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640Y1 - 양초 자동 촛대 - Google Patents

양초 자동 촛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640Y1
KR200308640Y1 KR20-2002-0037822U KR20020037822U KR200308640Y1 KR 200308640 Y1 KR200308640 Y1 KR 200308640Y1 KR 20020037822 U KR20020037822 U KR 20020037822U KR 200308640 Y1 KR200308640 Y1 KR 200308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weight
case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부
Original Assignee
박 정 부
이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 정 부, 이옥길 filed Critical 박 정 부
Priority to KR20-2002-0037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초가 추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케이스내의 일정한 높이에 항시 위치되게 하여 연소되게 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위험이 예방되게 하고, 촛농이 흘러내림이 방지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양초 자동 촛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초 자동 촛대{omitted}
본 고안은 양초 자동 촛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초가 추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케이스내의 일정한 높이에 항시 위치되게 하여 연소되게 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위험이 예방되게 하고, 촛농이 흘러내림이 방지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양초 자동 촛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연소됨에 따라 열에 의해 초가 녹으면서 촛농이 흘러내려 그 외관이 지저분하게 되고, 부주의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양초를 받쳐주는 스프링을 내삽 하여 연소되는 양초의 무게에 따라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양초가 상승되게 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스프링의 탄성이 떨어지면 양초를 상승시키지 못하게 되어 케이스의 내부에서 양초가 연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초가 추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케이스내의 일정한 높이에 항시 위치되게 하여 연소되게 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위험이 예방되게 하고, 촛농이 흘러내림이 방지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양초 자동 촛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초가 내삽 되는 촛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긴 길이의 내부가 빈 원통체로 하부에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세워져 설치되게 하고,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끼움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짧은 길이의 내부가 빈 원통체로, 상부에는 수직으로 홀이 형성되는 한편, 이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양초의 상부둘레면을 협지하게 되는 촛농방지부가 형성되며,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나사부와 대응하게 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과; 상기 양초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원통체로 하부의 둘레면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한편, 이 플랜지에 다수개의 구멍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양초홀더와; 링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둘레면에 상기 케이스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몸체부가 분할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마다 좁은 직경의 핀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지지체와; 무게를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추와; 상기 추의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편, 상기 홀더지지체의 핀부를 경유하여 상기 양초홀더의 플랜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고정되어 상기 추의 무게가 상기 양초 홀더에 전달되게 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양초 자동 촛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홀더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추의 평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10 : 케이스
111 : 받침부 112 : 끼움홈
120 : 캡 121 :홀
122 : 촛농방지부 200 : 양초홀더
210 : 받침판 211 : 끼움부
212 : 끼움편 213 : 플랜지
214 : 구멍 215 : 고정구
300 : 홀더지지체 301 : 끼움돌기
310 : 몸체부 311 : 핀부
400 : 추 401 : 고정구
402 : 와이어 403 : 홀
500 : 양초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 자동 촛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양초 자동 촛대 본체(100)는 케이스(110), 캡(120), 양초홀더(200), 홀더지지체(300) 및 추(4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긴 길이를 지니면서 형성되고, 하부에는 더 큰 직경을 이루게 되는 받침부(111)가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 내주면에는 끼움홈(11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캡(120)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짧은 길이를 지니면서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직으로 홀(121)이 형성되는 한편, 이 홀(121)의 내주면에는 양초(500)의 상부둘레면을 협지하게 되는 촛농방지부(112)가 형성되며,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나사부와 대응하게 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초홀더(200)는 도 4 도시와 같이 양초(500)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원통체로 형성되는데, 상부의 내부에는 원판형상을 이루게 되는 받침판(210)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편, 이 받침판(210)의 정중앙에 끼움편(212)이 수직으로 돌출 되어 형성되고, 받침판(210)을 중심으로 상부의 둘레면은 양초(500)의 하단부를 협지하게 되는 끼움부(211)로 형성되며, 하부의 둘레면에는 플랜지(2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13)에는 다수개의 구멍(214)이 형성되는데, 120° 의 각도로 분할되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홀더지지체(300)는 도 3 도시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갖는 링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둘레면에 상기 케이스(110)의 끼움홈(11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01)가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몸체부(310)가 분할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마다 좁은 직경의 핀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핀부(311)는 상기 양초홀더(200)의 구멍(214)들과 대응하게 120° 각도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상기 추(400)는 도 5 도시와 같이 원형의 통체로 형성되는데, 일정한 무게를 지니면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와이어(402)의 일단부가 상기 추(400)의 상부에 고정구(401)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홀더지지체(300)의 핀부(311)를 경유하여 상기 양초홀더(200)의 플랜지(213)에 형성된 구멍(214)을 통과하여 고정구(21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에 있어, 양초홀더(200)는 추(400)의 홀(403)을 통과할 수 있게 되는 한편, 플랜지(213)에 의해 홀더지지체(300)에 걸림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캡(120)을 연 상태에서 양초(500)를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되, 양초(500)의 하부를 양초홀더(200)의 끼움부(211)와 끼움편(212)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아래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양초홀더(200)는 추(400)를 홀(403)을 통해 케이스(110)내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추(400)는 반대로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캡(120)을 닫되, 홀(121)을 통해 양초(500)의 심지가 위치되게 하는 한편, 상부의 둘레면이 촛농방지부(122)에 근접되게 하여 닫으면 되는 것으로, 심지에 불을 붙이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양초(500)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되는 촛농은 촛농방지부(122)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로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한편, 촛농방지부(122)내에서 연소되며, 무게가 줄게되면 핀부(311)를 경유하여 추(400)와 양초홀더(200)에 연결되어진 와이어(402)들에 의해 추(400)의 무게가 양초홀더(200)에 전달됨에 따라 추(400)의 무게에 의해 항시 같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초(500)의 심지는 항시 캡(120)의 홀(121)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양초가 추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케이스내의 일정한 높이, 즉, 양초의 심지가 항시 캡의 홀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화재에 대한 위험이 예방되게 하고, 촛농이 흘러내림이 방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초(500)가 내삽 되는 촛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긴 길이의 내부가 빈 원통체로 하부에는 받침부(111)가 형성되어 세워져 설치되게 하고,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한편 끼움홈(112)이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짧은 길이의 내부가 빈 원통체로, 상부에는 수직으로 홀(121)이 형성되는 한편, 이 홀(1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양초(500)의 상부둘레면을 협지하게 되는 촛농 방지부(112)가 형성되며,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나사부와 대응하게 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120)과; 상기 양초(500)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는 원통체로 하부의 둘레면에 플랜지(213)가 형성되는 한편, 이 플랜지(213)에 다수개의 구멍(214)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양초홀더(200)와; 링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둘레면에 상기 케이스(110)의 끼움홈(11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301)가 형성되고, 등 간격으로 몸체부(310)가 분할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마다 좁은 직경의 핀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지지체(300)와; 무게를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추(400)와; 상기 추(400)의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편, 상기 홀더지지체(300)의 핀부(311)를 경유하여 상기 양초홀더(200)의 플랜지(213)에 형성된 구멍(214)을 통과하여 고정되어 상기 추(400)의 무게가 상기 양초홀더(200)에 전달되게 하는 와이어(40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자동 촛대.
KR20-2002-0037822U 2002-12-18 2002-12-18 양초 자동 촛대 KR200308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22U KR200308640Y1 (ko) 2002-12-18 2002-12-18 양초 자동 촛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822U KR200308640Y1 (ko) 2002-12-18 2002-12-18 양초 자동 촛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535A Division KR20040024052A (ko) 2002-09-12 2002-09-12 양초 자동 촛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640Y1 true KR200308640Y1 (ko) 2003-03-26

Family

ID=4940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822U KR200308640Y1 (ko) 2002-12-18 2002-12-18 양초 자동 촛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6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771B2 (en) Safety candleholder
JPS59211906A (ja) 液体燃料燃焼式ランプ用芯保持具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WO2002012789A1 (en) Candle tin
KR200308640Y1 (ko) 양초 자동 촛대
US6672742B2 (en) Candle shade
US2060324A (en) Sanctuary candle lamp
US4399494A (en) Decorative lamp
KR20040024052A (ko) 양초 자동 촛대
US1200121A (en) Sanctuary-lamp.
US5800052A (en) Floor lamp safety shield and switch
KR100836799B1 (ko)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1694843B1 (ko) 촛불 바람막이용 캡
KR200436958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436959Y1 (ko)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200373678Y1 (ko) 양초용 캡
JPS6344885Y2 (ko)
US3034572A (en) Lifeguard pilot light for range tops
US2299108A (en) Candle guard
KR100463052B1 (ko) 양초 자동 촛대
GB2139342A (en) Wick holder for a liquid-fuel lamp
JP2009212001A (ja) 燭台
KR100273068B1 (ko) 안전양초
KR910000029Y1 (ko) 장식 촛대용 양초 절약 장치
JPS63448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