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202Y1 - 형광등 기구 - Google Patents

형광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202Y1
KR200304202Y1 KR20-2002-0028022U KR20020028022U KR200304202Y1 KR 200304202 Y1 KR200304202 Y1 KR 200304202Y1 KR 20020028022 U KR20020028022 U KR 20020028022U KR 200304202 Y1 KR200304202 Y1 KR 200304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uorescent lamp
ballast
present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조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선 filed Critical 조용선
Priority to KR20-2002-0028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정기 등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와 본체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가져오며, 미려한 외관에 의해 형광등 기구의 부가가치를 증감할 수 있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안정기(13)가 구비되며 바닥부(11) 외측면에는 형광등(16)이 상기 안정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형광등의 양측 끝단에는 탈착구(17)(17)가 각각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면적보다 적은 크기(21)의 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본체의 바닥부가 접합되어 나사결합된 테두리부재(20)와; 중공된 내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성된 탈착구에 내측면부 양측단이 끼움결합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광등 기구{FLUORESCENCE LAMP}
본 고안은 실내의 주로 천정 등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빛에 의해 실내조명으로 사용되는 형광등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작업이 용이하고, 형광등의 교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기에서 발생된 열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안정기의 수명연장을 유도하는 조명등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조명수단으로 설치되는 형광등 기구는, 내부에 안정기와 형광등 및 스타트램프 등이 전기적으로 구성되고, 한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한면에 위치되고 볼트 또는 기타의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에 결합된 투 시창과, 상기 투시창과 본체의 가장자리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부재는 투시창으로부터 조사되는 형광등빛이 실내로 퍼질 수 있도록 중앙부가 넓게 통공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형광등 기구는, 본체의 내부에 구성된 형광등을 교체할 경우 투시창과 본체와를 분리해야 하는 바, 상기 투시창과 본체간이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볼트를 풀고 난 이후, 마감부재와 투시창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형광등을 교체하는 작업이 난애하고, 특히 형광등 기구가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볼트 등을 풀고 형광등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로 가정에서 일하는 가정주부들이나 또는 노인들의 경우엔 형광등을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형광등 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먼저 안정기와 형광등 및 스타트램프 등이 전기적으로 내부에 구성된 본체를 천정면에 앙카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투시창을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개방부에 위치하고 다시 중앙부가 넓게 통공된 마감부재를 가장자리에 덧대어 상기 본체와 투시창 및 마감부재를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하여야 하는 바, 대개의 형광등 기구가 장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적어도 한명 이상 필요로 하여 인건비에 따른 시공비용의 증감을 가져온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광등 기구는 안정기와 형광등 등이 모두 본체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안정기 등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투시창이 틀어지거나 또는 형광등이 자주 고장나는 요인이 된다.
근자들어서는 상기 본체 내부에 중간부재를 더 구성하여 안정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중간부재에 고정클립등을 이용하여 형광등을 결합하는 것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중간부재에 의해 가격상승요인이 되고, 특히 안정기가 중간부재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놓이게 되어 안정기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기가 더욱 힘들어 안정기의 잦은 고장원인이 된다.
한편, 형광등의 교체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등 기구가 안출되고 있다.
그 한예로 형광등과 안정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양측으로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에 끼워지는 커버로 이루어진 형광등 기구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 경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성된 끼움부재에 양측부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비교적 커버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커버가 양측의 끼움부재 중 어느 하나의 끼움부재로부터 이탈될 경우엔, 그대로 낙하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등에 항상 노출되는 위험부담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정기와 형광등이 모두 본체의 내측에 구성되어 있고, 이 안정기와 형광등은 커버와 이 커버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끼움부재들에 의해 막힌 공간에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되어 안정기와 형광등의 고장률이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단순한 실내 조명 기능이외에 실내의 인테리어효과 까지도 요구하는 형광등 기구를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할 때, 종래 형광등 기구는 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형광등 기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정기 등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와 본체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가져오며, 미려한 외관에 의해 형광등 기구의 부가가치를 증감할 수 있는 형광등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저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일부생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바닥부
12 : 측면 13 : 안정기
14 : 통기공 15 : 고정바
16 : 형광등 17 : 탈착구
20 : 테두리부재 21 : 구멍
30 : 커버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는, 실내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실내 조명으로 사용되는 형광등 기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안정기가 구비되며 바닥부 외측면에는 형광등이 상기 안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형광등의 양측 끝단에는 탈착구가 각각 구성된본체와, 상기 본체의 면적보다 적은 크기의 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본체의 바닥부가 접합되어 나사결합된 테두리부재와, 중공된 내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양극에 구성된 탈착구에 양측단의 내측면부가 끼움구성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부를 제외한 측면들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고정바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는. 천정에 형광등 기구를 설치함에 있어 테두리부재를 먼저 본체의 바닥부에 접합하여 나사 결합한 후, 이 테두리부재가 결합된 본체를 천정등에 고정바를 이용하여 설치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커버가 본체의 바닥부 외면 양측단에 구비된 탈착구에 의해 본체로부터 쉽게 탈착되기 때문에 형광등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의 바닥부와 결합된 테두리부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할 경우, 조명기능 이외에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까지도 연출할 수 있음에 따라 형광등 기구의 부가가치가 상승된다.
이하,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형광등 기구의 저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바닥부(11)가 결합된 테두리부재(20)와 상기 테두리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1)의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본체(10)에 끼움 구성되는 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4개의 측면(12)들과 이 측면(12)들에 의해 연결된 바닥부(11)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부(11)의 내측에는 안정기(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측면(12)들에는 본체(10)이 내측에 구비된 안정기(13)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기공(14)들이 더 통공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를 천정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바(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 바닥부(11)의 외면에는 상기 안정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광등(16)이 구성되고, 이 형광등(16)의 양측단으로는 스프링에 의해 힌지회동 및 복원되는 탈착구(17)가 더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재(20)는, 중앙에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구멍(21)은, 상기 본체(10)의 바닥부(11)의 넓이보다 적은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에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30)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본체의 바닥부 외면에 구성된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조광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를 결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면(12)들과 바닥부(11)를 갖는 본체(10)의 내측에 안정기(13)와 고정바(15)를 결합하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부(11) 외면 양측 끝단에 탈착구(17)(17)을 각각 결합한 후, 이 탈착구(17)(17)들의 사이에 형광등(16)을 안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본체(10)의 바닥부(11)를 테두리부재(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21)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부(11)의 가장자리가 구멍(21)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한 다음,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와 테두리부재(2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부재(20)와 본체(10)의 바닥부(11)를 결합하면 상기 본체(10)의 바닥부(11) 외면에 구성된 형광등(16)과 탈착구(17)(17)들은 상기 테두리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1)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테두리부재(20)를 결합한 후, 본체(10)의 내측에 구성된 고정바(15)를 이용하여 본체(10)를 천정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천정에 고정된 본체(10)와 결합된 상기 테두리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1)에 커버(30)를 위치시킨 후, 이 커버(30)를 본체(10)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본체(10)의 바닥부(11) 외면 양측단에 구성된 탈착구(17)(17)들에 의해 커버(30)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부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테두리부재(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2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탈착구(1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힌지결합되어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회동 및 복원이 가능한 것으로,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천정에 설치된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는, 하나의 본체로 안정기와 형광등을 분리하여 구비하고, 또한 안정기가 구성된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통기공들을 형성함으로써 안정기에서 발산되는 열이 통기공을 통해 쉽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형광등과 안정기의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형광등이 구성될 수 있도록 본체와, 이 본체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재를 크게 구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하여 형성할 경우, 보다 넓은 범위의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테두리부재의 다양한 형상에 의해 형광등 기구 자체의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형광등의 수량과 본체의 크기 및 이 본체에 결합되는 테두리부재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형광등 기구에 의하면, 조명기능 이외에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기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커버가 본체로부터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함에 따라 주부들이나 노인들도 쉽게 형광등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실내 조명으로 사용되는 형광등 기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안정기(13)가 구비되며 바닥부(11) 외측면에는 형광등(16)이 상기 안정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형광등의 양측 끝단에는 탈착구(17)(17)가 각각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면적보다 적은 크기(21)의 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본체의 바닥부가 접합되어 나사결합된 테두리부재(20)와;
    중공된 내부를 갖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성된 탈착구에 내측면부 양측단이 끼움결합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부를 제외한 측면들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고정바(1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기구.
KR20-2002-0028022U 2002-09-17 2002-09-17 형광등 기구 KR200304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022U KR200304202Y1 (ko) 2002-09-17 2002-09-17 형광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022U KR200304202Y1 (ko) 2002-09-17 2002-09-17 형광등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202Y1 true KR200304202Y1 (ko) 2003-02-19

Family

ID=4940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022U KR200304202Y1 (ko) 2002-09-17 2002-09-17 형광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464B1 (ko)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KR200383314Y1 (ko) 천정 등기구
CA2906013C (en) Led architectural luminair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KR200304202Y1 (ko) 형광등 기구
KR20120107598A (ko) 엘이디 조명등
KR102045904B1 (ko) 천장 밀착형 led 등기구
KR200417659Y1 (ko) 조명기구용 케이스 구조
KR200387742Y1 (ko) 조명등
KR200369986Y1 (ko) 조립식 전등갓
KR200310384Y1 (ko) 천정등기구
KR20180093328A (ko) 엘이디 조명등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KR200314186Y1 (ko) 형광등 기구의 기밀구조
KR200248707Y1 (ko) 조명기구
US5446636A (en) Light fixture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KR200245411Y1 (ko) 형광등 기구
KR200367356Y1 (ko) 형광램프용 투광커버
KR102673245B1 (ko) 조명등의 등커버 장착장치
KR20190055369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KR102413626B1 (ko) 천장등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12512Y1 (ko) 천정 등기구 장식테
KR200421532Y1 (ko) 조명기구의 케이스
CN207610094U (zh) 一种容易拆装的防眩光led灯盘
US20020176256A1 (en) Lighting fixture
KR200298344Y1 (ko)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판 탈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