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68Y1 -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68Y1
KR200308168Y1 KR20-2003-0000179U KR20030000179U KR200308168Y1 KR 200308168 Y1 KR200308168 Y1 KR 200308168Y1 KR 20030000179 U KR20030000179 U KR 20030000179U KR 200308168 Y1 KR200308168 Y1 KR 200308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tor
groove
motor shaft
clu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버
Priority to KR20-2003-0000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영상전화기 등 카메라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와 통신기기본체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로를 구비하고 통신기기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카메라,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통신기기본체에 설치되고 카메라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모터축을 통해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힌지부 등 좁은 공간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고, 모터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이 길며, 상황에 따라 카메라를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Camera driving Apparatus for a tele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카메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영상전화기 등 카메라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영상전화기 등 카메라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에는 통신자들이 서로의 모습을 보면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된다. 통신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설치형태로는 카메라가 통신기기 본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본체에 대해 움직일 수 없도록 된 것, 카메라가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 카메라가 모터의 동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는 그 휴대성을 좋게 하기 위해 그 크기가 점점 축소되는 추세에 있다.
휴대용 영상전화기 등의 통신기기에서 카메라가 고정적으로 설치된 것은 통신기기 자체를 움직여 카메라 렌즈가 대상물을 향하도록 하여 대상물을 촬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촬영하고자하는 대상물에 따라 그 사용에 불편함이 따른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를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휴대형 영상전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영상전화기에서의 카메라와 그 설치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카메라(110)와 통신기기본체(130)를 갖는 통신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통신기기본체(130)는 입력키(142) 등이 설치되는 제 1본체(140)와 제 1본체(140)에 힌지부(144)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LCD등의 디스플레이(152)가 설치되는 제 2본체(150)로 이루어져 있다.
통신기기본체(130)에 장착되는 카메라(110)는 렌즈(113)를 갖는 카메라 모듈(111)과 렌즈(113)가 향하는 방향에 창(115)을 갖는 카메라 하우징(114)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하우징(114)은 카메라 모듈(111)을 둘러싸 보호하며 통신기기본체(130)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장착된다. 카메라(110)의 회동 가능 각도는 통신기기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뒤에서 설명되는 손잡이(116)의 내측 단부에 설치되는 걸림턱(117)과 그 내측 단부와 마주보는 통신기기본체(13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걸림턱(146)의 위치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11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으로 된 2개의 부품을 마주보고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카메라 하우징(114)은 양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일단에는 피씨비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홈(118)을 가지는 한 쌍의 반원통체(114a, 114b)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110)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110)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여 통신기기본체(130)에서 그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 피씨비(12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는 홈(118)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114)에서 인출되어 제 1본체(140)로 보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카메라(110)는 통신기기본체(130)의 힌지부(144)의 일측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장착되어 힌지부(144)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부(148)의 지지를 받는다.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16)는 소형 볼트(119)를 통해 이탈방지부(148) 바깥쪽에서 카메라 하우징(114)에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통신기기에서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손잡이(116)를 돌려서 카메라(110)의 렌즈(113)가 대상물을 향하도록 하여야 된다.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형 영상전화기에서는 카메라를 수동으로 회동시켜야되기 때문에는 특히, 한 손에 가방이나 다른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는 카메라의 회동에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모터축이 카메라 하우징(114)의 측면 중앙부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 곳으로는 플렉시블 피씨비(120)가 인출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카메라 하우징(114)의 다른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여 플렉시블 피씨비(120)가 그 곳으로 인출되도록 하면 되겠지만 플렉시블 피씨비(120) 끝단에 설치된 커넥터(122)가 통과될 정도로 구멍을 크게 형성하기가 어렵다.
또,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통신기기에서는 카메라(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이탈방지부(148)가 있어야 하고, 이탈방지부(148) 바깥쪽에서 손잡이(119)가 볼트(119)를 통해 카메라 하우징(114)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하기가 까다롭다는 단점도 있다.
도 1과 도 2를 통해서 설명한 것 외에 카메라가 모터의 동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도 있다. 카메라가 모터의 동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것으로는 실용신안등록 제 0180890호 “카메라 구동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영상전화기”(이하, 선등록고안이라함)가 있다. 이는 모터의 구동축에 구동기어로서 웜기어(worm gear)를 형성하고 카메라에 평기어 형태의 기어부를 설치하여 스위치로 모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등록고안은 스위치 조작만으로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선등록고안에서는 모터가 카메라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 기어가 이용되기 때문에 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직선상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힌지부 등에 설치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선등록고안은 모터로만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배터리 소모가 많으며, 배터리의 에너지가 적게 남은 경우에도 카메라를 회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이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가 카메라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공간과 설치장소의 제약을 줄여 특히 휴대형 영상전화기 등과 같은 통신기기의 힌지부 부위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수동으로도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조립과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뛰어난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형 영상전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영상전화기에서의 카메라와 그 설치부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카메라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플렉시블 피씨비가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 끼움판이 끼움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클러치 수단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카메라 211 : 카메라 모듈
220 : 카메라 하우징 220a : 제 1반원통체
220b : 제 2반원통체 221 : 연장부
224 : 단면벽부 226 : 모터축공
227, 227a : 홈 228 : 끼움홈
228a : 피씨비 통과공 230 : 끼움판
240 : 클러치수단 241 : 제 1클러치부재
242 : 돌기 246 : 제 2클러치부재
247 : 홈 250 : 플렉시블 피씨비
250a : 데이터 송수신로 250b : 전원공급수단
260 : 통신기기본체 270 : 제 1본체
272 : 힌지부 280 : 제 2본체
290 : 기어드 모터 292 : 모터축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와 카메라가 연결되는 통신기기본체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있어서, 카메라와 통신기기본체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로를 구비하고 통신기기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카메라,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통신기기본체에 설치되고 카메라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모터축을 통해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기 이상의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모터축과 카메라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전동력의 차이가 일정 이상 되는 경우 슬립되어 모터축에 대한 카메라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클러치수단이 카메라와 기어드 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다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클러치수단은 카메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홈 또는 돌기를 갖는 제 1클러치부재와 모터축에 설치되며 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을 가지며 제 1클러치부재와 접촉되는 제 2클러치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클러치부재와 제 2클러치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홈 또는 돌기 없이 제 1클러치부재와 제 2클러치부재간의 마찰력의 크기를 조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로와 전원공급수단은 카메라와 통신기기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카메라 회동시 기어드 모터 주위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자체 변형되면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카메라의 회동을 허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피씨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전원공급수단은 카메라에 소형 건전지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창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 단면벽부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모터축의 삽입을 허용하는 모터축공과 단면벽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플렉시블 피씨비의 통과를 허용하는 피씨비통과공을 갖는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카메라 하우징은 양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일단에는 모터축공의 형성을 위한 제 1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반원통체, 일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개구된 부분에 내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반원통체 및 끼움홈에 결합되고 제 1홈과 함께 모터축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홈과 피씨비통과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 3홈을 가지는 끼움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제 1반원통체의 일단 측면과 끼움판 측면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 1클러치부재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반원통체와 제 2반원통체는 모터 쪽으로 연장되어 모터축 또는 기어드 모터 본체의 일측을 수용하며 적어도 일측은 모터축 또는 모터 본체의 일측에 걸려 카메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카메라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플렉시블 피씨비가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4 끼움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가 적용된 통신기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통신기기(200)의 통신기기본체(260)에는 수동으로 또는 모터(290)의 동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카메라(210)가 장착되어있다. 통신기기본체(260)는 입력키 등이 설치되는 제 1본체(270)와 제 1본체(270)에 힌지부(272)를 통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된 LCD등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제 2본체(280)로 이루어져 있다.
통신기기본체(260)에 장착되는 카메라(210)는 렌즈(212)를 갖는 카메라 모듈(211)과 렌즈(212)가 향하는 방향에 창(222)을 갖는 카메라 하우징(220)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하우징(220)은 카메라 모듈(211)을 둘러싸 보호하며 통신기기본체(260)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장착된다. 카메라(210)의 회동 가능 각도는 통신기기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카메라 하우징(2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걸림턱(220c)과 그와 마주보는 통신기기본체(260)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 1을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의 걸림턱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카메라 하우징(220)은 도 3, 도 5 및 도 6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으로 된 2개의 부품을 마주보고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카메라 하우징(220)은 적어도 일측 단면벽부(224)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모터축공(226)과 단면벽부(224)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플렉시블 피씨비(250)의 통과를 허용하는 피씨비통과공(228a)을 갖는다. 이 카메라 하우징(220)은 양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모터축공의 형성을 위한 홈(227)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1반원통체(220a)와 일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개구된 부분에 내주면을 따라 끼움홈(228)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반원통체(220b) 및 끼움홈(228)에 결합될 수 있고 타측 홈(227)과 함께 모터축공(226)을 형성하기 위한 홈(227a)과 피씨비통과공(228a)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부(227b)를 가지는 끼움판(23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물론, 끼움판(230) 뒤쪽의 단면벽부(224)도 끼움판(230)과 같은 형식을 취하거나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피씨비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저부가 절개되어 있어야 된다.
카메라 하우징(220)을 구성하는 제 1반원통체(220a)의 일측 단면벽부(224)와 끼움판(230) 측면에는 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벽부(224)와 끼움판(230)은 뒤에서 설명되는 클러치수단(240)의 제 1클러치부재(241)의 역할을 하며, 이는 제 2클러치부재(246)의 설치위치나 형태에 따라 독립되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반원통체(220a)와 제 2반원통체(220b)는 기어드 모터(290)쪽으로 연장된 연장부(221)를 갖는다. 이 연장부(221)는 모터축(292)과 모터 본체(294)의 일부를 수용하며 통신기기본체(260)에 설치되는 모터축(292)과 모터 본체(294) 등에 형성된 걸림부(275)에 걸려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210) 또는 카메라 하우징(220)의 타측이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의 구성으로 통신기기본체(260)에 바깥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는 경우 이 연장부(221)는 없어도 된다.
제 1반원통체(220a)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결합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 2반원통체(220b)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그 대응되는 위치의 제 2반원통체(220b) 내주면에는 결합돌기(225)가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10)와 통신기기본체(260) 사이에는 카메라(210)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통신기기본체(260)로 송신하여 통신기기본체(26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로(250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데이터 송수신로(250a)로는 플렉시블 피씨비(250)를 이용하면 된다. 이 데이터 송수신로(250a)는 카메라(21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만들어 커넥터를 이용해 카메라(2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되고, 통신기기본체(260)에 일체로 구성하고 그 끝단에 카메라(210)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는 카메라(2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250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원공급수단(250b) 역시 통신기기본체(2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210)와 통신기기본체(260) 사이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피씨비(250)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기로는 데이터 송수신로(250a)가 형성되는 플렉시블 피씨비(25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전원공급수단(250b)으로는 카메라(210)에 직접 장착되는 건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는 카메라(210)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기어드 모터(2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어드 모터(290)는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203617호 “기어드 모터” 등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 기어드 모터(290)는 힌지부(272)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키홈(296a) 등에 결합될 수 있는 키(296)와 돌출턱(297a)에 걸리는 스토퍼(297)를 통해 통신기기본체(260)의 힌지부(27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기어드 모터(290)의 모터축(292)은 클러치수단(240)을 통해 카메라(210)에 연결된다. 모터(290)의 동력만을 이용해 카메라(210)를 회동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클러치수단(240)은 필요치 않다. 모터(290)의 동력 또는 수동의양자 택일로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이 클러치수단(240)이 필요하다.
클러치수단(240)의 역할은 기어드 모터(290)의 동력을 이용하여 카메라(210)를 회동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동력을 전달하여 카메라(2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수동으로 카메라(210)를 회동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제 1클러치부재(241)가 제 2클러치부재(246)에 대해 슬립되도록 하여(기어드 모터의 구동이 멈춘상태에서 모터축은 매우 큰 정지력을 가지므로) 모터축(292)이 정지된 상태에서 카메라(210)를 수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클러치수단(240)은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동력, 다시 설명하면 카메라(210)를 정지상태에서 초기 회동시킬 수 있는 크기 이상의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그 정지력이 매우 큰 모터축(292)과 카메라(210)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전동력의 차이가 일정 이상 되는 경우 클러치 수단(240)의 제 1클러치부재(241)는 제 2클러치부재(246)에 슬립되어 모터축(292)에 대한 카메라(210)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한다.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클러치 수단(240)은 카메라 하우징(2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돌기(242)를 갖는 제 1클러치부재(241)와 모터축(292)에 설치되며 돌기(242)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247)을 가지며 제 1클러치부재(241)와 접촉되는 제 2클러치부재(246)로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클러치부재(241)에 홈을 형성하고 제 2클러치부재(246)에 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돌기(242) 또는 홈(247)은 소정 각도 간격으로, 용도에 따라 4∼16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기(242)와 홈(247) 중 어느 한 쪽은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로 형성될수 있다. 또, 제 1클러치부재(241)와 제 2클러치부재(246)에 홈과 돌기를 반드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클러치부재(241)와 제 2클러치부재(246) 상호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적당한 크기로 조정하여 클러치수단(240)이 구성될 수 있다. 또, 제 1클러치부재(24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반원통체(220a)의 일측 단면벽부(224)와 끼움판(230)에 형성하여도 되나 카메라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 2클러치부재(246)는 적절한 크기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적절한 크기의 탄성력이라 함은 정지되어 있는 카메라(210)를 초기에 회동시킬 수 있는 크기 정도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탄성변형되지 않고, 그 이상의 힘 즉, 사람이 무리 없이 수동으로 카메라(21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정도 크기의 힘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일측으로 변형되어 제 1클러치부재(241)가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정도의 탄성력을 말한다.
물론, 제 1클러치부재(241)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제 2클러치부재(246) 대신에 제 1클러치부재(251)가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클러치부재(241), 제 2클러치부재(246) 모두 탄성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기기본체(260)의 일측면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작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메인 플렉시블 피씨비(262)를 통해 기어드 모터(29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따라 기어드 모터(290)는 구동되어 모터축(292)으로 감속된 회전동력을 출력한다. 모터축(292)이 회전됨에 따라 모터축(292)에 고정된 제 2클러치부재(246)도 회전되고, 제 2클러치부재(246)에 맞물려있는 제 1클러치부재(241)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카메라(210)가 회동된다. 이 때 데이터 송수신로(250a)와 전원공급수단(250b) 역할을 하는 플렉시블 피씨비(250)는 기어드 모터(29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카메라(210)의 회동동작을 허용한다. 카메라(210)가 원하는 각도까지 회동되면 카메라 작동스위치를 오프(off)시켜 기어드 모터(29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카메라(210)가 회동한계까지 회동된 후에 카메라 작동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제 1클러치부재(241)와 제 2클러치부재(246) 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되어 기어드 모터(290)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다른 카메라 작동스위치를 온(on)시키면 기어드 모터(290)는 역회전 구동되어 카메라(210)를 처음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통신기기본체(260)의 배터리를 아끼고자하는 경우 카메라(210)의 손잡이(211a)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220)에 고정되어 있는 제 1클러치부재(241)는 회동된다. 모터축(292)은 정지상태이고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클러치부재(241)의 돌기(242)는 제 2클러치부재(246)를 모터(290)쪽으로 밀어내면서 슬립되고, 카메라 하우징(220) 및 그 내부의 카메라 모듈(211)은, 즉 카메라(210)는 기어드 모터(290)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회동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클러치 수단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클러치부재(241)와 제 2클러치부재(246)에 설치되는 홈(242a)과 돌기(247a)를 앞의 예에서와는 반대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클러치부재(241)의 외주면과 제 2클러치부재(246)의 내주면에 돌기(242b)와 홈(247b)을 각각 형성하여 클러치수단(240)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제 1클러치부재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내주면과 제 2클러치부재의 외주면에 홈과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클러치수단(24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위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것이라 하더라도 일정 한계치까지의 회전동력은 전달하고 그 이상의 회전동력에 대해서는 슬립이 발생되는 것이라면 다른 형식의 어떠한 클러치수단이라도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기기본체(260)에 카메라(210)의 이탈을 방지하며 카메라(210)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그 일단 외주면을 지지하여주는 이탈방지부(272a)가 있는 경우 카메라 하우징(220)의 연장부는 없어도 된다. 그 외 나머지 사항은 도 2∼도 7b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는 셀룰러폰, 피씨에스(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아이엠티-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뿐만 아니라 노트북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는 모터가 카메라와 동일선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힌지부 등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일정 크기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 클러치수단에서 슬립이 발생되므로 기어드 모터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이 길다.
또,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는 상황에 따라 카메라를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하우징의 연장부가 모터축 또는 모터 본체에 지지되는 경우 카메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나 조립공정이 필요치 않아 통신기기 조립에 따른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Claims (8)

  1. 카메라와 카메라가 연결되는 통신기기본체를 구비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통신기기본체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기기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통신기기본체에 설치되고 모터축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기 이상의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모터축과 상기 카메라 상호간의 상대적인 회전동력의 차이가 일정 이상 되는 경우 슬립되어 상기 모터축에 대한 상기 카메라의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클러치 수단이 상기 카메라와 상기 기어드 모터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홈 또는 돌기를 갖는 제 1클러치부재와 상기 모터축에 설치되며 상기 홈 또는 돌기와 대응되는 돌기 또는 홈을 가지며 상기 제 1클러치부재와 접촉되는 제 2클러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러치부재와 제 2클러치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로와 전원공급수단은 플렉시블 피씨비로 되고, 상기 카메라는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상기 렌즈가 향하는 방향에 창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을 둘러싸고 적어도 일측 단면벽부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축의 삽입을 허용하는 모터축공과 상기 단면벽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의 통과를 허용하는 피씨비통과공을 갖는 카메라 하우징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은 양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일단에는 상기 모터축공의 형성을 위한 제 1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반원통체, 일단이 막힌 반원통형 모양을 하고 개구된 부분에 내주면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2반원통체 및 끼움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 1홈과 함께 모터축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홈과 상기 피씨비통과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 3홈을 가지는 끼움판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반원통체의 일단 측면과 상기 끼움판 측면에 상기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클러치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반원통체와 제 2반원통체는 상기 모터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축 또는 기어드 모터 본체의 일측을 수용하며 적어도 일측은 상기 모터축 또는 기어드 모터 본체의 일측에 걸려 상기 카메라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KR20-2003-0000179U 2003-01-03 2003-01-03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KR200308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79U KR200308168Y1 (ko) 2003-01-03 2003-01-03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79U KR200308168Y1 (ko) 2003-01-03 2003-01-03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384A Division KR100495118B1 (ko) 2003-01-03 2003-01-03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68Y1 true KR200308168Y1 (ko) 2003-03-19

Family

ID=4940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79U KR200308168Y1 (ko) 2003-01-03 2003-01-03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00A (ko) * 2001-12-07 2003-06-18 동오정밀 주식회사 Lcd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100536319B1 (ko) * 2003-05-29 2005-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KR100974680B1 (ko) * 2003-03-27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00A (ko) * 2001-12-07 2003-06-18 동오정밀 주식회사 Lcd 모니터 각도조절장치
KR100974680B1 (ko) * 2003-03-27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0536319B1 (ko) * 2003-05-29 2005-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5426B1 (en) Mobile terminal
US20220303371A1 (en) Rotation shaf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EP3525430B1 (en) Mobile terminal
CN100433797C (zh) 配有摄像头的无线终端的定位附件和方法
US7573167B2 (en) Geared motor
US20080078062A1 (en) Swivel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9154226A1 (zh) 用于显示终端的旋转机构以及车辆
US11661017B2 (en) Actuator for adjusting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JP2002044208A (ja) 携帯電話機のフォルダー駆動装置及びそのフォルダー駆動方法
EP1492332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 angle of a camera modul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9170010A1 (zh) 摄像组件及电子装置
US7430013B2 (en)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10055487A1 (en) Movable camera apparatus with a pan head
US20080078056A1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95118B1 (ko)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JP2004060883A (ja) 携帯装置のホルダー駆動装置
US748977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ry camera
KR200308168Y1 (ko) 통신기기의 카메라 구동장치
KR10129633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WO2023071978A1 (zh) 一种转轴机构及电子设备
CN110138920B (zh) 移动终端
CN208015777U (zh) 移动终端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674828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JP2020118848A (ja) 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