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501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501Y1
KR200308501Y1 KR20-2002-0038437U KR20020038437U KR200308501Y1 KR 200308501 Y1 KR200308501 Y1 KR 200308501Y1 KR 20020038437 U KR20020038437 U KR 20020038437U KR 200308501 Y1 KR200308501 Y1 KR 200308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lange
forming
drain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20-2002-0038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하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이 틀체로부터 보다 쉽고 편리하게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 및 틀체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하여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하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이 틀체로부터 보다 쉽고 편리하게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 및 틀체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하여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유도통의 내측면에 반원을 이루게 되는 손잡이 2개를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형성하여서 배수유도통이 본체에서 분리되게 하거나 또는 결합되게 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손잡이의 크기가 작고 좁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잡기가 불편하였으며, 배수유도통의 내측면 표면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등 손가락으로 돌려서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잔류통의 측벽이 배수유도통과 같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한편, 배수통로가 작게 형성되어 배수유도통으로 배출되는 하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뚜껑을 받쳐주게 하는 돌기들이 없어 뚜껑을 발로 밟게 되면 변형되게 할 수 있는 염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하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이 틀체로부터 보다 쉽고 편리하게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 및 틀체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하여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관통된 커다란 배수구멍을 가지며,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갖는 뚜껑이 덮여지게 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을 이루는 걸림원통의 내측면에 "L"자 형상의 홈을 이루는 걸림부가 마주보게 형성되고, 걸림원통의 하부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걸림턱이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저면의 네 귀퉁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틀체와; 상,하부가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긴밀하게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벽면의 4방향으로 사각의 배수통로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배수잔류통과; 링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배수잔류통의 플랜지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는 패킹과;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한편, 상부의 둘레면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의 양쪽에 걸림돌기가, 상부면에 막대형상의 받침돌기가 열십자방향을 이루면서 일체로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걸림돌기가 끼움 되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가 패킹을 누르는 상태로 안착되는 배수유도통으로 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한편, 받침돌기는 틀체의 상부면에 덮여지게 되는 뚜껑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를 이루게 되고, 전,후,좌,우 및 윗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전면이 하부체와 경계하는 상부체의 경사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며, 배수유도통의 플랜지 상부면에 다수개의 걸름돌기가 돌출 되어 형성되게 하되, 높이가 받침돌기 보다는 낮게 하는 한편, 그 사이에 등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되어 형성되게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틀체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유도통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00a ... 패킹
110 ... 틀체 111 ... 배수진입면
111a ... 보강리브 112 ... 돌출테
113 ... 걸림원통 113a ... 걸림턱
114 ... 걸림부 114a ... 삽입홈
114b ... 걸림홈 114c ... 경사면
115 ... 뚜껑 120 ... 배수잔류통
121 ... 보강원통 121a ... 플랜지
122 ... 하부통 122a ... 리브
122b ... 배수통로 130 ... 배수유도통
131 ... 상부체 131a ... 플랜지
131b ... 받침돌기 131c ... 걸림돌기
131d ... 걸름돌기 132 ... 하부체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수트랩 본체(100)는 틀체(110)와, 배수잔류통(120) 및 배수유도통(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100)는 사각을 이루는 틀체로, 평면을 이루는 배수진입면(111)의 가장자리에 좁은 폭의 돌출테(112)가 돌출 되어 형성되고, 배수진입면(111)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배수구멍이 형성되는데, 그 윗면에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단차지게 원형의 턱이 형성되며, 도 5 도시와 같이 저면의 네 귀퉁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리브(111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멍을 이루게 되는 걸림원통(113)은 일정한 높이를 이루게 되고, 하부의 내측면에는 동일중심을 이루는 원형의 걸림턱(113a)이 형성되며,걸림원통(113)의 내측면에는 마주보게 되는 한편, 홈을 이루게 되는 걸림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4)는 도 6 도시와 같이 수직의 삽입홈(114a)과 수평의 걸림홈(114b)이 "L"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삽입홈(114a)과 걸림홈(114b)의 사이에는 경사면(114c)이 형성되며, 삽입홈(114a)의 상부는 반원호를 이루게 된다.
즉, 틀체(110)는 사각판체의 배수진입면(111)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수직의 배수구멍을 갖는 걸림원통(113)이 낮은 높이를 이루면서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원통(113)의 하부에는 걸림턱(113a)이, 그리고 걸림원통(113)의 내측면에는 마주보는 걸림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잔류통(120)은 상부에는 보강원통(121)이, 하부에는 하부통(122)이 형성되는데, 보강원통(121)의 입구와, 하부통(122)의 바닥면이 동일 직경을 이루게 되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보강원통(121)의 상부에는 더 큰 직경의 플랜지(121a)가 형성되며, 하부통(122)의 벽면에는 사각을 이루는 4개의 배수통로(122b)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배수통로(122b)는 하부통(122)과 보강원통(121)을 연결해주는 수직의 리브(122a)에 의해 분할되고, 배수통로(122b)의 개수와 같게 4개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며, 배수통로(122b)가 크게 되도록 좁은 폭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즉, 배수잔류통(120)은 벽면에 도 3 도시와 같이 사각을 이루는 커다란 배수통로(122b)가 4개 형성되며, 상부에는 플랜지(121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도통(130)은 상부체(131)에 하부체(13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부체(131)는 넓고, 하부체(132)는 좁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131)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한편, 하부체(132)는 상부가 상부체(131)의 하부와 같게 형성되고, 하부는 이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부체(131)의 둘레면에는 상기 배수잔류통(121)의 플랜지(121a)와 같은 직경을 이루게 되는 플랜지(131a)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1a)의 상부면에는 도 4 도시와 같이 뚜겅(115)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게 하는 높이로 받침돌기(131b)가 4개 형성되는데, 열십자방향을 이루는 한편,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받침돌기(131b)는 상기 뚜껑(115)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를 이루게 되고, 전,후,좌,우 및 윗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게 되며, 전면이 하부체(132)와 경계하는 상부체(131)의 경사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1a)의 둘레면에는 2개의 걸림돌기(131c)가 대향되는 방향을 이루면서 수평상태로 돌출 되어 형성되는데, 그 끝부분이 반원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틀체(110)의 삽입홈(114a)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31a)의 받침돌기(131b)들 사이에는 도 7 도시와 같이 다수개의 걸름돌기(131d)가 형성되는데, 이 걸름돌기(131d)는 높이가 받침돌기(131b) 보다는 낮게 되는 한편, 받침돌기(131b)들의 사이에 등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구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a)시공될 바닥면에 틀체(110)가 고정되어 설치되게 하고, 틀체(110)에 배수잔류통(120)과 배수유도통(13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게 하며, 틀체(110)의 상부면에 뚜껑(115)이 결합되게 하면 도 4 도시와 같이 되는 한편, 틀체(110)의걸림원통(113) 외부면에 배수관(도시 없음)이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으로,
b)틀체(110)의 걸림원통(113) 하부에 형성된 원형의 걸림턱(113a)에 배수잔류통(120)의 플랜지(121a)가 걸쳐지게 하면, 배수통로(122b)들을 갖는 하부통(122)이 틀체(110)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c)배수잔류통(120)의 플랜지(121a) 상부면에 패킹(100a)이 놓여지게 하고, 배수유도통(130)이 결합되게 하면 되는데, 받침돌기(131b)들 중 손에 잡이는 부분만큼을 손으로 잡고, 플랜지(131a)의 걸림돌기(131c)가 걸림부(114)의 삽입홈(114a)에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걸림홈(114b)의 방향으로 돌리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플랜지(131a)에 의해 패킹(100a)이 눌려진 상태가 되어 배수잔류통(120)의 플랜지(121a), 패킹(100a), 배수유도통(130)의 플랜지(131a)에 의해 배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이때, 배수잔류통(120)의 하부통(122)에 일부의 물이 고여있게 되는 한편, 배수유도통(130)의 하부체(132) 끝부분이 상기 물에 잠겨진 상태가 됨)
d)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틀체(110)에 뚜껑(115)을 덮으면 되는데, 상기 뚜껑(115)은 다수개의 받침돌기(131b)에 의해 받쳐주게 되어 발로 밟아도 변형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e)그리고 상기 배수유도통(130)의 플랜지(131a)에 형성된 받침돌기(131b) 및 걸름돌기(131d)들에 의해 배수되는 하수 중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잔류통이 입구와 바닥면이 같은 직경을 이루게 되는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그 측벽의 열십자방향으로 배수통로가 크게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유도통의 걸림돌기가 틀체의 걸림부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각 플랜지 및 패킹에 의해 하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배수유도통의 플랜지에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돌기들을 통해 이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을 틀체로부터 보다 쉽고 편리하게 분리 및 결합되게 하여 배수유도통과 배수잔류통 및 틀체를 편리하고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한편, 배수트랩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유도통의 받침돌기들에 의해 틀체에 덮여지는 뚜껑이 발로 밟아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직으로 관통된 커다란 배수구멍을 가지며,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갖는 뚜껑(115)이 덮여지게 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을 이루는 걸림원통(113)의 내측면에 "L"자 형상의 홈을 이루는 걸림부(114)가 마주보게 형성되고, 걸림원통(113)의 하부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걸림턱(113a)이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저면의 네 귀퉁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리브(111a)가 형성되는 틀체(110)와;
    상,하부가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원통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턱(113a)에 긴밀하게 안착되는 플랜지(121a)가 형성되며, 벽면의 4방향으로 사각의 배수통로(122b)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배수잔류통(120)과;
    링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배수잔류통(120)의 플랜지(121a) 상부면에 위치하게 되는 패킹(100a)과;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한편, 상부의 둘레면에 플랜지(131a)가 형성되고, 플랜지(131a)의 양쪽에 걸림돌기(131c)가, 상부면에 막대형상의 받침돌기(131b)가 열십자방향을 이루면서 일체로 돌출 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4)에 걸림돌기(131c)가 끼움 되어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131a)가 패킹(100a)을 누르는 상태로 안착되는 배수유도통(1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131b)는 상기 뚜껑(115)의 저면을 받쳐줄수 있는 높이를 이루게 되고, 전,후,좌,우 및 윗면이 수직, 수평면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전면이 하부체(132)와 경계하는 상부체(131)의 경사면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통(130)의 플랜지(131a) 상부면에 다수개의 걸름돌기(131d)가 돌출 되어 형성되게 하되, 높이가 받침돌기(131b) 보다는 낮게 하는 한편, 그 사이에 등간격을 이루면서 돌출 되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2-0038437U 2002-12-26 2002-12-26 배수트랩 KR200308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37U KR200308501Y1 (ko) 2002-12-26 2002-12-26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437U KR200308501Y1 (ko) 2002-12-26 2002-12-26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501Y1 true KR200308501Y1 (ko) 2003-03-26

Family

ID=4940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437U KR200308501Y1 (ko) 2002-12-26 2002-12-26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5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03Y1 (ko) 2013-01-14 2014-05-02 이상윤 배수트랩
KR20180026147A (ko) * 2016-09-02 2018-03-12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503Y1 (ko) 2013-01-14 2014-05-02 이상윤 배수트랩
KR20180026147A (ko) * 2016-09-02 2018-03-12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KR101923008B1 (ko) * 2016-09-02 2018-11-28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4400A (en) Dirt trap for flush basins
KR200308501Y1 (ko) 배수트랩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101178011B1 (ko) 배수트랩
KR20200044761A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JP4337626B2 (ja) 排水トラップ
JPH10231549A (ja) 管内トラップ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JP5319900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5170458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200234676Y1 (ko) 배수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102120152B1 (ko) 배수트랩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KR200241004Y1 (ko) 씽크대의 배수트랩용 오물 제거장치
KR200336807Y1 (ko) 배수구 커버
KR200301755Y1 (ko) 배수트랩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1312665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371941B1 (ko) 악취를 차단하고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트랩
KR100435079B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