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524Y1 -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 Google Patents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524Y1
KR200306524Y1 KR20-2002-0031763U KR20020031763U KR200306524Y1 KR 200306524 Y1 KR200306524 Y1 KR 200306524Y1 KR 20020031763 U KR20020031763 U KR 20020031763U KR 200306524 Y1 KR200306524 Y1 KR 20030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cture
syllabus
writ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복수
Original Assignee
(주)동원에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에스앤에스 filed Critical (주)동원에스앤에스
Priority to KR20-2002-0031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5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524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칠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강의 교안으로 이용할 수 있고 스크린에 판서한 글씨나 선을 깨끗하고 부드러운 선으로 나타내주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capable of using various multimedia materials as a lecture syllabus and displaying clean letters and lines on a screen as clean and smooth lines. will be.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강의교안파일을 읽어들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플레이어부; 강의교안파일을 강의시간 또는 교안의 내용에 따라 분리하거나 이를 다시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에디터부; 녹화한 강의파일을 재생시키는데 사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부;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매끄럽게 다듬는 수정부; 및 모니터상의 판서, 강의용 교안의 제작 및 강의내용을 녹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레코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yer unit for reading the syllabus file and display on the monitor; An editor unit that allows the lecture syllabus file to be separated or recombined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or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A media player unit used to play the recorded lecture file; Sue government to smoothly write letters and pictures written by lecturers; And a recorder unit that provides a function of recording writing on a monitor, making lecture syllabus, and recording lecture contents.

본 고안에 의하면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 등을 수정하여 깨끗하고 매끄러운 글씨나 그림으로 바꿔주므로 수강자가 판서내용을 쉽게 알아볼 수 있고 판서한 내용을 정확하게 알아 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r can change the written words or pictures to clean and smooth letters or pictures so that the learners can easily read the written contents and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written contents.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본 고안은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강의 교안으로 이용할 수 있고 스크린에 판서한 글씨나 선을 깨끗하고 부드러운 선으로 나타내주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variety of multimedia materials as lecture syllabus, and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letters and lines written on the screen as clean and smooth lines. .

종래에 칠판이라 하면 일명 흑판이라고도 하는 분필로 쓸 수 있도록 검은색 등을 칠한 넓다란 판(板)을 말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칠판은 분필가루가 많이 생겨 판서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분필을 사용하는 대신 마커펜을 이용하는 화이트보드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OHP필름을 이용하거나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전자장비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blackboard refers to a wide board painted with black and the like so that it can be written in chalk, also called a blackboard. Such a blackboard has a problem that a lot of chalk powder can harm the health of the writers. Therefore, a whiteboard using a marker pen has been developed and used widely, instead of using chalk, and in recent years, an electronic device using an OHP film or a projector is also used. It is used a lot.

특히,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법은 노트북의 보급과 함께 그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the method of projecting onto a screen using a projector is a trend that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spread of notebooks.

이러한 프로젝터 및 스크린을 강의나 세미나 장소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다수의 특허 및 실용신안 출원이 된 바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술을 응용하여 프리젠테이션 교안이나 강의 교안 등을 프로젝터에 의해 스크린에 투사하거나 전자칠판에 나타내 주면서 동시에 그 교안 위에 강의 도중 필요한 사항을 판서하고 이를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여 강의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도 많이 출원되고 있다.There have been a number of patents and utility model ap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such projectors and screens in lectures or seminar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se technologies, presentation or lecture texts can be projected on a screen by a projector or electronic board.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applications for devices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lectures by writing necessary matters during lectures and projecting them on the screen.

이에 관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 2001-0008393호(명칭 : 전자칠판을 이용하는 판서내용 제공시스템)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57271호(명칭 : 전자칠판장치)에 잘 나타나 있다.In this regard, it is shown well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0008393 (name: writing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electronic blackboard) and No. 20-0257271 (name: electronic blackboard device).

상기와 같은 전자칠판장치에 의하면 강의자가 강의교안을 미리 컴퓨터에서 읽어들일 수 있는 파일로 만들어 준비해 오고 이를 컴퓨터에서 읽어들여 프로젝터에 의해 수강자용 스크린에 투사하여 강의자가 자신의 모니터를 통해 그 내용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그 내용을 수강자들도 수강자용 스크린을 통해 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the lecturer prepares the lecture syllabus into a file that can be read in advance on a computer, prepares it, reads it from the computer, and projects the lecturer's screen by the projector to view the contents on his monitor. In addition, the content can be viewed on the participant's screen.

특히 강의자가 강의도중 판서할 필요가 있을 경우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거나 또는 강의자용 컴퓨터에 연결된 전자펜을 이용하여 필요한 사항을 판서하고 그 내용을 강의자가 판서를 함과 동시에 수강자들이 그 내용을 수강자용 스크린을 통해 함께 볼 수가 있다.In particular, if a lecturer needs to write during the lecture, he / she writes out the necessary matters using a mouse and keyboard or an electronic pen connected to the lecturer's computer, and the lecturer writes the contents and the learners write the contents. You can see them together on the scree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칠판 장치는 강의자가 필요한 사항을 모니터나 스크린상에 판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만, 이를 프로젝터를 통해 투사할 경우 화면이 커지면서 판서한 글씨나 그림 등도 확대되어 판서내용이 지저분해 보이거나 글씨나 선이 매끄럽게 표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심할 경우 수강자가 판서내용을 알아볼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has a function that allows the lecturer to write the necessary information on the monitor or the screen. However, when the projection is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the written text or pictures are enlarged as the screen is enlarged, and the contents of the writing are messy. In some cases, the letters or lines may not be displayed smoothly, and in some cases, the participants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written contents.

또한, 종래의 이러한 전자칠판장치는 이미지나 정지화면을 교안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동영상과 같은 영상파일을 이용하여 교안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can use an image or a still image as teaching material, but does not provide a function for making teaching material using an image file such as a video.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강의자가 모니터나 스크린상에 판서한 글자나 선을 매끄럽게 교정하여 수강자가 깨끗하고 정확하게 판서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칠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나 정지화면뿐만 아니라 동영상과 같은 영상파일을 이용하여 교안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자칠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cturer with the ability to smoothly correct letters or lines written on a monitor or screen so that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written contents cleanly and accurately. To provide a system.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having a function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using image files such as moving images as well as images and still image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강의자용 모니터에 필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written on the monitor for lecturers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 등을 수정기능에 의해 수정하기 전과 수정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of the writing, such as written by the lecturer by the correction func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플레이어부 20 : 에디터부10: player unit 20: editor unit

30 : 미디어플레이어부 40 : 레코더부30: media player unit 40: recorder unit

50 : 수정부 60 : 모니터50: Correction 60: Monitor

70 : 수강자용 스크린 100 : 전자칠판시스템70: screen for students 100: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강의교안파일을 읽어들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플레이어부; 모니터상의 판서, 강의용 교안의 제작 및 강의내용을 녹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레코더부;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매끄럽게 다듬는 수정부; 강의교안파일을 강의시간 또는 교안의 내용에 따라 분리하거나 이를 다시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에디터부; 및 동영상이나 음성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녹화한 강의파일을 재생시키는데 사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ayer unit for reading a syllabus file and display on the monitor; A recorder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ording writing on a monitor, making lecture syllabus, and recording lecture contents; Sue government to smoothly write letters and pictures written by lecturers; An editor unit that allows the lecture syllabus file to be separated or recombined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or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And a media player unit for reproducing multimedia files such as moving pictures and audio data, and used for reproducing the recorded lecture file.

상기 수정부는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스크린상에서의 위치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인식하는 판서내용 인식부; 상기 판서내용 인식부를 통해 받아들인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내용을 지정된 두 점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하여 연속커브로 만드는 스프라인 기법에 의하여 매끄러운 선으로 만드는 라인처리부; 및 상기 라인처리부에서 수정된 글씨나 그림과 같은 판서내용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부로 출력해주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rection unit includes a writing content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 writing or a picture written by a lectur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ddress on a screen; A line processing unit which makes a smooth line by a spline technique of connecting writing contents such as letters and pictures received through the writing contents recognition unit into curved lines between two designated points;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writing content such as letters or pictures modified by the line processing unit to the player unit so as to be displayed on a monitor.

상기 라인처리부는 개체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글씨나 그림의 윤곽선을 부드럽게 보이도록 하는 안티알리아싱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ne processing unit may use an antialiasing technique to soften the edges of an object so that the outline of a text or a figure is smoothly seen.

상기 레코더부는 윈도모드, 윈도판서모드, 교안판서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기능부, 문서의 각 페이지를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교안의 형태로 만들어 주고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안제작기능부, 모니터상에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판서기능부, 강의자의 강의진행내용 및 교안을 함께 녹화할 수 있게 해주는 녹화가능부로 구성된다.The recorder is a mode fun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window mode, a window writing mode, a teaching instruction writing mode, and a teaching preparation function unit for converting each page of a document into a picture file to form a teaching plan and storing it. It consists of a writing function that allows writing of letters and pictures on the monitor, and a recordable part that allows the lecturer to record the lecture progress and teaching materials together.

상기 교안제작기능부는 동영상의 스냅샷을 그림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aching plan produc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a snapshot of the video into a picture fi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은 플레이어부(10), 에디터부(20), 미디어플레이어부(30), 레코더부(40) 및 수정부(50)로 구성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layer unit 10, the editor unit 20, the media player unit 30, the recorder unit 40 and the correction unit 50 It consists of.

상기 플레이어부(10)는 강의교안파일을 읽어들여 강의자용 모니터(60)에 디스플레이 해준다.The player unit 10 reads the syllabus file and displays it on the lecturer monitor 60.

상기 에디터부(20)는 강의파일을 강의시간 또는 교안의 내용에 따라 분리하거나 이를 다시 결합하는 등의 강의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ditor unit 20 provides a function of editing a lecture file such as separating or recombining the lecture file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or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부(30)는 윈도우 프로그램의 미디어플레이어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영상이나 음성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녹화한 강의파일을 재생시키는데 사용된다.The media player unit 30 is used to replace a media player function of a Windows program and to play a multimedia file such as a moving picture or audio data, and is used to play a recorded lecture file.

상기 수정부(50)는 강의자가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를 할 경우 이를 매끄러운 형태로 보기 좋게 수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강의자가 글씨나 그림을 전자펜(1) 또는 마우스(2)나 키보드(3)로 판서할 경우 글씨나 그림이 얇게 표시되거나 또는 모니터 위에 글씨를 쓰는 것이므로 종이에 글씨를 쓰는 것에 비하여 글씨나 그림이 비뚤어지거나 꾸불꾸불해질 수 있으며 또한 모니터에 판서한 내용은 다시 수강자용 스크린(70)에 확대되어 표시되는데 이때 확대된 글씨 등은 모니터(60)상에서보다 인식하기 힘들어지기 쉽고 심할 경우 글씨나 그림을 수강자가 알아보기 힘들 수도 있다.The correction unit 50 plays a role of correcting the form in a smooth form when the lecturer writes letters or pictures. When a lecturer writes a letter or picture with an electronic pen (1), a mouse (2), or a keyboard (3), the letter or picture is thinly displayed or written on the monitor. The content written on the monitor may be skewed or squiggly, and the information written on the monitor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tudent's screen 70 again. The enlarged letters are harder to recognize than those on the monitor 60. Can be hard to recognize.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강의자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판서를 할 경우 이를 수정해주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겠으나 본 고안에서는 스프라인기법 또는 안티알리아싱기법을 이용하여 수정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cturer has a function of correcting writing when writing such as writing or drawing. Various methods may be used for this purpo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modifying using a spline technique or an antialiasing technique.

여기서 스프라인기법이란 지정된 두점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인 선이 연속커브 즉 매끄러운 곡선으로 되도록 만들어주는 프로그램기법을 말한다.Here, the spline technique is a program technique that connects two designated points with a curve so that the entire line becomes a continuous curve, that is, a smooth curve.

또한 안티알리아싱 기능은 개체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함으로서 전체 스크린 이미지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으로 화면상의 개체의 모서리 주위를 지정된 색채의 추가 픽셀을 삽입함으로써 바탕에 조화시킨다. 안티알리아싱 기법을 사용할 경우그림파일을 확대했을 때 나타나는 계단현상을 없애주며, 글씨나 그림의 윤곽선이 부드럽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The antialiasing feature also improves the quality of the entire screen image by smoothing the edges of the object, harmonizing the background by inserting additional pixels of a specified color around the edge of the object on the screen. If you use antialiasing technique, you can eliminate the step phenomenon that occurs when you enlarge the picture file and make the outline of the text or picture look smooth.

수정부(50)는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스크린상에서의 위치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인식하는 판서내용 인식부(51); 상기 판서내용 인식부에서 받아들인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내용을 지정된 두 점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하여 연속커브로 만드는 스프라인 기법에 의하여 매끄러운 선으로 만들거나 안티알리아싱기법에 의하여 글씨나 그림의 윤곽선을 부드럽게 만드는 라인처리부(52); 및 상기 라인처리부에서 수정된 글씨나 그림과 같은 판서내용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플레이어부로 출력해주는 출력부(53)로 구성된다.The correction unit 50 includes a writing content recognizing unit 51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s or pictures written by the lectur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address on the screen; The writing content such as text or picture received by the writing content recognition unit is connected to two specified points by curves to make a smooth curve by the spline technique that creates a continuous curve or by using an antialiasing technique. A line processing unit 52 for smoothing; And an output unit 53 for outputting writing contents such as letters or pictures modified by the line processing unit to the player unit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상기 레코더부(40)는 모드기능부(41), 교안제작기능부(42), 판서기능부(43), 녹화기능부(44)로 구성된다.The recorder unit 40 includes a mode function unit 41, a teaching plan production unit 42, a writing function unit 43, and a recording function unit 44.

상기 모드기능부(41)에서는 윈도모드, 윈도판서모드 및 교안판서모드가 제공된다.The mode function unit 41 is provided with a window mode, a window writing mode, and a teaching writing mode.

윈도모드는 윈도우 프로그램의 실행상태를 그대로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이며, 윈도판서모드는 윈도우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상에서 그 위에 판서를 할 수 있는 모드이며 교안판서모드는 강의자가 미리 준비한 교안내용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해 주면서 동시에 그 위에 판서를 할 수 있는 모드이다.The window mode is a mode that displays the execution status of a Windows program as it is. The window writing mode is a mode that can be written on the execution screen of a window program. At the same time, you can write on it.

상기 교안제작기능부(42)는 문서의 각 페이지를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교안의 형태로 만들어주고 동영상의 스냅샷을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동영상 스냅샷교안을 만들어주는 등의 강의에 필요한 교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teaching material production function 42 converts each page of the document into a picture file to form a teaching syllabus, and converts a snapshot of the video into a picture file to produce a teaching snapshot such as a video snapshot teaching syllabus. It provides a function to enable it.

동영상의 스냅샷을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동영상 스냅샷교안을 만드는 기능은 동영상파일을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캡춰링(Capturing)하고 이를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교안으로 만들거나 또는 강의자가 임의로 필요한 부분부분만을 캡춰하고 이를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교안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The function of creating a snapshot snapshot instruction by converting a snapshot of the movie into a figure file is to capture the movie file at regular intervals and convert it into a figure file to make a syllabus, or to create a part of the lecturer's discretion. It is also possible to capture and convert it into a picture file to create a teaching plan.

또한 교안제작기능부(42)는 교안내용 및 그 위에 판서한 내용을 포함하여 현재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그대로 그림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eaching plan production unit 42 provides a function of storing the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picture file including teaching guides and contents written thereon.

상기 판서기능부(43)는 모니터(60)상에 글씨를 쓰거나 또는 직선이나 수평·수직곡선, 곡선 및 다각형 등을 그릴 수 있도록 해주며 글씨나 선 등의 굵기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판서한 글씨나 그림 등을 지우거나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The writing function 43 allows writing on the monitor 60 or drawing straight lines, horizontal and vertical curves, curves, polygons, and the like, and changes the thickness or color of letters and lines. to provide. It also provides the ability to erase or enlarge written text or pictures.

상기 녹화기능부(44)는 강의자가 교안을 이용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동안의 교안내용과 판서내용, 필요시 강의자의 강의내용을 그대로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녹화시작, 녹화종료 외에 녹화 잠시멈춤기능 및 시간을 지정하여 녹화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도 제공된다.The recording function unit 44 provides a function of allowing the lecturer to stor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writing information, and the lecturer's lecture as it is during the lecture using the teaching plan. In addition to recording start and recording stop, a recording pause function and a timer function to specify the recording time are also provided.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의 강의자용 모니터에 판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 등을 수정기능에 의해 수정하기 전과 수정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written on the monitor for the lecturer of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is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by the correction function, such as written by the lecturer Figure showing.

도면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윈도우 등이 실행된 상태에서 모니터상에 직접 판서를 하는것이 가능하므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상에서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교육하는 경우와 같이 컴퓨터 상에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를 확인시켜주면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drawings,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writing directly on a monitor while a window or the like is running on the computer, thereby teaching a computer program or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computer. For example, it can be very useful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raining while confirming a state in whic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s executed on a computer.

도 3은 강의자가 인터넷 검색엔진중의 하나인 엠파스(empas)에 대한 검색방법에 대한 강의를 하는 경우의 판서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강의자는 인터넷 검색엔진인 엠파스를 자신의 컴퓨터에서 직접 접속한 상태에서 엠파스의 메인메뉴 상의 검색창부분을 직접 전자펜 등으로 표시하고 또한 판서를 하여 수강자들이 추상적인설명이 아니라 직접 컴퓨터를 실행하면서 나타나는 스크린을 보고 또한 해당스크린에 대한 판서를 하면서 강의를 할 수가 있어 보다 생생하고 효율적인 강의가 가능하다.FIG. 3 shows the written contents when a lecturer lectures on a search method for empas, which is one of Internet search engines. The lecturer displays the search box on the main menu of Empas directly with an electronic pen while writing the empas, the internet search engine directly from his computer, and writes the information. You can lecture while looking at the screen and writing on the screen to make the lecture more vivid and efficient.

도 4a 및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판서한 내용을 수정하기 전에는 글씨가 얇거나 선명하지 않지만,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에 의하여 이를 수정한 후에는 글씨가 선명해지고 뚜렷해진 것을 볼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s 4a and 4b, the text is not thin or clear before correcting the written content, but after the correction by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 and clear can see.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에 의하면,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 등을 비뚤어지거나 꾸불꾸불한 부분을 매끄러운 곡선으로 수정하여 깨끗한 글씨나 그림으로 바꿔주므로 수강자가 판서내용을 쉽게 알아볼수 있고 판서한 내용을 정확하게 알아 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cturer can easily change the written contents by changing the skewed or sloping parts of the lecturer or the serpentine part into smooth curves and changing them into clean letters or pictures. You can find out and understand exactly what you have written.

또한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스냅샷 기법을 이용하여 교안으로 만드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강의자가 보다 다양한 형태로 강의교재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it provides a function to make a multimedia file, such as a video, into a syllabus by using a snapshot technique, so that a lecturer can prepare a textbook in various forms.

Claims (5)

강의교안파일을 읽어들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플레이어부;A player unit for reading a syllabus and displaying the syllabus on a monitor; 모니터상의 판서, 강의용 교안의 제작 및 강의내용을 녹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레코더부;A recorder unit providing a function of recording writing on a monitor, making lecture syllabus, and recording lecture contents;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매끄럽게 다듬는 수정부;Sue government to smoothly write letters and pictures written by lecturers; 강의교안파일을 강의시간 또는 교안의 내용에 따라 분리하거나 이를 다시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에디터부; 및An editor unit that allows the lecture syllabus file to be separated or recombined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or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And 동영상이나 음성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녹화한 강의파일을 재생시키는데 사용되는 미디어 플레이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for playing a multimedia file such as a moving picture or audio data, comprising a media player used to play a recorded lecture fi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unit 강의자가 판서한 글씨나 그림을 스크린상에서의 위치어드레스에 대응하여 인식하는 판서내용 인식부;A writing content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 writing or picture written by a lecturer in correspondence with a position address on a screen; 상기 판서내용 인식부를 통해 받아들인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내용을 지정된 두 점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하여 연속커브로 만드는 스프라인 기법에 의하여 매끄러운 선으로 만드는 라인처리부; 및A line processing unit which makes a smooth line by a spline technique of connecting writing contents such as letters and pictures received through the writing contents recognition unit into curved lines between two designated points; And 상기 라인처리부에서 수정된 글씨나 그림과 같은 판서내용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부로 출력해주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writing content such as letters or pictures modified by the line processing unit to a player so as to be displayed on a monit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ne processing unit 개체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글씨나 그림의 윤곽선을 부드럽게 보이도록 하는 안티알리아싱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n antialiasing technique that softens the edges of an object so that the outline of a text or a picture can be seen smooth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더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rder unit 윈도모드, 윈도판서모드, 교안판서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기능부,Mode function unit to select one of window mode, window writing mode, teaching instruction mode, 문서의 각페이지를 그림파일로 변환하여 교안의 형태로 만들어 주고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안제작기능부,Textbook production function that converts each page of the document into a picture file to make it in the form of a syllabus and save it, 모니터상에 글씨나 그림 등의 판서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판서기능부,Writing function that allows you to write letters and pictures on the monitor, 강의자의 강의진행내용 및 교안을 함께 녹화할 수 있게 해주는 녹화가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a computer having a recordable unit for recording lecture progress and teaching materials of the lectur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안제작기능부는 동영상의 스냅샷을 그림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teaching plan production unit provides a function of converting a snapshot of a video into a picture file.
KR20-2002-0031763U 2002-10-24 2002-10-24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KR2003065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63U KR200306524Y1 (en) 2002-10-24 2002-10-24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63U KR200306524Y1 (en) 2002-10-24 2002-10-24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524Y1 true KR200306524Y1 (en) 2003-03-11

Family

ID=4940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63U KR200306524Y1 (en) 2002-10-24 2002-10-24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52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171B2 (en) Segmenting and playback of whiteboard video capture
Mock Teaching with Tablet PC's
Kajder et al. Constructing digital stories.
US10423716B2 (en) Creating multimedia content for animation drawings by synchronizing animation drawings to audio and textual data
Ottmann et al. Means and methods in automatic courseware production: experience and technical challenges
JP2007256781A (en) Video creating method, video distribu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306524Y1 (en) Electronic Board System Using Computer
Gill Quick and dirty multimedia
Garber et al. A two tier approach to chalkboard video lecture summary
Teuscher et al. An augmentation framework for efficiently extract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from slideshows
Yao et al. A Farewell to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in the New Millennium.
Burkey Making educational and scholarly videos with screen capture software
Mitra Substituting the chalk board with a Tablet computer
JP2007249887A (en) Web browsing operation and annotation record reproduction system
Kazaine Software for creation of electronic materials
Standley et al. Digital storytelling with iMovie
Cavanaugh Screencasting for technical writing students: An opportunity to improve feedback and prepare students for the workplace.
Solomon EXPANDING HESIOD'S THEOGONY: INTEGRATING LECTURES VIA POWERPOINT (AND KEYNOTE)
Sustenance Narrative Song Writing in a Digital Context
US20070218445A1 (en) Computer based blackboard
Apperley et al. Lecture capture using large interactive display systems
JP20240388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Roach Effective use of Teaching Aids
Jeschke et al. The eChalk system: Potential of teaching with intelligent digital Chalkboards
Harrington Photoshop for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