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26Y1 -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2426Y1 KR200312426Y1 KR20-2003-0002420U KR20030002420U KR200312426Y1 KR 200312426 Y1 KR200312426 Y1 KR 200312426Y1 KR 20030002420 U KR20030002420 U KR 20030002420U KR 200312426 Y1 KR200312426 Y1 KR 2003124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ircuit
- wind
- voltage
- gen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8—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requiring starting of a prime-mo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밧데리를 충전하는 데 있어서, 풍력을 이용하여, 휀을 회전시켜 교류전기를 발생하여 그 교류전기로 밧데리를 충전하는 자동 충전기이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한전 전기를 필요로 하든지,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교류전기를 발생시켜 즉 발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발전기를 이용하는 방식도 외부에서 전원 및 연료 등을 공급하여야만,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외부의 전기적 전원이나 연료 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풍력을 이용하여 밧데리를 충전하므로, 다른 에너지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풍력이 존재하는 한, 어떠한 장소에서도 밧데리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위함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계통도
도2는 상세 블록 다이어그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계통도로 풍력을 받아 휀(FAN)이 회전하고 축을 통하여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회전시키면 제너레이터(GENERATOR)의 출력에 전압에 발생한다.
이 출력 전압을 제어 회로를 통해 밧데리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것이다.
제2도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풍력을 받아 휀(FAN)이 회전하여 축을 통해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회전시킨다.
제너레이터(GENERATOR)는 밧데리로 여자 시키면 제너레이터(GENERATOR)의 출력에 전압이 발생하고, 그 출력 전압이 정류 회로를 거쳐.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한 다음 정전압회로(REGULATOR)에서, 사용하려고 하는 밧데리 전압으로 조정된 후에, 출력 회로와 밧데리 상태 감지 회로를 통하여 밧데리로 자동 충전되어진다.
이때 밧데리 상태 감지 회로에서 밧데리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밧데리가 만 충전되었을 때 계속 충전되는 것을 자동으로 정지시켜 과충전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밧데리가 과부하로 인하여 과방전을, 하였을 경우에 밧데리 상태 감지 회로에서 이를 감지하여 과방전 상태를 경보 및 표시를 출력하여 밧데리 보호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의 전기적 전원이나 연료 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않고 다만, 풍력을 이용하여 밧데리를 충전하므로, 외부의 전기적에너지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풍력이 존재하는 한, 어떠한 장소에서도 밧데리 충전이 가능한 충전기를 제공한다.
Claims (1)
- 풍력을 받아 휀(FAN)이 회전하고, 축을 통하여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회전시켜 제너레이터(GENERATOR)의 출력에 전압이 발생하고, 그 출력 전압을 정류 회로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정전압 회로(REGULATOR)에서 사용할 밧데리 전압으로 조정한 다음, 출력 회로를 거쳐 밧데리 상태 감지 회로를 통하여, 밧데리 과충전 보호 회로와 과방전 표시 및 경보 회로를 내장한 풍력을 이용하여 밧데리를 자동으로 충전시키는 충전기 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2420U KR200312426Y1 (ko) | 2003-01-24 | 2003-01-24 |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2420U KR200312426Y1 (ko) | 2003-01-24 | 2003-01-24 |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2426Y1 true KR200312426Y1 (ko) | 2003-05-12 |
Family
ID=4933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242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2426Y1 (ko) | 2003-01-24 | 2003-01-24 |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2426Y1 (ko) |
-
2003
- 2003-01-24 KR KR20-2003-0002420U patent/KR200312426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02036B1 (en) | Portable power supply | |
KR101197243B1 (ko) | 휴대용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 | |
US7141887B2 (en) | Power supply unit, generator, and wind turbine generator | |
RU2007136916A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версивной регулировки заряда батареи | |
US6831464B2 (en) | Automatic surveillant revolving storage battery auxiliary charging system | |
KR20180066002A (ko) | 전류를 제한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용 협력 및 출력 시스템 | |
US6002220A (en) | Electric power storage air-conditioning system | |
KR20130113662A (ko) |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 | |
CN103166252A (zh) | 无线传感器网络节点供电装置 | |
JP3966998B2 (ja) | 風力発電機による発電電力の供給接続装置 | |
JP2011079399A (ja) | 車両用電源制御装置及び車両用電源装置 | |
KR101552099B1 (ko) | 하이브리드 가로등의 전력제어방법 | |
KR200312426Y1 (ko) | 풍력을 이용한 자동 밧데리 충전기 | |
US5646505A (en) | Method of charging a battery using asymmetrical current | |
RU2615985C1 (ru) | Автономный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 |
KR101273976B1 (ko) | 발전기 및 솔라셀을 이용한 콘덴서 충전/방전 장치 | |
KR20020075866A (ko) | 전류조정장치 및 전류조정방법 | |
CN216815614U (zh) | 一种具有高效整流功能的水表发电装置 | |
CN113178936B (zh) | 多能互补发电的公共域微电网系统 | |
US20100207574A1 (en) | Energy Smart Charging System | |
JPS62285636A (ja) | 独立型風力発電システム | |
CN207442509U (zh) | 一种新型风能储电装置 | |
CN213717660U (zh) | 一种恒压1.5v输出的充电电池 | |
CN222127679U (zh) | 蓄电池组均衡管理系统 | |
CN222706266U (zh) | 分布式直流电源供电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2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304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