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430Y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430Y1
KR200304430Y1 KR20-2002-0033232U KR20020033232U KR200304430Y1 KR 200304430 Y1 KR200304430 Y1 KR 200304430Y1 KR 20020033232 U KR20020033232 U KR 20020033232U KR 200304430 Y1 KR200304430 Y1 KR 200304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display monitor
terminal
purpos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해 김
Original Assignee
종 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009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443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종 해 김 filed Critical 종 해 김
Priority to KR20-2002-0033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확장시켜 압축 데이터로 통신시간을 단축하여 통신요금을 절약하면서 핸드폰등의 단말기로 VOD나 인터넷이나 GPS등의 기능을 별도의 비교적 대형 모니터로 구현하고 핸즈프리 교신 기능과 단말기 충전 기능과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TV 시청 가능을 겸용으로 구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The multipuropose display monitor system apparatus for a mobli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비교적 대형 모니터로 휴대폰등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과 GPS 지도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아울러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기 기능과 핸즈프리 조작 기능과 디지털 카메라 촬영 및 송수신기능과 TV 방송 수신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종래의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이므로 모니터(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소형이고 제한적이므로 적은 모니터로 VOD나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이나 GPS 지도 검색등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으로 VOD 서비스나 게임이나 인터넷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나 기기의 크기 제한등으로 인터넷이나 VOD나 게임등을 위한 메모리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 문제를 해소함으로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노트북 컴퓨터의 기능을 경량의 기기로 대신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장치의 개발은 휴대폰과 노트북 컴퓨터를 함께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해소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하는 밧데리 충전기 거치대는 밧데리 충전 기능뿐이므로, 단말기를 핸즈프리로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통화시에는 충전기에서 분리하여 통화하고 다시 꽂아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를 직접 장착하고 촬영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폰이 개발된 바 있으나, 휴대폰 기기의 크기 제한으로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거나 저장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지 아내한 휴대폰에는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가 필요했다.
또한,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니터가 소형이고 기기의 크기제한적이므로 TV방송 수신과 라디오 방송수신과 MP3기능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밧데리 충전기에 별도의 모니터와 송수화기장치와 디지털 카메라와 키패드를 부설하여 단말기를 거치할 시 충전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충전기 거치대에 부설된 비교적 대형 모니터와 송수화기를 통하여 휴대폰 고유의 기능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인터넷 운영 및 GPS 지도 검색 기능과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범용으로 구현하는 시스템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시스템 장치 블록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응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동통신 단말기 12 : 연결수단
13 : 거치대의 모니터 수단 14 : 거치대의 스피커 수단
15 : 거치대의 TV 수신장치 16 : 거치대의 마이크 수단
17 : 밧데리 충전 수단 18 : 키패드 수단
19 : 카메라 20 : 메모리 수단
21 : 전원 공급 수단 22 : 거치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시스템 장치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를 응용한 응용사시도이다.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말기 연결수단(12)으로 단말기와 접속하여 단말기의 액정 모니터 기능을 구현하는 모니터 수단(13)과, 단말기의 송수화기 기능을 구현하는 스피커 수단(14)과, 마이크 수단(16)과, 위 모니터 수단(13)과, 스피커 수단(14)으로 TV 수신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TV 수신장치(15)와, 위의 각 기능을 제어하여,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구현하는 키패드 수단(18)과, 단말기의 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장치(17)와, 디지털 카메라 수단(19)과, 휴대폰의 메모리용량을 증가시키는 확장 메모리 수단(20)과, 위의 각 수단과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21)과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22)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와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1)를 거치대(22)에 거치하면 연결수단(12)으로 단말기의 모니터 기능과 송수화기능과 밧데리 충전기능이 거치대의 모니터 수단(13)과 스피커 수단(14)과 마이크 수단(16)과 충전기 수단(17)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의 밧데리를 충전함과 동시에 단말기의 모니터나 송수화기로 구현하고자 하는 바를 거치대의 모니터 수단(13)과, 스피커 수단(14)과, 마이크 수단(16)으로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거치대에 보조 메모리 수단(20)과 키패드 수단(18)을 부가하면 핸드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인터넷이나 VOD나 GPS 기능을 위한 메모리 용량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거치대의 키패드로 단말기의 키패드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게 되는 것이므로 거치된 단말기 대신에 거치대의 키패드 수단(18)으로 단말기의 각 기능을 구현하고 핸드폰 등 단말기로 구현하는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이나 GPS 지도 검색등을 거치대의 키패드 수단과 대형 모니터 수단(13)으로 구현 하는 것이며, 거치대는 AC 전원을 사용하거나 자동차의 DC 전원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 거치대(22)에 TV 수신장치를 부가할 시 거치대의 모니터 수단(13)과 스피커 수단(14)으로 TV 수신이 가능한 것이며 이 기술은 기존의 TV 수신기 기술을 원용한다. 또한 휴대폰의 통신기능으로 수신하여 보조 메모리 수단(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신호처리 하는 수단을 부가하게 되면 VOD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며, 거치대에 라디오 수신장치나 MP3 장치를 부가할시에는 라디오 수신과 MP3 이용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단말기와 거치대 간의 연결수단(12)를 IR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구성하게 되면 유선 연결짹 대신 IR 신호로 단말기와 거치대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22)의 키패드 수단(18)으로 조작하면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핸즈프리로 조작이 가능해 지는 것이며 이 기능을 기존의 이 분야 기술을 원용한다.
또한, 전원 공급 수단(19)을 밧데리 팩으로 구성할 시에는 AC 전원이나 자동차의 DC 전원이 없더라도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시스템장치를 휴대용으로 제작할 시 휴대폰을 이용하여 대형화면으로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이나 VOD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2와 도3은 본 고안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시스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를 소형으로 축소한 노트북 형태로 구성하며, 모니터 수단(13)을 뚜껑으로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 핸드폰 거치대와 스피커 수단(14)과 마이크 수단(16)과 키패드 수단(18)과 디지털 카메라 수단(19)과 TV 수신장치(15)와 전원 공급수단(21)으로 구성한다.
전원 공급 수단은 밧데리 팩과 외부 전원 공급장치와 핸드폰과 밧데리 팩에 대한 충전기 장치로 구성된다.
다지털 카메라 수단(19)은 도2-1에서 상세 기재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뚜껑의 반대편 바닥면의 일단에 눕혀 거치하며 카메라를 사용하고자 할 시 세운후 회전시켜 사용하므로서 카메라의 렌즈를 보호하고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다.
또한, 도-3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장치를 거치형 모니터로 일체화시켜, 키패드의 기능을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도록 구성할시에는 휴대폰과 연결하는 외부의 모니터 만으로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운용과 VOD 및 GPS 지도 검색과, TV 방송수신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거치용 GPS와 핸즈프리를 겸용으로 구현할 시에는 유용한 장치와 기술을 제공한다.
위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를 모니터의 상부나 좌우측 상단에 설치하고 pop-up 방식으로 내장하면 촬영할 시에는 돌출시킨 후 회전시켜 목표물을 정조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 장치는 핸드폰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휴대폰의 메모리 용량을 확장시키고 압축 데이터의 수신과 저장으로 통신요금을 절감하면서 대형 모니터에 의한 인터넷 검색기능이나 게임이나 VOD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기능과 핸즈프리 기능과 TV 수신기 기능이나 라디오 수신기능이나 MP3 운용까지 겸용으로 구현하는 유용한 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Claims (16)

  1. 휴대폰이나 PDA등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1) 단말기에 의하여 송수신 하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외부에 연결하여 현출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수단과;
    (2)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음성 신호를 외부에 연결하여 재생하는 송수화기 수단과;
    (3) 위의 각 수단과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접속하는 연결수단과;
    (4) 위의 각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수단과;
    (5)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휴대폰등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운용이나 게임이나 GPS 지도 검색등의 기능을 겸용으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TV 방송수신장치나, 라디오 수신장치나 MP3 장치를 부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수단을 부가 구성하여 영상의 촬영과 영상데이터의 저장 또는송수신 기능을 부가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자동차의 DC 전원 공급 수단으로 구성하여 자동차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별도의 밧데리 팩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전력공급없이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공급 수단의 입력을 AC 단자로 구성하고 단말기 밧데리 충전장치를 부가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연결수단을 IR 통신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키패드 수단을 부가하여 부가한 키패드 수단으로 모니터수단과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 수단(Data storage device)을 부가하여 핸드폰등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저장 수단의 용량을 보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휴대폰등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하여 데이터 저장 수단에 저장한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는 신호처리장치를 부가하여 게임이나 VOD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를 모니터부와 시스템 지원부로 분리된 노트북 형태로 구성하고,
    (ⅰ) 노트북형의 상부 뚜껑을 모니터부로 구성하고, (ⅱ) 노트북형의 하부를 시스템의 지원부로 구성하여 시스템 지원부에 단말기 거치대와, 단말기와 시스템부간의 연결 수단과, 키패드 수단과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시스템 지원부에 TV 방송수신장치나, 라디오 수신장치나, 보조 데이터 저장장치나, MP3장치나, 디지털 카메라를 부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시스템 지원부에 부가 구성함에 있어서 시스템부의 바닥에 눕혀 거치하도록 구성하고, 촬영시에 바닥에서 세워 촬영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바닥에 눕혀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촬영하고자 할 시 세운 후, 카메라 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모니터부 뚜껑의 상단이나 또는 좌단 혹는 우단의 가장자리에 POP-UP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모니터부 뚜껑에 내장시켜 보관하며, 사용시에는 돌출시켜 촬영하는 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뚜껑부의 좌측 또는 우측단에 Pop-up 형태로 구성하고 Pop-up으로 돌출시킨 후 카메라를 회전시켜 목표물을 촬영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 시스템 장치
KR20-2002-0033232U 2002-11-06 2002-11-0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KR200304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32U KR200304430Y1 (ko) 2002-11-06 2002-11-0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32U KR200304430Y1 (ko) 2002-11-06 2002-11-0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430Y1 true KR200304430Y1 (ko) 2003-02-15

Family

ID=4940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232U KR200304430Y1 (ko) 2002-11-06 2002-11-0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4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93B1 (ko) * 2005-06-30 2007-03-09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도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운용 방법
WO2013191332A1 (ko) * 2012-06-19 2013-12-27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에서의 스마트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46652B1 (ko) * 2015-09-11 2017-06-13 주식회사 토비스 휴대폰 충전이 가능한 게임 조작패널 및 이를 구비한 게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93B1 (ko) * 2005-06-30 2007-03-09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도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운용 방법
WO2013191332A1 (ko) * 2012-06-19 2013-12-27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에서의 스마트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46652B1 (ko) * 2015-09-11 2017-06-13 주식회사 토비스 휴대폰 충전이 가능한 게임 조작패널 및 이를 구비한 게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0289A1 (en) Detachable large display unit for cell phones
US7783321B2 (en) Cell phone device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308810B (zh) 采用便携式通信终端的电视电话系统
US833587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80040917A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팩 겸용 충전 거치대
CN201379112Y (zh) 无线电子通讯多媒体头盔
US20020181189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 small display panel
KR100703408B1 (ko) 가로 거치 겸용 세로 거치 유형 충전 거치대
US8918140B2 (en) Portable audio/video playback apparatus
KR20140082154A (ko) 휴대단말기 거치기능을 가진 확장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조장치
US7366550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JP2000139032A (ja) 充電器
KR200304430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목적 디스플레이 모니터시스템 장치
JP4538434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01341167Y (zh) 无线电子通讯多媒体眼镜
KR200423544Y1 (ko) 다기능 dmb폰 지지대
WO2020010947A1 (zh) 终端设备
CN208890847U (zh) 移动终端
US20090059511A1 (en) Dock station and mini-projector being mutually integrated
JP2003029872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3074054U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6011901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공유 방법
CN209390168U (zh) 移动终端、移动终端组合件和壳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25

Effective date: 2005120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07

Effective date: 200610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21

Effective date: 2007012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