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35Y1 -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35Y1
KR200311135Y1 KR20-2003-0001526U KR20030001526U KR200311135Y1 KR 200311135 Y1 KR200311135 Y1 KR 200311135Y1 KR 20030001526 U KR20030001526 U KR 20030001526U KR 200311135 Y1 KR200311135 Y1 KR 200311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ans
doll
variety
head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20-2003-0001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메인통로와 그 상하부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통로및 제2분기통로가 몸체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몸체의 메인통로상에 연결되며, 상부가 분할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의 제1분기통로에 연결되며, 연결수단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로서 이루어지는 팔연결체; 및,
상기 몸체의 제2분기통로에 연결되며, 연결수단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로서 이루어지는 다리연결체로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헤드부와 팔다리 연결체가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인형의 포즈를 인체와 최대한 유사하도록 자유롭게 변형가능하게 하고, 가발이나 화장 및 의복등을 자유롭게 변경시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 연결부품을 단순화 하여 그 결합공정을 단축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a toy doll of various production}
본 고안은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다수의 통로가 관통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분할되는 헤드부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양측에 연결되는 팔연결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 양측에 연결되는 다리연결체로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헤드부, 팔연결체와 다리연결체가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인체와 극히 유사하게 동작일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에 의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완구는, 일정형상 즉 남자나 여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의복등이 입혀지고, 몸체에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팔, 다리와 머리등이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팔, 다리와 머리등이 억지끼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형완구는, 머리와 팔, 다리등이 몸통에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되어 자유로운 변형이 힘들게 됨은 물론 머리와 팔, 다리등을 잡아당길때 쉽게 분리토록 되어 분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인형의 소정부위 분실이 빈번하여 장시간이 사용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인형완구가 일본 특개평4-28818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몸통(2)이 염화비닐로시트재로서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스펀지등이 충진되며, 상기 몸통(2)의 소정위치에는 두부(6)와 팔부(12)및 다리부(14)가 취부된다.
또한, 상기 두부(6)는 그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목(7)에 파이프부재(8)를 개재하여 몸통(2)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공(9)에 삽입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팔부(12)는, 상부팔(4)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구부(10)에 하부팔(11)이 삽입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다리부(14)는, 몸통(2)의 저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부재(13)에 삽입되는 상부다리(14a)와 상기 상부다리에 지축(15)으로서 연결되는 하부다리(14b)로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형완구는, 관절부분이 지축(15)이나 억지 끼움에 의해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연출이 불가능하고, 각각의 지체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연결을 위한 부품수 및 공정이 증가하게 되며, 접철의 한계에 의해 인형을 보관및 운반 할때에는 일정크기 이상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연결부의 파손시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여 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인형의 포즈를 인체와 최대한 유사하도록 자유롭게 변형가능하게 하고, 가발이나 화장 및 의복등을 자유롭게 변경시켜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 연결부품을 단순화 하여 그 결합공정을 단축할수 있도록 하고, 지체가 용이하게 접철되어 최소의 공간에서 인형을 보관 및 운반할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5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의 팔및 다리의 연결상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의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7a,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눈 연결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및 분해도
도8a,b는 각각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형완구의 손및 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9a,b,c는 각각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형완구의 관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몸체 120...메인통로
200...헤드부 230...눈동자
300...팔 연결체 330...지체
340...손 400...다리 연결체
440...발 510...탄성체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메인통로와 그 상하부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통로및 제2분기통로가 몸체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몸체의 메인통로상에 연결되며, 분할되는 헤드부;
상기 몸체의 제1분기통로에 연결되며, 연결수단이 개재되면서 다관절을 이루도록 복수의 지체로서 이루어지는 팔연결체; 및,
상기 몸체의 제2분기통로에 연결되며, 연결수단이 개재되는 다관절을 이루도록 복수의 지체로서 이루어지는 다리연결체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 헤드부와 팔,다리연결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가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본체부(100), 헤드부(200)및 팔연결체(300), 다리연결체(400)와 이를 연결하는 탄성체(510)으로서 이루어 지며, 특히, 상기 헤드부(200)는 소프트비닐, PVC등으로 이루어 져 인형에 화장을 하거나 쉽게 지울수 있도록 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인체의 머리와 팔,다리를 제외한 인체와 동일 형상을갖도록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관통형성되는 메인통로(120)와 그 상하부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통로(130)및 제2분기통로(140)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얼굴(210a)과 그 상부에 분할 연결되는 커버(210b)로서 구성되고, 상기 얼굴(210a)의 전방에 형성되는 눈동자삽입공(250)에 눈동자(230)가 장착되며, 저부가 몸체(110)의 상단과 제1연결수단(220)으로서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수단(220)은, 상기 메인통로(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라운딩부(220a)와 상기 헤드부(200)의 저면에 상기 라운딩부(220a)가 삽입되어 회전토록 형성되는 요홀(220b)로서 이루어 진다.
특히, 상기 헤드부(200)가 연결되는 라운딩부(200a)는, 그 내측에 관통되는 메인통로(120) 상단부에 부채꼴 형상으로 그 직경이 확대되는 지지홀(220a-1)을 갖는다.
상기 눈동자(230)는, 그 일측에 손잡이(230a)와 걸림턱(230b)이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눈동자 삽입공(250) 주연에 형성되는 고정홈(250a)에 장착되어도 좋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팔연결체(300)는, 제1분기통로(130)에 연결되며,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330)및 상기 지체에 연결되는 손(340)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는 제1지체(330a)및, 제2지체(330b)와 손(340)은 제1연결수단(220)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2지체(330a)(330b)는 제2연결수단(310)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수단(220)은, 상기 제1지체(330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딩부(220a)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의 제1분기통로(130) 단부에 상기 라운딩부(220a)가 삽입되어 회전토록 형성되는 요홀(220b)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제2연결수단(310)은, 제1지체(330a)에 형성되는 요홀(310a)과 제2지체(330b)에 형성되는 라운딩부(310b)및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 일방향의 회전을 제어토록 대응 설치되는 지지턱(310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340)은, 각각의 손가락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손가락(340a)이 각각 분할설치되어 제2연결수단(310)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다리연결체(400)는, 제2분기통로(140)에 연결되며,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430)및 상기 지체에 연결되는 발(440)로 이루어 진다.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는 제1지체(430a)및, 제2지체(430b)와 발(440)은 제1연결수단(220)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수단(220)은, 상기 발(440)의 상부에 형성되는 라운딩부(220a)와 상기 제2지체(430b)의 일단부에 상기 라운딩부(220a)가 삽입되어 회전토록 형성되는 요홀(220b)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제2연결수단(310)은, 제1지체(430a)에 형성되는 요홀(310a)과 제2지체(430b)에 형성되는 라운딩부(310b)및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 일방향의 회전을 제어토록 대응 설치되는 지지턱(310c)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440)은, 각각의 손가락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손가락(440a)이 각각 분할설치되어 제2연결수단(310)으로 연결되어도 좋다.
상기 헤드부와 다리연결체및 팔연결체를 몸체에 일체로 연결하면서 용이하게 회전및 신축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탄성체(510)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510)는 그 일측에 다수개로 분기되는 탄성지체(510a)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탄성지체(510a)가 손및 발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바(미도시)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탄성체(510)는, 헤드부에 지지되면서 그 일측에 커버가 연결되는 ∽ 형상 고리(53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연결수단의 라운드 부에는 지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슬롯(540)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는 인체와 동일 방향성을 갖으면서 움직이도록 즉 상기 제1,2지지체의 일방향 운동만이 가능토록 가이드돌기(310b-1)와 가이드홈(310a-1)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9에서와 같이, 몸체(110)에 형성되는 메인통로(120) 상에는 다수의 탄성지체가 일체로 꼬아 연결되는 탄성체(510)가 삽입되는 상기 탄성체(510)가 일측에서 각각 분기되어 헤드부(200), 팔연결체(300)및 다리연결체(400)가 연결되는 제1,2분기통로(130)(140)의 단부에 노출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팔연결체(300)및 다리연결체(400)는 제1지체(330a)(430a)및 제2지체(330b)(430b)가 제2연결수단(310)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팔연결체(300)및 다리연결체(400)는, 그 양단이 제1연결수단(220)을 통하여 몸체(110)와 손(340)발(440)등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도 몸체(110)의 상부에 제1연결수단(2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함은 물론 신축가능토록 되어 변형및 보관시 용이하게 접을수 있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제1,2연결수단(220)(310)을 통하여 연결되는 팔,다리 연결체(300)(400)는, 그 내측에 관통되는 탄성체(510)로서 연결되어 관절 역활을 수행하는 제1,2연결수단이 마찰되면서 용이하게 이동및 회전토록 되어 인체와 동일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수단(220)은, 라운딩부(220a)와 이에 대응되는 요홀(220b)로 이루어져 팔,다리및, 발이 자유롭게 이동토록 되고, 특히 헤드부(200)를 연결하는 제1연결수단(220)은 상부를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지지홀(220a-1)이 형성되어 다른 신체부위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00)는, 얼굴(210a)의 상부에 커버(210b)가 분할토록 설치되어 이를 개방한후 그 내측에 고정되는 탄성체(510)의 단부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관절의 역활을 하는 각 연결부 마찰력이 증가되어 관절부분이 절곡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직립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10b)는, 상기 탄성체(510)를 고리(530)로서 연결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연결되는 탄성지체(510a)로서 연결되어 커버(210b)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헤드본체(210a)의 상부에서 용이하게 분리토록 된다.
상기 제2연결수단(310)은, 제1지체(330a)에 형성되는 요홀(310a)과 제2지체(330b)에 형성되는 라운딩부(310b)및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 일방향의 회전을 제어토록 대응 설치되는 지지턱(310c)으로 구성되어 제1지체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지체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면 그 회전이 중지되어 인체와 동일한 운동성을 갖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연결수단의 라운드 부에는 지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슬롯(540)이 더 형성되어 각 지체가 회전될때 탄성체(510)에 간섭되어 그 움직임에 제약이 발생되는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와 헤드부(200)및 팔, 다리연결체(300)(400)는 소프트 비닐 이나 PVC등으로 이루어져 화장및 지움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눈동자(230)는, 그 일측에 손잡이(230a)와 걸림턱(230b)이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눈동자 삽입공(250) 주연에 형성되는 고정홈(250a)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색깔을 갖는 눈동자(23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토록 한다.
또한, 상기 손(340)은, 각각의 손가락(340a)이 분할된후 탄성지체(510a)로서 연결되고 그 연결부는 제2연결수단(310)으로 연결되어 인체와 동일하게 손가락이 동작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발(440) 역시, 각각의 손가락(440a)이 분할된후 탄성지체(510a)로서 연결되고 그 연결부는 제2연결수단(310)으로 연결되어 인체와 동일하게 발가락이 동작토록 한다.
또한, 도9에서와 같이,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0b-1)와 가이드홈(310a-1)에 의해 상기 인형의 관절부가 인체와 동일 방향성을 갖으면서 움직이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이루어진 인형은, 탄성체(510)로 연결되어 보관시 팔연결체및 다리연결체와 헤드부의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여 최소의 공간으로도 보관및 운반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관절 역활을 하는 제1,2연결수단은 단지 접촉하여 마찰을 하는 역활을 수행하고 그 연결은 신축성의 탄성체에 의해 연결되어 그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탄성체(510)의 탄성력 저하시 탄성체(510)만을 교환하는 동작에 의해 종래의 관절부분의 파손시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낭비요인을 제거한다.
그리고, 일정형상으로 변형이 자유롭게 되어 의복이나 가발등을 씌워 다양한 표현이 가능토록 되어 이를 가지고 놀이를 하는 어린이의 창의력을 극대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인형의 포즈를 인체와 최대한 유사하도록 자유롭게 변형가능 하고, 가발이나 화장 및 의복등을 자유롭게 변경시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각 연결부품을 단순화 하여 그 결합공정을 단축할수 있고, 지체가 용이하게 접철되어 최소의 공간에서 보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탄성체에 의해 각각의 지체가 연결되어 다향한 형태로의 변형시에도 관절부위의 연결불량및 파손이 방지되고, 탄성체를 교환하는 방법에 의해신속한 수리가 가능하여 관절파손에 따른 인형을 폐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9)

  1. 인체의 머리와 팔,다리를 제외한 인체와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몸체(110)로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제1연결수단(220)으로 연결되어 전방에 형성되는 눈동자삽입공(250)에 눈동자(230)가 장착되며, 상부가 분할되어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헤드부(200);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제1연결수단(220)으로서 연결되며,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330)및 그 일단에 제1연결수단(220)으로서 손(340)이 연결되는 팔연결체(300);
    상기 몸체(110)의 하부 양측에 제1연결수단(220)으로서 연결되며,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복수의 지체(430)및 그 일단에 제1연결수단(220)으로서 발(440)이 연결되는 다리연결체(400);및,
    상기 헤드부(200)와 다리연결체(300)및 팔연결체(400)를 몸체(110)의 상하부에 밀착연결하는 탄성체(510)를 포함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340)은, 손가락(340a)이 각각 다관절을 갖도록 분할 설치되어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탄성지체(510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440)은, 발가락(340a)이 각각 다관절을 갖도록 분할 설치되어 제2연결수단(310)이 개재되는 탄성지체(510a)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220)은, 슬롯을 갖는 라운딩부(220a)와 상기 라운딩부(220a)가 삽입되어 회전토록 형성되는 요홀(220b)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310)은, 제1지체에 형성되는 요홀(310a)과 제2지체에 형성되면서 슬롯을 갖는 라운딩부(310b)및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 일방향의 회전을 제어토록 라운딩부(310b)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턱(310c)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딩부(310b)및 요홀(310a)에는 인체와 동일 방향성을 갖으면서 움직이도록 돌기(310b-1)와 가이드홈(310a-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소프트비닐로서 구성되어 그 내측에 관통되는 메인통로(120)와 그 상하부에서 분기되는 제1분기통로(130)및제2분기통로(140)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동자(230)는, 그 일측에 손잡이(230a)와 걸림턱(230b)이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눈동자 삽입공(250) 주연에 형성되는 고정홈(250a)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510)는, 그 단부가 헤드부(200)의 내측에 지지되는 ∽ 형상 고리(53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KR20-2003-0001526U 2003-01-17 2003-01-17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KR200311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526U KR200311135Y1 (ko) 2003-01-17 2003-01-17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526U KR200311135Y1 (ko) 2003-01-17 2003-01-17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022A Division KR20040065834A (ko) 2003-01-16 2003-01-16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35Y1 true KR200311135Y1 (ko) 2003-04-23

Family

ID=4940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526U KR200311135Y1 (ko) 2003-01-17 2003-01-17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26B1 (ko) * 2008-10-10 2009-07-10 조충호 염가형 관절인형의 제조방법
KR100951947B1 (ko) * 2009-04-15 2010-04-09 조충호 염가형 관절인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26B1 (ko) * 2008-10-10 2009-07-10 조충호 염가형 관절인형의 제조방법
KR100951947B1 (ko) * 2009-04-15 2010-04-09 조충호 염가형 관절인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0303A (en) Articulated figure toy
US20030110540A1 (en) Skin application structure for robots and a robot having such a structure
JP2004073329A (ja) 複製人形
US20200238502A1 (en) Action robot
WO2019201005A1 (zh) 一种组装玩具公仔
US3952449A (en) Articulated figure toy
US7234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plush to an artificial eye
US7318766B2 (en) Doll with stand
BRPI0610961A2 (pt) fantasia
KR200311135Y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US7641535B2 (en) Artificial eye assemblies
KR20040065834A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인형완구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JP2006158542A (ja) 人形の脚部構造及び該脚部構造を備える人形
KR200437519Y1 (ko) 허벅지부재 관절 동작상태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체관절인형
US4610640A (en) Glove puppet figure assembly with articulated head components
KR200438421Y1 (ko) 구체 관절 인형용 관절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체 관절인형
US2615283A (en) Jointed figure toy
JP4027928B2 (ja) 関節人形
US6135847A (en) Puppets and character representations
KR101132806B1 (ko) 구체 관절 인형
AU5143600A (en) Doll having realistic twisting midriff
KR102163849B1 (ko)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KR200285464Y1 (ko) 관절이 움직이는 종이모형완구
CN211273542U (zh) 一种关节可调节且眼瞳可变化的娃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