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730Y1 -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730Y1
KR200305730Y1 KR20-2002-0035908U KR20020035908U KR200305730Y1 KR 200305730 Y1 KR200305730 Y1 KR 200305730Y1 KR 20020035908 U KR20020035908 U KR 20020035908U KR 200305730 Y1 KR200305730 Y1 KR 200305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ir
floating
floa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9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창성
Original Assignee
임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성 filed Critical 임창성
Priority to KR20-2002-0035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7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730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수를 처리하는 부상조와; 공기를 물에 용존시키는 용존시간과 공기압력을 최대로 줄이면서 비교적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켜 용존수를 상기 부상조 내로 투입시킴으로써 상기 부상조 내에서 미세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용존수투입부와; 상기 부상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한 폐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스컴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용존시간 및 용존에 소요되는 압력을 현격하게 줄여 부상조 내에서의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간편한 구조 및 방법으로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floating tank for treating waste water; A dissolved water input unit for forming a microbubble in the floating tank by dissol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ir while maximizing the dissolution time and air pressure for dissolving air in the water and introducing the dissolved water into the floating tan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um removal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to filter the waste water wastes flo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by the microbubble. As a result, by reducing the amount of dissolution time and pressure required for dissolving as conventionally,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lotation tank can be increased, and a large amount of air can be dissolved in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mpact the size of the treatment apparatus.

Description

수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본 고안은,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와 같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용존시간 및 용존에 소요되는 압력을 현격하게 줄여 부상조 내에서의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간편한 구조 및 방법으로 많은 42a량의 공기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issolution time and the pressure required for dissolution as in the prior ar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lotation tank, while maintaining a simple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ompacting a scale of a treatment apparatus by allowing a large amount of 42a of air to be dissolved in a method.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날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정이나 공장, 혹은 축사 등에서 방출되는 오폐수, 공장 폐수, 축산 폐수 등(이하, 이들을 통틀어 "폐수"라 함)은 지하수 및 하천으로 흘러 결국에는 바다를 오염시키게 된다.As the industry is highly developed,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particular, wastewater, factory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astewater") discharged from homes, factories, or livestock houses flow into groundwater and rivers and eventually pollute the sea.

이처럼 폐수를 처리하여 정화하지 않고 그대로 방류하면 각종 유기물, 미생물 및 질소(N), 인(P) 등으로 인해 하천 등의 부영화 현상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수중 생태계가 파될 뿐만 아니라 토양의 오염을 유발하여 생활환경이나 생태계의 먹이사슬까지 파괴함으로써 인간의 생존권을 위협할 수밖에 없다.As such, if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as it is without purification, various organic matters, microorganisms, nitrogen (N), phosphorus (P), etc., cause river erosion, which causes not only the destruc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but also pollution of the soil. By destroying the food chai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ecosystems, we have no choice but to threaten human right to life.

물론,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폐수의 배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지만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폐수의 배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Of course, in order to reduce such damages, it is most desirable to basically reduce the discharge of wastewater, but as the industry develops, discharge of various wastewater is inevitable.

이에, 이러한 폐수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바, 근자에 들어서는 각계 각층에서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수많은 연구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물리적 처리방법 및 화학적 처리방법 또는 생물학적처리 방법을 병합하는 방법이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capable of appropriately treating such wastewater, and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and investments have been made o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es capable of treating wastewater in various layers.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or biological treatment.

물리적 처리방법에서 그중에 예를 들어, 미세한 기포를 만들어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시켜 폐수 속의 오물이 미세기포와 충돌시키어 부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를 흔히 가압부상장치라고도 한다. 이러한 가압부상장치는 산업폐수 및 일반 오수처리장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해 소위, D.A.F(Dissolved Air Flotation)라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In the physical treatment method, for example, fine bubbles are made to float to the upper side of the flotation tank so that the dirt in the waste water collides with the fine bubbles,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a pressure injury device. This pressurization apparatus is widely applied to industrial wastewater and general sewage treatment plants, and uses so-called D.A.F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to form fine bubbles.

D.A.F를 적용한 것에는 컴프레서를 통해 공기를 직접 용존시키는 장치도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배관의 거리를 길게 해야하는 설치상의 어려움이 있어, 일정한 압력용기 내에서 공기를 강제적으로 용존시킨 후, 부상조에서 기포의 형태로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The application of DAF is also known as a device that directly dissolves air through a compressor,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installing a pipe that requires a long distance. Therefore, forced air is dissolved in a constant pressure vessel, The method used in the form of bubbles is widely applied.

일정한 압력용기에 일정위치의 물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압력용기 내의 물에 컴프레서 등과 같이 공기를 압축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4~6kgf/cm2의 압력으로 공급하여 공기를 용존시킨다. 물론, 공기의 용존상태는 물의 성질에 따라 다르며 공기를 완전하게 용존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용존시간이 소요된다.In the state of supplying water at a certain position to a constant pressure vessel, the air is dissolved by supplying compressed air at a pressure of 4 ~ 6kgf / cm 2 using a device that compresses the air, such as a compressor, to the water in the pressure vessel. Of course, the dissolved state of air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water and takes a certain dissolution time to completely dissolve the air.

대략 30초 정도의 용존시간을 소비하여 압력용기 내의 물에 일정량의 공기를 용존시키고 난 후, 감압밸브를 개방하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공기가 용존된 물은 유출단을 통해 폐수를 처리하는 부상조로 유입된 후, 미세기포의 형태로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하게 된다.After discharging the air for about 30 seconds, a certain amount of air is dissolved in the water in the pressure vessel,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s opened. After inflow, it floats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in the form of microbubbles.

이처럼 부상하는 미세기포는 폐수 속의 오물과 접촉하여 이를 상측으로 부상시키게 되는데, 오물들이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하면, 부상조의 상측에 배치된 스컴제거부가 이를 일측으로 걸러내게 된다.This floating microbubble is in contact with the waste in the waste water to rise to the upper side. When the dirt rises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by the microbubble, the scum remov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is filtered to one side.

그런데, 이처럼 D.A.F를 적용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압력용기 내의 물에 공기를 용존시키기 위한 용존시간이 매우 길뿐만 아니라 용존시 압력용기 내에 고압력이 걸려 안전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만일, 용존시간을 짧게 하고자 한다면 압력용기의 부피를 크게 해야만 하나, 압력용기의 부피를 무한정 크게 제조하는 것에는 한계가 따르기 마련이다.However,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o which the D.A.F is applied, the dissolution time for dissolving air in the water in the pressure vessel is very long, and there is a disadvantage of causing a safety problem due to high pressure in the pressure vessel when dissolved. If the dissolution time is to be shortened, the volume of the pressure vessel must be increased, but there is a limit to manufacturing the volume of the pressure vessel indefinitely.

이에, 종래에서는 일정한 용존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감수해가면서도 공기의 용존을 위한 여러 개의 압력용기를 장착하고 있는 바, 처리장치의 규모가 거대해질 수밖에 없으며, 용존시간동안에는 폐수를 처리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t is necessary to take a certain dissolution time and install several pressure vessels for air dissolution. Therefore, the size of the treatment device is inevitably increased, and wastewater cannot be treated during the dissolution time. There is thi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용존시간 및 용존에 소요되는 압력을 현격하게 줄여 부상조 내에서의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간편한 구조 및 방법으로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issolution time and pressure required for dissolu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lotation tank, while providing a large amount of air with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made compact so that the size of the treatment apparatus can be made compac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도면,1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용존수투입부 영역의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ssolved water input region;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용존수투입부의 역류방지판에 대한 정면도 및 배면도,3A and 3B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backflow preventing plate of the dissolved water input unit, respectively,

도 3c는 기포생성부재의 확대도,3c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압력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A and 4B show an embodiment of a pressure vessel, respectively;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경사헤드부 영역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5A and 5B show an embodiment of the inclined head region, respectively;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스컴제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A and 6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scum removing unit, respectively;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view of a wat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부상조 12a,12b : 제1 및 제2중간격벽10: floating tank 12a, 12b: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partition wall

40 : 폐수공급부 50 : 용존수투입부40: wastewater supply unit 50: dissolved water input unit

51 : 경사헤드부 56 : 역류방지판51: inclined head portion 56: backflow prevention plate

57 : 전면판 58 : 후면판57: front panel 58: rear panel

60 : 스컴제거부 62 : 체인60: scum removal unit 62: chain

63 : 오물제거바아 64 : 회동핀63: dirt removal bar 64: rotating pin

65 : 역회전방지턱 66 : 압력용기65: anti-rotation jaw 66: pressure vessel

70 : 기포발생장치70: bubble generator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폐수를 처리하는 부상조와; 공기를 물에 용존시키는 용존시간과 공기압력을 최대로 줄이면서 비교적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켜 용존수를 상기 부상조 내로 투입시킴으로써 상기 부상조 내에서 미세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용존수투입부와; 상기 부상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한 폐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스컴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tation tank for treating waste water; A dissolved water input unit for forming a microbubble in the floating tank by dissol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ir while maximizing the dissolution time and air pressure for dissolving air in the water and introducing the dissolved water into the floating tank; It is achieved by a wate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tank and comprises a scum removal unit for filtering the waste water of the waste water flo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by the microbubble.

여기서, 상기 용존수투입부는, 일단이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컴제거부에 의해 오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이동시키는 처리수이동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부상조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유로와;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처리수에 용존시키는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부상조 사이의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는 압력용기와;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처리수이동라인 사이의 순환유로 상에 상기 처리수이동라인 내의 처리수 중 일부를 상기 기포발생장치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Here, the dissolved water inlet is connected to a treatment water movement line, one end of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otation tank and moves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scum removal unit,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flotation tank to circulate water. Wow; A bubble generator dispos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for dissolving air in the treated water; A pressure vessel provided on a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floating tank; An air supply unit provided outside the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to supply air to the bubble generator; And a pump for pumping a portion of the treated water in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to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n a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상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복수의 관으로 형성된 본체관과; 일단은 개구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급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관의 후미에 배치되며, 측벽에 형성되어 기포를 생성하는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각 관통공에 밀착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부재를 갖는 기포생성부재를 포함한다.The bubble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tube form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long a water traveling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ly pipe of the air supply unit, the other end of which is closed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pipe, and formed on a side wall to generate bubbles,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through holes. It includes a bubble generating member having an airtight member.

상기 본체관은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1관, 제2관 및 제3관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관에는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관 및 제3관의 플랜지부 사이에는 가스켓 및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다.The main tube is separated into a first tube, a second tube and a third tube along the water running direction, and the first to third tubes are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second tube and the third tube. A gasket and a backflow preventing plate are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of the three pipes.

상기 역류방지판은 물의 이동방향에 대해 스테인레스스틸로 된 전면판 및 플라스틱 재질로 된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중앙영역에는 비교적 세밀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홀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한 쌍의 반달개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non-return plate includes a front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back plate made of plastic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water, and a plurality of relatively fine holes are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front plate, and the front plate has the front plate. A pair of half moon opening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er side of the hole formed in the board.

상기 부상조 내에 마련되어 상기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시키는 미세기포 부상부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comprises a micro-bubble flo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loating tank to float the micro-bubbles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상기 미세기포 부상부는, 상기 부상조 내의 일측벽에 배치되어 폐수와 혼합된 미세기포를 경사진 방향으로 쏘아 올리도록 경사면에 복수의 미세기포 배출공이 형성된 경사헤드부이며, 상기 미세기포 배출공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The microbubble floating portion is an inclined head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wall of the flotation tank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bubble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shoot microbubbles mixed with waste water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the microbubble discharge hole has a high The smaller the size is from the side toward the lower side.

상기 스컴제거부는, 구동모터와,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한 쌍의 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과; 일측 자유단이 상기 부상조를 향하도록 상기 체인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한 오물을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배치된 오물처리부로 걸러내는 복수의 오물제거바아를 포함한다.The scum removing unit includes a drive motor, a pair of ge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d by the drive motor; A chain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gears; One side fre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n in one direction so as to face the flotation tank, while moving along the chain to filter the dirt flo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tation vessel by a microbubble to the waste treatmen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otation vessel The interior includes a plurality of decontamination bar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를 처리하는 부상조(10)와, 공기가 용존된 용존수를 부상조(10) 내로 투입시켜 부상조(10) 내에서 미세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용존수투입부(50)와, 부상조(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10)의 상측으로 부상한 폐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스컴제거부(60)를 포함한다.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loating tank 10 for treating wastewater and the dissolved dissolved water into the floating tank 10 are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tank 10. Dissolved water input unit 50 for forming micro bubbles within the) and scum removal unit for filtering waste water that is provided on the floating tank 10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by the micro bubbles. (60).

부상조(10) 내에는 그 하단이 부상조(1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중간격벽(12a)과 제1중간격벽(12a)과 대응되게 배치된 제2중간격벽(12b)이 마련되어 있다. 부상조(10) 내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이들 제1 및 제2중간격벽(12a,12b)을 통해 도면상 부상조(10)의 우측 처리수이동라인(30)을 통해 이동된다.In the floating tank 10, the lower end thereof is spaced up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floating tank 1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artition 12b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termediate partition 12a and the first intermediate partition 12a. ) Is provided. The treated water treated in the floating tank 10 is moved through the right treatment water movement line 30 of the floating tank 10 in the drawing through thes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partitions 12a and 12b.

부상조(10)의 일측에는 후술할 스컴제거부(60)에 의해 걸러진 오물을 담는 오물처리부(20)가 마련되어 있으며, 부상조(10)의 타측에는 처리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처리수이동라인(30)이 마련되어 있다. 처리수이동라인(30)에는 처리수이동라인(30) 내의 물을 다른 곳으로 공급하기 위한 밸브(30a)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처리수는 처리수이동라인(30)을 통해 다른 곳으로 공급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소정의 분기밸브(30b)를 통해 처리수의 일부를 용존수투입부(50)에 재활용하고 있다.One side of the floatation tank 10 is provided with a waste treatment unit 20 containing dirt filtered by the scum removal unit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of the floatation tank 10 moves the treated water to move the treated water to another place. Line 30 is provided. The treatment water movement line 30 is provided with a valve 30a for supplying water in the treatment water movement line 30 to another place. Typically, the treated water is supplied to another place through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3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treated water is recycled to the dissolved water input unit 50 through a predetermined branch valve 30b.

부상조(10)의 일측에는 산업폐수 및 일반 오수를 부상조(1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유로(4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부상조(10) 내의 일측에는 부상조(10) 내로 용존수가 유입될 경우, 미세기포를 부상조(10)의 상측으로 부상시키는 기포 부상부가 마련되어 있다.One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is provided with a waste water flow passage 42 for introducing industrial wastewater and general sewage into the floating tank 10. And, one side in the floating tank 10 is provided with a bubble floating portion for floating the fine bubbles to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when dissolved water flows into the floating tank (10).

용존수투입부(50)는, 일단이 부상조(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스컴제거부(60)에 의해 오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이동시키는 처리수이동라인(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유로(42)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52)와, 순환유로(52)의 라인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처리수에 용존시키는 기포발생장치(70)와, 기포발생장치(70)와 폐수유로(42) 사이의 순환유로(52) 상에 마련되는 압력용기(66)와, 순환유로(52)의 라인 외측에 마련되어 기포발생장치(70)의 기포생성부재(72)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미도시)와, 기포발생장치(70)와 처리수이동라인(30) 사이의 순환유로(52) 상에 처리수이동라인(30) 내의 처리수 중 일부를 기포발생장치(70)로 펌핑하는 펌프(77)를 포함한다.Dissolved water input portion 50, one e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is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transfer line 30 for mov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scum removal unit 60 and the other end is a wastewater flow path A circulation passage 52 connected to 42 to circulate the treated water, a bubble generator 70 dispos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to dissolve air in the treated water, and a bubble generator 70; And the pressure vessel 66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52 between the wastewater passage 42 and the outside of the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to supply air to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of the bubble generator 70. A part of the treated water in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30 is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52 between the air supply unit (not shown) to supply and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70 and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30. A pump 77 pumping to 70).

기포발생장치(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52)의 라인상에 배치되며 순환유로(52)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일측에 공기공급부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본체관(71a~71c)과, 본체관(71a~71c) 내에 마련되는 기포생성부재(72)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bubble generator 70 is dispos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and supplies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from an air supply to one side. Main body tubes 71a to 71c and bubble generation members 72 provided in the main body tubes 71a to 71c.

본체관(71a~71c)은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1관(71a), 제2관(71b) 및 제3관(71c)으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관(71a~71c)에는 각각 플랜지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플랜지부(73)는 결합부재(74)에 의해 결합된다.The main tubes 71a to 71c are separated into a first tube 71a, a second tube 71b, and a third tube 71c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wat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this end, flange portions 73 are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pipes 71a to 71c, respectively, and these flange portions 73 are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74.

제2관(71b)과 제3관(71c)에도 역시, 결합부재(74)에 의해 결합가능한 플랜지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73) 사이에는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가스켓(75) 및 역류방지판(56)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 플랜지부(73) 사이에도 가스켓이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Also in the second pipe 71b and the third pipe 71c, a flange portion 73 which can be engaged by the coupling member 74 is also formed, an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73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ter gasket ( 75) and a non-return plate 56 is provided. Although not shown, a gasket is advantageously provided between these flange portions 73.

역류방지판(56)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이동방향에 대해 스테인레스스틸로 된 전면판(57)과, 플라스틱 재질로 된 후면판(58)으로 이루어진다. 전면판(57)의 중앙영역에는 비교적 세밀한 복수의 홀(57a)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판(58)에는 전면판(57)에 형성된 홀(57a)의 외측으로 한 쌍의 반달개구(5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판(57) 및 후면판(58)의 외측에는 결합부재(74)의 통과를 위한 복수의 관통공(58b)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non-return plate 56 includes a front plate 57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back plate 58 made of plastic. A plurality of relatively fine holes 57a ar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ront plate 57, and a pair of half moon openings 58a are formed outside the holes 57a formed in the front plate 57 in the rear plate 58. Is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58b) for the passage of the coupling member 74 on the outside of the front plate 57 and the back plate 58 is formed.

이에, 후술할 기포생성부재(72)에 의해 미세한 기포가 생성되면,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먼저, 전면판(57)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홀(57a)을 통해 빠져나간다. 그러나, 전면판(57)의 홀(57a)을 통해 빠져나간 기포를 후면판(58)의 중앙영역에 부딪히게 되어 다시 세밀하게 쪼개진 후, 그 일측에 형성된 반달개구(58a)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역류방지판(56)은 미세기포가 역류하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기포를 보다 작게 형성하는 하나의 방편이 된다.Thus, when a fine bubble is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to be described later, first exits through the hole 57a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ront plate 57 along the water traveling direction. However, the bubble escaped through the hole 57a of the front plate 57 hits the central region of the rear plate 58 and is split in detail,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half moon opening 58a formed at one side thereof. . Therefore, the non-return plate 56 serves to prevent the microbubbles from flowing backward and to form a smaller bubble.

제2관(71b) 내에 배치되는 기포생성부재(72)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72a)이 개구되어 공기공급부의 공급관(59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통상의 나사방식을 채용하고 있음), 타단(72b)은 폐쇄되어 제2관(71b)의 후단에 배치된다. 이 때, 기포생성부재(72)를 교환하고자 한다면, 제2관(71b) 및 제3관(71c)을 분리한 상태에서 기포생성부재(72)의 타단(72b)을 별도의 공구로 돌려 교환하면 된다.As shown in FIG. 3C,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disposed in the second pipe 71b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ly pipe 59a of the air supply part by opening one end 72a of the air tube (normal thread type). The other end 72b is closed and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2nd pipe 71b. At this time, i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is to be replaced, the other end 72b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is replaced with a separate tool while the second pipe 71b and the third pipe 71c are separated. Just do it.

기포생성부재(72)의 측벽에는 미세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72a)이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공(72a)에는 밴드(76a)에 의해 기밀부재(76)가 견고하게 둘러싸여져 있다. 기밀부재(76)는 기포생성부재(7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포의 생성 정도에 따라 그 개수를 적절하게 채택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2a ar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for generating micro bubbles, and each of the through holes 72a is tightly surrounded by a hermetic member 76 by a band 76a. have. The airtight member 76 is arrange | position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and the number can be suitably employ | adopt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degree of foam.

이에, 본체관(71a~71c) 내로는 계속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공기공급부의 공급관(59a)을 통해 공기가 기포생성부재(72)의 일측으로 강제 유입되면, 기포생성부재(72)의 타측이 폐쇄되어 있는 관계로, 공기는 기포생성부재(72)의 각 관통공(72a)을 통해 기밀부재(76)와 기포생성부재(72)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기포의 형태로 나오며(도 3c에 화살표로 도시), 본체관(71a~71c) 내로 흐르는 물에 용존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그 용존시간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공기가 용존된 용존수는 순환유로(52)를 따라 압력용기(66)를 통해 순환되어 부상조(10) 내에 투입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air is forced into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through the supply pipe 59a of the air supply unit while water continues to flow into the main body tubes 71a to 71c, the other 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In a closed relationship, the air emerges in the form of bubbles through a narrow space between the airtight member 76 and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through each through hole 72a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see FIG. 3C). Arrow) and dissolved in water flowing into the main body tubes 71a to 71c. Therefore, the dissolution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ssolved water in which air is dissolved is circulated through the pressure vessel 66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52 to be introduced into the flotation tank 10.

이처럼, 기포생성부재(72)에 의해 미세한 기포가 생성되어 역류방지판(56)을 통해 다시 세밀하게 기포가 부서진 상태에서 순환유로(52)를 따라 흐르는 용존수는 압력용기(66)에 도달한다.As such, the fin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and the dissolved water flowing along the circulation passage 52 reaches the pressure vessel 66 in a state where the bubbles are broken again through the backflow prevention plate 56. .

이 때, 압력용기(66)에 도달한 물에 용존된 기포는 압력용기(66)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일시 머물러야 하는 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압력용기(66)의 유입단(66a)의 인접영역에는 기포가 용존된 물이 출렁이지 않고 압력용기(66)의 내벽면을 따라 서서히 내려오도록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가이드(66c)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ubbles dissolved in the water reaching the pressure vessel 66 should temporarily stay in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essure vessel 66, as shown in Figure 4a, the inlet end of the pressure vessel 66 ( In the adjacent region of 66a),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guide 66c is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water so that the water in which the bubbles are dissolved does not slump and descends gradually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ressure vessel 66.

이러한 안내가이드(66c)에 의해 유입단(66a)으로 유입된 물은 안내가이드(66c)에 의해 양측으로 안내되면서 압력용기(66)의 내벽면을 타고 아래로 서서히 흐른 다음, 유출단(66b)을 통해 부상조(10) 내로 공급될 수 있다.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end 66a by the guide guide 66c gradually flows dow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ressure vessel 66 while being guided to both sides by the guide guide 66c, and then the outlet end 66b. Can be supplied into the flotation tank 10 through.

기포 부상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조(10) 내의 일측벽에 배치되어 폐수와 혼합된 미세기포를 경사진 방향으로 쏘아 올리도록 경사면(51b)에 복수의 미세기포 배출공(51c)이 형성된 경사헤드부(51a)로 마련하고 있다. 이 때, 경사면(51b)의 각도에 따라 미세기포가 부상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공(51c)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A, the bubble floating portion is disposed on one side wall in the floating tank 10 and a plurality of fine bubble discharge holes 51c on the inclined surface 51b so as to shoot the microbubbles mixed with the waste water in an inclined direction. ) Is formed by the inclined head portion 51a. At this time, the distance in which the fine bubbles ris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51b, the discharge hole 51c is formed smaller in size from the higher side to the lower side.

이는, 경사도가 높은 쪽에 배치된 미세기포는 수면으로 올라가는데 까지 적은 시간이 걸리고 경사도가 낮은 쪽에 배치된 미세기포는 수면으로 올라가는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바, 그 배출공(51c)의 크기를 달리 부여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microbubble disposed on the higher slope takes less time to rise to the surface and the microbubble disposed on the lower gradient takes much time to rise to the surface, and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51c is different. It is given.

이에, 순환유로(52)의 말단으로 유입된 용존수는 순환유로(52)의 말단에 형성된 하향배출공(52a)을 통해 경사헤드부(51a)의 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차오른 다음,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51c)을 통해 토출된다.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압부상에 의해 용존수 속의 공기는 미세기포의 형태로 상향부상하면서 폐수의 오물과 충돌되어 상측으로 부상하게 된다.Thus, the dissolved water introduced into th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is sequentially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inclined head portion 51a through the downward discharge hole 52a formed at th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and then of different sizes.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51c. In the process of discharge, the air in the dissolved water rises in the form of fine bubbles while colliding with the waste water waste and floating upward.

이처럼 부상조(10) 내에서 미세기포가 상측으로 부상하면 폐수 속의 오물이미세기포에 묻어 상측으로 떠오른다. 미세기포에 의해 상측으로 떠오른 오물은 스컴제거부(60)에 의해 오물처리부(20)로 옮겨진다.As such, when the micro bubbles rise to the upper side in the flotation tank 10, the dirt in the waste water is buried in the microbubbles and floats upward. The dirt floated upward by the microbubbles is transferred to the dirt treatment part 20 by the scum removal part 60.

스컴제거부(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배치되어 도시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61)와, 한 쌍의 기어(61)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6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A, the scum removing unit 60 is a pair of gears 61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d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 chain 62 that interconnects the pair of gears 61. ).

체인(62)에는 회전하는 체인(62)을 따라 이동하면서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조(10)의 상측으로 부상한 오물을 부상조(10)의 일측에 배치된 오물처리부(20)로 걸러내는 한편 체인(62)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오물제거바아(63)가 마련되어 있다.While moving along the rotating chain 62, the chain 62 filters the dirt floa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by the microbubbles to the waste disposal unit 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tank 10. A plurality of dirt removal bars 63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n 62 in one direction.

종래의 오물제거바아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그 노출단이 항상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오물제거바아(63)가 체인(6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체인(62)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Conventional dirt removal bars are not shown, but their exposed ends have always been radially outwar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t removal bar 6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n 62 while not rota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hain 62.

이를 위해, 오물제거바아(63)는 체인(62)에 회동핀(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오물제거바아(63)의 측면과 체인(62) 사이에는 체인(62)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오물제거바아(63)가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회전방지턱(65)이 마련되어 있다.To this end, the dirt removal bar 6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n 62 by a pivot pin 64, and rotation of the chain 62 between the side of the dirt removal bar 63 and the chain 62.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jaw 65 which prevents the dirt removal bar 63 from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provided.

이러한 회동핀(64)과 역회전방지턱(65)에 의해 복수의 오물제거바아(63)는 그 노출단이 항상 부상조(10)를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줄이고, 수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게 된다.Due to the pivot pin 64 and the reverse rotation prevention jaw 65, the plurality of dirt removal bars 63 may have their exposed ends always facing the float 10. Therefore, unnecessary power loss can be reduced, and the scale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an be made compact.

도 6a와 같이, 오물제거바아(63)가 밸트(62)의 아랫부분에 배치되어 오물을 제거한 후, 밸트(62)를 따라 이동하여 밸트(62)의 윗부분으로 위치 이동할 경우, 오물제거바아(63)의 표면에 묻은 물기의 표면장력이 중력보다 낮다면 다시 부상조(10) 내로 낙하하게 되는데, 종래의 수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물기가 낙하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부상조(10) 내의 물에 요동을 많이 일으킬 수밖에 없다.As shown in Figure 6a, the dirt removal bar 63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62 to remove the dirt, and then moved along the belt 62 and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lt 62, the dirt removal bar ( If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buried on the surface of 63) is lower than the gravity, it falls back to the floatation tank 10.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water drop is relatively large so that the water in the flotation vessel 10 falls. Inevitably cause a lot of shaking.

그러나, 본 고안의 수처리장치에서 채용하고 있는 오물제거바아(63)는 항상 수지 하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오물제거바아(63)에 달라붙은 물기가 낙하하더라도 그 낙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부상조(10) 내의 물에 요동이 심하게 일어나지 않아 오물제거바아(63)에 의해 오물을 걸러 내는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However, since the dirt removal bar 63 employ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faces downward of resin, even if water adhered to the dirt removal bar 63 falls, the drop distance is short, so that the water fall within the flotation tank 10 may be reduced. Fluctuations in the water does not occur bad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filtering the dirt by the dirt removal bar (63) does not decrease.

또한, 종래의 오물제거바아는 부상조(10) 내의 물로 입수할 경우, 그 입수 면적이 넓어져 역시, 부상조(10) 내의 물에 요동을 심하게 일으키게 되었으나, 본 고안의 수처리장치에서 채용하고 있는 오물제거바아(63)는 그 단부만이 입수하는 형태를 취하므로 입수 면적이 종래에 비해 현격하게 작아진다. 따라서, 부상조(10) 내의 물이 요동하는 최대로 저지하여 오물을 걸러 내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waste removal bar is obtained with water in the floatation tank 10, its area of inflow becomes wider, and it causes severe fluctuations in the water in the floatation vessel 10, but it is employ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t removal bar 63 has a form in which only its end is obtained, so that the area of acquisition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prior 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ltering the dirt by preventing the water in the floating tank 10 to swing to the maximum.

스컴제거부(60)에 의해 걸러지는 오물이 오물처리부(20)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부상조(10)와 오물처리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영역을 일정하게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order to allow the waste filtered by the scum removal unit 60 to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waste disposal unit 20, the area connecting the floating tank 10 and the waste disposal unit 20 may be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to form.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관(71a~71c) 내로는 계속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공기공급부의 공급관(59a)을 통해 공기가 기포생성부재(72)의 일측으로 강제 유입되면, 기포생성부재(72)의 타측이 폐쇄되어 있는 관계로, 공기는 기포생성부재(72)의 각 관통공(72a)을 통해 기밀부재(76)와 기포생성부재(72)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기포의 형태로 나오며(도 3c에 화살표로 도시), 본체관(71a~71c) 내로 흐르는 물에 용존되어 순환유로(52)를 따라 압력용기(66)를 통해 순환되어 부상조(10) 내에 투입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if air is forced into one 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through the supply pipe 59a of the air supply unit while water continues to flow into the main body tubes 71a to 71c,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is formed. Since the other side of the air is closed, the air comes out in the form of bubbles through a narrow space between the airtight member 76 and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through each through hole 72a of the bubble generating member 72 ( 3c), dissolved in water flowing into the body pipes 71a to 71c, and circulated through the pressure vessel 66 along the circulation flow path 52 to be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tank 10. As shown in FIG.

압력용기(66)에 도달한 용존수는 압력용기(66)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일시 머물러야 하는데, 압력용기(66) 내에는 안내가이드(66c)가 마련되어 있어, 출렁이지 않고 압력용기(66)의 내벽면을 따라 서서히 내려와 다시 순환유로(52)를 통해 부상조(10)로 공급된다.Dissolved water reaching the pressure vessel 66 should be temporarily maintained in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essure vessel 66. In the pressure vessel 66, a guide guide 66c is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vessel 66 is not swung. It is gradually lower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ack and is supplied to the flotation tank 10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52).

순환유로(52)의 말단으로 유입된 용존수는 순환유로(52)의 말단에 형성된 하향배출공(52a)을 통해 경사헤드부(51a)의 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차오른 다음,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51c)을 통해 토출된다.Dissolved water introduced into th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is sequentially filled from the bottom of the inclined head portion 51a through a downward discharge hole 52a formed at the end of the circulation passage 52, and then discharge holes having different sizes. It is discharged through 51c.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압부상에 의해 용존수 속의 공기는 미세기포의 형태로 폐수의 오물과 충돌되어 상측으로 부상하게 되며, 부상된 후에는 스컴제거부(60)의 오물제거바아(63)에 의해 일측의 오물처리부(20)로 옮겨진다.In the discharge process, air in the dissolved water collides with the waste water in the form of microbubbles and floats upward. After the injury, the air in the dissolved water is lifted by one of the scum removing bars 63 of the scum removing unit 60. Is transferred to the waste treatment unit 20.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용존시간 및 용존에 소요되는 압력을 현격하게 줄여 부상조(10) 내에서의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간편한 구조 및 방법으로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issolution time and pressure required for dissolution are significantly reduced as in the prior art, while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lotation tank 10 is increased, while a large amount is available in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By allowing air to be dissolved, the siz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made compact.

또한, 오물제거바아(63)의 노출단이 항상 부상조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줄이고, 수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물제거바아(63)에 묻은 물기가 부상조 내로 낙하한다 할지라도 그 낙하 거리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부상조(10) 내의 물에 요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조(10) 내로 입수하는 오물제거바아(63)의 입수 면적을 줄임으로써 부상조(10) 내의 물에 요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저지하여 오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posed end of the dirt removal bar 63 always faces the flotation tank, unnecessary power loss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made compact. And, even if the water on the dirt removal bar 63 falls into the flotation tank, the fall distance is reduced, so that not only the shaking in the water in the flotation tank 10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severely, but also into the flotation tank 10. By reducing the acquisition area of the dirt removal bar 63 to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in the floating tank 10 to occur badly and to increase the dirt removal efficiency.

이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부상조(10)가 상측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부상조(10)의 형상은 기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loating tank 10 has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floating tank 10 may be made of other shapes.

전술한 실시예의 도 4a에 도시된 압력용기(66) 외에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66') 내에 물배출공(67')이 형성된 물저장통(67)을 마련한 상태에서 유입단(66a')은 물저장통(67)에 연결하고, 유출단(66b')은 압력용기(66')와 물저장통(67)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여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이, 일단 물저장통(67) 내에 유입되어 서서히 차오른 다음, 물배출공(67')을 통해 압력용기(66') 내로 배출된 후, 유출단(66b')을 통해 부상조(10)로 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pressure vessel 66 shown in Figure 4a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b, inlet in the state provided with a water reservoir 67 formed with a water discharge hole 67 'in the pressure vessel 66' The stage 66a 'is connected to the water reservoir 67, and the outlet 66b'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ssure vessel 66 'and the water reservoir 67 so that the water in which the microbubbles are dissolved is once water.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67 and slowly filled up,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pressure vessel 66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67', and then directed to the flotation tank 10 through the outlet end 66b '. . This is illustrated by the arrow.

전술한 실시예의 도 5a 외에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헤드부(51a)내에 별도의 물통과공(51e)이 형성된 가로격판(51d)을 더 형성하여, 순환유로(52)의 물이 가로격판(51d)의 물통과공(51e)을 통해 배출공(51c)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때, 가로격판(51d)의 상측에는 폐수가 유입되는 관(53)이 마련된다.In addition to FIG. 5A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B,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51d having a separate water passage hole 51e is further formed in the inclined head portion 51a to form water in the circulation flow path 52. It may be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51c) through the water through hole (51e) of the horizontal plate (51d). At this time,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51d is provided with a pipe 53 through which wastewater flows.

전술한 실시예의 도 1에 보면 기포 부상부가 경사헤드부(51a)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포 부상부는 부상조(10) 내의 저부에 길게 배치된 막대 형상의 부상바아로 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FIG. 1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bubble floating part is made into the inclined head part 51a. However, the bubble floating portion may be a rod-shaped floating bar disposed long at the bottom in the floating tank 10.

전술한 실시예의 도 6a에 보면 오물제거바아(63)가 직선의 막대기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오물제거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제거바아(63')는 체인(62)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하고, 그 끝단(63a')이 수직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오물제거바아(63)의 끝단(63a', 이를 자유단이라고도 설명함)을 항상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기술은 전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6A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dirt removal bar 63 has a straight rod shape.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irt removal, as shown in FIG. 6B, the dirt removal bar 63 ′ is advantageously disposed at an angle to the chain 62 so that the end 63 a ′ is vertical. .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always facing the end (63a ', also referred to as a free end) of the dirt removal bar 63 will be able to employ a variety of method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존수가 폐수에 합쳐진 상태에서 부상조(10) 내로 투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는 폐수유로(42)를 통해 부상조(10) 내로 유입되고, 용존수는 폐수유로(42)와는 다른 별도의 라인(42a)을 통해 부상조(1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solv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lotation tank 10 in a state in which the dissolved water is combined, but as shown in FIG. 7,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flotation tank 10 through the wastewater flow passage 42 and is dissolved. The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lotation tank 10 through a separate line 42a from the wastewater channel 4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폐수 속의 오물 중량이 많이 나갈 경우에는 미세기포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물은 부상조(10) 내의 하부로 가라앉게 되는데, 부상조(10) 내의 하부에 스크루부재를 마련하고 부상조(10)의 하단 일측에는 별도의 걸름통을 마련함으로써 하부로 가라앉은 오물은 스크루에 의해 걸러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and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weight of the waste in the waste water is large, it may not rise upward due to the microbubbles. Such dirt is sinked to the lower part in the floating tank 10, by providing a screw member on the lower part in the floating tank 10, the lower part of the floating tank 10 by providing a separate filter bin, You might be able to filter it out with a screw.

또한, 부상조(10)의 제2중간격벽(12b) 상부에 별도의 필터 및 걸름망을 더 마련한다면 스컴제거부(60)와 더불어 2차적으로 오물을 걸러내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f a separate filter and filter net is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intermediate partition 12b of the floating tank 10, the scum removing unit 60 may provide the effect of filtering out the secondary soi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용존시간 및 용존에 소요되는 압력을 현격하게 줄여 부상조 내에서의 폐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간편한 구조 및 방법으로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리장치의 규모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도록 한 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issolution time and the pressure required for the dissolu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lotation tank, and by using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provided that enables the air to be dissolved so that the size of the treatment apparatus can be made compact.

또한, 오물제거바아에 묻은 물기가 부상조 내로 낙하한다 할지라도 그 낙하 거리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부상조 내의 물에 요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조 내로 입수하는 오물제거바아의 입수 면적을 줄임으로써 부상조 내의 물에 요동이 심하게 일어나는 것을 저지하여 오물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water adhered to the decontamination bar falls into the flotation tank, the falling distance is reduced, which prevents severe fluctuations in the water in the flotation tank. Reducing it can prevent excessive fluctuations in the water in the flotation tank,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removal of dirt.

Claims (8)

폐수를 처리하는 부상조와;A flotation tank for treating waste water; 공기를 물에 용존시키는 용존시간과 공기압력을 최대로 줄이면서 비교적 많은 량의 공기를 용존시켜 용존수를 상기 부상조 내로 투입시킴으로써 상기 부상조 내에서 미세기포를 형성시키기 위한 용존수투입부와;A dissolved water input unit for forming a microbubble in the floating tank by dissol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ir while maximizing the dissolution time and air pressure for dissolving air in the water and introducing the dissolved water into the floating tank; 상기 부상조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한 폐수의 오물을 걸러내는 스컴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nd a scum removal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tank to filter out wastewater from the waste water floating above the floating tank by the microbubb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존수투입부는,The dissolved water injection portion, 일단이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컴제거부에 의해 오물이 걸러진 처리수를 이동시키는 처리수이동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부상조에 배치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유로와;A circulation passag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treatment water moving lin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oating tank and moving the treated water filtered by the scum removing unit,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the floating tank to circulate water;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처리수에 용존시키는 기포발생장치와;A bubble generator dispos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for dissolving air in the treated water; 상기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부상조 사이의 순환유로 상에 마련되는 압력용기와;A pressure vessel provided on a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floating tank;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포발생장치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An air supply unit provided outside the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to supply air to the bubble generator; 상기 기포발생장치와 상기 처리수이동라인 사이의 순환유로 상에 상기 처리수이동라인 내의 처리수 중 일부를 상기 기포발생장치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nd a pump for pumping a part of the treated water in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to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on a circulation passage between the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the treated water moving lin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포발생장치는,The bubble generator, 상기 순환유로의 라인상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유로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 및 결합되는 복수의 관으로 형성된 본체관과;A main body tube disposed on a line of the circulation passage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irculation passage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tubes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lo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ter; 일단은 개구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급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상기 본체관의 후미에 배치되며, 측벽에 형성되어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각 관통공에 밀착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밀부재를 갖는 기포생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e end of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ly pipe of the air supply uni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losed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pipe, formed on the side wall to generate micro-bubbles, and at least tightly coupled to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bubble generating member having one hermetic memb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본체관은 물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1관, 제2관 및 제3관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관에는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The main body pipe is separated into a first pipe, a second pipe and a third pipe along the water traveling direction, the first to third pipes are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fastened, 상기 제2관 및 제3관의 플랜지부 사이에는 가스켓 및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Gasket and backflow prevention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of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역류방지판은 물의 이동방향에 대해 스테인레스스틸로 된 전면판 및 플라스틱 재질로 된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중앙영역에는 비교적 세밀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홀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한 쌍의 반달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non-return plate includes a front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back plate made of plastic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water, and a plurality of relatively fine holes are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front plate, and the front plate has the front plate. A wat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lf moon opening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utside of the hole formed in the pl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부상조 내에 마련되어 상기 미세기포를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시키는 미세기포 부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And a microbubble floater provided in the floatation tank to float the microbubbles above the floatation tank.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미세기포 부상부는, 상기 부상조 내의 일측벽에 배치되어 폐수와 혼합된 미세기포를 경사진 방향으로 쏘아 올리도록 경사면에 복수의 미세기포 배출공이 형성된 경사헤드부이며, 상기 미세기포 배출공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The microbubble floating portion is an inclined head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wall of the flotation tank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bubble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shoot microbubbles mixed with waste water in an inclined direction, and the microbubble discharge hole has a high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formed smaller from the side toward the lower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컴제거부는,The scum removing unit, 구동모터와,Drive motor, 상호 이격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기어와;A pair of ge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rotated by the drive motor; 상기 한 쌍의 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과;A chain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gears; 일측 자유단이 상기 부상조를 향하도록 상기 체인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미세기포에 의해 상기 부상조의 상측으로 부상한 오물을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배치된 오물처리부로 걸러내는 복수의 오물제거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One side fre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hain in one direction so as to face the flotation tank, while moving along the chain to filter the dirt flo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otation vessel by a microbubble to the waste treatment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lotation vessel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dirt removal bar.
KR20-2002-0035908U 2002-12-02 2002-12-02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KR2003057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08U KR200305730Y1 (en) 2002-12-02 2002-12-02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08U KR200305730Y1 (en) 2002-12-02 2002-12-02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732A Division KR100506037B1 (en) 2002-12-02 2002-12-02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730Y1 true KR200305730Y1 (en) 2003-03-03

Family

ID=4940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908U KR200305730Y1 (en) 2002-12-02 2002-12-02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73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8413A (en) Ecological fluidized bed system
US6517724B1 (en) Air charged backwashing bioclarifier
KR100512089B1 (en) High speed and high efficiency aerator
KR101281514B1 (en) A pressure float type pollute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microbubble unit and slanted plate sturcture
EP1331984A1 (en) Gas dissolving apparatus and method
RU143767U1 (en) INSTALLATION FOR COMPREHENSIVE CLEANING OF DRINKING WATER
US6821426B1 (en) Process for treating a body of water
KR100992827B1 (en) Cleaning system for waste-water purifier
KR100762885B1 (en) High speed aerator of slim type having multiple mixing stages
KR100862367B1 (en) Plant for wastewater treatment by pfr
KR101842450B1 (en) Continuous circulating wastewater reusing system using ceramic membrane
US7101483B2 (en) Process for treating a body of water
KR100506037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KR101774488B1 (en) Settling and floating sludge removal equipmen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JP2007136378A (en) Septic tank
KR200305730Y1 (e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RU1836301C (en) Installation for waste-water-cleaning
ES2227435T3 (en) METHOD AND DEVICE FOR ANEROBIAL PURIFICATION OF A SUSPENSION CONTAINING ORGANIC CONSTITUENTS.
KR101204395B1 (en) The apparatus to treat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JP4374885B2 (en) Membrane separator
JP4819841B2 (en) Membrane separator
KR101181800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o treat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KR10113403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olluted wat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KR20120138025A (en) Floatation apparatus
KR100228571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