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427Y1 -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427Y1
KR200302427Y1 KR20-2002-0033539U KR20020033539U KR200302427Y1 KR 200302427 Y1 KR200302427 Y1 KR 200302427Y1 KR 20020033539 U KR20020033539 U KR 20020033539U KR 200302427 Y1 KR200302427 Y1 KR 200302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erra
central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인환경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3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427Y1/ko
Priority to CNB021566275A priority patent/CN1253671C/zh
Priority to US10/321,599 priority patent/US66379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427Y1/ko
Priority to JP2003288023A priority patent/JP3865069B2/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테라볼(2)은 하나의 중앙연결부(20)와, 이 중앙연결부(20)의 양단부에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 사면연결부(40)로 이루어진 6개의 단위부재(10)가 서로 수직하게 힌지.결합되어서, 6면의 중앙결합면과,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12개의 사면결합면을 갖게 되어 조립식 구조물의 구축시, 여러 종류의 부재를 18방향의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서 다양한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Connector For Construct}
본 고안은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구조물의 구축시, 여러 종류의 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이라 함은, 다수의 부재(예 : 트러스)를 상호 결합하여서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및 조형물 등과 같은 분해 조립식의 구조물을 구축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물은 대개의 경우, 가볍고 견고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조립식 구조물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유지결정된 등록번호 제234930호(출원번호 : 20-2001-0007933호, 출원일자 : 2001.03.22일) 내지는 등록번호 제234977호(출원번호 : 20-2001-0009461호, 출원일자 : 2001.04.04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재가 연결되는 사각형 내지는 구형의 커넥터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는 6방향(X,-X, Y,-Y,Z,-Z)에 대해서만 결합면이 형성되어서, 이에 연결되는 소정의 부재가 직각방향으로만 결합되어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6개의 단위부재로서 하나의 커넥터를 형성하고, 이 커넥터에 소정의 부재를 여러 방향 즉, 18방향에서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을 이루는 단위부재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을 이루는 단위부재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와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의 단위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을 이루는 단위부재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리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에 예시적인 연결커넥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에 예시적인 연결커넥터가 결합된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테라볼 10 : 단위부재
20 : 중앙연결부 22,42 : 보스부
24,44 : 결합공 24a,44a : 확장공
26,46 : 비드부 28 : 원형돌부
30 : 힌지부 32 : 나사공
34 : 마감탭홀 40 : 사면연결부
40a : 만곡부 48 : 원호돌부
50 : 힌지부 52 : 삽입공
54 : 확장공 60,200 : 체결볼트
100 : 연결커넥터 110 : 베이스부
112 : 안착부 114 : 요홈
116 : 결합공 118 : 돌출부120 : 결합부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는, 그 일단에 다른 트러스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중공형 결합부를 갖고, 타단에는 그 중심부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되며, 외주연부에는 45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요홈과 안착부를 갖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진 연결커넥터가 결합.고정되도록 된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넥터의 결합공에 대응한 결합공을 갖는 보스부가 그 일면의 중앙부로 돌출.형성되고, 그 양측단에는 나사공을 갖는 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연결부와; 이 중앙연결부의 힌지부와 이격된 중앙연결부의 또 다른 양측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중앙부에 연결커넥터의 결합공에 대응한 결합공을 갖는 보스부가 중앙연결부의 보스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복수개의 힌지부가 중앙연결부의 힌지부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사면연결부;로 이루어진 6개의 단위부재가 서로 수직하게 힌지.결합되어서 18면의 결합면을 갖는 하나의 테라볼을 구성하여서, 조립식 구조물의 구축시, 여러 종류의 부재를 18방향의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 다양한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테라볼(2)(Terra Ball, 일명 "구형커넥터"라고도 칭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테라볼"로 통칭함)은 3개의 결합면을 갖는 6개의 단위부재(10)가 서로 수직하게 힌지.결합되어서 구성된다.
상기한 단위부재(10)는 또 다시 하나의 중앙연결부(20)와, 두개의 사면연결부(40)로 이루어지되, 이 사면연결부(40)는 중앙연결부(20)의 양측단부에 대략 45도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는, 그 일면에 소정의 부재가 결합되도록 단차진 홈이 요설되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결합공(24)(44)을 갖는 보스부(22)(42)가 타면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중앙연결부(20)의 또 다른 양측면상에는 나사공(32)이 천공되어 있는 힌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힌지부(30)에 대응한 사면연결부(40)의 일단부상에는 체결볼트(60)가 삽입되는 삽입공(52)이 천공되어 있는 복수개의 힌지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보스부(22)(42)의 결합공(24)(44) 일단 즉, 테라볼(2)의 중심에 근접한 일단부와,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힌지부(50)의 삽입공(52) 일단 즉, 외측단부에는, 결합공(24)(44)과 삽입공(52)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공(24a)(44a)(54)이 형성되어서, 그 내부로 체결볼트(200)(60)의 머리부를 완전히 수용하여, 테라볼(2)의 내부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한다.
이때, 상기한 체결볼트(60)는 그 머리부가 원기둥형상을 갖는 렌치볼트(Wrench Bolt)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중앙연결부(20)의 확장공(24a)은, 체결볼트(200)의 둥근머리는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너트(미도시)는 회전불가하게 삽입되도록 된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너트가 통상적으로 육각단면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한 확장공(24a)도 육각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사면연결부(40)의 확장공(44a)은 원형단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테라볼(2)간의 결합시, 일측 테라볼의 확장공(24a)에는 체결볼트(200)가 삽입되고, 반대편 테라볼의 확장공(24a)에는 너트(미도시)가 회전불가하게 삽입.고정되어서 결합되되, 이때 상기한 체결볼트(200)를 확장공(24a)내에 회전불가하게 삽입된 너트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의 보스부(22)(42) 외주면과, 이 보스부(22)(42) 반대편의 연결부(20)(40) 타면상에는 단위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된 수직한 다수의 비드부(26)(46)가 형성된다.
상기한 비드부(26)(46)는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대략 "+"자 형상을 이루며, 단위부재(10)의 강성보강 이외에도 후술되는 연결커넥터(100)의 결합시, 이 연결커넥터(100)의 위치를 가고정시켜 결합을 용이케 한다.
또한, 비드부(26)(46)의 외측단에는 그 내부로 다수의 비드부(26)(46)를 모두 수용하는 원형돌부(28)와, 원호돌부(48)가 각각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의 타면 즉, 외측면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원형돌부(28)와, 원호돌부(48)는 상기한 비드부(26)(46)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즉, 비드부(26)(46)와 더불어서 단위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하고, 연결커넥터(100)의 결합시, 고정하기 전의 연결커넥터(100)를 단위부재(10)상에 가고정시켜 결합을 용이케 한다.
특히, 상기한 비드부(26)(46)는 연결커넥터(100)를 단위부재(10)상에 위치 고정시킴이 주된 역할이고, 원형돌부(28) 및 원호돌부(48)는 위치 고정된 연결커넥터(100)의 유동을 방지시킴이 주된 역할이다.
또한, 상기한 중앙연결부(20)의 모서리부에는 조립식 구조물의 마감재 즉, 유리나 아크릴판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마감탭홀(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사면연결부(40)의 양측단은 그 중앙부의 보스부(42)측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서 함몰된 만곡부(40a)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 등이 테라볼(2)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테라볼(2)에 연결되는 연결커넥터(100)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연결커넥터(100)를 통해서 기타 다른 부재들이 테라볼(2)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10"은 연결커넥터(100)의 베이스부를 도시한 것이고, "112"는 테라볼(2)의 원형돌부(28) 내지는 원호돌부(48)상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도시한 것이며, "114"는 테라볼(2)의 비드부(26)(46)에 삽입되어 가고정되는 요홈을 도시한 것이고, "116"은 베이스부(1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을 도시한 것이며, "118"은 안착부(112)의 일측에 이 안착부(112)보다 높게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 돌출부를 도시한 것이고, "120"은 다른 소정의 부재를 조인트부재로서 연결커넥터(100)상에 결합하도록 된 중공의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여기서, 상기한 돌출부(118)는 테라볼(2)의 연결부(20)(40)상에 형성된 원형돌부(28) 및 원호돌부(48)의 내주면에 내접되어서, 테라볼(2)상에서 연결커넥터(100)의 유동이 방지된다.또한, 첨부도면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요홈(114)을 도시한 것이지만, 이 요홈(114)이 돌출부(118)상에서 돌출부(118)의 두께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임을 감안하면, 상기한 돌출부(118)가 원형돌부(28) 및 원호돌부(48)상에 내접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테라볼(2)은, 하나의 중앙연결부(20)와, 이 중앙연결부(20)의 양측단에 일체로 성형된 두개의 사면연결부(40)로 이루어진 6개의 단위부재(10)를 서로 수직하게 힌지시켜 결합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단위부재(10)의 중앙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된 일측의 힌지부(30)에 다른 단위부재(10)의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일측 힌지부(50)를 일치되게 맞춘다.
그리고, 사면연결부(40)의 힌지부(50)에 천공된 확장공(54)과 삽입공(52)에 체결볼트(60)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면서 이 체결볼트(60)를 중앙연결부(20)의 힌지부(30)에 천공된 나사공(32)에 나사 체결시켜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한 체결볼트(60)는 렌치볼트로서, 그 머리부가 사면연결부(40)의 확장공(54)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테라볼(2)의 내부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준이 된 단위부재(10)의 중앙연결부(20)의 타측 힌지부(30)에 또 다른 단위부재(10)의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일측의 힌지부(50)를 위와 같이 연결하여 결합시킨다.
따라서, 나머지 단위부재(10)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힌지.결합시키면, 6개의 중앙연결부(20)와, 12개의 사면연결부(40)를 갖는 하나의 테라볼(2)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테라볼(2)에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커넥터(100)의 결합시는 연결커넥터(100)의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요홈(114)을 테라볼(2)의 중앙연결부(20) 내지는 사면연결부(40)의 비드부(26)(46)상에 삽입시키면서 베이스부(110)의 안착부(112)를 원형돌부(28) 내지는 원호돌부(48)상에 안착시켜 구비하면, 연결커넥터(100)의 돌출부(118)가 원형돌부(28) 내지는 원호돌부(48)상에 내접되어 지지됨으로써, 연결커넥터(100)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테라볼(2)상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가고정되어 구비된다.
이후, 상기한 중앙연결부(20) 내지는 사면연결부(40)의 확장공(24a)(44a)과 결합공(24)(44)에 체결볼트(20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면서 연결커넥터(100)의 결합공(116)에 나사 체결하여 결합.고정시키고, 연결커넥터(100)의 결합부(120)에 조인트부재를 매개로 다수의 부재를 결합시켜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한 확장공(24a)(44a)은, 체결볼트(200)의 둥근머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서, 체결볼트(20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테라볼(2)간의 연결시는, 일측 테라볼의 확장공(24a)에는 체결볼트(200)가 구비되고, 타측 테라볼의 확장공(24a)에는 너트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한 너트는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공(24a)내에 회전불가하게 삽입.고정되어서, 체결볼트(200)의 체결을 용이케 한다.
따라서, 상기한 테라볼(2)은 6개의 중앙연결부(20) 이외에도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12개의 사면연결부(40)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 사면연결부(40)의 만곡부(40a)에 의해서 테라볼(2)내로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 및 전구류 등과 같은 기타 부품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해서 구조물의 골조를 완성한 후에, 구조물상에 유리나 아크릴판 등과 같은 마감재를 설치할 때에는 테라볼(2)의 중앙연결부(20)상에 형성된 마감탭홀(34)에 마감재를 볼팅하여 구조물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은 하나의 정면과 두개의 사면을 갖는 6개의 단위부재가 서로 수직하게 힌지.결합되어서, 6면의 중앙결합면과,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12개의 사면결합면을 갖는 테라볼이 구성되어서, 조립식 구조물의 구축시, 여러 종류의 부재를 18방향의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서 다양한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테라볼을 이루는 부품 즉, 단위부재와 볼트의 수가 절감되어서, 테라볼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헬리코일과 만곡부에 의해서 견고한 체결력을 갖음과 아울러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7)

  1. 그 일단에 다른 트러스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중공형 결합부(120)를 갖고, 타단에는 그 중심부에 관통된 결합공(116)이 형성되며, 외주연부에는 45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요홈(114)과 안착부(112)를 갖는 베이스부(110)로 이루어진 연결커넥터(100)가 결합.고정되도록 된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넥터(100)의 결합공(116)에 대응한 결합공(24)을 갖는 보스부(22)가 그 일면의 중앙부로 돌출.형성되고, 그 양측단에는 나사공(32)을 갖는 힌지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중앙연결부(20)와; 이 중앙연결부(20)의 힌지부(30)와 이격된 중앙연결부(20)의 또 다른 양측단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중앙부에 연결커넥터(100)의 결합공(116)에 대응한 결합공(44)을 갖는 보스부(42)가 중앙연결부(20)의 보스부(22)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그 일단부에는 체결볼트(60)가 삽입되는 삽입공(52)을 갖는 복수개의 힌지부(50)가 중앙연결부(20)의 힌지부(30)에 대응되게 일체로 형성된 사면연결부(40);로 이루어진 6개의 단위부재(10)가 서로 수직하게 힌지.결합되어서 18면의 결합면을 갖는 하나의 테라볼(2)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보스부(22)(42) 외주면과, 보스부(22)(42) 반대편의 연결부(20)(40)상에는 단위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연결커넥터(100)의 요홈(114)에 삽입되어서 이 연결커넥터(100)를 테라볼(2)상에 위치 고정시키도록 된 수직한 다수의 비드부(26)(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22)(42) 반대편의 중앙연결부(20)와,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비드부(26)(46)의 외측단에는 비드부(26)(46)와 더불어서 단위부재(10)의 강성을 보강함과 아울러 연결커넥터(100)의 안착부(112)가 안착되면서 그 내주면에 돌출부(118)가 내접하여 연결커넥터(1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원형돌부(28)와, 원호돌부(48)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20)의 모서리부에는 마감재를 볼팅으로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마감탭홀(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볼(2)의 중심에 근접한 보스부(22)(42)의 결합공(24)(44) 일단부와, 사면연결부(40)에 형성된 힌지부(50)의 삽입공(52) 외측단부에는, 체결볼트(200)(60)의 둥근머리부를 그 내부로 수용하여서, 테라볼(2)의 내부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도록 된 확장공(24a)(44a)(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부(20)에 형성된 확장공(24a)은, 체결볼트(200)의 둥근머리부는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너트는 회전불가하게 삽입되도록 된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연결부(40)의 양측단은 그 중앙부의 보스부(42)측으로 완만하게 만곡.함몰되어서, 작업자의 손이나 작업공구가 테라볼(2)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한 만곡부(40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KR20-2002-0033539U 2002-11-09 2002-11-09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KR200302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39U KR200302427Y1 (ko) 2002-11-09 2002-11-09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CNB021566275A CN1253671C (zh) 2002-11-09 2002-12-17 用于预制结构的连接器
US10/321,599 US6637970B1 (en) 2002-11-09 2002-12-18 Connector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JP2003288023A JP3865069B2 (ja) 2002-11-09 2003-08-06 組立式構造物用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39U KR200302427Y1 (ko) 2002-11-09 2002-11-09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427Y1 true KR200302427Y1 (ko) 2003-02-05

Family

ID=4939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39U KR200302427Y1 (ko) 2002-11-09 2002-11-09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60B2 (en) Construction panel interconnection system
HU216516B (hu) Csatlakoztató vasalás
JP2009138478A (ja) Rc柱の補強方法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JP3865069B2 (ja) 組立式構造物用コネクタ
KR200302427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볼
JPH11210720A (ja) 管体接続部材、管体骨組建造物の骨組工法
KR200234977Y1 (ko) 트러스 구조물
KR20100004725U (ko)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KR100428425B1 (ko) 트러스 구조물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20030242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JP2004257111A (ja) ユニットハウス構造
KR20050082325A (ko) 스페이스 프레임 트러스
KR200337831Y1 (ko) 조립식 패널 연결용 화스너
KR200250676Y1 (ko)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KR200232470Y1 (ko) 가구 패널용 결합구
KR20020089951A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326217Y1 (ko) 조립식 구조물
KR200313104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옥타링크
KR20230034593A (ko) 천막 설치용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체
KR200296554Y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RU2190733C1 (ru) Уз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несущих панелей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оболочки
GB2391279A (en) Panel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