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988A - 증기발생 기구용 가열부 - Google Patents
증기발생 기구용 가열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5988A KR20030095988A KR10-2003-0035390A KR20030035390A KR20030095988A KR 20030095988 A KR20030095988 A KR 20030095988A KR 20030035390 A KR20030035390 A KR 20030035390A KR 20030095988 A KR20030095988 A KR 200300959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heating
- collecting device
- storage tank
- re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는 하나의 가열부재(13)를 내부에 장착하고 있는 증기수집장치(11)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상기 증기수집장치(11) 내에 놓여진 탈착식 분리부재(50)는 상기 증기수집장치와 함께 가열부재(13)를 포함하고 있는 축소된 볼륨의 저장탱크(40)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증기식 조리기구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를 발생시키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증기 조리기구의 가열 장치에 적용되나, 증기 조리기구의 가열 장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증기 조리기구의 가열 장치를 기술하고 있는 종래기술 WO 00/30510에 따르면, 가열 장치는 외부의 찬 물 저장 탱크와 내부의 가열 탱크를 구분해주는 하나의 테두리로 둘러싸인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두 탱크는 테두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하나의 통로에 의해 상호 소통된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가열부재로 가열된 물을 저장하는 가열 탱크의 크기를 한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좀 더 빠른 속도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를 사용해 본 결과 가열부재 내의 불순물 제거가 상당히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증기 발생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이 사용된다. 지역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수돗물은 다소간 무기염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열 부재에는 조금씩 석회질이 쌓이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가열 부재에는 일반적으로 래커가 칠해져서 주조된 알루미늄 혹은 PTFE가 입혀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코팅된 제품은 매우 조심스럽게 세척해야 하며, 예를 들어 식초와 같은 불순물 제거용 화학 세제를 이용하여 그 세척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따른다.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열부재의 세척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불순물 제거용 화학 세제가 필요하다. 또 다른 단점으로서는 식초 따위의 불순물 제거용 화학 세제가 내뿜는 고약한 냄새를 들 수 있다. 만일 물 저장 탱크가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져 있다면 화학 세제에서 나는 고약한 냄새가 물 저장 탱크의 내벽에 스며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게 증기를 발생시키며, 아울러 물 저장 탱크의 불순물 제거가 용이한 증기 발생용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순물 제거를 위한 많은 경비가 들지 않는 증기 발생용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순물 제거 시 세제에서 발생하는 나쁜 냄새가 배어들지 않는 증기 발생용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사용이 대단히 단순하고, 편리한 증기 발생용 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1은 가열부가 불순물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조리) 위치에 놓여진 증기식 조리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불순물 제거 장치의 일 요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조리 위치에 놓여진 도 1에서 나타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불순물 제거 위치에 놓여진 도 1에서 나타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액체 회수용 통이 놓여진 변형된 모습임),
도 5는 증기식 조리기구용 가열부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증기식 조리기구용 가열부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증기식 조리기구용 가열부의 네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들은, 가열부재가 내부에 장착된 증기수집장치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용 기구에 사용되는 가열부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증기수집장치 내에 장착되는 탈착가능한 분리부재는 증기수집장치와 함께 소량의 저장탱크를 형성하며, 가열부재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가열부재 주변의 가열 용량을 축소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세척의 효과는 동일하게 유지 하면서도 불순물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 세제의 양이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세제와 접촉하는 증기수집장치의 표면적 또한 줄어들게 된다.
증기수집장치와 탈착식 분리부재 사이에는 방수수단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수단으로는 증기수집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조인트 혹은 탈착식 분리부재 상에 장착되는 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분리부재는 저장탱크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단순히 증기수집장치에 맞대어 놓여질 수도 있다.
증기수집장치 내에 장착되어지는 탈착식 분리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으로는 삽입식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고, 탈착식 분리부재의 측면벽을 증기수집장치의 홈이나 개방부 혹은 늑재에 끼워넣어지는 방식의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식 분리부재는 가열부재 주변에 배치될 수 있는 환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탈착식 분리부재는 증기수집장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재 주변에 있는 증기수집장치의 바닥부 일부만이 불순물 제거용 세제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세제가 증기수집장치에 스며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식 분리부재는 증기수집장치의 측면벽과 함께 작용할 수 있는 격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탈착식 분리부재는 홈 안에 끼워넣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식 분리부재에 의하여 분리된 증기수집장치의 두 부분을 연결하는 통로를 차단할 수 있는 폐쇄수단을 탈착식 분리부재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열부재는 상기 두 부분 중의 한 부분 내에 배치되어진다. 이 경우 탈착식 분리부재는 방수성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변형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증기수집장치 내에 있는 탈착식 분리부재는 (그 내부에 가열부재가 배치되어)물이 끓는 비등실(沸騰室)과 물 저장탱크 사이의 공간에 통로를 내어줄 수 있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식 분리부재는 환형이며, 찬 물 저장탱크는 비등실 주변에 배치되어진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식 분리부재는 증기수집장치의 측벽과 함께 작용하며, 찬 물 저장탱크는 비등실에 인접하고 있다. 통로는 탈착식 분리부재의 벽 안, 혹은 증기수집장치의 벽 안, 혹은 탈착식 분리부재 및 증기수집장치 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탈착식 분리부재로는 증기수집장치의 두 부분을 연결시켜주는 통로 안에 장착되는 밸브 혹은 마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재는 증기수집장치의 바닥에 장착되며, 증기수집장치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가열면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며, 증기발생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열부재에 묻은 불순물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볼륨이 축소된 저장탱크의 높이가 가열부재의 높이보다 더 높게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불순물 제거를 위해 사용할 세제의 적정량을 표시해주는 기준으로 탈착식 분리부재가 이용된다. 이 기준은 물이 끓을 때 불순물 제거용 세제가 흔들리기 때문에 가열부재의 돌출부 꼭대기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사항들은 테두리 형태로 된 탈착식 분리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에서 언급된 유형의 가열부 및 이 가열부 위에 놓여진 채 탈착식 액체 회수용 통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하단부를 통해서도 실현된다. 가열부의 증기수집장치 내에 있는 탈착식 분리부재는 용량을 축소시킨 저장탱크의 자리를 가열부재 주변에서 만들어주는 첫 번째 위치 및 물 저장탱크와 비등실 사이에 통로를 만들어주는 두 번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이는 탈착식 분리부재가 증기수집장치 내에서 축소된 용량의 저장탱크의 자리를 만들어주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경우상기 탈착식 분리부재가 액체 회수용 통의 리브와 함께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액체 회수용 통을 위치시키는데에는 약간의 노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는 증기식 조리기구가 아직 작동 상태에 놓이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표시이므로 안전성을 위해서 좋은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기술된 네 가지 실시예를 통해 더욱 잘 이해되어질 것이다. 하지만 이 네 가지 실시예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증기식 조리기구는 가열부(1), 상기 가열부(1) 위에 위치하는 액체 회수용 통(2), 상기 통(2) 위에 위치하며 구멍이 뚫린 제1 바닥부(4)를 포함하고 있는 첫 번째 조리 용기(3), 상기 용기(3) 위에 위치하며 구멍이 뚫린 탈착식 제2 바닥부(6)를 포함하고 있는 두 번째 조리 용기(5), 상기 두 번째 조리 용기(5)를 덮는 뚜껑(7), 그리고 상기 제1 바닥부(4)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쌀로 밥을 지을 때 사용되는 용기(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열부(1)는 바닥부(12)를 갖춘 증기수집장치(1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증기수집장치(11)는 그 재질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열부재(13)는 상기 바닥부(12) 위에 장착된다. 상기 가열부재(13)는 상기 바닥부(12) 상으로 돌출된다. 조인트(19)가 상기 바닥부(12)와 가열부재(13)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조인트(19)는 상기 가열부재(13)의 하단 테두리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바닥부(12)에서 비롯되는 환형의 리브(10)가 상기 조인트(19)를 둘러싸고 있다.
테두리(14)는 가열부재(13) 주변의 증기수집장치(11) 내에 위치된다. 상기테두리(14)는 바닥부(12)로부터 지지되며, 가열부재(13) 외주변에서 비등실(沸騰室)(15)을 구획한다. 통로(16)를 통해 상기 비등실(15)과 증기수집장치(11) 내에 놓여진 물 저장탱크(17) 간의 소통이 이루어진다. 상기 통로(16)는 바닥부(12) 근처에서 테두리(14)의 하부에 놓여진 홈(32)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14)의 상부는 액체 회수용 통(2)의 배출부(21) 내에 장착된다. 상기 배출부(21)는 동시에 천장(22)을 형성한다. 발생된 증기의 통행을 위해 만들어진 개구(23)는 상기 배출부(21)의 측벽에 마련된다.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14)는 통 모양의 측벽(3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벽(31)의 일 단부에는 두 개의 홈(32)이 직경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일 단부에는 두 개의 손잡이(33)가 상기 측벽(31)의 외부를 향하여 펼쳐져 있다. 상기 측벽(31)의 타단부에는 상기 측벽(31)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부로 향한 가장자리(35)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 넓이가 반대 편 단부보다 줄어든 개방부(34)가 있다. 내부 돌기(36)는 세제 사용량의 기준(37)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테두리(14)는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직경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 번째 내부 돌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방부(34)를 한정하는 내부 원형 측벽(38)은 테두리(14)의 내부쪽으로 상기 가장자리(35)를 연장시켜주고 있으며, 테두리(14)의 타 단부을 견고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증기식 조리기구의 하부를 도시하고 있다. 테두리(14)의 손잡이(33)는 가열부(1)에 있는 증기수집장치(11)의 바닥부(12)에 위치한다. 상기 테두리(14)는 상기 바닥부(12)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고정 리브(18) 외주변에 놓여진다. 액체 회수용 통(2)은 연결통로(21)의 천장(22)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정지 리브(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지 리브(24)들은 상기 액체 회수용 통(2)이 가열부(1) 위에 놓였을 때 상기 테두리(14)의 내부 가장자리(35)에 놓이게 된다. 액체 회수용 통(2)의 주변부는 가열부(1) 위에 놓이게 된다.
테두리(14)는 도 4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뒤집어진 형태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고정 리브(18)는 테두리(14)의 외주변에 배치되며, 약간 깍여진 형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상기 테두리(14)의 측벽에 대해 약간 조여지기 위해서이다. 내부 가장자리(35)의 바깥면은 바닥부(12) 위에 놓여진다. 액체 회수용 통(2)은 뒤집어진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상기 테두리(14)의 손잡이(33)에 지지되는 두 개의 지지 리브(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 리브(25)는 배출부(21)의 세로 직경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14)의 내부 원형 측벽(38)은 환형 리브(10)에 맞대어진다.
뒤집어진 형태이며 위치고정 리브(18) 주변에 놓여진 상기 테두리(14)는 증기수집장치(11) 내에서 축소된 용량의 저장탱크(40)를 한정하는 탈착식 분리부재(50)를 형성하고 있다. 가열부재(13)는 상기 저장탱크(40) 내에 놓여진다. 사용자는 불순물 제거용 세제를 기준(37)에 표시된 위치까지 부어서 불순물 제거용 세제 저장탱크(40)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40)의 높이는 가열부재(13)의 높이보다 더 높다.
상기 테두리(14)의 측벽을 조여주는 위치고정 리브(18)들은 가열부(1)에 테두리(14)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92)의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장치(92)들은, 상기 저장탱크(40) 내에서 물의 비등 시, 테두리(14) 내부 가장자리(35)의 바깥면과 증기수집장치(11)의 바닥부(1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장탱크(40)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이다. 증기가 저장탱크(40) 내부에서 발생될 때 테두리(14)는 위치고정 리브(18)보다 더 많이 팽창하게 된다. 그 결과 테두리(14)는 상기 리브(18)에 의해 더욱 더 잘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나고 있는 실시예들에서는 어떠한 방수장치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방수장치가 예견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바닥부(12) 상에 그리고/혹은 테두리(14) 내부 가장자리(35)의 바깥면 상에 장착되는 조인트가 방수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테두리(14)의 손잡이(33)와 함께 작용하는 액체 회수용 통(2)의 지지 리브(25)를 통해 사용자는 테두리(14)가 올바르게 놓여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테두리(14)가 뒤집어진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는 테두리(14) 주변에서 저장탱크(17) 내에 부어진 물이 비등실(15)에 도달할 수가 없으며, 그 결과 조리기구는 증기를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는 변형 실시예로서, 테두리(14)는 조인트(19)에 맞대어 놓여질 수 있으며, 환형 리브(10)는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보충적 변형 실시예로서, 위치고정 리브(18)들 또한 제거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가 도 5에 나타나고 있다. 이 실시예는 탈착식 분리부재(50')의 고정장치(92')의 특성으로 인해 상기에서 기술된 첫 번째 실시예와 구분된다.가열부(1')의 증기수집장치(11') 바닥부(12')에 장착되어 있는 가열부재(13')는 하나의 조인트(1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탈착식 분리부재(50')는 상기 조인트(19')에 지지되고 있는 하부 가장자리(60)를 나타내는 하나의 테두리(14')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19')는 방수장치(90')로 사용된다. 상기 테두리(14')은 외부 리브(61)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리브(61)는 꺽쇠식 고정장치(92')를 형성하기 위해 증기수집장치(11')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돌기(62)들과 함께 작용한다. 상기 테두리(14')은 증기수집장치와 함께 축소 볼륨 저장탱크(40')를 형성하기 위해서, 뒤집어진 위치를 나타내는 도 4에서 처럼, 증기수집장치(11')의 바닥부 상에서 폐쇄될 수 있다. 세제 보충시 권장되는 높이가 상기 테두리(14')의 내부에 기준점(37')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가장자리(60)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있는 하나 혹은 다수의 홈(32')으로 인해 조리 시 뒤집어진 위치로 상기 테두리(14')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상기 홈(32')을 이용해 가열부재(13')를 둘러싸고 있는 비등실과 물 저장탱크 사이에 통로를 만들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고 있지 않는 변형 실시예로서, 홈(32')들이 가장자리(60) 내에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홈들은 또한 테두리가 취하는 각에 따라 바닥부(12') 혹은 조인트(19')에 연결되어 있는 폐쇄수단과 상호 작용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세 번째 실시예가 도 6에 나타나고 있다. 이 실시예는 탈착식 분리부재(50")가 증기수집장치(11")를 두 개의 인접한 체적(구심적이지 않음)으로 분리시키는 격벽(70)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특성으로 인해 상기에서 기술된 두 실시예와 구분된다. 상기 격벽(70)은 바닥부(12") 및 증기수집장치(11")의 측벽(74)과 함께 작용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증기수집장치(11") 내에 장착되어 있는 U자형의 조인트(72) 안에 만들어져 있는 홈(71)에 끼워 넣어진다. 상기 조인트(72)는 바닥부(12") 및 증기수집장치(11")의 측벽(74) 안에 놓여져 있는 골(73) 안에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조인트(72)는 방수장치(90")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 고정장치(92")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19") 및 상기 격벽(70)의 크기가 조절되어진다. 기준점(37")은 저장탱크(40") 내부에서 상기 격벽(70) 상에 표시된다.
상기 격벽(70)은 조리 시에도 사용되기 위하여 가역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격벽(70)의 내벽면을 절단하여 가열부재(13")를 둘러싸고 있는 비등실과 물 저장탱크 사이에 통로를 만들 수 있다.
네 번째 실시예가 도 7에 나타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증기수집장치(13"')가 하나의 격벽(80)을 통해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는 특성으로 인해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과 구분된다. 상기 두 부분으로 분할된 증기수집장치(11"') 사이에서 통로(82)를 막을 수 있는 폐쇄수단(81)이 탈착식 분리부재(5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폐쇄수단(81)은, 예를 들어, 통로(82) 내로 약간 이입되어 있는 합성고무 재질로 된 원뿔대 모양의 마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폐쇄수단(81)은 방수장치(90"')로 사용된다. 통로(82) 가장자리와 함께 작용하는 폐쇄수단(81)에 있는 변형이 가능한 내벽면들은 증기수집장치(11"') 내에서 탈착식 분리부재(50"')의 고정수단(92"')을 형성한다.
상기 폐쇄수단(81)으로 상기 통로(82)를 폐쇄하게 되면 가열부재(13"') 주변에 놓여진 축소된 저장탱크(40"')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폐쇄수단(81)이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두 부분으로 분할된 증기수집장치(11"')의 한 부분 혹은 다른 한 부분에 부어진 물은 상기 통로(82)를 통해 상기 가열부재(13"')에 도달할 수 있다.
보충적인 변형 실시예로서, 가열부재(13, 13', 13", 13"')가 증기수집장치(11, 11', 11", 11"')의 바닥부(12, 12', 12", 12"')에서 솟아난 돌출부를 필연적으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그 변이형에 한정되는 것은 절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신속하게 증기를 발생시키며, 물 저장 탱크의 불순물 제거가 용이한 증기 발생용 기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발생용 기구를 이용하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세제의 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 및 환경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불순물 제거 시 세제에서 발생하는 고약한 냄새가 기구에 배어들지 않아 다른 제품과 비교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 가열부재(13, 13', 13", 13"')와;증기수집장치(11, 11', 11", 11"')와;상기 증기수집장치(11, 11', 11", 11"')내에 위치하며, 상기 증기수집장치와 함께 축소된 용량의 저장탱크(40, 40', 40", 40"')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가열부재(13, 13', 13", 13"')가 장착되는 탈착식 분리부재(50, 50', 50",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수집장치(11', 11", 11"') 및 탈착식 분리부재(50', 50", 50"') 사이에 방수 수단(90', 90", 90"')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수집장치(11, 11', 11", 11"') 내에 장착되어 있는 탈착식 분리부재(50, 50', 50", 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92, 92', 92", 9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분리부재(50, 50')는 상기 가열부재(13, 13') 주변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의 환형의 테두리(14,14')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분리부재(50")는 상기 증기수집장치(11")의 측벽(74)과 함께 작용할 수 있는 격벽(7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분리부재(50"')에는 상기 증기수집장치(11"')의 분리된 두 부분을 연결시켜주는 통로(82)를 막을 수 있는 폐쇄 수단(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재(13"')는 상기 분리된 두 부분 중의 어느 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분리부재(50, 50', 50")에는 상기 증기수집장치(11, 11', 11") 내에서 가열부재(13)를 포함하고 있는 비등실(15)과 물 저장탱크(17) 사이에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13, 13', 13", 13"')는 상기 증기수집장치(11, 11', 11", 11"')의 바닥부(12, 12', 12", 12"')에 장착되며, 상기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된 용량의 저장탱크(40, 40', 40", 40"')의 높이는 상기 가열부재(13, 13', 13", 13"')의 높이 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1 항 내지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분리부재(50, 50', 50")에는 사용 세제의 적정량 기준(37, 37', 37")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제 4 항 내지 7 항에 따른 가열부(1)와;상기 가열부(1) 내에 위치하는 증기수집장치(11)와;상기 가열부(1) 상에 위치하는 지지리브(25)를 포함하는 탈착식 액체 회수용 통(2)과;상기 증기수집장치(11)내에 위치하며, 상기 증기수집장치와 함께 축소된 용량의 저장탱크(40)를 형성할 때, 액체 회수용 통의 지지 리브(25)와 맞물리는 손잡이(33)를 포함하는 탈착식 분리부재(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2356107A EP1380242B1 (fr) | 2002-06-12 | 2002-06-12 | Base chauffante pour appareil de production de vapeur |
EP02356107.9 | 2002-06-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5988A true KR20030095988A (ko) | 2003-12-24 |
KR100653394B1 KR100653394B1 (ko) | 2006-12-01 |
Family
ID=2972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5390A KR100653394B1 (ko) | 2002-06-12 | 2003-06-02 |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380242B1 (ko) |
KR (1) | KR100653394B1 (ko) |
CN (1) | CN1248633C (ko) |
AT (1) | ATE266346T1 (ko) |
DE (1) | DE60200482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04595B1 (en) * | 2004-06-11 | 2006-11-15 | Wen-Ching Li | Food steaming device |
FR2896975B1 (fr) * | 2006-02-03 | 2008-03-14 | Seb Sa | Base chauffante a production de vapeur rapide et a utilisation simplifiee pour cuiseur vapeur |
FR2896974B1 (fr) * | 2006-02-03 | 2008-03-14 | Seb Sa | Ensemble pour la cuisson a la vapeur, comportant des paniers de cuisson juxtaposes |
FR2925274A1 (fr) | 2007-12-21 | 2009-06-26 | Seb Sa | Base de cuiseur vapeur avec dispositif de remplissage |
FR2956300B1 (fr) * | 2010-02-16 | 2012-02-10 | Seb Sa | Appareil electrique de chauffage d'aliments a la vapeur avec un logement pour un recipient doseur d'eau |
CN102551512B (zh) * | 2012-01-18 | 2014-07-16 |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 电蒸锅的蒸汽发生装置 |
EP2852307B1 (en) * | 2012-07-19 | 2015-12-09 | Koninklijke Philips N.V. | Device for steaming food |
CN105455622B (zh) * | 2015-05-27 | 2018-02-06 | 陈垣耀 | 一种烹饪用蒸汽烹饪装置及烹饪方法 |
FR3037493B1 (fr) * | 2015-06-16 | 2018-10-26 | Seb S.A. | Accessoire cuiseur vapeur pour chauffer et/ou cuire a la vapeur des aliments contenus dans un recipient |
CN106805743A (zh) * | 2016-12-09 | 2017-06-09 | 广东乐惠购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家用的蒸笼 |
FR3089399B1 (fr) * | 2018-12-07 | 2021-01-08 | Seb Sa | Accessoire cuiseur vapeur avec bouchon amovib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49476A (en) * | 1994-08-22 | 1997-07-22 | Production Engineered Designs, Inc. | Steam generator assembly and steam cooking appliances using same |
DE19604598C1 (de) * | 1996-02-08 | 1997-08-28 | Braun Ag | Dampfkochgerät |
FR2786083B1 (fr) * | 1998-11-19 | 2001-01-05 | Seb Sa | Cuiseur a vapeur a remplissage lateral d'eau |
-
2002
- 2002-06-12 DE DE60200482T patent/DE6020048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12 EP EP02356107A patent/EP1380242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6-12 AT AT02356107T patent/ATE26634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
- 2003-03-18 CN CNB031072259A patent/CN124863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6-02 KR KR1020030035390A patent/KR1006533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48633C (zh) | 2006-04-05 |
ATE266346T1 (de) | 2004-05-15 |
EP1380242A1 (fr) | 2004-01-14 |
DE60200482D1 (de) | 2004-06-17 |
KR100653394B1 (ko) | 2006-12-01 |
DE60200482T2 (de) | 2005-05-12 |
CN1466927A (zh) | 2004-01-14 |
EP1380242B1 (fr) | 2004-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95988A (ko) | 증기발생 기구용 가열부 | |
RU2324418C2 (ru) | Компактная пароварка | |
WO2015025125A1 (en) | Appliances and components therefor | |
CN113840559A (zh) | 水壶 | |
CN210383617U (zh) | 一种蒸箱 | |
CN110613329B (zh) | 盖体组件及家电设备 | |
CN214258963U (zh) |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 |
CN220124500U (zh) | 烹饪器具 | |
GB2261362A (en) | Water heating vessel | |
CN220109579U (zh) |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 |
KR101215123B1 (ko) |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 |
KR20140013559A (ko) |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 |
JP2527891B2 (ja) | 給湿装置 | |
KR101379755B1 (ko) |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 |
JP3549457B2 (ja) | 炊飯器 | |
CN110613332B (zh) | 用于烹饪器具的破泡装置、锅盖以及烹饪器具 | |
CN220069520U (zh) | 蒸汽阀组件和烹饪器具 | |
JP4507259B2 (ja) | 水蒸気の発生のためのボイラーを有する装置 | |
CN217447419U (zh) | 家用电器 | |
CN220124501U (zh) | 烹饪器具 | |
TWI813470B (zh) | 蓋組件及帶蓋容器 | |
KR200493417Y1 (ko) | 휴대용 조리기구 | |
RU2820728C2 (ru) | Чайник | |
RU2185771C2 (ru) |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типа | |
KR200495922Y1 (ko) |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된 조리용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