B (zh) 施配設備
US8496025B2 (en) Electronic faucets for long-term operation
US4319595A (en) Dental care unit
US4702397A (en) Pressurized fluid dispenser
AU675736B2 (en) Brush
RU2370432C2 (ru) Система дозирования добавок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US20220151753A1 (en) Personal Care Device
US20100223742A1 (en) Air injection type portable dental flosses
US20010052353A1 (en) Cleaning device and mehtod of use
CN111470178B (zh) 水瓶装置组件
BRPI0707386A2 (pt) recipiente para fluidos que tem um sistema para dispensa de aditivo
JPH01153150A (ja) 洗浄装置
JP2011513053A (ja) 計量配分装置
US20080089733A1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othpaste Apparatus with Dosed Dispensing
AU2020270453B2 (en) Personal care implement
JP3556199B2 (ja) 液体製品の収容と計量分配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JP4176983B2 (ja) 定量注出容器
KR200312849Y1 (ko) 치약 및 기능성 양치수 공급기기
US7431525B2 (en) Bath brush
US6814261B1 (en) Mouthwash dispenser
US20020114658A1 (en) Combination toothbrush/dentifrice dispenser
HUE034404T2 (en) Dispenser with acoustic indication
KR200234841Y1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100839171B1 (ko) 구강세정제의 정량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