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73Y1 -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73Y1
KR200302273Y1 KR20-2002-0032929U KR20020032929U KR200302273Y1 KR 200302273 Y1 KR200302273 Y1 KR 200302273Y1 KR 20020032929 U KR20020032929 U KR 20020032929U KR 200302273 Y1 KR200302273 Y1 KR 200302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lime
rotating cylinder
hydration
tank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준호
손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32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ceramics; glass; br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4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 G01N5/045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removing a component, e.g. by evaporation, and weighing the remainder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Abstract

본 고안은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화처리기술이나 시멘트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생석회의 수화율 측정을 일련의 연속적인 자동공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석회의 수화율을 정확하고 손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는, 수조(200)와, 내부에 생석회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에 투입 및 이탈가능하게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수공(310)을 가진 생석회 회전통(300)을 구비한다. 상기 생석회 회전통은 회전지지수단(40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승강수단(500)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수조에 대한 생석회 회전통의 투입 및 이탈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스윙수단(600)에 의해 좌우로 선회됨에 따라 승강수단을 기준으로 생석회 회전통의 좌우선회가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생석회 회전통의 수화반응 전후의 중량은 중량측정수단(700)에 의해 측정된다.

Description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THE RATIO OF HYDRATION OF UNCOMBINED LIME}
본 고안은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무게의 생석회를 수조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수화반응시키고 그 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화율을 측정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석회 수화율을 정확하고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회공정에서 석회를 소성하여 생석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량의 생석회에 물을 가하면 수화반응으로 발생하는 수산화칼슘에 의해 소석회가 되는데 소석회로 반응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처리된 소석회는 배출되어 지고 소성이 안된 석회석만 남게 되고 이때 배출된 소석회와 남은 석회석의 량으로 수화율을 측정한다.
고품질의 생석회를 얻기 위한 조건으로 생석회의 수화율은 매우 중요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수화율의 측정을 수작업으로 원통에 생석회를 넣고 물을 가하여 수화율을 측정하였으므로 수화반응에 대한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고품질의 생석회를 생산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고화처리기술이나 시멘트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생석회의 수화율 측정을 일련의 연속적인 자동공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석회의 수화율을 정확하고 손쉽게 측정할 수 있고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생석회 수화율 표준화에 따른 생석회의 소성도를 표준화할 수 있으며 이에 고품질의 생석회를 생산하는 공정에 제공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은 수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생석회 회전통이 회전지지수단에 지지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회전지지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승강수단의 상세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승강수단과 스윙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 및 일부 평면도이다.
도 7은 제어반의 상부에 설치된 중량측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수화반응 전후의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을 중량측정수단에 의하여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수조, 300 : 생석회 회전통,
310 : 투수공, 400 : 회전지지수단,
410 : 회전축, 420 : 슬리브,
430, 540, 610 : 모터, 442 : 에어실린더,
440 : 클램프, 500 : 승강수단,
510 : 회전지주, 520 : 수직가이드 레일,
520 : 수화율, 530 : 리드스크류,
550 : 승강브래킷, 552 : 이송너트,
556 : 지지아암, 600 : 스윙수단,
630, 740 : 리미트 스위치, 700 : 중량측정수단,
710 : 계량테이블, 720 : 로드셀,
730 : 쇽 업소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는, 수조와; 내부에 생석회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에 투입 및 이탈가능하게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수공을 가진 생석회 회전통과; 상기 생석회 회전통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지지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수조에 대한 생석회 회전통의 투입 및 이탈을 제어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승강수단을 기준으로 생석회 회전통의 좌우선회를 제어하는 스윙수단과; 그리고, 상기 생석회 회전통을 안착시켜 그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지지되어 전동수단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 일측에 지지되어 에어실린더를 통해 생석회 회전통의 상단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다수의 클램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한 쌍의 수직가이드 레일,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주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이송너트를 통해 결합된 채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들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 회전지지수단의 슬리브와 연결되는 지지아암이 형성된 승강브래킷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윙수단은 전동수단을 통해 회전지주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중량측정수단은, 생석회 회전통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계량테이블과, 상기 계량테이블에 안착되는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계량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량측정수단은 상기 생석회 회전통의 안착시 생석회 회전통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계량테이블에 설치되는 쇽 업소버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 및 스윙수단에 의한 생석회 회전통의 위치제어는 리미트 스위치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에 따르면, 생석회가 수용된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을 중량측정수단에 의해 측정한 다음, 승강수단에 의해 회전지지수단을 하강시켜 생석회 회전통을 회전지지수단에 지지시킨 후 다시 승강수단에 의해 회전지지수단을 상승시키고, 스윙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생석회 회전통이 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승강수단의 구동으로 생석회 회전통을 수조에 투입시킨다. 이 수조에 투입된 생석회 회전통을 회전지지수단에 의해 회전시켜 생석회를 수화반응시킨 다음 다시 승강수단에 의해 회전지지수단을 상승시켜 수조의 상부로 생석회 회전통을 이탈시킨 후, 상기한 것과는 반대로 생석회 회전통을 중량측정수단에 안착시켜 수화반응이 완료된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생석회의 수화반응 전후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는, 수조(200)와, 상기 수조(200)에 대하여 투입 및 이탈되는 생석회 회전통(300)과,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지지수단(400)과, 상기 회전지지수단(400)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수단(500)과,상기 승강수단(500)을 좌우선회시키는 스윙수단(600)과, 그리고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00)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외주면 일측이 하부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110), 예컨대 사각파이프에 용접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조(200)의 상부 일측에는 수조(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수단으로서의 급수파이프(2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파이프(210)에는 급수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생석회 수화율 측정과정중에 수조(200)의 내주면에 부착된 잔류 생석회 가루 등을 씻어 낼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급수파이프(210)의 출구단은 수조(200)의 상단부 내주면 쪽으로 설치된 다수의 살수노즐(23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20)는 수조(2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40)의 신호와 연동하여 그 개폐조작이 제어된다. 또한, 수조(200)에는 수조(200) 내의 물의 온도 및 수화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250)가 설치되며, 이 온도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온도는 제어반(800)의 컨트롤패널(810)상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에 표시될 수 있다.
수조(200)의 하단부의 직경은 아래로 갈수록 점감하고, 수조(200)의 최하단부에는 배수파이프(260)가 연결되고, 이 배수파이프(260)에 배수밸브(270)가 개재됨으로써 수화반응후 수조(200) 내부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2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석회 회전통(300)은 내부에 생석회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수조(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조(200)에 대하여 투입 및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생석회가 수용된 생석회 회전통(300)이 수조(200)에 투입된 경우 수조(200) 내부의 물이 공급되어 내부의 생석회가 수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생석회 회전통(300)의 측벽 및 바닥부에는 다수의 투수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지지수단(400)은 수화반응의 효율을 고려하여 수조(200)에 투입된 생석회 회전통(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생석회를 교반하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수화반응 전후의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석회 회전통(30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수단(400)은, 회전축(410)과,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리브(420)와, 상기 슬리브(4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동수단(434)을 통해 상기 회전축(410)을 회전시키는 모터(430)와, 그리고 상기 회전축(410)의 하단부 일측에 지지되어 에어실린더(442)를 통해 생석회 회전통(300)의 상단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다수의 클램프(440)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440) 및 에어실린더(442)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0)의 하단부 일측에 부착된 지지브래킷(4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클램프(440)에 의한 생석회 회전통(30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조(200)의 상단에는 외향플랜지(3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어실린더(442)로의 에어의 공급을 위해, 회전축(410)은 중공을 가지며, 이 중공을 통해 회전축(410)의 상부로부터 에어실린더(442)쪽으로 에어공급관로(미도시)가 설치되면 회전축(410)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예컨대, 회전축(410)의 상단에 터블 타입의 로터리 커플러(446)가 설치되고 이 로터리 커플러(446)와 에어실린더(442)간에 에어공급관로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430)는 슬리브(420)의 외주면 일측에 부착된 지지브래킷(432)에 지지되며, 모터(430)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435), 회전축(410)에 설치되는 종동풀리(436) 및 이 풀리들(435, 436) 서로 연결하는 벨트(437)와 같은 전동수단(434)을 통해 회전축(4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420)는 후술하는 승강수단(500)과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회전축(410)이 슬리브(420)에 지지된 채 클램프(440) 및 에어실린더(442)와 함께 모터(430)의 구동에 의해 전동수단(434)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고, 그 회전에 따라 클램프(440)에 지지된 생석회 회전통(300)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의 회전속도, 회전방향, 회전시간 등은 제어반(800)에 설치되는 제어유니트(미도시)의 제어로직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수단(400)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여 수조(200)에 대하여 생석회 회전통(300)을 투입 및 이탈시키는 승강수단(500)은, 한 쌍의 수직가이드 레일(520, 520), 리드스크류(530) 및 상기 리드스크류(530)를 회전시키는 모터(540)가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주(510)와, 상기 리드스크류(530)와 이송너트(552)를 통해 결합되고 일측에 회전지지수단(400)의 슬리브(420)와 연결되는 지지아암(556)이 형성된 승강브래킷(55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브래킷(550)은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블록(554)들이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520)들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승강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주(510)의 하단은 하부 프레임(1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5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모터(540)는 회전지주(510)의 상단부에서 리드스크류(530)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54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리드스크류(530)에 의해 이송너트(552)의 승강이 가이드 블록(554)들이 결합된 수직가이드 레일(520)들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승강브래킷(550)이 승강되고, 이 승강브래킷(550)의 승강에 의해 지지아암(556)에 연결된 슬리브(420)가 승강되므로, 상기 슬리브(420)에 지지된 회전지지수단(400)의 승강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이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브래킷(550)의 최대승강속도는 2,100mm/min로 제어되며, 행정거리는 66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브래킷(550)의 정밀한 승강제어를 위해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으나 승강브래킷(550), 회전지주(510) 또는 수직가이드 레일(520)의 상/하단부에 각각 2개씩 4개의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수단(600)은 수화반응 전에 후술하는 중량측정수단(70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 생석회 회전통(300)이 회전지지수단(400)에 지지된 다음 생석회 회전통(300)을 수조(200)쪽으로 선회시키는 한편 수화반응후의 생석회 회전통(300)을 다시 중량측정수단(700)쪽으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상기 승강수단(500)을 선회시킴으로써 생석회회전통(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즉, 스윙수단(600)은 전동수단을 통해 회전지주(510)를 회전시키는 모터(610)를 구비한다. 이 모터(610)는 지지브래킷(640)에 의하여 지주(560)에 지지될 수 있다. 전동수단(620)으로는 상기 모터(610)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622) 및 회전지주(510)에 결합되는 종동기어(624)가 채용될 수 있다. 구동기어(622)와 종동기어(624)의 잇수비는 1:5인 것이 바람직하며, 스윙최대속도는 7rpm으로 제어된다. 또한, 상기 스윙수단(600)은 정밀한 선회제어를 위하여 회전구간, 바람직하게는 회전구간과 대응하는 회전지주(510) 외주면에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6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반응 전후에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측정수단(700)은, 생석회 회전통(300)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계량테이블(710)과, 상기 계량테이블(710)에 안착되는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계량테이블(7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드셀(7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의 안착시 생석회 회전통(300)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계량테이블(710)에 다수(바람직하게는 3개)의 쇽 업소버(7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계량테이블(710)은 예컨대 제어반(8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생석회 회전통(300)의 안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740)가 계량테이블(710) 하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생석회를 수용한 생석회 회전통(300)을 준비하고, 이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고안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중량측정수단(700)을 초기화한다. 이 때, 컨트롤패널(810)의 로드셀 인디케이터의 지시값이 0.000인지 확인하고, 상기 지시값이 아닌 다른 지시값이 나타날 경우에는 계량테이블(710)이 이물질 등이 묻어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계량테이블(710)을 깨끗하게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준비과정이 끝나면, 상기 생석회 회전통(300)을 계량테이블(710)에 올려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은 로드셀(720)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반(800)의 컨트롤 패널(810)상의 로드셀 인디케이터에 표시된다.
다음에, 생석회 회전통(300)의 상단 외향플랜지(320)에 회전지지수단(400)의 클램프(440)가 위치하도록 승강수단(500)이 구동됨에 따라 승강브래킷(550)의 하강에 의해 회전지지수단(400)이 하강한다. 그리고, 에어실린더(442)로의 에어공급으로 동작하는 클램프(440)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의 상단 외향플랜지(320)가 파지되고, 승강수단(500)의 구동으로 다시 승강브래킷(550)이 상승됨으로써 클램프(440)에 파지된 채 생석회 회전통(300)이 회전지지수단(400)과 함께 중량측정수단(700)으로부터 위로 상승된다.
상승된 회전지지수단(400)은 스윙수단(600)의 구동에 따른 회전지주(510)의 회전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이 수조(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예컨대 승강수단(500)의 회전지주(510)에 대하여 수조(200)와 계량테이블(710)이 90 를 이루도록 배치된 경우 회전지주(510)는 90 선회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리미트 스위치(630)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회전지지수단(400)의 승하강도 마찬가지로 승강수단(500)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자동제어될 수 있다.
스윙수단(600)에 의해 수조(200)의 상부에 생석회 회전통(300)이 배치되면, 승강수단(500)의 구동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이 하강하여 수조(200)에 채워진 물속으로 투입된다.
수조(200)속에 투입된 생석회 회전통(300)은 제어반(800)의 제어유니트에 미리 프로그램된 소정의 교반 제어로직에 따라 회전지지수단(400)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생석회 회전통(300)의 투수공(310)을 통해 수조(200)로부터 생석회 회전통(300)의 내부로 투입된 물과 함께 생석회가 교반되면서 수화반응이 일어난다.
소정시간동안 수화반응을 거친 후 제어로직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의 회전이 중지되면, 승강수단(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지지수단(400)이 상승됨으로써 생석회 회전통(300)이 수조(200) 상부로 이탈되고, 이 생석회 회전통(300)이 다시 계량테이블(7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스윙수단(600)의 구동됨에 따라 승강수단(500)의 회전지주(510)가 상기한 것과는 역으로 선회된다.
계량테이블(710)의 상부에 생석회 회전통(300)이 위치한 것이 리미트 스위치(630)에 의해 감지되면 스윙수단(600)의 구동은 정지되고 승강수단(500)이 구동됨에 따라 승강브래킷(550)의 하강에 의해 생석회 회전통(300)이 계량테이블(710)에 안착될 때까지 회전지지수단(400)이 하강한다. 이 생석회 회전통(300)의 계량테이블(710)에 대한 안착이 리미트 스위치(740)에 의해 감지되면 생석회 회전통(300)에 대한 클램프(440)의 파지가 해제되고 승강수단(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지지수단(400)이 상승됨으로써 계량테이블(710)에는 수화반응이 완료된 생석회 회전통(300)만 배치된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이 생석회 회전통(300)의 중량은 로드셀(720)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반(800)의 컨트롤패널(810)상의 로드셀 인디케이터에 표시되고, 이 중량과 수화반응 전에 측정된 중량을 비교함으로써 생석회의 수화반응 전후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에 있어서는, 수화반응전의 생석회가 수용된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측정과정으로부터 수화반응후의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측정까지의 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생석회의 수화율을 정확하고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수화율 측정작업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생석회 수화율을 표준화할 수 있다.

Claims (7)

  1. 수조와;
    내부에 생석회가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조에 투입 및 이탈가능하게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투수공을 가진 생석회 회전통과;
    상기 생석회 회전통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회전지지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수조에 대한 생석회 회전통의 투입 및 이탈을 제어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승강수단을 기준으로 생석회 회전통의 좌우선회를 제어하는 스윙수단과; 그리고,
    상기 생석회 회전통을 안착시켜 그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일측에 지지되어 전동수단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 일측에 지지되어 에어실린더를 통해 생석회 회전통의 상단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다수의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한 쌍의 수직가이드 레일,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지주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이송너트를 통해 결합된 채 상기 수직가이드 레일들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일측에 회전지지수단의 슬리브와 연결되는 지지아암이 형성된 승강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수단은 전동수단을 통해 회전지주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수단은, 생석회 회전통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계량테이블과, 상기 계량테이블에 안착된 생석회 회전통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계량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테이블에는 상기 생석회 회전통이 안착될 때의 충격을 방지하는 다수의 쇽 업소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 및 스윙수단에 의한 생석회 회전통의 위치제어는 리미트 스위치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KR20-2002-0032929U 2002-11-04 2002-11-04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KR200302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29U KR200302273Y1 (ko) 2002-11-04 2002-11-04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29U KR200302273Y1 (ko) 2002-11-04 2002-11-04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849A Division KR100478824B1 (ko) 2002-11-04 2002-11-04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73Y1 true KR200302273Y1 (ko) 2003-02-11

Family

ID=4939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29U KR200302273Y1 (ko) 2002-11-04 2002-11-04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64B1 (ko) 2003-11-1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소성로내 생석회 수화율 측정방법
CN114441378A (zh) * 2021-12-21 2022-05-06 中南大学 一种智能浓度壶系统及其选矿厂矿浆浓度检测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64B1 (ko) 2003-11-1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형 소성로내 생석회 수화율 측정방법
CN114441378A (zh) * 2021-12-21 2022-05-06 中南大学 一种智能浓度壶系统及其选矿厂矿浆浓度检测的方法
CN114441378B (zh) * 2021-12-21 2024-04-12 中南大学 一种智能浓度壶系统及其选矿厂矿浆浓度检测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9536B (zh) 一种适用于无人艇的水质采样在线检测系统
CN107059303B (zh) 一种全自动染料称料化料设备
KR200302273Y1 (ko)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KR100478824B1 (ko) 생석회 수화율 측정장치
CN109444329A (zh) 一种pH值检测装置及方法
CN210090091U (zh) 污水指标监控装置
CN112127463A (zh) 一种锥型池体可调自动刮平装置
CN209624514U (zh) 一种pH值检测装置
CN201421818Y (zh) 一种自动化的灯管镀蓝装置
CN213985801U (zh) 生活饮用水全自动采样器
CN112604638A (zh) 一种高分子材料聚氨酯自动化生产的反应釜
CN110330084B (zh) 一种用于造纸污水沉淀的絮凝剂均匀投放装置
CN209062132U (zh) 一种智能浇注系统
CN203519360U (zh) 双桶波轮式洗衣机无故障运行试验装置
CN216747394U (zh) 一种评估机制砂中絮凝剂残余量的试验装置
CN107472328B (zh) 一种施工场地用水泥搬运装置
CN205887958U (zh) 一种铸造用智能化洗砂装置
CN107901231A (zh) 一种道路施工小型砂浆搅拌机
CN112077263B (zh) 自动化的熔模制造用制壳原料混淋设备
CN208892283U (zh) 一种饮水机自动换桶机器人
CN217597459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混凝土生产设备
JPH01250071A (ja) 自動前処理装置
CN103558045A (zh) 双桶波轮式洗衣机无故障运行试验装置
CN210719844U (zh) 一种2,3酸生产工艺废水取样装置
CN217121727U (zh) 一种适用于中间包的塞棒对中校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