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712Y1 - 휴대용 공구 걸이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구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712Y1
KR200304712Y1 KR20-2002-0035079U KR20020035079U KR200304712Y1 KR 200304712 Y1 KR200304712 Y1 KR 200304712Y1 KR 20020035079 U KR20020035079 U KR 20020035079U KR 200304712 Y1 KR200304712 Y1 KR 200304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rtion
present
portable tool
too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선
Original Assignee
오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선 filed Critical 오광선
Priority to KR20-2002-0035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75Port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동안 사용해도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벨트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공구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양측 후면부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설형성된 4개의 체결부(21)(22)(23)(24)와; 중앙 상단 정면에 돌설된 제1걸이부(30)와; 상기 제1걸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핀(60)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된 제2걸이부(40) 및 제3걸이부(50)를 갖는 몸체(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구 걸이구{PORTABLE SECTION OF WORKS HANGER TOOL}
본 고안은 주로 목수들이 사용하는 망치나 줄자 등과 같은 공구를 허리에 휴대하고 작업할 수 있는 휴대용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벨트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작업 중 걸이구의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용절감 효과와재질을 철재로 형성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공구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수들과 같이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자주 사용하는 공구를 허리에 휴대하여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공구를 허리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걸 수 있는 걸이수단이 이용되는 바, 종래 걸이수단으로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각목을 양측에 위치시키고, 이 각목들의 둘레를 천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포설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만는 후, 일명 군용벨트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주머니 형상의 걸이구의 상부를 걸어 주머니 내부에 망치나 줄자 등과 같은 공구를 넣어 휴대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천과 각목으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이 자주 훼손되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 내부에 수용된 공구들이 자주 밖으로 빠져 나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작업에 집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죽 등과 같이 천 보다 소재가 질긴 소재를 이용하여 망치나 줄자 등을 걸 수 있는 걸이공을 다수개 형성된 걸이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천과 각목으로 구성된 걸이수단에 비해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작업자의 허리에 차는 벨트와 걸이수단과의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자주 걸이수단이 벨트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작업도중 걸이수단이 못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다소 역부족이다.
이외에도 공구를 걸어 허리에 휴대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이 제공되고는 있으나, 그다지 큰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걸이수단의 장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고, 벨트와의 결합력이 견고한 공구걸이구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구를 허리에 휴대하고 작업할 수 있는 걸이수단들이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동안 사용해도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벨트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공구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신호봉걸이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망치걸이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1,22,23,24 : 체결부
30 : 제1걸이부 40 : 제2걸이부
50 : 제3걸이부 60 : 힌지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양측 후면부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설형성된 4개의 체결부와, 중앙 상단 정면에 돌설된 제1걸이부와, 상기 제1걸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2걸이부 및 제3걸이부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고, 4개의 체결부에 의해 벨트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 작업 도중 걸이구가 벨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걸이부와 제3걸이부가 힌지결합되어 있어 거치된 공구가 자유로이 회동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를 설명함에 있어,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중 목수를 예로하여 설명하는 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목수 이외에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모두 사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의 일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구걸이구(100)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양측단 후면부에 돌설된 4개의 체결부(21)(22)(23)(24)와,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단 정면에 돌설된 제1걸이부(30)와, 상기 제1걸이부(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몸체(10)의 정면부에 힌지결합된 제2걸이부(40) 및 제3걸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질이 견고한 철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체결부(21)(22)(23)(24)와 제1걸이부(30)는, 몸체(10)의 일부분을 적당한 크기로 3방향으로 절단한 후, 절단 부위를 상기 몸체의 후면측과 정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B)와 결합되는 체결부(21)(22)(23)(24)가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벨트(B)와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100)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벨트(일명:군용벨트)를 상기 몸체(10)의 후면부에 돌설된 4개의 체결부(21)(22)(23)(24)의 내측에 밀어 넣고, 망치를 이용하여 상기 4개의 체결부의 외측을 타격하거나 또는 프라이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4개의 체결부를 몸체(10)측으로 절곡시켜, 벨트(B)가 상기 몸체(10)의 후면부와 밀접되도록 하면, 상기 4개의 체결부(21)(22)(23)(24)들이 벨트(B)의 외측부와 밀접되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몸체(10)가 벨트(B)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제2걸이부(40)와 제3걸이부(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60)들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정면부에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걸이부와 제3걸이부에 예컨대, 신호봉이나 망치등을 걸어 작업할 경우, 신호봉이나 망치 등이 작업자의 작업활동에 따라 자유로이 유동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신체에 걸리지 않아 작업자들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걸이부(30)에는 예컨대, 줄자 등과 같이 별도의 걸이끈이 구성된 작업공구를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목수 이외에 다른 작업자들도 필요에 따라 사용함이 가능하며, 상기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 및 제3걸이부의 형상은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거치되는 공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휴대용 공구걸이구는,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구를 거치하여 허리에 용이하게 휴대하고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구들이 거치된 몸체와 벨트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작업도중 벨트로부터 걸이수단이 분리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사용하여도 훼손되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Claims (2)

  1. 양측 후면부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설형성된 4개의 체결부(21)(22)(23)(24)와;
    중앙 상단 정면에 돌설된 제1걸이부(30)와;
    상기 제1걸이부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핀(60)에 의해 각각 힌지결합된 제2걸이부(40) 및 제3걸이부(50)를 갖는 몸체(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구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재질이 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구걸이구.
KR20-2002-0035079U 2002-11-23 2002-11-23 휴대용 공구 걸이구 KR200304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79U KR200304712Y1 (ko) 2002-11-23 2002-11-23 휴대용 공구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79U KR200304712Y1 (ko) 2002-11-23 2002-11-23 휴대용 공구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712Y1 true KR200304712Y1 (ko) 2003-02-19

Family

ID=4940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079U KR200304712Y1 (ko) 2002-11-23 2002-11-23 휴대용 공구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7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140B1 (ko) * 2019-06-12 2020-03-27 김경환 작업용 연장걸이대
KR20200000982U (ko) 2018-11-08 2020-05-18 양현석 망치용 거치대
KR20220145510A (ko) 2021-04-22 2022-10-31 서금희 공구 결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82U (ko) 2018-11-08 2020-05-18 양현석 망치용 거치대
KR102094140B1 (ko) * 2019-06-12 2020-03-27 김경환 작업용 연장걸이대
KR20220145510A (ko) 2021-04-22 2022-10-31 서금희 공구 결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468A (en) Tool holder
US10531724B2 (en) Belt clip for power tool
US5687892A (en) Belt mounted tool hanger
US7434688B2 (en) Portable toolbox
US4821933A (en) Leather tape rule holder
US6193119B1 (en) Tool holder
US6679404B2 (en) Tool-toting device for connection to a belt
US4300708A (en) Drywall taper's tool carrier and combinations therewith
KR200304712Y1 (ko) 휴대용 공구 걸이구
US5992716A (en) Tool securement device
US2867363A (en) Saw scabbard
US3212688A (en) Tool holder
KR200350504Y1 (ko) 공구 걸이구
US1364829A (en) Combination-tool
US4506924A (en) Rock lifting device
NO20010380L (no) Skj¶rhode for verktöymaskiner
KR20200000982U (ko) 망치용 거치대
US2722251A (en) Nail holding attachment for hammers
US4951532A (en) Toe-in tool
ITMI952335A1 (it) Inserto per foratura con punta da centri per un utensile perforatore cavo
KR200497327Y1 (ko) 스크류벨트용 공구걸이구
JP2588586Y2 (ja) 鋸等の鞘
KR200324222Y1 (ko) 수공구 걸이구
JP4372887B2 (ja) 腰袋
KR20200061608A (ko) 공구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