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291Y1 -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291Y1
KR200308291Y1 KR20-2002-0038623U KR20020038623U KR200308291Y1 KR 200308291 Y1 KR200308291 Y1 KR 200308291Y1 KR 20020038623 U KR20020038623 U KR 20020038623U KR 200308291 Y1 KR200308291 Y1 KR 200308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length
pull
adjus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부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김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김영부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20-2002-0038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2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형 조절몸체의 양옆면에 형성시킨 고정장공에 보울트, 너트를 체결하도록 하여 낚시대의 손잡이대 앞쪽 외부에 장착사용 할수 있게 함과 동시에 탈이가능케 하여 기존의 인출식 낚싯대 어느것에나 장착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조절몸체의 앞쪽 양측지지편에는 안내공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편의 중간공간부로 횡공을 가진

Description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Length controlable equipment of fishingrod}
본 고안은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출식 낚시대의 손잡이대 앞쪽 외면에 기장조절의 조절몸체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기존의 낚시대 등 어떠한 인출식 낚시대에도 설치 사용이 될수 있고 또 불필요시에는 탈이시켜 별도 보관이 되게 한 것이다. 특히 인출식 낚싯대 기장을 필요한 기장으로 인출 또는 삽입 조정한 후에는 조절몸체의 앞쪽 양측지지편에 수직으로 형성시킨 상하 안내공 사이에 삽입 설치시킨형 조절편을 상하로 조절하도록 하므로 조절편이 노출된 낚시대 외면을 잡아줄 뿐아니라 손잡이대 안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낚시대의 앞면이 걸려 나오지 못하게 하므로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이 간단히 될수 있게한 간단한 구조의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를 제공할 목적에 있다.
일반적으로 인출식 낚시대는 손잡이대 내부에 점차 굵기가 작아진 앞쪽의 선대가 삽입되므로 기장이긴 낚시대를 휴대지참하기에는 좋은점이 있다.
그런데 인출식 낚시대는 그 선대의 길이가 제품에 따라 제한 제작되므로 낚시터의 장소에 따라 길이가 긴형태의 인출식 낚시대 또는 좀 짧은형태의 인출식 낚시대를 각각 길이별로 여러벌 갖춰야 하므로 사용에 부담이 될뿐아니라 휴대이용에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종래에도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낚시대가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49274호로 제안된바 있으나 이는 낚시대의 굵기에 맞는 칸대고정편을 하나하나 끼워 조절해야 하므로 낚시대의 굵기에 따라 사용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낚시대의 굵기가 각각 다른 기존의 낚시대에는 사용될수 없는 폐단이 있고 또 기장조절을 위한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제작비가 고가로 될 뿐더러 이용에 불편한 결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에서와 같은 결함을 감안하여 낚시대의 굵기에 관계없이 기존의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을 간단히 하여 편리하게 사용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대의 손잡이대 외면을 감쌓아 줄수 있는 ∩형 조절몸체의 양 옆면에 고정장공을 뚫어서 거기에 보울트와 너트로서 낚시손잡이대 앞쪽 외면에 착탈가능하게 간단히 설치하므로 낚시대의 굵기에 관계없이 기존의 인출식 낚시대에 이용될수 있을 뿐아니라 조절몸체 앞쪽의 양측지지편 내에형 조절편이 상,하로 이동 조절이 될수 있고 또 양측지지편에 형성시킨 안내공에 보울트로서 조절편을 상,하 이동조절 될수 있게 하여 나비너트로 조이거나 풀어서 조절편의 상,하조절로 조작사용이 손쉽게 될수 있도록 착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인출식 낚시대의 손잡이대 선단에 장착시킨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방향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조절편을 상부쪽으로 올려 붙여서 실시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방향에서 본 확대단면도
도 6은 손잡이대 선단이 조절편 후단면에 닿아 걸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 조절몸체 2 : 양 옆면
3,3′: 고정장공 4 : 보울트
5 : 너트 6 : 손잡이대
6′: 선대 7,7′: 지지편
8,8′: 안내공 9 : 횡공
10 : 공간부 11 :형 조절편
12 : 보울트 13 : 너트
∩형 조절몸체(1)의 양 옆면(2)에 고정장공(3)(3′)을 각각 뚫어서 보울트 (4)와 너트(5)로 기존 낚시대의 손잡이대(6) 앞쪽 외면을 ∩형 조절몸체(1)가 감쌓아지는 상태로 체결고정 할수 있게 하고 또 조절몸체(1)의 앞쪽에는 양측에 지지편 (7)(7′)을 형성하여 안내공(8)(8′)을 수직형성하고 지지편(7)과 지지편(7′)의 공간부(10)에는 횡공(9)을 가진형 조절편(11)을 삽입 결합하고 지지편(7)(7′)과 조절편(11)의 횡공(9)을 통하여 보울트(12)를 삽입 설치하여 외부에서 나비너트 (13)로 체결고정하여 구성된다. 이는 지지편(7)(7′) 중간의 공간부(10)에 삽입 설치된형 조절편(11)은 안내공(8)(8′)에 삽입 설치된 보울트(12)의 나비너트 (13)를 풀어 조절편(11)을 상,하로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게 하므로서 선대(6′)의 직경크기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된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형 조절몸체(1) 양측하부의 옆면(2)에 뚫은 고정장공(3)(3′)에 보울트(4)와 너트(5)로 손잡이대(6) 앞쪽 외면에 체결 고정케된 보울트(4)와 너트(5)는 인출식 낚싯대의 손잡이대(6)의 굵기에 따라 고정장공(3)(3′)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대의 굵기에 제한없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고 또 외부에서 나비너트(13)를 풀면 지지편(7)(7′)에 수직으로 길게 뚫인 안내공(8)(8′)을 따라 보울트(12)를 상,하 조정시킴에 따라형조절편(11)도 함께 공간부(10)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공간부(10)의 상부벽과의 간격을 좁혀 주거나 넓게하여 주므로 도 4에 도시와 같이 손잡이대(6) 내부에 삽입 되어진 칸대 선단(6′)면이 조절편(11)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어짐과 동시에 그의 선대(6′) 외면을형 조절편(11)의 ∨형면이 잡아주게 되므로 기장조절시킨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되어 진다. 또형 조절편(11)은 ∨형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낚시대 칸대의 굵고 가늘은 어느것이나 접촉지지하게 되므로 인출식 낚시대의 길이조정을 자유롭게 할수 있고 또 외부에서 나비너트(13)를 풀거나 조이는 수단으로 조절편 (11)을 상,하 조정시켜 인출식 낚시대의 조절이 간편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1대의 인출식 낚시대 소유로 낚시터의 위치 장소에 관계없이 기장조절사용으로 편리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형 조절몸체(1)의 양 옆면(2)에 고정장공(3)(3′)을 형성하여 보울트(4)와 너트(5)로 인출식 낚시대의 손잡이대(6) 앞쪽에 체결 설치하게 하고 조절몸체(1)의 앞쪽 양측 지지편(7)(7′)에는 수직의 안내공(8)(8′)을 형성하여 지지편(7)(7′)의 중간 공간부(10)로 횡공(9)을 가진형 조절편(11)을 삽입하여 안내공(8) (8′)과 횡공(9)으로 보울트(1)를 끼워 나비너트(13)로 체결 고정하도록 된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KR20-2002-0038623U 2002-12-27 2002-12-27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KR200308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23U KR200308291Y1 (ko) 2002-12-27 2002-12-27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23U KR200308291Y1 (ko) 2002-12-27 2002-12-27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291Y1 true KR200308291Y1 (ko) 2003-03-26

Family

ID=494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23U KR200308291Y1 (ko) 2002-12-27 2002-12-27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2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453B1 (en) Seat adjusting device of an exercising cycle
US4892284A (en) Adjustable hanger
US6585336B2 (en) Drawer slide having adjustment device
US5957352A (en) Tool holding device designed to be attached to a wheelbarrow
US7533485B2 (en) Arm support for use with a fishing rod
US6851437B1 (en) Cane handle with adjustable supporting loop
US6508448B1 (en) Adjustable drywall support apparatus
KR200308291Y1 (ko) 인출식 낚시대의 기장조절장치
US72494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container
KR10190482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쇠톱장착공구
US5672114A (en) Guiding device for putting practice
US6513846B2 (en) Length-adjustable ground-working tool
CA2373573A1 (en) Golf bag having a longitudinal stay and a retainer clip therefor
US6810592B1 (en) Adjustable door jamb setting jig
KR101703694B1 (ko) 낚시 받침틀용 낚시 받침대
JPH01155701U (ko)
KR200360241Y1 (ko) 경첩 설치용 타인기구
JP2002065135A (ja) 釣竿立て具構成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釣竿立て具
KR101357832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거치대
JPH0295794U (ko)
JPH0243838Y2 (ko)
JPS5822368Y2 (ja) スピ−カ支持具
KR800001815Y1 (ko) 낚싯대 받침구
JPS63130413U (ko)
KR200313002Y1 (ko) 높이뛰기 지주의 높이 조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