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396Y1 - Plastic Case - Google Patents

Plastic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396Y1
KR200309396Y1 KR20-2003-0001088U KR20030001088U KR200309396Y1 KR 200309396 Y1 KR200309396 Y1 KR 200309396Y1 KR 20030001088 U KR20030001088 U KR 20030001088U KR 200309396 Y1 KR200309396 Y1 KR 200309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hinge
hinge portion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0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영 혁 박
Original Assignee
(주)화인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엠티 filed Critical (주)화인엠티
Priority to KR20-2003-0001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3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3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와 커버의 힌지부를 개선하고 본체 내부에 형성된 구획부의 일측에 개방부 또는 단턱을 형성하여 수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that improves the hing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forms an open portion or a step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object.

종래의 경우 본체와 커버의 힌지부를 모서리가 예리하게 형성되어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힌지부와 인접한 부위는 커버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사이의 간극이 모두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어 무심코 커버를 닫는 경우 손부위가 상기 간극에 끼어 다치기도 하며, 본체의 구획부엔 수납물을 쉽게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hinge parts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sharply formed at the corners, so assembling is inconvenient, and the parts adjacent to the hinge part are in an open state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The part is sometimes injured by the gap, and there is often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a separate means for easily withdrawing the object is not provided in th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수납용기의 일측으로서 본체나 커버에 형성되는 힌지돌부의 선단을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여 조립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부의 주위로서 본체엔 손의 일부라도 간극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진입방지부를 형성하여 안전성의 보다 확실한 확보와 함께, 본체의 구획부 일측엔 별도의 받침턱을 마련하여 수납물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여 수납용기 분야에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ip of a hinge protrusion formed in the main body or the cover as a round shap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n a round shape so that the assembling work is made more convenient, and the main body as the periphery of the hinge portion The entry prevention part for preventing entry into the gap is formed at least a part, and the safety is more secured, and a separate support jaw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part of the main body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object. You can use it.

Description

수납 용기{Plastic Case}Storage container {Plastic Case}

본 고안은 본체와 커버의 힌지부를 개선하고 본체 내부에 형성된 구획부의 일측에 개방부 또는 단턱을 형성하여 본체와 커버의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수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hing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to form an open portion or stepp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the use and easy to withdraw the storage container will be.

종래의 경우, 각종 용기 중에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본체와 커버를 각각 사출 성형을 행하고 이들 본체와 커버를 힌지부에 의하여 상호간 결합하여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사용목적에 맞게 전체적으로 빈 공간을 확보하거나 아니면 소정의 구획된 여러 구획공간을 확보하여 수납물을 본체의 내부에 넣고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커버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열고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수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평상시엔 커버를 닫아 놓고 활용하는 통상적인 용기는 대부분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곤 한다.In the conventional cas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each injection-molded by using synthetic resin as a material in various containers, and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re joined to each other by hinges, and the cover can be opened and closed. Secure the space or secure several compartments with predetermined compartments and store the contents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If necessary, open the cover around the hinge and pull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n general, most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s with the cover closed are often used with the following problems.

즉,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커버를 열고 닫게 되는 힌지부를 일측에 마련하게 되는데, 이 힌지부는 일측엔 힌지돌부를 형성하고 대향측엔 힌지요부를 형성하여 결합시엔 상기 힌지돌부를 상기 힌지요부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힌지돌부가 상기 힌지요부의 내부에서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이들 힌지돌부의 경우 모서리가 예리하게 형성되어 힌지요부를 찾아 끼워 결합하는 조립작업이 불편하고 상,하부에 동시에 힌지부가 마련된 대부분의 경우 상,하부에 힌지돌부 및 힌지요부 각각의 한쌍인 이들을 동시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서리부위가 쉽게 주변 구성요소에 걸리면서 손쉽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at is,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coupled to provide a hinge portion on one side to open and close the cover around the hinge portion, the hing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inge protrusion and the hinge side on the opposite side to form the hinge when the hinge The hinge protrusion is rotatably formed inside the hinge portion by being coupled to the main portion, but in the case of these hinge protrusions, the corners are sharply formed so that the assembling work to find and fit the hinge portion is inconvenient,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inconvenient.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where the hinge part is provide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inge protrusions and the hinge parts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edge part is easily caught by the surrounding components and has a disadvantage of not being easily combined.

또한, 힌지부와 인접한 부위는 커버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는 관계가 없으나 커버를 열어서 본체와 커버 사이의 간극이 개방된 상태에 있다가 다시 커버를 닫게 되면 상기 간극이 좁혀지게 되어 무심코 손으로 잡고 있다가 커버를 닫는 경우 손부위가 상기 간극에 끼면서 압박되어 다치거나 고통으로 인하여 놀라기도 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is open and closed, and the cover does not matter in the closed state, but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opened and the cover is closed again, the gap is narrowed. When the cover is inadvertently held by the hand and closes the cover, there is a discomfort in which a safety accident such as the hand part is pressed into the gap and is often injured due to injury or pain.

더우기, 본체에 구획부를 형성한 경우엔 단순히 격벽만을 형성하여 수납물을 종류별로 수압할 수 있는 구획된 공간의 확보에만 관심을 두고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일단 이들 구획실에 넣어 보관하게 되는 수납물은 집어 넣는 경우에는 관계가 없으나 이를 외부로 꺼내고자 하는 경우 쉽게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본체를 뒤집게 되면 다른 수납물도 함께 외부로 인출되게 되는 관계로 필요한 수납물만 외부로 꺼내기가 어려워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Furthermore, when the compartment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only the bulkheads are formed to focus on securing a partitioned space in which the objects can be pressurized by type. Therefore, the objects to be stored in these compartments are picked up. It does not matter if you put it in, but if you want to take it out, there is no separate means for easy withdrawal. Discomfort often occurs.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용기의 일측으로서 본체나 커버에 형성되는 힌지요부와 힌지돌부 중 힌지돌부의 선단구성을 개선하여 조립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nd configuration of the hinge protrusion of the hinge portion and the hinge protrusion formed on the main body or cover as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to make the assembly work more convenien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힌지부의 주위로서 본체엔 손의 일부라도 본체와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수단을 미리 마련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고자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entry into a gap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even if a part of the hand around the hinge portion in advanc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more reliably.

더우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구획부 일측엔 별도의 받침턱을마련하여, 본체를 뒤집지 아니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라도 특정 수납물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고 사용상 편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납용기 분야에서 범용으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support jaw on one side of th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so that it is easier to take out certain objects even when the main body is not inverted and kept in place.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use it effectively and universally in the field.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인 용기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확대 종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hin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도3은 본 고안인 용기의 진입방지부를 중심으로 작동상태와 함께 나타낸 단면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round the entry prevention portion of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인 용기의 특정 구획부를 중심으로 작동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round a specific com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도5는 본 고안인 용기의 특정 구획부를 중심으로 작동상태를 달리 예시하여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e around the particular com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수납용기, 10:본체,1: storage container, 10: main body,

20:커버, 30:힌지부,20: A cover, 30: A hinge part,

32:힌지요부, 34:힌지돌부,32: Hinjibu, 34: Hinge dolls,

40:간극, 50:진입방지부40: gap, 50: ingress prevention part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어 놓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수납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요부와 이와 대응되는 힌지돌부 중 힌지돌부의 선단을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의 주위로서 본체엔 손의 일부라도 본체와 커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진입방지부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container configured to couple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cover configured to cover the main body to each other around a hinge part, and to open and close the cover about the hinge part. In the hinge, the tip of the hing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corresponding hinge protrusions are formed in a round shap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cover even when a part of the hand is in the main body around the hinge portion. It provides a storage container provided by the entry preventing portion to prevent entry.

또한, 필요시 본체의 구획부 일측으로서 내측 바닥에 받침턱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용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by providing a support jaw on the inner bottom as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if necessar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on the basi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통적으로 수납공간(3)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덮어 놓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20)를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커버(2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수납용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요부(32)와 이와 대응되는 힌지돌부(34) 중 힌지돌부(34)의 선단을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30)의 주위로서 본체(10)엔 커버(20)의 개방시에 손의 일부라도 본체(10)와 커버(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0)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진입방지부(50)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5,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nges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space 3 and a cover 20 configured to cover the main body 10.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round the center (30), an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cover (20) around the hinge portion 30, the hinge portion 32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 ) And a corresponding tip of the hinge protrusion 34 of the hinge protrusion 34 in a round shape, and a part of the hand at the time of opening the cover 20 of the main body 10 as the circumference of the hinge 30. Rado is made by providing an entry preventing portion 50 to prevent entry into the gap 40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이때, 상기 힌지부(30)에 있어서 편의상 본체(10)에 힌지요부(32)를 마련하고 커버(20)엔 힌지돌부(34)를 마련한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나, 물론 이와 반대로 본체(10) 및 커버(20)에 힌지돌부 및 힌지요부를 형성하여 상호간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하여도 관계가 없겠다.In this case, in the hinge portion 30, only the hinge portion 32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for convenience and the hinge protrusion 34 is provided on the cover 20. However,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are conversely shown. The hinge protrusion and the hinge portion may be formed at (20) so as to b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do not matter.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를 포함하는 수납용기(1)의 일측에 힌지요부(32)와 힌지돌부(34)를 포함하는 힌지부(30)를 어떻게 형성하느냐에 관계없이 힌지돌부(34)의 선단에 라운드 형태로 부드럽게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how the hinge portion 30 including the hinge portion 32 and the hinge protrusion 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 including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Regardless of whether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smoothly in a round shape at the tip of the hinge protrusion (34).

또한, 필요시 본체(10)의 구획부(5)중 특정 부위에 특정의 수납물(60)을 넣어 두었다가 필요시 커버(20)를 열고 본체(10)의 구획부(5)로부터 이 수납물(60)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2)를 활용하여 후부로부터 손가락으로 수납물(60)를 들어올리게 되면 쉽게 상기 수납물(60)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specific enclosure 60 is plac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partition 5 of the main body 10, and if necessary, the cover 20 is opened to open the enclosure from the partition 5 of the main body 10. In the case where the 60 is to be pulled out, 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part 60 is easily lifted from the rear part by using the opening part 12 as shown in FIG. 4. It can be configured to be withdrawn.

또한, 필요시 본체(10)의 구획부(5) 일측으로서 내측 바닥(14)에 받침턱(16)을 미리 마련하여 이루어질수도 있는데, 이는 구획부(5) 중 특정의 부위에 특정의 수납물(60)을 넣어 두었다가 필요시 커버(20)를 열고 본체(10)의 구획부(5)로부터 이 수납물(60)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구획부(5)의 바닥에 미리 형성한 상기 받침턱(16)을 활용하여 수납물(60)의 상부로서 상기 받침턱(16)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를 가압하면 수납물(60)은 상기 받침턱(16)을 중심으로 시이소오와 같이 수납물(60)의 하부가 상승하면서 집을 수 있게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집어 올려 본체(10)로부터 쉽게 상기 수납물(60)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f necessary, a base 16 may be provided in advance on the inner bottom 14 as one side of the partition 5 of the main body 10, which may be formed in a specific part of the partition 5. In the case where the 60 is put in and the cover 20 is opened as necessary and the object 60 is to be pulled out from the partition 5 of the main body 10, the compartment 5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 By pressing the portion located above the base jaw 16 as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60 by utilizing the base jaw 16 previous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enclosure 60 is the base jaw ( Since the lower part of the enclosure 60 is positioned to be picked up, as shown in FIG. 16, as the center is raised, it is to make it easier to pull the enclosure 60 out of the main body 10. .

물론, 전술한 받침턱(16)은 특정의 수납물(60)을 수납하고자 하는 부위를 어느 구획부(5)로 선택할 것인가에 따라 적정의 위치를 선택하여 미리 형성하면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제작시에 미리 이를 감안하여 금형의 설계시에 반영하면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base jaw 16 may be formed in advance by selecting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which partition portion 5 to select a portion to accommodate a particular enclosure 60, In consideration of this in advance in the design of the mold can be made more convenient.

미설명부호로서 70은 손잡이를 나타낸다.As an unexplained symbol, 70 denotes a handle.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경우,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 등의 방식으로 제작된 본체(10)와 커버(20)를 서로 조립하여 완성시키는 경우엔 본체(10)나 커버(20)를 포함하는 수납용기(1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3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힌지돌부(34)의 선단부가 라운드 형태로 부드럽게 형성되어 있어 힌지요부(32)에 보다 쉽게 끼워 결합할 수 있고, 힌지부(30)가 양측에 동시에 형서되어 있는 경우 일측을 먼저 결합하고 나머지 일측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보다 부드럽게 결합이 이루어져, 조립이나 결합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which are separate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are assembled to each other and completed, a storage container including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20 ( The hinge portion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10 is used to combine with each other, the tip portion of the hinge protrusion 34 is formed in a smooth round shape can be more easily fitted to the hinge portion 32, the hinge If the branch 30 is formed on both sides at the same time, even when one side is combined first and the other side is combined more smoothly, the assembly or coupling operation can be made conveniently.

다음, 사용시엔 본체(10)의 내부 수납공간(3)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납물을 넣고 포장이나 사용목적으로 활용하면 되고, 특히 특정의 구획부(5)엔 필요한 소정의 수납물(60)을 보관하였다가, 언제라도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손잡이(70)를 이용하여 상향으로 들어올려 열어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내용물을 꺼내서 사용하고 사용후엔 다시 커버(20)를 닫아 깨끗하고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Next, in use, the inner storage space 3 of the main body 10 may be put into various types of object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may be used for packaging or use purposes. While storing the 60, using the handle 70 at any time around the hinge portion 30 to lift upwards and open the contents stored in the open state and then use the cover again after use (20) By closing, clean and hygienic use is possible.

이때, 특정의 수납물(60)은 본체(10)의 받침턱(16)을 이용하여 손쉽게 외부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pecific enclosure 60 may be easily withdrawn to the outside by using the base jaw 16 of the main body 10.

또한, 커버(20)를 열고 닫을 때, 통상 본체(10)를 한쪽 손바닥에 올려놓고 나머지 한 손을 이용하여 손잡이(70)를 잡고 커버(20)를 들어 올려 힌지부(30)를 중심으로 90도 이상 돌려 제껴 놓아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0)로부터 수납물을 꺼내거나 아니면 외부로부터 수납하고자하는 물품을 본체(10)의 내부에 넣고 나서 힌지부(30)를 중심으로 다시 커버(20)를 각도 변위시켜 원위치로 닫는 경우에 본체(10)와 커버(20)의 사이로서 힌지부(30) 주위에 형성되는 간극(40)을 막도록 진입방지부(50)가 마련되어 있어 이 간극(40)에 손가락이 끼거나 아니면 손의 다른 일부가 끼어서 부상을 입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20 is opened and closed, the main body 10 is normally placed on one palm, and the handle 70 is held by using the other hand, and the cover 20 is lifted up and the hinge part 30 is centered about 90. Turn over or more to remove the object from the main body 10 in a completely open state or to put the goods to be stor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and then cover the back 20 around the hinge portion 30 ) Is clos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ngular displacement, the entry preventing portion 5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so as to prevent the gap 40 formed around the hinge portion 3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caused by pinching fingers or other parts of the han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용기(1)의 일측으로서 본체(10)나 커버(20)에 형성되는 힌지부(30)로서 힌지요부(32)와 힌지돌부(34) 중 힌지돌부(34)의 선단구성을 개선하여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기 힌지부(30)의 주위로서 본체(10)엔 손의 일부라도 본체(10)와 커버(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0)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진입방지부(50)를 미리 마련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며, 본체(10)의 구획부(5) 일측엔 별도의 받침턱(16)을 마련하여,본체(10)를 뒤집지 아니하고 제자리에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라도 구획부(5)로부터 특정 수납물(6)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고 사용상 편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납용기 분야에서 범용으로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portion 30 formed on the main body 10 or the cover 20 as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 the hinge protrusion portion 34 of the hinge portion 32 and the hinge protrusion 34. ), The assembling work becomes easier by improving the tip configuration, and a gap 40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even if a part of the hand is in the main body 10 around the hinge portion 30. In order to prevent entry into the entry prevention unit 50 in advanc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more securely, by providing a separate support step 16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5 of the main body 10, the body Even if it is not inverted (10) and in place, the withdrawal of the particular enclosure 6 from the partition 5 can be made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use, so that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a general purpose in the storage container field. It has an excellent effect.

Claims (2)

수납공간(3)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덮어 놓을 수 있게 구성된 커버(20)를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서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커버(2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The main body 10 having the storage space 3 and the cover 20 configured to cover the main body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around the hinge portion 30, and the cover around the hinge portion 30. In the normal contain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20), 수납용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요부(32)와 이와 대응되는 힌지돌부(34) 중 힌지돌부(34)의 선단을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고,The tip of the hinge protrusion 34 of the hinge portion 32 and the corresponding hinge protrusion 34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 is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힌지부(30)의 주위로서 본체(10)엔 커버(20)의 개방시에 손의 일부라도 본체(10)와 커버(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40)으로 진입을 막기 위한 진입방지부(50)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Entry to prevent entry into the gap 40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20 even when a part of the hand is opened when the cover 20 is opened around the hinge portion 30.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vention unit 50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10)의 구획부(5) 일측으로서 내측 바닥(14)에 받침턱(16)을 미리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기.The storag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jaw (16) is provided in advance on the inner bottom (14) as one side of the partition (5) of the main body (10).
KR20-2003-0001088U 2003-01-14 2003-01-14 Plastic Case KR2003093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088U KR200309396Y1 (en) 2003-01-14 2003-01-14 Plastic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088U KR200309396Y1 (en) 2003-01-14 2003-01-14 Plastic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396Y1 true KR200309396Y1 (en) 2003-04-03

Family

ID=4940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088U KR200309396Y1 (en) 2003-01-14 2003-01-14 Plastic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39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709B2 (en) Child-resistant package
US11109700B2 (en) Utensil having self-storage handle
KR100942690B1 (en) Folding box made of synthetic resin
KR200309396Y1 (en) Plastic Case
JP2005518314A (en) Dispenser with upper opening that opens and closes with one touch
US20050230408A1 (en) Single dispensing wetted tissue box
JP5781895B2 (en) Container with lid
JP3918125B2 (en)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knob
JP3743074B2 (en) Folding transport container
JP2566277Y2 (en) Container
KR20110010179U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using tissue
KR20210000168U (en) A cosmetic case for cushion foundation
KR102473849B1 (en) The assembled cup for sacramental ceremony
KR20090006353U (en) A compact case
JPS6025218Y2 (en) Surgical suture needle storage case
JP4837178B2 (en) Goods storage container
KR200331135Y1 (en) Plastics is purechase box
JP3073198U (en) Structure of drawer lid for system kitchen
CA3219746A1 (en) A snus contain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nus container and a mould
KR910006062Y1 (en) Cosmetic case
KR200489988Y1 (en) Lid for food container
KR20230161910A (en) Foldable cover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JPH0142512Y2 (en)
KR920007703Y1 (en) A lunch-box
JPH034967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