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275Y1 -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275Y1
KR200310275Y1 KR20-2003-0000276U KR20030000276U KR200310275Y1 KR 200310275 Y1 KR200310275 Y1 KR 200310275Y1 KR 20030000276 U KR20030000276 U KR 20030000276U KR 200310275 Y1 KR200310275 Y1 KR 200310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ing
cam
lifter
shaft
sh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길
양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각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to KR20-2003-0000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21D51/32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Abstract

본 발명은 3개의 시밍롤(seaming roll)이 단일구동원에 의해 다수의 캠과 연동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승, 하강되는 리프터판 상에 공급되는 캔의 덮개와 본체의 중첩부에 의해 다수의 시밍롤이 순차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면서 시밍(seam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식품을 내용물로 하는 포장용캔의 밀봉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장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정부분을 외부의 진공수단(8)과 연통되는 진공실(11)로 형성하여 전면에 개폐창(12)을 형성한 본체(1) 내부에는, 구동수단(9)과 연결되며 외면 일정부분에 워엄(23)을 형성한 구동축(2)의 선단에 각각 시밍캠구동헬리컬기어(21) 및 시밍헤드구동헬리컬기어(22)를 설치하여 하단을 캔의 척(31)으로 형성한 고정축(3) 둘레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와 치합되게 하되,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는 외면에 시밍캠(42a)을 갖는 시밍캠부재(42)를 다단으로 설치한 시밍캠회전기어(4)와 연결되게 하고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는, 상부에는 시밍캠부재(42) 외면에 밀접되는 시밍캠롤(53)이 시밍캠롤레버(54)에 의해 설치되고 하부에는 포장용캔(10)의 밀봉부에 대해 시밍이 이루어지도록 시밍롤(55)이 시밍롤레버(56)에 의해 설치되게 한 시밍롤레버축(51)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관통 설치한 시밍헤드(5)를 시밍헤드축(5-1)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3)의 직하부에는, 상기 구동축(2)의 워엄(23)과 치합되는 워엄기어(61)를 상부에 형성한 수직축(6) 하단의 리프터캠부재(62)의 리프터캠(62a)과 리프터레버(63)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스프링(7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상태로 승, 하강되며 상단에는 리프터판(71)을 형성한 리프터축(7)를 동일축선으로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이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can sea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시밍롤(seaming roll)이 단일구동원에 의해 다수의 캠과 연동하여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승, 하강되는 리프터판 상에 공급되는 캔의 덮개와 본체의 중첩부에 의해 다수의 시밍롤이 순차적으로 접촉 및 분리되면서 시밍(seam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식품을 내용물로 하는 포장용캔의 밀봉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장기간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품을 진공상태로 밀봉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금속제 캔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들 금속제 캔의 덮개(뚜껑)와 본체간의 밀봉결합을 위해서는 별도의 캔 시밍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제 캔의 덮개와 본체 가장자리간의 밀봉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캔 시밍장치는 단순히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본체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서로 중첩되는 상태로 감아말아 눌러서 2단계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인바, 이 경우 밀봉부위가 장기간동안 완벽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봉부위를 통해 캔 내부로 외부공기가 침투하게되어 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이 변질되게되는 문제와 함께 내용물이 채워진 캔의 밀봉작업 공정 중 완벽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량포장 제품의 발생으로 인해 캔과 함께 내용물까지도 함께 폐기 처분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감수해야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식품 포장용캔을 이루는 덮개와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단순히 중첩되는 상태로 감아말아 눌러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한 종래의 식품 포장용캔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개의 시밍롤이 다단의 시밍 캠부재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적으로 되는 상태로 단일구동원에 의해 서로 시밍 캠부재와는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되면서 시밍롤이 설치된 시밍롤레버축의 상단에 설치된 시밍캠롤이 각 시밍 캠부재의 캠에 의해 그 위치가 가변적으로 되는 것에 의해 시밍롤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식품 포장용캔의 덮개와 본체 가장자리부를 중첩상태로 접은 다음 접힌 밀봉부를 다시 감아만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눌러주는 일련의 3단계 밀봉작업이 한번의 공정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인 각종 식품의 완벽한 포장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품 포장용캔의 불량발생률을 낮춰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그만큼 장기간에 걸쳐 완벽한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캔 포장식품에 대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의 측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를 이루는 캔리프터의 작동상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를 이루는 시밍헤드의 평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를 이루는 시밍헤드 하부의 평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를 이루는 시밍헤드의 일부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밍장치에 의해 성형된 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본체 2:구동축
3:스핀들 4:시밍캠회전기어
5:시밍헤드 6:수직축
7:캔리프터축 8:진공수단
9:구동수단 10:캔
11:진공실 12:개폐창
21:시밍캠 구동 헬리컬기어 22:시밍헤드 구동 헬리컬기어
23:워엄 31:척
41:시밍캠 작동 헬리컬기어 42:시밍캠 부재
42a:시밍캠 51:시밍롤레버축
52:시밍헤드 작동 헬리컬기어 53:시밍캠 롤
54:시밍캠롤레버 55:시밍롤
56:시밍롤레버 61:워엄기어
62:리프터캠 부재 62a:리프터캠
63:리프터레버 71:리프터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는, 일정부분을 외부의 진공수단(8)과 연통되는 진공실(11)로 형성하여 전면에 개폐창(12)을 형성한 본체(1) 내부에는, 구동수단(9)과 연결되며 외면 일정부분에 워엄(23)을 형성한 구동축(2)의 선단에 각각 시밍캠구동헬리컬기어(21) 및 시밍헤드구동헬리컬기어(22)를 설치하여 하단을 캔의 척(31)으로 형성한 고정축(32) 둘레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와 치합되게 하되,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는 외면에 시밍캠(42a)을 갖는 시밍캠부재(42)를 다단으로 설치한 시밍캠회전기어(4)와 연결되게 하고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는, 상부에는 시밍캠부재(42) 외면에 밀접되는 시밍캠롤(53)이 시밍캠롤레버(54)에 의해 설치되고 하부에는 포장용캔(10)의 밀봉부에 대해 시밍이 이루어지도록 시밍롤(55)이 시밍롤레버(56)에 의해 설치되게 한 시밍롤레버축(51)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관통 설치한 시밍헤드(5)를 시밍헤드축(5-1)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3)의 직하부에는, 상기 구동축(2)의 워엄(23)과 치합되는 워엄기어(61)를 상부에 형성한 수직축(6) 하단의리프터캠부재(62)의 리프터캠(62a)과 리프터레버(63)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스프링(7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상태로 승, 하강되며 상단에는 리프터판(71)을 형성한 리프터축(7)를 동일축선으로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캔리프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밍헤드의 평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밍헤드 하부의 평단면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밍헤드의 일부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에 의해 성형된 캔의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본체(1), 구동축(2), 스핀들(3), 시밍캠회전기어(4), 시밍헤드(5), 수직축(6) 및 캔리프터축(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체(1)는 대략 길이가 긴 함체형으로 되어 그 내부에 시밍을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중앙 상부측에 전면의 개폐창(12)에 의해 개폐되는 진공실(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진공실(11)에는 외부의 진공수단(8)과 호스(81)등으로 연결되어 캔(10)에 대한 시밍작업시 캔(1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구동축(2)은 외면 일정부분에 워엄(23)을 형성하고 그 일단에는 본체(1)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 등의 구동수단(9)과 벨트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24)를 설치하며, 타단에는 서로 직경크기가 다른 시밍캠구동헬리컬기어(21) 및 시밍헤드구동헬리컬기어(22)가 설치되어 구동수단(9)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이 각각 수직축(6)과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스핀들(3)은 둘레로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가 고정축(32)을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밀봉될 캔(1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캔 덮개의 상면이 밀접되는 척(31)을 설치하여 시밍작업시 캔(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시밍캠회전기어(4)는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와 연결된 채 스핀들(3)의 고정축(32) 외면에 설치되는 시밍헤드축(5-1)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 외면에는 다단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일정부분 시밍캠(42a)을 형성한 시밍캠부재(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시밍롤레버축축(51) 상단에 시밍캠부재(42)와 동수로 설치되는 시밍캠롤(53)이 각각 밀접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시밍헤드(5)는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와 연결된 채 스핀들(3)의 고정축(32) 외면과 상기 시밍캠회전기어(4) 내면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밍헤드축(5-1)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 시밍헤드(5)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시밍롤레버축(51)을 관통 설치하되, 그 상단에는 서로 다른 설치위치를 갖도록 시밍캠롤레버(54)에 의해 시밍캠롤(53)이 연결 설치되게 하여 3개의 시밍캠롤(53)이 각각 다단의 시밍캠(42a) 외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시밍캠롤(53)의 설치위치(높이)는 각각 상기 다수의 시밍캠부재(42) 중 대응하는 시밍캠부재(42)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밍롤레버축(51) 하단에는 시밍롤레버(56)에 의해 시밍롤(55)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다단의 시밍캠(42a) 외면에 각각 순차적으로 접촉되는 시밍캠롤(53)의 순차적으로 밀려나는 동작에 의해 시밍헤드(5)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시밍롤(55)이 순차적으로 캔(10)의 밀봉부측으로 이동하여 캔(10)의 밀봉 시밍부위를 시밍하게 되어 목적한 시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수직축(6)은 그 상단에 상기 구동축(2) 도중에 형성된 워엄(23)과 치합되는 워엄기어(61)가 설치되며, 하단에는 하면에 리프터캠(62a)을 형성한 리프터캠부재(62)를 설치하여 캔 리프터축(7)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중앙부가 리프터레버축(64)에 의해 부착 고정된 리프터레버(63) 타단의 리프터캠롤(63a)이 상기 리프터캠(62a)에 밀접되도록 하여 리프터레버(63) 일단의 높낮이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이 리프터레버(63)의 일단이 연결된 캔리프터축(7)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캔리프터축(7)은 상기 스핀들(3)과 동일축선을 갖도록 스핀들(3) 직하부에 직립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단에 캔(10)을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캔의 하면 형태를 갖는 캔리프터판(71)이 설치되며, 또한 캔리프터축(7)의 리프터레버(63)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측 외면에는 고정대(73)에 의해 탄발되도록 스프링(72)을 설치하여 캔리프터축(7)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시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캔리프터축(7)의 캔리프터판(71)과, 시밍롤레버축(51)이 관통 설치되는 시밍헤드(5)와, 스핀들(3)의 척(31) 및 시밍캠부재(42)를 포함한 시밍캠회전기어(4) 부분은 상기 본체(1)의 진공실(11) 내에 위치되게 하여 시밍작업과 동시에 캔(10) 내부에 대한 진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밍캠부재(42)와, 시밍롤레버축(51)과, 시밍캠롤(53) 및 시밍롤(55)의 설치개수는 시밍작업이 이루어지는 캔의 형태에 관계없이 각각 3개씩 설치되는 것으로, 본 예에서는 일반 햄 포장용기인 직사각형 캔의 시밍작업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A)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1)의 진공실(11) 전면의 개폐창(12)을 열고 시밍작업이 요구되는 캔의 본체의 개구부 상에 덮개를 덮어놓은 상태로 캔리프터축(7)의 캔리프터판(71)상에 올려놓고 개폐창(12)을 닫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캔 시밍장치(A)를 작동시키게 되면, 진공수단(8)과 구동수단(9)이 함께 작동하게 됨에 따라 캔(10)에 대한 진공 및 시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진공수단(8)의 작동에 따라 진공실(11) 내부의 공기, 즉 캔 내부의 공기는 호스(81)를 통해 외부로 흡입 배출되어 캔(10) 내부를 포함한 진공실(11)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와 감속기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9)의 구동에 따라 구동풀리(24)에 의해 구동수단(9)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구동축(2)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축(2)의 회전력은 워엄(23) 및 워엄기어(61)에 의해 수직축(6)에 전달됨과 동시에 구동축(2) 선단의 시밍캠구동헬리컬기어(21) 및 시밍헤드구동헬리컬기어(22)로 전달되어 이와 치합상태인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를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직축(6)이 회전하게되면, 수직축(6) 하단에 설치된 리프터캠(62a)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 리프터캠부재(62)에 선단의 리프터캠롤(63a)이 접촉된 상태인 리프터레버(63)는 리프터캠(62a)에 의해 그 중간의 리프터레버축(64)을 축으로 하여 시소(seesaw) 동작을 하게 됨에 따라 그 일단에 연결된 캔리프터축(7)를 승, 하강시키게되어 결과적으로 캔리프터축(7) 상부의 캔리프터판(71) 상에 놓여진 덮개와 본체로 된 시밍작업 될 캔을 그 덮개가 스핀들(3) 하단의 척(31)에 밀접되는 상태로 되게 상승시키게 된다.
이렇게 캔리프터축(7)의 상승동작에 의해 캔(10)이 상승되게됨과 동시에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와 연결된 시밍캠회전기어(4)와 시밍헤드축(5-1)은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게되는바, 이때 시밍캠회전기어(4)은 시밍헤드축(5-1)보다 천천히 회전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시밍캠회전기어(4) 외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시밍캠부재(42)가 천천히 회전되고 시밍헤드축(5-1) 하단에 연결된 시밍헤드(5)은 시밍캠부재(42)보다 조금 빠르게 회전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다단의 시밍캠부재(42) 외면에는 각각 시밍롤레버축(51) 상단의 시밍캠롤(53)이 접촉된 상태에서 시밍캠(42a)에 의해 그 위치가 밀려나게 되면서 시밍롤레버축(51) 하단에 시밍롤레버(56)에 의해 연결된 시밍롤(55)은 시밍롤레버(56)가 시밍롤레버축(51)으 축으로하여 회동되는 것에 의해 캔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덮개와 본체 가장자리의 밀봉 중첩부에 밀접된 상태에서 앞서의 시밍캠(42)에 접촉된 상태인 시밍캠롤(53)이 시밍캠(42)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밀봉 중첩부에 대한 가압시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시밍작업 공정은 시밍캠회전기어(4) 외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시밍캠부재(42) 외면에 형성될 시밍캠(42a)의 형성위치에 따라 시밍롤레버축(51) 상단에 스프링(51a)에 의해 항상 탄발상태로 지지되는 시밍캠롤(53)의 밀려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되는 것에 의해 시밍롤레버축(51) 하단의 시밍롤(55)이 서로 다르게 일정시차를 두고 캔(10)의 밀봉부에 접촉되게 하는 식으로 시밍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캔(10)의 밀봉시밍부는 척(31)의 에지부와 시밍롤(55)의 에지부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접어 감아 말린 상태에서 다시 눌리는 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덮개 가장자리와 본체의 개방부 가장자리부분은 중첩된 상태로 확실하게 시밍되게 되어 완제품으로서 시밍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시밍롤(55)에 의해 시밍작업이 완료되게 됨과 동시에 리프터캠부재(62)의 리프터캠(62a) 위치가 변하면서 리프터레버(63) 일단의 리프터캠롤(63a)이 리프터캠(62a)으로부터 벗어나 상승하게 됨에 따라리프터레버(63) 타단은 리프터레버축(64)을 중심으로 다시 하강하게되어 캔리프터축(7)이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진공수단(8)과 구동수단(9)은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진공실(11) 전면의 개폐창(12)을 열고 시밍 완료된 상태인 캔(10)을 캔리프터판(71)으로부터 들어내고, 시밍작업이 요구되는 또 다른 본체에 덮개가 덮혀진 캔을 캔받침 상에 올려놓고서 개폐창(12)을 닫은 상태에서 장치(A)를 작동시키게되면 앞서 설명한 일련의 시밍작업 공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게되어 목적한 시밍작업이 완료된 식품 포장용캔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시밍대상 캔의 형태를 본 예에서는 직사각형태로 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반드시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삼각형이나 원형의 식품 포장용캔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에 의하면, 단일구동원에 의해 캔리프터축의 승, 하강 동작과 함께 3개의 시밍롤이 캔측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동작이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특정형상을 갖는 식품 포장용캔의 덮개와 본체 가장자리의 밀봉부를 중첩상태로 접어만 상태에서 눌러주는 일련의 시밍작업이 한번의 공정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게 함으로써 캔을 이용한 식품 포장과정에서 불량발생을 막고 완벽한 밀봉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예방할 수 있게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일정부분을 외부의 진공수단(8)과 연통되는 진공실(11)로 형성하여 전면에 개폐창(12)을 형성한 본체(1) 내부에는, 구동수단(9)과 연결되며 외면 일정부분에 워엄(23)을 형성한 구동축(2)의 선단에 각각 시밍캠구동헬리컬기어(21) 및 시밍헤드구동헬리컬기어(22)를 설치하여 하단을 캔의 척(31)으로 형성한 고정축(3) 둘레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설치되는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 및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와 치합되게 하되, 시밍캠작동헬리컬기어(41)는 외면에 시밍캠(42a)을 갖는 시밍캠부재(42)를 다단으로 설치한 시밍캠회전기어(4)와 연결되게 하고 시밍헤드작동헬리컬기어(52)는, 상부에는 시밍캠부재(42) 외면에 밀접되는 시밍캠롤(53)이 시밍캠롤레버(54)에 의해 설치되고 하부에는 포장용캔(10)의 밀봉부에 대해 시밍이 이루어지도록 시밍롤(55)이 시밍롤레버(56)에 의해 설치되게 한 시밍롤레버축(51)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관통 설치한 시밍헤드(5)를 시밍헤드축(5-1)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3)의 직하부에는, 상기 구동축(2)의 워엄(23)과 치합되는 워엄기어(61)를 상부에 형성한 수직축(6) 하단의 리프터캠부재(62)의 리프터캠(62a)과 리프터레버(63)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스프링(72)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상태로 승, 하강되며 상단에는 리프터판(71)을 형성한 리프터축(7)를 동일축선으로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KR20-2003-0000276U 2003-01-06 2003-01-06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KR200310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76U KR200310275Y1 (ko) 2003-01-06 2003-01-06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76U KR200310275Y1 (ko) 2003-01-06 2003-01-06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388A Division KR100466505B1 (ko) 2002-12-23 2002-12-23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275Y1 true KR200310275Y1 (ko) 2003-04-21

Family

ID=4940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276U KR200310275Y1 (ko) 2003-01-06 2003-01-06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27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566B1 (ko) * 2018-11-13 2020-04-13 강현식 캔 시밍 장치
KR20200058232A (ko) * 2018-11-19 2020-05-27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102196224B1 (ko) * 2020-07-06 2020-12-29 이신용 캔 무회전 방식으로 덮개 결합이 가능한 캔시머
KR20210106203A (ko) * 2020-02-20 2021-08-30 이정열 캔 뚜껑 밀봉 장치
KR102332702B1 (ko) * 2021-05-11 2021-12-01 김영유 캔 시밍장치
KR102341935B1 (ko) * 2020-11-10 2021-12-21 조윤서 캔 실링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566B1 (ko) * 2018-11-13 2020-04-13 강현식 캔 시밍 장치
KR20200058232A (ko) * 2018-11-19 2020-05-27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102166460B1 (ko) 2018-11-19 2020-10-15 김호근 캔 시밍 장치
KR20210106203A (ko) * 2020-02-20 2021-08-30 이정열 캔 뚜껑 밀봉 장치
KR102392622B1 (ko) 2020-02-20 2022-04-29 이정열 캔 뚜껑 밀봉 장치
KR102196224B1 (ko) * 2020-07-06 2020-12-29 이신용 캔 무회전 방식으로 덮개 결합이 가능한 캔시머
KR102341935B1 (ko) * 2020-11-10 2021-12-21 조윤서 캔 실링기
KR102332702B1 (ko) * 2021-05-11 2021-12-01 김영유 캔 시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505B1 (ko)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US3340668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hermetically sealing a package
EP2773472B1 (en) A method to mechanically produce a repeatable seam in a can
KR102025006B1 (ko) 용기 밀봉 장치
KR200310275Y1 (ko) 식품 포장용캔 시밍장치
US5860782A (en) Container seaming apparatus and methods
EP0052229A1 (en) Canning process and apparatus
US6652133B2 (en) Kneading and mixing machine
CN109353577A (zh) 一种转盘式真空封罐机
CN209065375U (zh) 一种封罐机
KR102351404B1 (ko) 2헤드 방식의 캔시머용 실링헤드구조
KR101077952B1 (ko) 각캔용 진공 고속 시밍장치
US2223480A (en) Container sealing machine
JP3175133B2 (ja) 回転式充填装置の洗浄装置
US3243936A (en) Apparatus for de-capping and filling containers
JPH0247301B2 (ko)
US10758963B2 (en) Continuous motion position controlled seamer
KR102463097B1 (ko) 캔실링 방법
CN217865058U (zh) 一种新型灌装机
US2223481A (en) Container sealing machine
US2183903A (en) Machine for hand seaming in vacuum
CN213406980U (zh) 一种易于倾倒的煅药锅
US4448227A (en) Dressing or preserving liquid filling unit for vacuum filling machines
JP2002308385A (ja) 充填機の洗浄装置
US762551A (en) Automatic vacuumizing and double-seam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