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13Y1 - 비상용 손전등 - Google Patents

비상용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13Y1
KR200312413Y1 KR20-2003-0001879U KR20030001879U KR200312413Y1 KR 200312413 Y1 KR200312413 Y1 KR 200312413Y1 KR 20030001879 U KR20030001879 U KR 20030001879U KR 200312413 Y1 KR200312413 Y1 KR 200312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cradle
hole
emergenc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훈
Original Assignee
임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우 filed Critical 임성우
Priority to KR20-2003-0001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전등 본체(10)와 이 손전등 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로 이루어지는 비상용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손전등 본체(10)는, 건전지(9)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와, 상기 수납부(11)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덮개부(12)와, 상기 수납부(11)에 힌지장치(14)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되어 유지될 수 있는 전등부(13)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20)는, 외부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부(21)와, 상기 부착부(21)에 결합되며 상기 손전등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손전등 본체(10)의 덮개부(12)의 세로방향으로 중앙에는 가로방향으로 긴 관통구멍(12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0)에는 이 관통구멍(12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납작한 돌기(2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전등 본체(10)와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관통구멍(12a)과 상기 한 쌍의 돌기(22a)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12)의 관통구멍(12a)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돌기(22a)는 상기 수납부(11) 내에 수납된 건전지들(9)의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 건전지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손전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상용 손전등{An emergency flashlight}
본 고안은 거치대를 구비한 비상용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자동적으로 점등될 수 있는 비상용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비상용 손전등은 거치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별도의 수납장소에 보관되어야 했다. 또한, 이러한 비상용 손전등은 평소에는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여 보관하다가 비상시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비상용 손전등은 소화기와 마찬가지로 화재나 정전 등의 비상시에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배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사용자가 비상용 손전등을 수납한 장소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비상시에 쉽게 찾기는 어려우며, 설사 비상용 손전등을 찾았다 하더라도 경황 중에 스위치를 찾아 전등을 켠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쉽게 눈에 띄는 벽 등의 소정위치에 거치대를 통하여 위치됨에 의해 위치파악이 용이한 동시에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함 없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순간에 점등되는 비상용 손전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손전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비상용 손전등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비상용 손전등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비상용 손전등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 건전지 10 : 손전등 본체
11 : 수납부 12 : 덮개부
13 : 전등부 14 : 힌지장치
20 : 거치대 21 : 부착부
22 : 지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라서, 손전등 본체와 이 손전등 본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비상용 손전등으로서, 상기 손전등 본체는,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덮개부와, 상기 수납부에 힌지장치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되어 유지될 수 있는 전등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외부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손전등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전등 본체의 덮개부의 세로방향으로 중앙에는 가로방향으로 긴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이 관통구멍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납작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전등 본체와 상기 거치대는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한 쌍의 돌기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돌기는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된 건전지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 건전지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손전등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장치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각도마다 돌기 및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선회축과 이 선회축을 둘러싸는 외주부로 이루어져, 상기 선회축은 상기 외주부 내에서 선회되면서 돌기가 오목 홈 내에 위치될 때마다 비연속적으로 멈춰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전등 본체는, 상기 손전등 본체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경고음을 발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상용 손전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손전등은, 손전등 본체(10)와 이 손전등 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전등 본체(10)는, 소형 건전지(9)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와, 상기 수납부(11)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덮개부(12)와, 상기 수납부(11)에힌지장치(14)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되어 유지될 수 있는 전등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부(11)에는 소형 건전지 4개가 수납되며, 이 수납구조 및 배선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납부(11)를 덮고 있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12)는 건전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수납부(11)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11a)과 덮개부(12)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12b) 사이의 탄성 결합에 의해 상기 덮개부(12)가 상기 수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등부(13)는 힌지장치(14)에 의해 상기 수납부(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되어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그 밖의 사항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힌지장치(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각도마다 돌기 및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선회축(14a)과 이 선회축을 둘러싸는 외주부(14b)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선회축(14a)은 외주부(14b) 내에서 선회되면서 돌기가 오목 홈 내에 위치될 때마다 비연속적으로 멈춰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전등부(13)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거치대(20)는 벽 등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부(21)와, 상기 부착부(21)에 슬라이드 식으로 삽입 결합되며 상기 손전등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21)의 중앙에는 구멍(21a)이 형성되어 상기 부착부(21)를 벽 등의 구조물에 대하여 못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밖에도 상기 부착부(21)의 배면에 접착 테이프 등을 부착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부착부(21)를 소정의 구조물에 고정시켜도 좋다.
상기 부착부(21)와 지지부(22) 사이의 결합은 가이드 홈(22b) 내로 돌기(21b)가 슬라이드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손전등 본체(10)와 상기 거치대(20)는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전등 본체(10)의 덮개부(12)의 세로방향으로 대략 중앙에는 가로방향으로 긴 관통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대(20)에는 이 관통구멍(12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납작한 돌기(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손전등 본체(10)와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관통구멍(12a)과 상기 한 쌍의 돌기(22a)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2)의 관통구멍(12a)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돌기(22a)는 상기 수납부(11) 내에 수납된 건전지들(9)의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 건전지 사이의 접촉을 방해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스위치 없이도 손전등 본체(10)를 거치대(20)에 거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만으로 전원을 끄거나 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전등 본체(10) 내에는, 손전등 본체(10)가 거치대(20)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전등이 점등되는 동시에 별도의 회로구조에 의해서 경고음을 발하도록 스피커를 더 포함시켜도 좋다. 경고음은 일정한 시간동안만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중단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쉽게 눈에 띄는 벽 등의 소정위치에 거치대를 통하여 위치됨에 의해 위치파악이 용이한 동시에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함 없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순간에 점등되는 비상용 손전등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비상시에 손전등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손전등이 거치대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점등되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전등이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점등되는 동시에 경고음이 울리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위치파악에 도움이 되는 비상용 손전등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손전등 본체(10)와 이 손전등 본체(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로 이루어지는 비상용 손전등으로서,
    상기 손전등 본체(10)는, 건전지(9)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와, 상기 수납부(11)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덮개부(12)와, 상기 수납부(11)에 힌지장치(14)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되어 유지될 수 있는 전등부(13)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20)는, 외부의 구조물에 부착되는 부착부(21)와, 상기부착부(21)에 결합되며 상기 손전등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손전등 본체(10)의 덮개부(12)의 세로방향으로 중앙에는 가로방향으로 긴 관통구멍(12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20)에는 이 관통구멍(12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납작한 돌기(22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전등 본체(10)와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관통구멍(12a)과 상기 한 쌍의 돌기(22a)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부(12)의 관통구멍(12a)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돌기(22a)는 상기 수납부(11) 내에 수납된 건전지들(9)의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 건전지 사이의 접촉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손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각도마다 돌기 및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선회축(14a)과 이 선회축을 둘러싸는 외주부(14b)로 이루어져, 상기 선회축(14a)은 상기 외주부(14b) 내에서 선회되면서 돌기가 오목 홈 내에 위치될 때마다 비연속적으로 멈춰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손전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 본체(10)는,
    상기 손전등 본체(10)가 상기 거치대(20)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경고음을 발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손전등.
KR20-2003-0001879U 2003-01-21 2003-01-21 비상용 손전등 KR200312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79U KR200312413Y1 (ko) 2003-01-21 2003-01-21 비상용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79U KR200312413Y1 (ko) 2003-01-21 2003-01-21 비상용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13Y1 true KR200312413Y1 (ko) 2003-05-13

Family

ID=4935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79U KR200312413Y1 (ko) 2003-01-21 2003-01-21 비상용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975B1 (ko) * 2003-06-11 2007-01-11 (주)세이프라인 비상용 손전등
KR100682095B1 (ko) 2006-11-21 2007-02-12 홍순교 휴대용 전등
WO2012111880A1 (ko) * 2011-02-18 2012-08-23 주식회사 하우스테크 휴대용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975B1 (ko) * 2003-06-11 2007-01-11 (주)세이프라인 비상용 손전등
KR100682095B1 (ko) 2006-11-21 2007-02-12 홍순교 휴대용 전등
WO2012111880A1 (ko) * 2011-02-18 2012-08-23 주식회사 하우스테크 휴대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4810B2 (en) Accessory of light-sabre type
US20080068834A1 (en) Lighting fixtures and lighting mounts
WO2014194717A1 (zh) 警示灯及具有该警示灯的手电筒用预警系统
JP4661276B2 (ja) 検知器
US5143440A (en) Illuminated lunch box
KR200312413Y1 (ko) 비상용 손전등
ES2437867T3 (es) Conjunto de bolígrafo y dispositivo electrónico
US7091694B1 (en) Revolving battery reservoir system
KR200325476Y1 (ko) 비상용 손전등
US7434954B1 (en) Adjustable mount for flashlight
US6839448B2 (en) Earpiece having detachable battery device
JP2006338495A (ja) 火災警報器
US5136487A (en) Musical drum lighting apparatus
JP2003240865A (ja) 人感センサユニット
JP3224843U (ja) 多機能ステレオライト及び多機能ステレオガーデンスパイクライト
KR200333225Y1 (ko) 비상용 손전등
JP2001278145A (ja) 自転車用照明器具
KR100667975B1 (ko) 비상용 손전등
KR200325477Y1 (ko) 비상용 손전등
JP3671499B2 (ja) 照明装置
JP3354062B2 (ja) ガス洩れ警報器
CN212085844U (zh) 车载应急电源
JP3223417U (ja) 携行型複合機能器具セット
JP2003240864A (ja) 人感センサ内蔵機器
KR200296201Y1 (ko) 비상경보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비상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