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345Y1 -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45Y1
KR200310345Y1 KR2019980020856U KR19980020856U KR200310345Y1 KR 200310345 Y1 KR200310345 Y1 KR 200310345Y1 KR 2019980020856 U KR2019980020856 U KR 2019980020856U KR 19980020856 U KR19980020856 U KR 19980020856U KR 200310345 Y1 KR200310345 Y1 KR 200310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gnition furnace
sintering
sintering ignition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976U (ko
Inventor
김창섭
조성문
박용준
서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0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34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27D99/0076Furnace car seals, i.e. seals used in continuous furnaces or kilns for preventing gas or heat exchange between heating chamber and the area comprising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3/00Type of treatment of the charge
    • F27M2003/04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결점화로(4)의 폭 양측 하부와 대차레일(6) 사이에 각각 설치되면서 그 수직부(9-1)가 고정빔(14)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9-1)의 상단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부 (9-2)에는 그 내측 하단에 에어턱(13)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 하부측에 분사노즐 (10)이 형성되는 에어덕트(9)와; 상기 에어덕트(9)의 수직부(9-1)에 연통된 연결된 연결관(12)에 결합하는 에어공급관(8)과, 이에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 (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
본 고안은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결점화로의 좌우 내측벽과 소결대차의 좌우외측벽사이로 유입되어 소결대차의 배합원료 중 좌우측 표면의 착화를 방해하는 측면유입공기를 차단하는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공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저장조(1)에 저장된 미분의 철광석, 석회석, 코크스 등의 배합원료를 절출피더(2)를 통해 소결대차(3)에 실리게 된다.
이때, 무한궤도의 레일(6)을 따라 일정속도로 진행되는 소결대차(3)는 장입된 배합원료를 싣고 소결점화로(4)를 통과하게 되고, 소결점화로에 통과되면서 표면이 착화된 배합원료는 주배풍기(7)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서서히 코크스가 연소되면서 철광석과 석회석을 소결시켜 소결광을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점화로(4)의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의 유격은 상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한편, 배합원료는 소결대차(3)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소결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결점화로(4)에서 배합원료의 상부표면이 착화되는 과정 중 소결점화로의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로 주배풍기(7)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냉풍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배합원료의 상부표면 중 폭 좌우측의 착화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배합원료의 폭 좌우측에 미소결광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소결광의 회수율이 감소되고, 그 소결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소결점화로(4)의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를 통한 냉풍흡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결점화로의 폭 내측벽에 와이어브러시(Wire Brush)를 설치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그 부작용이 더욱 심하게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소결점화로의 좌우내측벽과 소결대차의 좌우 외측벽 사이로 유입되는 내풍의 측면유입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소결대차의 배합원료 중 좌우측 표면의 착화불량을 방지하고, 소결광의 회수율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소결점화로 내측벽과 소결대차의 외측면 사이로 냉풍 유입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가 장착된 소결점화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원료저장조 2:원료절출피더 3:소결대차 4:소결점화로
6:대차레일 7:주배풍기 8:에어공급관 9:에어덕트 9-1:수직부
9-2:경사부 10:분사노즐 11:송풍기 12:연결관 13:에어턱
14:고정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결점화로의 폭 양측 하부와 대차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면서 그 수직부가 고정빔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부에는 그 내측 하단에 에어턱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 하부측에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의 수직부에 연통된 연결된 연결관에 결합하는 에어공급관과, 이에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가 장착된 소결점화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덕트(9)는 소결점화로(4)의 폭 양측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고정빔(14)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즉, 에어덕트(9)는 수직부(9-1)와 경사부(9-2)로 구성되면서 그 수직부(9-1)의 외측면이 고정빔(1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있고, 수직부와 연이어 형성되면서 내측방향으로 상향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경사부(9-2)는 그 상단부가 소결점화로(4)의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공간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에어덕트(9)는 그 폭 길이가 소결점화로(4)의 입구부터 출구 측으로 3m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특히 경사부(9-2)의 경우 수직부(9-1)로부터 유입되는 에어가 경사부를 거치는 동안 압력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내측방향으로 상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덕트(9)의 경사부(9-2)에는 그 내측면의 하단 하부측에 경사부 내측높이의 3/4높이로 에어턱(13)이 형성되어있고, 이 에어턱(13)은 수직부(9-1)로부터 유입되는 에어를 경사부(9-2)내의 길이방향으로 유량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덕트(9)의 경사부(9-2)에는 그 상단 하부측을 따라 분사노즐 (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사노즐(1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는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하단을 향해 최단길이로 하향되게 분사되어 일종에 차단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분사노즐(10)로부터 분사되어 소결점화로(4)의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에어차단커튼은 주배풍기(7)의 흡입력에의한 외부냉풍을 차단하기 위해서 2400N㎥/hr 이상의 속도로 분사되어야 한다.
한편, 송풍기(11)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관(8)은 그 하단이 각각 연결관(12)에 의해 에어덕트(9)의 수직부(9-1) 외측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무한궤도의 레일(6)을 따라 일정속도로 진행되는 소결대차(3)는 장입된 배합원료를 싣고 소결점화로(4)를 통과하게 되고, 소결점화로에 통과되면서 표면이 착화된 배합원료는 주배풍기(7)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서서히 코크스가 연소되면서 철광석과 석회석을 소결시켜 소결광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송풍기(11)가 작동되면서 에어공급관(8)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연결관(12)을 거쳐 에어덕트(9)에 장입되고, 에어덕트(9)의 내측면 절곡부에 형성된 에어턱(13)에 충돌되면서 에어덕트(9)내의 길이방향으로 유량이 고르게 분배되는 상태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에어는 에어덕트(9)의 경사부(9-2)를 따라 상승되면서 분사노즐(10)을 통해 하향 분사되고, 분사노즐(10)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는 소결대차(3)가 통과하는 소결점화로(4)중 그 입구부터 출구측 3m까지 에어커튼(Air Curtain)을 형성시키게 된다.
즉, 소결점화로(4)의 입구부터 출구측 3m까지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로 주배풍기(7)의 흡입력에 의한 냉풍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분사노즐 (10)로부터 2400N㎥/hr 속도이상의 에어가 분사된다.
따라서, 소결점화로(4)의 입구부터 출구측 3m까지 폭 내측벽과 소결대차(3)의 폭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커튼에 의해외부냉풍 유입이 차단되면서 소결대차의 배합원료 상부표면에 초기착화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배합원료의 폭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미소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소결점화로의 좌우내측벽과 소결대차의 좌우외측벽 사이로 유입되는 내풍의 측면유입공기를 차단함으로써 소결대차의 배합원료 중 좌우측 표면의 착화불량을 방지하고, 소결광의 회수율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소결점화로(4)의 폭 양측 하부와 대차레일(6) 사이에 각각 설치되면서 그 수직부(9-1)가 고정빔(14)에 고정 부착되고, 상기 수직부(9-1)의 상단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부(9-2)에는 그 내측 하단에 에어턱(13)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 하부측에 분사노즐(10)이 형성되는 에어덕트(9)와;
    상기 에어덕트(9)의 수직부(9-1)에 연통된 연결된 연결관(12)에 결합하는 에어공급관(8)과, 이에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점화로의 측면유입공기 차단장치.
KR2019980020856U 1998-10-29 1998-10-29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KR200310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56U KR200310345Y1 (ko) 1998-10-29 1998-10-29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56U KR200310345Y1 (ko) 1998-10-29 1998-10-29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76U KR20000008976U (ko) 2000-05-25
KR200310345Y1 true KR200310345Y1 (ko) 2003-08-21

Family

ID=4940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856U KR200310345Y1 (ko) 1998-10-29 1998-10-29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3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76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4941B2 (ja) 調温装置および高温排ガスの調温方法
CA1246344A (en) Multi-purpose pyrometallurgical process enhancing device
JP4522895B2 (ja) 排ガス洗浄冷却塔
KR102369474B1 (ko) 제련 사이클론의 동작 방법
KR20080007240A (ko) 유동층 건조기 및 유동층 건조기에 의한 습윤 원료의 건조방법
KR101414499B1 (ko) 공정 가스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200310345Y1 (ko) 소결점화로의측면유입공기차단장치
AU617065B2 (en) Prereduction furnace of a smelting reduction facility of iron ore
KR100431863B1 (ko) 유동층 환원로의 분산판 크리닝장치
KR20060102633A (ko) 소결기 장입장치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0544580B1 (ko) 소결광 냉각기 미스트 첨가장치
KR100718237B1 (ko) 소결연소 용융대에서의 스탠드 지지대를 이용한 통기성개선장치
KR890001441B1 (ko) 고체 탄소질 환원제의 공급 방법 및 장치
EP1072855A4 (en) FLUIDIZED BED OVEN DIVIDED INTO MULTIPLE ROOMS
JP2009168399A (ja) 焼結機パレットおよびグレートバー押え方法
KR102158227B1 (ko) 풍구 수취입 장치
FI93144C (fi) Tapa ja laite nostaa jätelämpökattilan tehokkuutta
KR0143324B1 (ko) 진공탈가스 설비의 더스트 처리장치
KR100426233B1 (ko) 소결광의 환원분화지수 개선장치
KR20010063000A (ko) 고로 내부 형상 개선 방법
JP3439687B2 (ja) 焼結設備におけるパレット台車
CN218709911U (zh) 一种玻璃熔窑系统
KR100376625B1 (ko) 용광로용 풍구의 파손 방지 장치
US57001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of solids
RU2066031C1 (ru) Укрытие агломерационн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