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986Y1 -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 Google Patents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986Y1
KR200308986Y1 KR20-2002-0037480U KR20020037480U KR200308986Y1 KR 200308986 Y1 KR200308986 Y1 KR 200308986Y1 KR 20020037480 U KR20020037480 U KR 20020037480U KR 200308986 Y1 KR200308986 Y1 KR 200308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frame
swivel
roll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4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상용
Original Assignee
장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용 filed Critical 장상용
Priority to KR20-2002-0037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98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986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개폐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벽체에 고정되는 상, 하측 프레임과, 상기 상, 하측 프레임의 양측에 양 끝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 높낮이 가이드 홈이 구비된 좌,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2,3롤러,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의 하단에 제4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칠판 틀체와; 상기 칠판 틀체의 전방으로 상기 좌, 우측 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높낮이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높낮이 바가 배면의 양측으로 장착된 칠판과; 상기 칠판 틀체의 상측 프레임 중앙에 상단이 힌지에 의해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관통 공이 구비된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단은 힌지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대의 좌측단부를 타고 이동 승강되는 롤러가 구비된 롤러 회전대의 장력을 조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링크 작동부와; 상기 칠판 하단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회전대의 끝단과 상기 제1,3,4롤러를 순서적으로 걸려져 타단이 상기 칠판 하단 타측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opening blackboard,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and lower frames fixed to the wall,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ixed to both ends and the left and the lower guide grooves are provided forward A first frame, a first roller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left frame, and a fourth rolle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right frame; A chalkboard mounted on both sides of a rear of a height bar inserted into a height guide groove provid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in front of the board frame;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of the blackboard, the upper end is rotatably mounted by a hinge, and a swivel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t the lower end, and is inclined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wivel to the lower left side,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frame by a hinge. A lower end of the link operation part comprising a spring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roller swivel having a roll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on the left end of the swivel; 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the end of the second roller, the end of the rotating table and the first, 3, 4 rollers are caught in orde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

Description

높낮이 개폐 칠판{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Elevating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본 고안은 높낮이 개폐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고정되는 칠판 틀체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대와 스프링을 이용하여 칠판 전체를 상하로 동작시킬 수 있는 높낮이 개폐 칠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opening black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opening blackboard that can operate the entire blackboard up and down using a swivel and a spring mounted on the blackboard frame fixed to the wall.

칠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판서 위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칠판에는 칠판 본체를 중앙틀체와 측부틀체로 구분한 상태에서 칠판 면을 보유하는 중앙틀체와 측부틀체를 하나로 합체시켜 칠판을 동작시키는 작동부를 칠판 본체의 배면에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된 합체식 높낮이 개폐 칠판이 있다.The board, which is configured to adjust the writing position by moving the board up and down, has a unit that operates the board by combining the center frame and the side frame body that hold the surface of the board in a state where the body is divided into a center frame and a side frame body. There is a combined telescopic opening and closing board that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car.

이러한 합체식 높낮이 개폐 칠판은 칠판 중량과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 스프링을 칠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칠판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하였다.This integrated height-opening blackboard is plac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oard so that the gas spring to maintain the equilibrium with the weight of the blackboard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lackboar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칠판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가스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가스 스프링의 로드가 길어지고 동작 거리가 연장될수록 칠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불안정하게 되어 칠판이 승강하는 경우 전후좌우로 흔들리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the blackboard moves up and down, the gas spring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as the rod of the gas spring becomes longer and the operating distance is extended, the support force for supporting the blackboard body becomes unstable, so that the blackboard is elevated. There is a drawback of shak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또한 가스 스프링은 그 내부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질소 가스를 보유함으로써, 가스 스프링이 오랫동안 신축 작용을 하다보면 기밀 부위가 마모되어 그 마모된 틈새로 압축가스가 누설될 우려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gas spring retains nitrogen gas compress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rein, when the gas spring expands and contracts for a long time, the airtight portion may be worn and the compressed gas may leak into the worn gap.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본 고안 출원 이전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8-0015875호가 있다. 이 기술은 복수 개의 가스 스프링을 복렬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와이어로프를 이 가스 스프링의 선단부를 각각 경유하여 칠판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칠판 본체의 승강 시 칠판이 이동하는 거리를 복수 개의 가스 스프링이 로드 신축하면서 분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98-0015875 filed b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is technology consist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gas springs to cross each other in a double row and connecting the wire rope to the blackboard body via the gas spring's front end, respectively. The spring is designed to share with the r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합체식 높낮이 개폐 칠판은 고가의 가스 스프링을 복수 개로 사용함으로서 설치작업 시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mbined height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akes a long time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by using a plurality of expensive gas spring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그리고 가스 스프링의 가스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가스를 충진하는 경우 그 보수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work is cumbersome when the gas is filled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gas pressure of the gas spr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링크방식의 높낮이 수단을 이용하여 인장 스프링의 탄성을 완충시키며 칠판의 승강 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높낮이 개폐 칠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height of the link method to cushion the tension spring spring elasticity of the height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ard that can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the lifting of the boar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하며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높낮이 개폐 칠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opening blackboard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shorten the installation tim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falling state of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의 승강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elevated state of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칠판 틀체1: blackboard frame

11 : 상측 프레임 12 : 하측 프레임11: upper frame 12: lower frame

13 : 좌측 프레임13: left frame

131 : 높낮이 가이드 홈 132,133,134 ; 제1,2,3롤러131: height guide groove 132,133,134; 1st, 2nd, 3rd roller

14 : 우측 프레임14: right frame

141 : 높낮이 가이드 홈 142 : 제4롤러141: height guide groove 142: fourth roller

2 : 칠판2: blackboard

21 : 높낮이 바 22 : 고정판 23 : 완충부재21 height bar 22 fixed plate 23 buffer member

3 : 링크 작동부3: link operation part

31 : 회전대 32 : 롤러 회전대 33 : 스프링 34 : 브라켓31: rotating table 32: roller rotating table 33: spring 34: bracket

4 : 와이어4: wire

41 : 와이어 클립41: wire cli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벽체에 고정되는 상, 하측 프레임과, 상기 상, 하측 프레임의 양측에 양 끝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 높낮이 가이드 홈이 구비된 좌,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2,3롤러, 및 상기 우측 프레임의 하단에 제4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칠판 틀체와, 상기 칠판 틀체의 전방으로 상기 좌, 우측 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높낮이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높낮이 바가 배면의 양측으로 장착된 칠판과, 상기 칠판 틀체의 상측 프레임 중앙에 상단이 힌지에 의해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관통 공이 구비된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단은 힌지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대의 좌측단부를 타고 이동 승강되는 롤러가 구비된 롤러 회전대의 장력을 조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링크 작동부와, 상기 칠판 하단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롤러와 상기 회전대의 끝단과 상기 제1,3,4롤러를 순서적으로 걸려져 타단이 상기 칠판 하단 타측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Elevated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upper and lower frames fixed to the wall,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fixed to both sides and the height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ward Left and right frames, first, second and third rollers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left frame, and a fourth rolle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right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frames in front of the chalkboard frame. A blackboard having a height bar inserted into a height guide groove provided at each of the height guides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rotary table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of the blackboard frame by a hinge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bottom thereof; It is mounted inclined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wivel to the lower left,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frame by a hinge and the lower end is A link operating part comprising a spring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roller swivel equipped with a roller that is moved up and down on the left end, and 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the end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swivel and the first, , 4 rollers in order to hang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칠판 틀체의 상측 프레임 중앙에 구비된 회전대와 이 회전대와 연동하는 롤러 회전대가 링크된 높낮이 수단을 이용하여 칠판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칠판의 승강에 따른 칠판의 자중을 종래의 가스 스프링 대신에 저비용의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여 유지시켜 줌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aised and lowered stably without shaking the board by using a height means linked with a swivel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of the blackboard frame and a roller swivel interlocked with the swivel.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and by maintaining the weight of the board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board by using a low-cost tension spring instead of the conventional gas spring, the cost can be reduce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have.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또 부가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se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칠판 틀체(1)와, 상기 칠판 틀체(1)의 전방으로 장착되어 승강하는 칠판(2)과, 상기 칠판 틀체(1)의 상측 프레임(11)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칠판(2)의 승강 시 칠판의 자중을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33)이 구비된 링크 작동부(3)와, 양단이 상기 칠판(2) 하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좌, 우측 프레임(13,14)에 구비된 롤러들(132,133,134,142)과 상기 링크 작동부(3)를 경유하는 와이어(4)로 이루어져 있다.1 and 2,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ckboard frame body 1, a blackboard 2 mounted and raised in front of the blackboard frame body 1, and the blackboard frame body 1 I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1) of the link (3) with a spring 33 for maintaining the weight of the blackboard when the board (2) ascend, and both ends are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ard (2) The rollers 132, 133, 134, and 142 fix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13 and 14, respectively, and a wire 4 passing through the link operation part 3, respectively.

즉 상기 칠판 틀체(1)는 벽체에 앵커(미도시)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상, 하측 프레임(11,12)과, 상기 상, 하측 프레임(11,12)의 양측에 양 끝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 높낮이 가이드 홈(131,141)이 구비된 좌, 우측 프레임(13,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 프레임(13)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제1,2,3롤러(132.133.134), 및 상기 우측 프레임(14)의 하단에 제4롤러(142)가 장착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blackboard frame 1 has upper and lower frames 11 and 12 fixed to the wall by anchor bolts, and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 and 12 are fixed to the front. It consists of a left, right frame 13, 14 having a height guide groove (131, 141), the left frame 13, the first, second, third roller (132.133.134) form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right frame The fourth roller 14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14.

그리고 상기 칠판(2)은 배면으로 상기 좌, 우측 프레임(13,14)에 구비된 높낮이 가이드 홈(131,14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높낮이 바(21)가 상기 높낮이 가이드 홈(131,141)에 상응하는 양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높낮이 바(21)는 상기 칠판(2)의 상, 하단에 장착된 고정판(22)에 양단이 볼트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판(22)과 높낮이 바(21) 사이에 완충 부재(23), 예를 들면 고무를 끼워 결합하는 것이 유리하다.In addition, the blackboard 2 is inserted into the height guide grooves 131 and 141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frames 13 and 14, and the height bar 21, which is elevated, corresponds to the height guide grooves 131 and 141. Each mounted in position. In this case, the height bar 21 is bolt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22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ard (2), preferably between the fixing plate 22 and the height bar 21 buffer member ( 23) It is advantageous, for example, to fit rubber together.

왜냐하면 상기 완충 부재를 통해 칠판의 승강에 따라 상기 높낮이 바로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높낮이 바를 칠판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not only alleviate the impact energy transmitted immediately at the height of the blackboard through the buffer member, but may also more firmly couple the height bar to the blackboard.

한편 상기 링크 작동부(3)는 상기 칠판 틀체(1)의 상측 프레임(11) 중앙에 상단이 힌지(311)에 의해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관통 공이 구비된 회전대(31)와, 상기 회전대(31)의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단은 힌지(321)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1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대(31)의 좌측단부를 타고 이동 승강되는 롤러가 구비된 롤러 회전대(32), 및 상기 롤러의 중심과 상기 우측 프레임(14)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 회전대(32)의 장력을 조정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link operation unit 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frame 11 in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1 of the blackboard frame 1 by a hinge 311 and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rotating table. It is mounted inclined from the upper right to the lower left of the 31,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1 by a hinge 321, and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roll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on the left end of the swivel 31 The rotating table 32 and the spring 33 which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aid roller and the said right frame 14, and adjusts the tension of the said rotating table 32 is comprised.

즉 상기 링크 작동부는 상측 프레임(미도시) 중앙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상기 회전대(31)의 하단에는 와이어(4)가 관통되어 권취되는 관통 공(3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좌측단부에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경사진 상기 롤러 회전대(32)의 롤러(322)가 밀착되어 있다.That is, the link operation par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12 through which a wire 4 passes and is wound at a lower end of the swivel table 31 rotatably installed in a center of an upper frame (not shown). The roller 322 of the roller swivel 32 inclined to the lower left is in close contact.

그리고 상기 롤러(322)와 다수 개의 스프링(33)은 별도의 연결 브라켓을 통해 상기 회전대(31)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칠판의 승강에 따른 상기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롤러 회전대(32)의 장력을 조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롤러 회전대(32)의 롤러(322)가 상기 회전대(31)의 좌측단부를 타고 이동 승강되며 연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ller 322 and the plurality of springs 33 ar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wivel table 31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bracket so that the roller swivel 32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3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lackboard. The tension of the roller 322 of the roller swivel 32 is moved along the left end of the swivel 31 to move up and down.

한편 상기 와이어(4)는 다수 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칠판(2) 하단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롤러(133)와 상기 회전대(31)의 끝단과 상기 제1,3,4롤러(132,134,142)를 순서적으로 걸려져 타단이 상기 칠판(2) 하단 타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대(31)의 끝단에는 상기 관통 공(312)에 권취되는 권취단에 와이어 클립(41)을 통해 고정된다.Meanwhile, the wire 4 is a plurality of tension coil spring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2, and ends of the second roller 133 and the swivel 31 and the first, third, and fourth rollers. (132, 134, 142) in order to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2), the end of the swivel 31 through the wire clip 41 to the winding end wound in the through hole 312 It is fixed.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낮이 개폐 칠판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상태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칠판의 일측 하단과 제2롤러(133) 사이의 일측 와이어(42) 및 칠판의 타측 하단과 상기 제4롤러(142) 사이의 타측 와이어(43)의 길이가 신장되고, 반면에 상기 제2롤러(133)에서 회전대(31)의 관통 공(312)까지의 일측 와이어(42) 및 상기 제4롤러(142)에서 상기 제3,1롤러(134,132)를 경유하여 회전대(31)의 관통 공(312)까지의 타측 와이어(43)는 신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wire 42 between on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and the second roller 133 and the other lower lower end of the blackboard and the fourth roller 142. The length of the other wire 43 is extended between the one side wire 42 and the fourth roller 142 from the second roller 133 to the through hole 312 of the swivel 31. The other wire 43 to the through hole 312 of the swivel table 31 is stretched through the third and first rollers 134 and 132.

이 때 신장되는 양측 와이어(4)의 장력에 의해 와이어(4)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대(31)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대(31)의 좌측 단부에 밀착되어 있는 롤러 회전대(32)가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좌측으로이동하며 회전대의 장력을 보강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시켜 준다.At this time, due to the tension of both wires 4, the swivel 31 to which the wire 4 is fixed rotates to the left side, whereby the roller swivel 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end of the swivel 31. Is moved to the left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coil spring 33 to reinforce the tension of the swivel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wire.

상기와 같은 하강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을 상승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상태에 비하여 칠판의 일측 하단과 상기 제2롤러 사이의 일측 와이어(42) 및 칠판의 타측 하단과 상기 제4롤러 사이의 타측 와이어(43)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반면에 상기 제2롤러에서 회전대(31)의 관통 공(312)까지의 일측 와이어 및 상기 제4롤러에서 상기 제3,1롤러를 경유하여 회전대(31)의 관통 공(312)까지의 타측 와이어는 신장하게 된다.When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in the lowered stat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one side wire 42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blackboard and the second roller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blackboard as shown in FIG. The length of the other wire 43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fourth roller is shortened, whereas the one wire from the second roller to the through hole 312 of the swivel 31 and the third roller in the fourth roller, respectively. The other wire to the through hole 312 of the swivel table 31 extends through one roller.

이때 신장되는 양측 와이어의 장력은 인장 코일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우측으로 회전하는 롤러 회전대(32)의 회전으로 인해 우측으로 회전하는 회전대에 의해 상쇄되며 와이어의 장력과 스프링의 인장 장력은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wires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is offset by the swivel rotating to the right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ller swivel 32 to rotate to the right by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coil spring 33 and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tension of the spring balance Will be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의 회전대에 작용하는 힘은 칠판의 자중과 회전대의 회전에 따른 길이의 함수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대의 회전에 따른 길이는 칠판의 하단과 회전대의 관통 공 사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스프링 탄성계수로 표현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대에 작용하는 힘은 칠판을 상승시키는 경우 칠판의 하단과 회전대의 관통 공 사이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계수가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칠판의 하단과 회전대의 관통 공 사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계수가 감소하여 일정한 힘을 유지하게 된다.As such, the force acting on the rotating table of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weight of the blackboard and the leng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table. And the leng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wivel is represented by the spring elastic modulus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wivel.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force acting on the rotating table increases 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as th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and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ng table becomes shorter. As the length of the is increas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spring is reduced to maintain a constant force.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개폐 칠판은 칠판 틀체에 구비된 회전대와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대와 연동하는 롤러 회전대를 링크하여 작동시킴으로써, 회전대의 끝단에 고정되어 칠판의 승강에 따라 변하는 와이어의 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칠판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height-opening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linking a swivel provided in the frame of the blackboard and a roller swivel linked with the swivel by elasticity of the tension coil spring, thereby being fixed to the end of the swivel to lift the black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of the wire is constantly maintained and the board can be stably lifted without shaking, and its structure is simple, so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또한 칠판의 승강에 따른 칠판의 자중을 종래의 가스 스프링 대신에 저비용의 인장 스프링을 이용하여 유지시켜 줌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weight of the blackboard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blackboard using a low-cost tension spring instead of the conventional gas spr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2)

벽체에 고정되는 상, 하측 프레임(11,12)과, 상기 상, 하측 프레임(11,12)의 양측에 양 끝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 높낮이 가이드 홈(131,141)이 구비된 좌, 우측 프레임(13,14)과, 상기 좌측 프레임(13)에 다단으로 형성된 제1,2,3롤러(132.133.134), 및 상기 우측 프레임(14)의 하단에 제4롤러(142)가 장착되어 있는 칠판 틀체(1)와;Upper and lower frames 11 and 12 fixed to a wall, and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1 and 12 are fixed at both ends, and left and right frames 13 having forward and lower guide grooves 131 and 141 forward. 14,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llers (132.133.134)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left frame 13, and the fourth frame 14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right frame (14) (1); 상기 칠판 틀체(1)의 전방으로 상기 좌, 우측 프레임(13,14)에 각각 구비된 높낮이 가이드 홈(131,141)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높낮이 바(21)가 배면의 양측으로 장착된 칠판(2)과;The blackboard 2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height bar 21 is inserted into the height guide grooves 131 and 141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frames 13 and 14, respectively, to the front of the board frame 1, and is elevated. and; 상기 칠판 틀체(1)의 상측 프레임(11) 중앙에 상단이 힌지(311)에 의해 회전 자재하게 장착되며 하단에 관통 공(312)이 구비된 회전대(31)와 상기 회전대(31)의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단은 힌지(321)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1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대(31)의 좌측단부를 타고 이동 승강되는 롤러(322)가 구비된 롤러 회전대(32)의 장력을 조정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된 링크 작동부(3)와;An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1 of the blackboard frame body 1 is rotatably mounted by a hinge 311 and a swivel 31 having a through hole 312 at the lower end and an upper right side of the swivel 31. Is mounted inclined downward to the left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frame 11 by the hinge 321 and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roller swivel 32 with a roller 322 is moved up and down riding the left end of the swivel 31 A link operating portion (3) composed of a spring (33)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상기 칠판(2) 하단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2롤러(133)와 상기 회전대(31)의 끝단과 상기 제1,3,4롤러(132,134,142)를 순서적으로 걸려져 타단이 상기 칠판(2) 하단 타측에 고정되는 와이어(4);One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lackboard (2), the end of the second roller 133 and the rotating table 31 and the first, third, and fourth rollers (132, 134, 142) in order to hang the other end of the blackboard ( 2) a wire 4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end;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개폐 칠판.Telescopic opening and closing black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 4 is: 상기 회전대(31)의 관통 공(312)에 권취되는 권취단에 와이어 클립(41)을 통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개폐 칠판.Elevated opening and closing chalkboard,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winding end wound in the through hole 312 of the swivel 31 through a wire clip (41).
KR20-2002-0037480U 2002-12-16 2002-12-16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KR20030898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80U KR200308986Y1 (en) 2002-12-16 2002-12-16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80U KR200308986Y1 (en) 2002-12-16 2002-12-16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681A Division KR20040052540A (en) 2004-03-16 2004-03-16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986Y1 true KR200308986Y1 (en) 2003-03-31

Family

ID=4940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480U KR200308986Y1 (en) 2002-12-16 2002-12-16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98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0628B2 (en) Sliding door hanging traveling device
KR200308986Y1 (en)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CN210849370U (en) Digit control machine tool shock mount
JP3738985B2 (en) Draft chamber
JP4606858B2 (en) Elevator rope steady rest
CN215329869U (en) Soft foundation treatment equipment
CN213271873U (en) Jacking mechanism of module area sorting machine
KR20040052540A (en) A Ascending and Descending Blackboard
JP5079495B2 (en) Elevator suspension equipment
KR101581881B1 (en)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KR20030008896A (en) Electric pipe rail trolley
CN113086815B (en) Push-down elevator layer is from closing device for door
JP2001029146A (en) Stored body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CN217399400U (en) Shock-proof type bridge beam supports
CN218031813U (en) Pipeline gallows for construction with buffer function
JPH0351197Y2 (en)
JP4039171B2 (en) Suspended cage
CN216082057U (en) Movable assembly
CN211712538U (en) Structure of shockproof platform of elevator
ES2357462T3 (en) ELEVATOR (BACKPACK TYPE ELEVATOR WITH CABIN SUSPENDED FROM A CAB FRAME).
CN214495560U (en) Cantilever supporting device of household lifting platform car
CN212000282U (en) Automatic clothes hanger
CN216764007U (en) Counterweight structure with buffer device
CN212774356U (en) Collapse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being stably supported for geological exploration
CN215950253U (en) Support d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