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552Y1 - 케이싱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싱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552Y1
KR200309552Y1 KR20-2002-0039073U KR20020039073U KR200309552Y1 KR 200309552 Y1 KR200309552 Y1 KR 200309552Y1 KR 20020039073 U KR20020039073 U KR 20020039073U KR 200309552 Y1 KR200309552 Y1 KR 200309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monitor
main body
sin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봉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20-2002-0039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5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rotation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회동식으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에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편과, 상기 모니터 고정편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제1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의 상단부 양측에 체결되어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1 지지축과, 한 쌍의 제2 지지축, 모니터 고정편 및 한 쌍의 본체 고정편, 그리고 스페이스 와셔, 디스크 스프링, 스토퍼 및 가이드 와셔가 일연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부품화되어 있으므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때에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가 채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대하여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좌우 회동각도 조절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상 편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싱 힌지장치{CASING HINGE DEVICE}
본 고안은 케이싱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액정티브이 모니터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힌지부를 하나의 조립체로 부품화하여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장기간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케이싱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생활이 바빠지고 사회활동이 활발한 현대인의 가정생활은 요리, 식사, 대화 등의 주요한 가정사가 주로 주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주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주방에서 소요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주부들의 주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어 주방용품에 대한 질적인 향상이 눈부시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질적인 향상은 주로 씽크대의 재질, 디자인 등의 부엌가구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주방가구에 대한 개선은 거의 완료되었으며 현재는 주방에서 음악을 청취하거나 티브이를 시청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정주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라디오와 오디오가 결합된 음향기기가 씽크대에 부착된 것이 있으며, 이와 별도로 씽크대에 부착되는 음향기기는 티브이가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티브이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형 티브이를 구입하여 이를 별도의 장소에 설치하여 하므로 구입비용이 고가로 되고 설치작업이 난해하게 되며 주방의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이고 소형 티브이가 설치되면 티브이가 하향 돌출되어 주부들이 가사작업 활동 중에 머리를 부딪히거나 다른 주방용품과 부딪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방 작업 시에도 티브이 시청 및 CCTV의 선택적인 시청이 가능한 액정티브이모니터가 부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은 예를 들어 라디오, 전화, CCTV 및 티브이 작동용 제어패널이 내장되고 씽크대 선반상에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액정티브이모니터로 구성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68274호에 알려지고 있는 액정티브이모니터가 부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은 전면에 전원 스위치, 선택버튼, 현관버튼, 경비버튼, 전화버튼, 녹음버튼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TV, AM, FM 튜너, 앰프장치 및 영상, 음성, 통화, 개폐 기능을 총괄 제어하는 CPU가 내장된 케이스본체를 포함하는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면에 액정티브이 모니터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이와 같은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은 액정티브이 모니터에 LCD가 수납되며 상부에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힌지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잠금돌기가 형성된 모니터 본체와, 상기 모니터 본체의 힌지목부에 끼워지며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향 연장된 좌우회동목부와 이 좌우회동목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면 회동홈이 양단에 형성된 상하회동목부로 구성된 중간연결체와, 상기 중간연결체의 회동홈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돌조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결체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모니터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탄력지지식접속핀에 접속되는 접속핀이 상부에 형성된 접속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은 모니터 본체에 접속체를 조립하고, 접속체를 케이스 본체에 조립하여야 하는 것으로 액정티브이 모니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장치가 독립적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립 및 생산의 능률이 떨어지고, 배선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통부에 형성된 환상 회동홈과 회동돌조가 결합되어 회동부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모니터 본체를 회동시킬 때에 동작이 안정하지 못하고 헐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하는 때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액정티브이 모니터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힌지부를 하나의 조립체로 부품화하여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장기간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케이싱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은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접혀진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케이싱 힌지장치의 부분 절결 단면도.
도 5는 케이싱 힌지장치의 측면도.
도 6은 케이싱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 200 :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
300 : 모니터 고정편 301 : 지지부
302 : 고정공 310 : 제1 지지축
311 : 단차부 312 : 고정홈
313 : 면취부 314 : 나사공
320 : 제2 지지축 321 : 환상돌부
322 : 나사부 330 : 본체 고정편
331 : 지지부 332 : 고정공
350 : 스페이스 와셔 351 : 디스크 스프링
352 : 스토퍼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는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회동식으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에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편과, 상기 모니터 고정편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제1 지지축과, 상기 제1 지지축의 상단부 양측에 체결되어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축과, 상기 제2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에는 도 1은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접혀진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에는 케이싱 힌지장치가 적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가 펼쳐진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케이싱 힌지장치의 부분 절결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케이싱 힌지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케이싱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가 회동식으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에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편(300)과, 상기 모니터 고정편(300)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축(310)과, 상기 제1 지지축(310)의 상단부 양측에 체결되어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축(320)과, 상기 제2 지지축(3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축(310)은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신호 전달을 위한 전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중공관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 고정편(300)에 절곡된 지지부(301)에는 원형 고정공(3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는 단차부(311)가 형성되어 제1 지지축(310)이 단차부(311)가 지지부(301)의 고정공(302)에 삽입되고, 스페이스 와셔(350)가 지지부(301)의 상,하측에 각각 한 쌍씩 위치하도록 지지부(301)에 끼워지며,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는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이 하측의 스페이스 와셔(350) 하부에 위치하도록 끼워지고, 제1 지지축(310)의 하단부에 형성한 고정홈(312)에 스토퍼(352)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351)은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축(3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이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은 볼록한 쪽이 위를 향하도록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축(310)의 상단부에는 면취부(313)가 양측에 형성되고 양측 면취부(313)에는 나사공(314)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축(320)의 환상돌부(321) 내측단에 형성된 나사부(322)가 제1 지지축(310)의 나사공(314)에 체결되며, 상기 양측의 본체 고정편(330)에 절곡 형성된 지지부(331)에는 고정공(33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축(320)이 본체 고정편(330)의 고정공(332)에 삽입되고, 한 쌍의 스페이스 와셔(350)가 본체 고정편(330)의 지지부(331)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축(320)에 삽입됨과 아울러, 디스크 스프링(351)과 가이드 와셔(353)가 외측으로 삽입되고, 제2 지지축(32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22)에 너트(354)가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스프링(351)은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2 지지축(320)의 각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은 각각 볼록한 쪽이 서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03은 모니터 고정편(300)에 형성된 체결공을 보인 것이고, 333은 본체 고정편(330)에 형성된 체결공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제1 지지축(310)의 일단부에 결합된 모니터 고정편(300)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에 볼트로 체결하고, 한 쌍의 제2 지지축(320)에 결합된 본체 고정편(330)을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볼트로체결함으로써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신호 전달을 위한 전선은 제1 지지축(310)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축(310)의 내부로 인출하여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로 연결 조립한 후, 평상시에는 도 2와 같이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의 하부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접어 두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도 3과 같이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로 펼쳐 사용하며, 이와 같이 전후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한 후에는 다시 접어 둔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수직으로 또는 소정의 각도로 펼친 후, 좌우로 회동시켜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회동시켜 접철시킬 때에는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고정된 한 쌍의 본체 고정편(330)을 기준으로 이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제2 지지축(320)이 회동하면서 접철되며, 본체 고정편(330)과 제2 지지축(320)은 본체 고정편(330)의 지지부(331) 양쪽에 스페이스 와셔(350)가 삽입되고,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이 각각 볼록한 쪽이 서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삽입되어 너트(354)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제2 지지축(320)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로 헐거움이 없이 회동시켜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 단차부(311)가 형성되어 제1 지지축(310)이 단차부(311)가 모니터 고정편(300)의 지지부(301)에 형성된 고정공(302)에 삽입되고, 스페이스 와셔(350)가 지지부(301)의 상,하측에 각각 한 쌍씩 위치하도록 지지부(301)에 끼워지며,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는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이 하측의 스페이스 와셔(350) 하부에 위치하도록 볼록한 쪽이 위로 향하도록 서로 겹쳐지게 끼워져 결합되고, 제1 지지축(310)의 하단부에 형성한 고정홈(312)에 스토퍼(352)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제1 지지축(310)을 기준으로 좌우로 헐거움이 없이 회동시켜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위치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는 제1 지지축(310)과, 한 쌍의 제2 지지축(320), 모니터 고정편(300) 및 한 쌍의 본체 고정편(330), 그리고 스페이스 와셔(350), 디스크 스프링(351), 스토퍼(352) 및 가이드 와셔(353)가 일연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부품화되어 있으므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때에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가 채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대하여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안정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좌우 회동각도 조절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싱 힌지장치는 제1 지지축과, 한 쌍의 제2 지지축, 모니터 고정편 및 한 쌍의 본체 고정편, 그리고 스페이스 와셔, 디스크 스프링, 스토퍼 및 가이드 와셔가 일연체로 조립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부품화되어 있으므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와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때에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케이싱 힌지장치가 채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을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에 대하여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를 전후 및 좌우로 회동시켜 전후 각도 및 좌우 각도를 안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좌우 회동각도 조절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상 편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가 회동식으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액정티브이 모니터 본체(200)에 고정되는 모니터 고정편(300)과, 상기 모니터 고정편(300)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제1 지지축(310)과, 상기 제1 지지축(310)의 상단부 양측에 체결되어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지지축(320)과, 상기 제2 지지축(32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본체(100)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고정편(300)에 절곡된 지지부(301)에는 원형 고정공(3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는 단차부(311)가 형성되어 제1 지지축(310)이 단차부(311)가 지지부(301)의 고정공(302)에 삽입되고, 스페이스 와셔(350)가 지지부(301)의 상,하측에 각각 한 쌍씩 위치하도록 지지부(301)에 끼워지며, 제1 지지축(310)의 하측부에는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이 하측의 스페이스 와셔(350) 하부에 위치하도록 끼워지고, 제1 지지축(310)의 하단부에 형성한 고정홈(312)에 스토퍼(352)가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축(310)의 상단부에는 면취부(313)가 양측에 형성되고 양측 면취부(313)에는 나사공(314)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축(320)의 환상돌부(321) 내측단에 형성된 나사부(322)가 제1 지지축(310)의 나사공(314)에 체결되며, 상기 양측의 본체 고정편(330)에 절곡 형성된 지지부(331)에는 고정공(33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축(320)이 본체 고정편(330)의 고정공(332)에 삽입되고, 한 쌍의 스페이스 와셔(350)가 본체 고정편(330)의 지지부(331)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2 지지축(320)에 삽입됨과 아울러, 디스크 스프링(351)과 가이드 와셔(353)가 외측으로 삽입되고, 제2 지지축(32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22)에 너트(354)가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힌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스프링(351)은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지축(3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이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은 볼록한 쪽이 위를 향하도록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힌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스프링(351)은 주연부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제2 지지축(320)의 각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디스크 스프링(351)은 각각 볼록한 쪽이 서로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힌지장치.
KR20-2002-0039073U 2002-12-30 2002-12-30 케이싱 힌지장치 KR200309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073U KR200309552Y1 (ko) 2002-12-30 2002-12-30 케이싱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073U KR200309552Y1 (ko) 2002-12-30 2002-12-30 케이싱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552Y1 true KR200309552Y1 (ko) 2003-04-03

Family

ID=4940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073U KR200309552Y1 (ko) 2002-12-30 2002-12-30 케이싱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5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57Y1 (ko) 2009-02-27 2010-06-14 주식회사 동진테크윈 주방용 티브이폰의 본체와 모니터의 체결구조
KR101027478B1 (ko) 2009-11-24 2011-04-06 (주) 중산기업 주방용 듀얼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532164B1 (ko) * 2014-01-15 2015-06-26 (주)다보스티엔지 벽걸이 선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57Y1 (ko) 2009-02-27 2010-06-14 주식회사 동진테크윈 주방용 티브이폰의 본체와 모니터의 체결구조
KR101027478B1 (ko) 2009-11-24 2011-04-06 (주) 중산기업 주방용 듀얼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WO2011065646A1 (ko) * 2009-11-24 2011-06-03 (주)중산기업 주방용 듀얼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532164B1 (ko) * 2014-01-15 2015-06-26 (주)다보스티엔지 벽걸이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9185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U2005289924B9 (en) Releasable toilet seat hinge assembly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US5075929A (en)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apparatus
US20060171105A1 (en) Monitor auto-adjustment system
US20010052741A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display unit of refrigerator
KR20030064317A (ko)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KR200309552Y1 (ko) 케이싱 힌지장치
JP4495284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20070151080A1 (en) Hinge
US5971548A (en) Monitor filter
KR100277298B1 (ko) 액정티브이모니터가 부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KR200378076Y1 (ko) 주방용 에이브이시스템의 힌지장치
JP5199558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機構
JPH074133A (ja) 左右開きの扉構造
KR200168274Y1 (ko) 액정티브이모니터가부착된씽크대에이브이시스템
KR200351133Y1 (ko) 엘시디모니터 힌지구조
KR100662157B1 (ko) 엘씨디 모니터의 힌지 어셈블리
CN201655183U (zh) 一种数码相框
KR100869826B1 (ko) 힌지장치
KR200173561Y1 (ko) 액정티브이모니터가 부착된 씽크대 에이브이시스템
KR19990074340A (ko) 모니터의 화면자동 회전구조
US20080037207A1 (en)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 object
JP3153383U (ja) 回転緩急度を調節可能な回転底台座
CN216381942U (zh) 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