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646Y1 -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 Google Patents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646Y1
KR200308646Y1 KR20-2002-0037948U KR20020037948U KR200308646Y1 KR 200308646 Y1 KR200308646 Y1 KR 200308646Y1 KR 20020037948 U KR20020037948 U KR 20020037948U KR 200308646 Y1 KR200308646 Y1 KR 200308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edge portion
auxiliary box
box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재
Original Assignee
신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재 filed Critical 신의재
Priority to KR20-2002-0037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25Additional side walls mountable on existing side wal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함의 내부에 삽입된 서랍의 제 1테두리부 상측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봉을 제 2테두리부에 하향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봉의 상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보조박스를 연속되게 설치하여 상기 수납함의 높이를 조절하여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을 용이하게 정돈할 수 있도록 한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Auxiliary box for adjusting height of drawer}
본 고안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서랍이 내삽된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서랍의 상부 제 1테두리부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공과 동일하게 형성된 결합봉을 하향되게 돌출시키되, 상기 결합봉의 상부에 체결공이 일체로 된 보조박스를 구비하여 서랍의 상부에 상기 보조박스를 연속되게 적층.설치하여 높이 및 부피가 크거나 많은 양의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보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함은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정리하거나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분류하여 각각의 서랍에 보관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이나 합성수지재 및 목재를 내부에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일정 크기로 가공시킨 본체(101)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101)의 내부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103)를 고정.설치한 다음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 높이의 수납부 (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1)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전면패널(112)에 손잡이(113)가 일체로 된 서랍(110)을 상기 가이드롤러(103)에 취부시켜 상기 손잡이 (113)를 잡고 밀거나 당기는 일련의 동작으로 상기 서랍(110)을 개폐시켜 사용하도록 한 보관함(100)이 제공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폐되는 서랍(110)은 수납부(111)의 높이가 한정되어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므로 높이가 높은 물품 또는 물품을 과다하게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물품이 수납부(111)의 외부로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물품의 분실및 손상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상기 이탈된 물품이 서랍(110)과 본체(101) 사이의 공간부(102)로 떨어져 고장(故障)의 원인이 되어 보관함(10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 2는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식 수납함(120)을 도시해 보인 것으로서, 다수개의 수납함(120)의 수납부(121)에 물품을 수납한 다음 다수개의 수납함(120)을 적층시켜 좁은 공간에서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다수개의 수납함(120)을 적층시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수납부(121)의 높이까지만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할 수 없음은 물론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가의 수납함(120)을 대량으로 구입해야하므로 구입비용에 따른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관함의 내부에 삽입된 서랍의 제 1테두리부 상측에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공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봉을 제 2테두리부에 하향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테두리부에 형성된 결합봉의 상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보조박스를 연속되게 설치하여 상기 수납함의 높이를 조절하여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하거나 물품을 용이하게 정돈할 수 있도록 한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관함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보관함의 사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관함 1' : 이동식 수납함
2 : 서랍 3 : 수납공간부
4 : 제 1테두리부 5 : 삽입공
10 : 보조박스 11 : 몸체
12 : 제 2테두리부 13 : 결합봉
14 : 결합돌기 15 : 체결공
16 : 결판홈 17 : 격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관함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어 여러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서랍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제 1테두리부에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공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하단에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봉이 제 2테두리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결합봉 상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3)가 형성된 다수개의 서랍(2)이 삽입된 보관함(1)에 있어서, 상기 서랍(2)의 수납공간부(3)는 전/후.좌/우패널(3a)(3b)(3c)(3d) 및 받침판(3e)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패널(3a)은 좌/우.후면패널(3b)(3c)(3d)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패널(3a) (3b)(3c)(3d)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테두리부(4)에 다수개의 삽입공(5)을 천공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2)의 상부에 체결되어 수납공간부(3)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보조박스(10)의 몸체(11)는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삽입공(5)과 동일한 갯수로 형성된 결합봉(13)이 제 2테두리부(12)에 하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3)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공(5)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4)를 돌출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결합봉(13)이 일체로 된 제 2테두리부(12)의 상측에는 일정 깊이의 체결공(15)을 일체로 형성시켜 다른 높이를 갖거나 혹은 동일한 높이의 보조박스(10)에 형성된 결합돌기(14)를 체결하여 서랍(2)의 수납공간부(3)를 더 연장시켜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서랍(2)의 제 1테두리부(3)에 체결된 보조박스(10)의 몸체(11) 내부 양측면 및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격판홈(16)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격판홈(16)에 격판(17)을 긴밀하게 끼워넣어 물품의 종류별 분리 및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된 보인 것으로 몸체(11)의 상부에는 제 2테두리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테두리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향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봉(13) 하단에는 결합돌기(14)가 돌출.성형되고, 상기 제 2테두리부(12)의 상부에는 체결공(15)이 일체로 된 보조박스(10)를 구비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이동식 수납함(1')의 상단에 상기 결합봉(13)의 수와 동일하게 삽입공(5)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공(5)에 상기 결합돌기(14)를 긴밀하게 삽입.고정하여 상기 이동식 수납함(1')의 높이를 연장시켜 많은 양의 물품을 수납공간부(3)에 용이하게 수납한 상태에서 많은 수의 수납함(1')을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보조박스를 종래의 보관함에 삽입된 서랍 및 이동식 수납함의 상부에 1개 내지 다수개를 간편하게 연장.고정시켜 수납공간부를 높게하므로서 많은 양의 물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동식 수납함에 고정된 상태의 보조박스의 상부에 상기 수납함을 적층시킬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보조박스의 간편한 설치에 의해 높이가 높은 물품의 수납도 매우 용이해져 실내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보관함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어 여러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서랍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제 1테두리부에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삽입공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하단에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봉이 제 2테두리부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결합봉 상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일정 높이를 갖는 몸체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양측면 및 전/후면에는 다수개의 격판홈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격판홈에 격판을 긴밀하게 끼워넣어 물품의 종류별 분리 및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KR20-2002-0037948U 2002-12-20 2002-12-20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KR200308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48U KR200308646Y1 (ko) 2002-12-20 2002-12-20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48U KR200308646Y1 (ko) 2002-12-20 2002-12-20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646Y1 true KR200308646Y1 (ko) 2003-03-26

Family

ID=4940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948U KR200308646Y1 (ko) 2002-12-20 2002-12-20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6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51Y1 (ko) * 2010-03-24 2012-03-13 행텐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진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51Y1 (ko) * 2010-03-24 2012-03-13 행텐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793003L (no) Salgspakning av reklametypen.
CN1979066B (zh) 可拼合和拆分的冰箱抽屉
KR200308646Y1 (ko) 서랍의 높이 조절용 보조박스
US20040084387A1 (en) Letter tray kit
EP0813202B1 (en) Storage box adapted to be assembled easily for stor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therein
CN204916839U (zh) 一种抽拉式零件盒及安装有该零件盒的货架
CN100507414C (zh) 用于致冷器具的抽拉盒-插入式容器-组合体及致冷器具
US20120181904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KR20190002224U (ko) 가구용 연결부재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220001536U (ko) 커버판 수납이 용이한 보관함
KR200451301Y1 (ko) 수납물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 구조물
US6945395B2 (en) CD storage case
KR200334987Y1 (ko) 서랍식 보관함
JPH03193400A (ja) 収納ラック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4535593B2 (ja) 収納ケース
KR200184962Y1 (ko) 잡지수납대
KR200187303Y1 (ko) 서류수납대
CN220263542U (zh) 收纳盒
KR20020072923A (ko) 적층식 책장
CN214297079U (zh) 一种分隔储存包装箱
KR200237584Y1 (ko) 붙박이장용 서랍
KR200403601Y1 (ko) 정리함
KR100727737B1 (ko) 가구
KR200467553Y1 (ko) 다용도 이중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