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50Y1 -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50Y1
KR200302250Y1 KR20-2002-0032215U KR20020032215U KR200302250Y1 KR 200302250 Y1 KR200302250 Y1 KR 200302250Y1 KR 20020032215 U KR20020032215 U KR 20020032215U KR 200302250 Y1 KR200302250 Y1 KR 200302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encryption
encryption dat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주) 케이비아이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비아이,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 케이비아이
Priority to KR20-2002-0032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 발생되는 암호데이터 누출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제3자가 해당 암호데이터를 용이하게 판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이용자가 암호데이터에 해당하는 조작키를 직접적으로 조작하여 암호데이터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3자에게 암호데이터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장치(33)에 일련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고, 이와 같이 표시된 암호구성 데이터를 선택키(40)를 이용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3)의 상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표시창(32)이 설치된다. 상기 표시창(32)은 디스플레이장치(33)에서 출력되는 방출광에 대한 시야각을 좁힘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3)와 일직선상에 있는 이용자 이외의 제3자가 디스플레이장치(33)상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암호데이터 입력장치{Password input device}
본 고안은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의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 발생되는 암호데이터의 누출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제3자가 해당 암호데이터를 용이하게 판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사용자가 자신만의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동작시키게 되는 각종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로서는 출입문 등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장치와 이용자가 은행에 가지 않고서도 현금을 인출할 수 있는 현금인출기가 대표적이다. 이들 장치들은 사용자가 비밀번호 등의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전면 패널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일반적으로 암호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한 암호구성 데이터, 예컨대 0∼9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부가적인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등의 다수의 선택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0)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암호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이용자가 키패드(10)상의 임의의 선택키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키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암호데이터를 표시장치(2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용자가 표시장치를 통해 자신이 입력하는 암호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표시장치가 외부적으로 설치되므로 이용자가 입력하는 암호데이터가 제3자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어개폐장치 등에 설치되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경우에는 특정한 선택키만이 반복적으로 조작됨으로 인하여 암호데이터에 해당하는 조작키와 그 이외의 조작키가 외관적으로 구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악의의 제3자가 암호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용자가 입력하게 되는 암호데이터를 주위에 있는 제3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도록 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전면 패널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전면 패널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구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플로우챠트.
도 8은 본 고안을 적용하여 실시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표시부, 31 : 본체 케이스,
32 : 표시창, 33 : 디스플레이장치,
34 : 덮개, 40 : 선택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표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창의 높이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일직선 상에 있는 이용자만에 디스플레이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암호데이터가 숫자만의 조합을 통하여 구성되는 경우, 즉 암호구성 데이터가 0∼9의 숫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전면 패널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0∼9의 각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0)와 이 표시부(30)상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키(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는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 마다 그 배열상태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한번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 상측의 표시부(30)에 "03957", 하측의 표시부(30)에 "84261"이 표시되었다고 하면, 다음 번에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에는 상측의 표시부(30)에 "19458", 하측의 표시부(30)에 "67203"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그 암호구성 데이터의 배열상태가 변경된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택키(40)에 대하여 특정한 암호구성 데이터가 고정적으로 대응되지 않고 가변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암호데이터 입력을 위해 특정한 선택키만이 반복적으로 조작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제3자에게 암호데이터가 노출되게 되는 문제가 제거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표시부(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1은 본체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31)는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자체의 본체 케이스에 대응되거나, 또는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가 설치되는 도어개폐장치나 현금인출기의 본체 케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에는 소정의 깊이(또는 높이)를 갖는 표시창(32)이 마련되면서 이 표시창(22)의 하측에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7-세그먼트 등의 디스플레이장치(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창(32)의 상측에는 예컨대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덮개(34)가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부(30)의 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33)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시야각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장치(33)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이용자만이 해당 표시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제3자에게 암호데이터가 노출되는 문제점을 제거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표시부(3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에서 도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도 3의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33)상에 표시되는 하나의 암호구성 데이터에 하나의 표시창(32)이 대응되도록 다수의 표시창(34)이 마련되어 있는데 반하여, 본 예에서는 다수의 암호구성 데이터가 표시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33)에 대하여 단일의 표시창(42)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표시창(42)의 크기(가로 세로방향)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장치(33)상에 표시되는 모든 암호구성 데이터를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면 된다. 다만 표시창(42)의 높이, 즉 표시창(42)의 상측 덮개(43)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3)까지의 길이는 이용자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제3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3)상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높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3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하나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의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선A-A'선에 따른 단면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구성에서는 하나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상측에 바로 표시창기능을 갖는 조작키를 설치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화 함과 더불어 이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51은 본체 케이스로서, 이 케이스(51)에는 이용자가 암호구성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내측에는 각종 전자회로가 배설되는 PCB 기판(52)이 구비된다. 이 기판(52)상의 상기 관통구멍(51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단일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7-세그먼트 등의 디스플레이장치(53)가 설치된다. 이 디스플레이장치(53)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설치되는 상기 관통구멍의 개수, 즉 암호구성 데이터의 개수에 상당하는 수효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3)의 상측에는 예컨대 아크릴이나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선택키(54)가 설치된다. 이 선택키(54)는 상측에 비하여 하측의 폭이 넓은 모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선택키(54)가 관통구멍(511)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택키(54) 저면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3)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해당 디스플레이장치(53)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541)이 형성되어 선택키(54)가 이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그 저면이 디스플레이장치(53)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52)상의 디스플레이장치(53) 양측면에는 탄성 스프링(55, 56)이 고정 설치되면서, 선택키(54)의 하측에 상기 탄성 스프링(55, 56)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532, 533)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55, 56)에 의해 선택키(54)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52)상의 상기 선택키(54)하측 소정 위치에는 스위치(57), 예컨대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설치되어 이용자가 상기 선택키(54)를 하측으로 누를 때 선택키(54)의 몸체에 의해 스위치(57)가 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53)로부터의 방출광이 선택키(54)의 몸체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장치(53)에서 상측 일직선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제외한 다른 방출광은 상기 선택키(54)를 에워싸고 있는 케이스(51)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선택키(54)에 대하여 일직선방향에 있는 이용자만이 디스플레이장치(53)상에 표시되는 암호구성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키(54)를 통해 해당 선택키에 대응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오입력할 우려가 제거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6에서 참조번호 61은 인터페이스부이다. 이 인터페이스부(61)는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와 다른 외부 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개폐장치나 현금인출기 등의 장치와 결합가능함은 물론, 개인용 컴퓨터 등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확실한 보안기능을 위해 다른 보안장치, 예컨대 지문인식장치 등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1)는 본 장치와 상기한 다른 외부장치와의 원활한 연동동작을 위한 전기적 결합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62는 도 2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각 선택키(40)의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키입력부(62)이고, 63은 LCD나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64는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6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63)를 구동하는 표시구동부이다.
참조번호 65는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 제어부(65)는 예컨대 아트멜사에서 제조한 AT89C51/DIP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는데, 이는 내부에 프로그램 메모리(651)와 데이터 메모리(65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651)에는 본 제어부(65)의 제어동작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그램 메모리(651)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외부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소정의 연동프로그램과 디스플레이장치(63)를 통해 출력할 일련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암호구성데이터 생성알고리즘이 포함된다. 상기 암호구성데이터 생성알고리즘으로서는 예컨대 암호구성 데이터가 0∼9인 경우에 임의의 배열을 가지면서 서로 중복되는 데이터가 없는 난수배열을 생성하는 소정의 난수배열발생 알고리즘, 예컨대 PN코드(Pseudo Noise Code) 생성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제어부(65)는 본 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난수배열발생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일련의 난수배열을 지속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되는 난수배열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데이터 메모리(652)는 제어부(65)에 의해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데이터 메모리(652)는 특히 출력난수배열 저장영역과 암호구성데이터 저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난수배열 저장영역에는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되었던 소정 개수의 난수배열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난수배열은 새로운 난수배열을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할 때 참조되어, 동일한 순서로 배열된 암호구성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암호구성데이터 저장영역은 현재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되는 암호구성데이터열, 즉 난수배열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암호구성데이터 저장영역은 각각의 메모리 어드레스 번지가 각각의 선택키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할당된다. 제어부(65)는 소정의 난수배열을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제어할 때, 디스플레이장치(63)를 통해 표시되는 각각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해당 선택키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번지의 암호구성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하나의 선택키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선택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번지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어, 도 6에 나타낸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 7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장치에 전원이 입력되게 되면 제어부(65)는 메모리 확인과 주변 회로부의 확인 등과 같은 통상적인 초기화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1 단계).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난수배열발생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지속적으로 난수배열을 생성하면서 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ST2 단계). 이와 같이 생성된 난수배열은 소정의 외부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된다(ST3 단계). 즉, 제어부(65)는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암호구성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제어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또는 이용자가 암호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임의의 선택키(40)를 조작하게 되면 이때 생성된 난수배열을 근거로 암호구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위한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65)는 외부명령이 수신된 시점에 난수배열발생 알고리즘을 통해 얻어진 난수배열을 데이터 메모리(652)에 저장한 후(ST4 단계), 데이터 메모리(652)의 출력난수배열 저장영역을 조회함으로써 지금 얻어진 난수배열과 동일한 난수배열이 최근에 디스플레이되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ST5, ST6 단계). 그리고 이때 새롭게 생성된 난수배열과 동일한 난수배열이 출력난수배열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ST4∼ST6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최근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던 난수배열을 구하게 된다.
ST4∼ST6 단계의 실행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난수배열이 결정되게 되면, 제어부(65)는 생성된 난수배열을 근거로 표시구동부(64)를 제어함으로써 이를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제어함과 더불어, 생성된 난수배열을 근거로 데이터 메모리(652)를 업데이트하게 된다(ST7 단계). 즉, 제어부(65)는 결정된 난수배열을 근거로 데이터 메모리(652)의 출력난수배열 저장영역을 업데이트함과 더불어, 해당 난수배열을 암호구성 데이터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이어, 이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63)상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보고, 소정의 선택키를 조작하게 되면(ST8 단계), 제어부(65)는 데이터 메모리(652)의 암호구성데이터 저장영역으로부터 조작된 선택키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독출하여 이를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ST9 단계).
그리고 상기 암호데이터의 입력에 대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 소정의 제어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실행하게 된다(ST10, ST11 단계). 이때 제어명령으로서는 각종 상태 데이터의 표시명령 등이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가 도어개폐장치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암호데이터 입력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다는 "OPEN"의 표시제어나 암호데이터가 올바르지 않다는 "FAIL"의 표시제어가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외부명령의 실행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와 결합되는 외부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때마다 새로운 배열을 갖는 암호구성 데이터열을 생성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하게 된다. 특히 제어부(65)는 새로운 암호구성 데이터열이 얻어졌을 때 이를 바로 표시제어하지 않고 해당 데이터열이 최근에 디스플레이되었었는지를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일정한 시간내에 동일한 배열을 갖는 암호구성 데이터열이 디스플레이장치(63)에 표시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됨으로써 보다 확실한 암호데이터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구현한 하나의 장치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예컨대 은행 등의 창구에서 고객이 직접적으로 암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의 외관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본체(81)의 케이스 상면에 다수의 선택키(82)가 설치된다. 이 선택키(82)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하측 본체(81) 내부에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블(83)의 일단이 본체(81)내부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그 타단에는 본체를 은행원 등의 운용자 단말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84)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운용자 단말에 결합되어 운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운용자 단말과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는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한 소정의 연동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운용자가 업무처리상 고객의 암호데이터를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 운용자는 본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를 고객에게 제공한 후 운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소정의 선택키를 조작하게 된다. 운용자의 선택키 조작에 따라 운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제어데이터, 즉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암호구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가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로 인가된다. 이 제어데이터는 도 6에서 인터페이스부(61)를 통해서 제어부(65)에 인가된다. 제어부(65)는 운용자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 명령이 수신되면 도 7에서 ST4∼ST7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일련의 암호구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고객이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디스플레이된 암호구성 데이터를 보고 선택키(82)를 조작하여 소정의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이는 도 6에서 제어부(65)에 의해 인식되어 운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그리고 운용자 단말은 수신된 암호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운용자 단말은 수신된 암호데이터가 해당 고객에게 등록된 암호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고객이 일정한 시간내에 모든 암호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제어데이터를 암호데이터 입력장치로 전송하여 입력에러를 고객에게 알려주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입력에러 안내는 운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운용자에게 경고해줌으로써운용자가 고객에게 암호데이터를 재입력하라는 안내를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고객이 입력하는 암호데이터가 운용자를 포함하는 제3자에 대하여 노출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고객의 입장에서는 안전하게 금융거래 등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33)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표시창(32, 42)을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디스플레이장치(33)의 상측에 디스플레이장치(33)로부터 방출되는 방출광의 출사각을 이용자의 시각위치로 한정 및 제한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수단, 예컨대 프리즘 등의 광굴절 수단을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53)의 상측에 버튼식 조작키를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른 선택수단, 예컨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8에 있어서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 설치되는 조작키로서 암호구성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만을 예시 및 설명하였다. 그러나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는 상기한 선택키 이외에 암호데이터의 입력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키(start)나 암호데이터를 재입력하기 위한 리셋트키(reset) 등의 다른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단지 입력된 암호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암호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암호데이터가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난수발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암호구성 데이터열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련의 암호구성 데이터열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이를 랜덤방식으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표시부의 구조와, 도6에서 설명한 암호구성 데이터의 배열변경기능은 반드시 복합적으로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들 구조 및 기능은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사용되더라도 암호데이터의 보안효율을 상당히 높힐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권리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본원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소정 높이를 갖는 표시창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와 일직선상에 있는 이용자만이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암호구성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 이외의 제3자가 이용자가 입력하는 암호데이터를 전혀 인식할 수 없게 된다.

Claims (1)

  1. 디스플레이장치와,
    암호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표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창의 높이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일직선 상에 있는 이용자만에 디스플레이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KR20-2002-0032215U 2002-10-29 2002-10-29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KR200302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15U KR200302250Y1 (ko) 2002-10-29 2002-10-29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15U KR200302250Y1 (ko) 2002-10-29 2002-10-29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595A Division KR20010103083A (ko) 2001-09-18 2001-09-18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50Y1 true KR200302250Y1 (ko) 2003-02-05

Family

ID=493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15U KR200302250Y1 (ko) 2002-10-29 2002-10-29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104B2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10489760B2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100377464B1 (ko) 터치스크린으로부터입력정보를암호화하는개량된방법및그장치
US671507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data encryption
US9251540B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101228088B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CN103034798B (zh) 一种随机密码的生成方法及装置
EP15404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assword inputted by the matching of cells
KR20080033600A (ko) 전자 장치로의 사용자 입력 보안 방법
KR200302251Y1 (ko)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KR200302250Y1 (ko)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KR100434519B1 (ko) 암호데이터 입력장치
US2018006086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visual authentication circuit board
US20040243854A1 (en) Password input apparatus
CN201047933Y (zh) 随机密码数显键盘
JP2003032237A (ja) 暗号鍵イン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暗号鍵インジェクション方法、暗証番号入力装置、取引端末、ホスト装置
KR100399194B1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KR20060015634A (ko) 데이터 제공 방법, 데이터 수신 단말, 가입자 서비스용시스템 및 스마트카드
KR20140030406A (ko) 숫자 및 문자 입력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JP2001306175A (ja) 暗証番号入力装置
WO1998048390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onnectable to an electronic computer
KR20030025945A (ko) 가변식 자판 배열 핀패드
KR200307842Y1 (ko) 비밀번호 입력이 가능한 마우스
KR200333754Y1 (ko)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KR100749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비밀번호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