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818Y1 - 골재 선별기 - Google Patents

골재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818Y1
KR200308818Y1 KR20-2002-0037290U KR20020037290U KR200308818Y1 KR 200308818 Y1 KR200308818 Y1 KR 200308818Y1 KR 20020037290 U KR20020037290 U KR 20020037290U KR 200308818 Y1 KR200308818 Y1 KR 200308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frame
gravel
san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욱 filed Critical 김종욱
Priority to KR20-2002-0037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0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within their own plane in or approximately in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에 설치되어 여러 크기의 자갈 및 모래등이 섞여 있는 골재로부터 자갈 및 모래를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골재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골재 채취장에서 채취한 골재나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골재등은 입자 크기가 작은 모래부터 입자 크기가 큰 자갈등이 혼합되어 있어서 이를 공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각각 분리하여야만 한다.
본 고안은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에 설치되어 자갈 및 모래등이 섞인 대량의 골재를 연속 분리할 수 있고, 크기가 작고 이동이 간편한 골재 분리기로서, 일측에 구동모터(12)와 호퍼(13)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10)가 프레임(1)의 상측에 형성되고, 호퍼(13)의 하부에는 진동모터(26)와 걸름망틀(23)이 구비된 상부틀(21)이 형성되며, 프레임(1)의 레일(29)위를 구르는 바퀴(30)에 높이조절대(28)가 구비되고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된 하부틀(22)이 스프링(24)에 의해 상부틀(21)과 연결되어 걸름틀체(20)가 구성되고, 상기 걸름틀체(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2)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41)가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골재 선별기{A aggregate separator}
본 고안은 골재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에 설치되어 건축 및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각종 자갈 및 모래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자동분리하여 주는 골재 선별기이다.
건축 및 토목공사에는 공사자재로서 각종 크기의 자갈 및 모래가 많이 소요된다.
자갈 및 모래가 섞여있는 골재로부터 공사에 필요한 자갈이나 모래를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걸름망에 삽으로 골재를 퍼넣고 걸름망을 손으로 흔들어 일정 크기 이하의 모래나 자갈만 걸름망을 통과시켜 선별하고 이를 공사에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대량의 골재를 선별하기 힘들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재선별기에 골재를 연속공급할 수 있는 공급컨베이어와, 진동장치 및 좌우 왕복운동 장치를 구비한 걸름틀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자갈 및 모래들이 섞인 대량의 골재로부터 원하는 크기의 자갈 및 모래만을 자동 선별할 수 있는 골재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선별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걸름틀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선별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급컨베이어의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프레임 2,3 : 저장탱크
10 : 공급컨베이어 11,13,35 : 호퍼
12,31,42 : 구동모터 20 : 걸름틀체
21 : 상부틀 22 : 하부틀
23 : 걸름망틀 24 : 스프링
25 : 지지대 26 : 진동모터
27 : 배출구 28 : 높이조절대
29 : 레일 30 : 바퀴
32 : 링크 33 : 고정볼트
34 : 걸름망 36 : 걸림턱
41 : 배출컨베이어 43 : 시트
44 : 골재 45 : 고정고리
46 : 걸림고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구동모터(12)와 호퍼(13)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10)가 프레임(1)의 상측에 형성되고, 호퍼(13)의 하부에는 진동모터(26)와 걸름망틀(23)이 구비된 상부틀(21)과, 프레임(1)의 레일(29)위를 구르는 바퀴(30)에 높이조절대(28)가 구비되고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된 하부틀(22)이 스프링(24)에 의해 연결되어 걸름틀체(20)가 구성되고, 상기 걸름틀체(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2)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41)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선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걸름틀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선별기는 공급컨베이어(10), 걸름틀체(20) 및 배출컨베이어(41)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컨베이어(10)의 일측에는 공급컨베이어(10)에 골재를 공급하여 주는 호퍼(11)가 형성되고, 공급컨베이어(10)의 타측에는 공급컨베이어(10)를 구동하여 주는 구동모터(12)와 골재를 걸름틀체(20)에 공급하는 호퍼(1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름틀체(20)는 공급컨베이어(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스프링(24)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부틀(21)은 그 상부에 진동모터(26)가 지지대(25)를 통해 상부틀(21)에 고정되고, 상부틀(21)의 내측에는 걸림턱(36)이 형성되어 걸름망틀(23)을 상부틀(21)에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며, 상부틀(21)의 일측에는 배출구(27)가 형성되어 걸름망(34)에 의해 일정크기 이하의 골재들이 걸러지고 난 후의 큰 골재를 배출한다.
하부틀(22)에 형성된 바퀴(30)는 골재선별기의 프레임(1)에 구비된 레일(29)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특히, 하부틀(22) 후방의 바퀴(30)는 높이조절대(28)를 통해 하부틀(22)과 고정되어 있어서 고정볼트(33)를 이용하여 걸름틀체(2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틀(22)의 일측은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되어 구동모터(31)가 회전함에 따라 걸름틀체(20)는 레일(29)을 따라 좌우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배출컨베이어(41)는 상기 걸름틀체(20)의 하부에 형성되고, 배출컨베이어(41)의 일측에는 배출컨베이어(41)를 구동하여 주는 구동모터(42)가 구성되어 걸름틀체(20)를 통해 선별된 골재를 저장탱크(3)로 이동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컨베이어(10) 일측의 호퍼(11)를 통해 여러 크기의 자갈 및 모래가 섞인골재를 공급컨베이어(10)에 공급하면 구동모터(12)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컨베이어(10)를 따라 골재가 공급컨베이어(10)의 타측에 형성된 호퍼(13)로 이동되어 걸름틀체(20)로 공급된다.
걸름틀체(20)의 상부에 구비된 진동모터(26)가 걸름틀체(20)의 상부틀(21)을 진동시키고, 걸름틀체(20)의 하부틀(22) 일측은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되어 걸름틀체(20)가 프레임(1)의 레일(29)을 따라 진동하며 좌우왕복 운동하게 됨으로써,
걸름틀체(20)의 공급된 골재는 진동 및 좌우왕복 운동하는 걸름망틀(23)의 걸름망(34)을 통과하여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는 걸름망(34)을 통과하여 걸름틀체(20)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35)를 통해 배출컨베이어(41)로 떨어지고, 걸름망(34)을 통과하지 못한 일정 크기 이상의 골재는 배출구(27)를 통해 저장탱크(2)로 배출된다.
이때, 걸름틀체(20)의 상부틀(21)이 진동모터(26)에 의해 진동하며 레일(29)을 따라 좌우왕복 운동하더라도 상부틀(21)과 하부틀(22)이 스프링(24)으로 연결되어 있어 하부틀(22)의 바퀴(30)가 레일(29)을 이탈하지 않는다.
걸름망(34)을 통과하여 호퍼(35)로 떨어진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는 구동모터(42)에 의해 구동되는 배출컨베이어(41)를 타고 이동하여 저장탱크(3)에 저장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골재 선별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급컨베이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호퍼(11)를 통해 공급컨베이어(10)에 골재(44)를 공급하지 않고, 도 3에서와 같이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의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그곳에 자갈 및 모래가 혼합된 골재를 저장하여 공급컨베이어(10)가 직접 골재(44)를 골재 선별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일이 골재(44)를 공급컨베이어(10)에 공급할 필요 없이 대량의 골재(44)를 공급컨베이어(10)를 통해 골재선별기에 공급할 수 있다.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의 땅을 파고 골재를 저장할 때 지반의 물이 골재에 스며들거나 구덩이 주변의 흙이 무너져 골재와 섞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시트(43)의 고정고리(45)를 공급컨베이어(1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고리(46)에 걸어 고정하고, 방수재질의 시트(43)를 구덩이에 깔고 그 위에 골재를 저장함으로서 골재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구덩이 주변의 흙이 골재(44)와 섞이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10)의 양측에 지퍼를 형성하여 시트(43)와 결합하는 구성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
결국,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일측에 구동모터(12)와 호퍼(13)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10)가 프레임(1)의 상측에 형성되고, 호퍼(13)의 하부에는 진동모터(26)와 걸름망틀(23)이 구비된 상부틀(21)과 프레임(1)의 레일(29)위를 구르는 바퀴(30)에 높이조절대(28)가 구비되며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된 하부틀(22)이 스프링(24)에 의해 상부틀(21)과 연결되어 걸름틀체(20)가 구성되고, 상기 걸름틀체(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2)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41)가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로서,
공급컨베이어(10)에는 그 양측에 시트(43)의 고정고리(45)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걸림고리(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여러 크기의 자갈 및 모래가 섞인 대량의 골재를 연속하여 선별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걸름틀체(20)의 걸름망틀(23)만을 교체함으로써 여러 크기의 골재를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고, 공급컨베이어(10)에 형성된 걸림고리(46)에 시트(43)를 연결하고 구덩이에 시트(43)를 깔아 대량의 골재(44)를 저장하고 이를 골재선별기에 직접 공급할 수 있어 골재 채취장이나 공사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일측에 구동모터(12)와 호퍼(13)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10)가 프레임(1)의 상측에 형성되고,
    호퍼(13)의 하부에는 진동모터(26)와 걸름망틀(23)이 구비된 상부틀(21)과 프레임(1)의 레일(29)위를 구르는 바퀴(30)에 높이조절대(28)가 구비되고 구동모터(31)와 링크(32)로 연결된 하부틀(22)이 스프링(24)에 의해 상부틀(21)과 연결되어 걸름틀체(20)가 구성되고,
    상기 걸름틀체(2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2)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41)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컨베이어(10)에는 그 양측에 시트(43)의 고정고리(45)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걸림고리(4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기.
KR20-2002-0037290U 2002-12-13 2002-12-13 골재 선별기 KR200308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90U KR200308818Y1 (ko) 2002-12-13 2002-12-13 골재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90U KR200308818Y1 (ko) 2002-12-13 2002-12-13 골재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818Y1 true KR200308818Y1 (ko) 2003-03-26

Family

ID=4940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90U KR200308818Y1 (ko) 2002-12-13 2002-12-13 골재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81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55B1 (ko) 2007-04-24 2008-05-16 (주)달성 석탄선별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KR102026176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시스템
KR102026173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채취를 위한 골재 선별 방법
KR102026174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장치 제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55B1 (ko) 2007-04-24 2008-05-16 (주)달성 석탄선별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KR102026176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시스템
KR102026173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채취를 위한 골재 선별 방법
KR102026174B1 (ko) * 2019-03-26 2019-09-27 함경식 골재 선별 장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4791A (en) Padding machines
US8893409B1 (en) Excavating machinery with bucket for screening and/or mixing excavated material
US9080314B1 (en) Excavating machinery with bucket for screening and/or mixing excavated material
KR102077090B1 (ko) 패류 채취장치
KR200308818Y1 (ko) 골재 선별기
US6059119A (en) Rock screed bucket
US6712218B2 (en) Soil screener
US6108945A (en) Clam bucket for use in pipeline padding
CN107626581A (zh) 一种筛分充分的砂石筛分机
US20070051669A1 (en) Screening machine with removable feed hopper
CN108296161A (zh) 一种建筑用多级自动筛沙机
KR101194847B1 (ko) 토사 및 괴상물질 굴착 및 진동 선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내 괴상물질 선별과 토양 정화방법
KR20110010086U (ko) 골재 선별용 진동 스크린의 막힘 방지 타격 장치
US20230018046A1 (en) Water inlet protection system
CN113102246B (zh) 一种间断级配碎石筛分装置及其筛分方法
US9103179B2 (en) Dies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1667696B1 (ko) 식생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CN216911022U (zh) 一种园林绿化工程施工用砂石分离装置
JP3000076U (ja) ふるい分け機械
CN210279444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废料收集装置
US6827222B1 (en) Gravel sorter
CN212597004U (zh) 一种公路铺设用碎石多级筛分装置
CN214569252U (zh) 一种砂石下料装置
CN212284799U (zh) 一种建筑垃圾筛分机
CN216026243U (zh) 一种混凝土料仓用过滤震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