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639A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639A
KR20030092639A KR1020020030365A KR20020030365A KR20030092639A KR 20030092639 A KR20030092639 A KR 20030092639A KR 1020020030365 A KR1020020030365 A KR 1020020030365A KR 20020030365 A KR20020030365 A KR 20020030365A KR 20030092639 A KR20030092639 A KR 2003009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ping
main body
packing
groov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자
Original Assignee
이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자 filed Critical 이미자
Priority to KR102002003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639A/ko
Publication of KR2003009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6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혈상의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 담(痰)과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부항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상하단에 삽입부(10a)와 흡착면(10b)을 구비하고, 내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 삽입부(10a)에 안착되는 V홈(20a)을 지닌 배출패킹(20)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V홈(30a)이 개재되는 패킹덮개(30)와; 상기 본체(10)의 삽입부(10a)를 통하여 개재되고, 상기 본체(1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밀착구(41)와 슬라이드봉(42)을 구비하는 피스톤(40)과; 및 상기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에 체결볼트(70)로 결합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부항기를 구성하는 부항컵만으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부수적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직 부항컵만으로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부항기를 구성하는 기구(연결관, 흡입기 등)들이 필요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누구라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항기{CUPPING DEVICE}
본 발명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기를 구성하는 부항컵만으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부수적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직 부항컵만으로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부항기를 구성하는 기구(연결관, 흡입기 등)들이 필요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누구라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附缸:Cupping)은 우리 몸에 정체된 담(痰)과 변조된 혈액을 제거해 신체의 일부를 정화하는 방법이다. 즉 경혈상의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 비생리적인 체액인 담과 변조된 혈액인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항만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치료요법을 응용하여 만든 의료기구가 부항기이다.
부항기는 부항만이 지니고 있는 특별한 치료요법인 자연의 성질을 그대로 이용하여 그 독특한 정혈작용을 통해 체내 독소나 노폐 혈액을 분해, 여과하여 체외로 배출시켜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피부에 산소공급을 왕성하게 하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체질이 개선되고 저항력을 높여줌으로 자연치유력이 증진되어 질병을 몰아내고 예방하는 놀랄만한 효과를 보여줌으로서 날이 갈수록 그 가치가 높아져 가고 있으며, 가정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부항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한가지로 건부항이라고 피를 뽑지 않으며 그냥 붙이는 방법이며, 또 한가지는 사혈침을 사용하여 피를 뽑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건부항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부항기를 구성하는 물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부항기(1)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부항컵(2)과, 부항컵(2)에 내재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기(3)와, 부항컵(2)과 흡입기(3)를 서로 이어주는 연결관(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입기(3)는 흡입펌프, 흡입기계장치, 주사기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부항기(1)는 부항컵(2)의 배출구와 흡입기(3)의 흡입구를 연결관(4)을 통하여 서로 끼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시술하고자 하는 피부(경락부위나 경혈부위)에 부항컵(2)을 부착시킨 다음에 흡입기(3)를 작동시키면 부항컵(2)이 피부에 밀착되어 울혈(鬱血)현상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술을 통해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부위에는 자국이 남게 되는데 2주 이상 계속하면 그 부위의 혈액순환이 개선되어 자국이 나지 않게 되고 치료의 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부항자국의 변화색깔 및 수포반응을 통해 몸의 이상여부와 정도를 판정하여 시술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통상의 시술방법을 통해 부항기(1)를 시행할 경우에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흡입기(3)의 파손이나 고장을 일으키거나 연결관이 찢어지는 등의 부항기(1)를 구성하는 부수적인 기구들이 고장을 일으키면 부항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부항기(1)를 구성하는 부항컵(2), 흡입기(3), 연결관(4)이 모두 갖추어져야만 부항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처음 부항기를 접하는 시술자는 흡입기를 어느 정도로 작동시켜야 하는 지를 숙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부항컵을 피부에 너무 세게 붙이게 되어 도리어 담(痰)이 드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항기를 구성하는 부항컵만으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부수적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직 부항컵만으로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부항기를 구성하는 기구(연결관, 흡착기 등)들이 필요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누구라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부항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부항기를 구성하는 물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부항기를 결합한 상태와 함께 이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부항기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혈상의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 담(痰)과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부항기에 있어서:
상하단에 삽입부(10a)와 흡착면(10b)을 구비하고, 내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 삽입부(10a)에 안착되는 V홈(20a)을 지닌 배출패킹(20)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V홈(30a)이 개재되는 패킹덮개(30)와; 상기 본체(10)의 삽입부(10a)를 통하여 개재되고, 상기 본체(1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밀착구(41)와 슬라이드봉(42)을 구비하는 피스톤(40)과; 및 상기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에 체결볼트(70)로 결합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착구(41)의 양단에 결착홈(41a)을 개재하고, 상기 결착홈(41a)을 통해 장착되는 V홈(50a)을 지닌 흡입패킹(50)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흡착면(10b)에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고무(80)를 장착하여 인체의 피부(S)와의 흡착력을 배가시킨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경혈상의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 담(痰)과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부항기에 관련되며, 특히 부항기를 구성하는 부항컵만으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하단에 삽입부(10a)와 흡착면(10b)을 구비하고, 내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본체(10)가 사용된다. 본체(10)는 통상의 부항기에서 사용되는 부항컵의 크기와 같은 직경으로 성형한다. 상단에 삽입부(10a)는 후술하는 배출패킹(20)과 패킹덮개(30)를 안착하여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으로 성형한다. 그리고, 하단의 흡착면(10b)은 인체의 피부에 접착력이 뛰어나도록 완곡형으로 성형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소재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폴리프로필렌(P.P)나 폴리에스테르설폰(PES)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을 중공성형(中空成型)할 경우에는 뜨거운 물에 견디므로 보온병, 열소독을 하는 의료기구ㆍ약품용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설폰은 삶거나 전자레인지에 소독해도 환경호르몬(비스페놀-A)이 검출되지 않아 젖병에 사용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0c는 본체(10)의 삽입부(10a)를 통해 내부로 관통된 관통공으로서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이 장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V홈(20a)을 지닌 배출패킹(20)과 이와 맞물리는 V홈(30a)이 개재되는 패킹덮개(30)가 상기 본체(10)의 상단 삽입부(10a)에 안착된다. 배출패킹(20)은 본체(10)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삽입부(10a)보다 작은 직경으로 성형한다. 패킹덮개(30)도 마찬가지로 삽입부(10a)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성형하여 삽입부(10a)내로 장착되도록 한다. 단, 배출패킹(20)의 V홈(20a)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패킹덮개(30)의 V홈(30a)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서로 맞물려장착하도록 한다. 이는 배출패킹(20)의 V홈(20a)과 패킹덮개(30)의 V홈(30a)이 서로 맞물리게 되어 이중으로 밀폐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본체(10)의 기밀성이 더욱 더 유지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밀착구(41)와 슬라이드봉(42)을 구비하는 피스톤(40)이 상기 본체의 삽입부(10a)를 통하여 개재된다. 피스톤(40)은 밀착구(41)와 슬라이드봉(42)이 일체로 성형된다. 밀착구(41)의 하부면은 만곡형으로 제작되고, 본체(10)의 내경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성형된다. 슬라이드봉(42)은 본체(10)의 관통공(10c)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성형된다. 피스톤(40)의 소재는 본체(10)의 소재와 같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P.P)나 폴리에스테르설폰(PES)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42a는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이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으로서, 체결볼트(70)를 통해 후술하는 손잡이(6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40)의 밀착구(41) 중간에 결착홈(41a)을 개재하는 바, 이 형태는 ""모양으로 성형된다. 결착홈(41a)에 V홈(50a)을 지닌 흡입패킹(50)이 장착된다. 단 흡입패킹(50)의 V홈(50a)은 하부로 향하도록 장착한다. 흡입패킹(50)의 크기는 본체(10)의 내경면과 같은 직경으로 성형되고, 본체(10)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에 체결볼트(70)로 결합되는 손잡이(60)가 사용된다. 손잡이(60)는 상부가 반원형태로 성형되고, 체결볼트(70)가 손잡이(60)의 내부로 안착되도록 안착공(60a)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부항기를 결합한 상태와 함께 이를 종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항기의 작동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과 작동을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 도 3에서 본체(10)의 삽입부(10a)에 배출패킹(20)과 패킹덮개(30)를 안착한다. 이때, 배출패킹(20)의 V홈(20a)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한 다음 패킹덮개(30)의 V홈(30a)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서로 맞물려 장착한다. 그리고, 피스톤(40)의 밀착구(41) 중간에 개재된 결착홈(41a)에 결착홈(41a)에 흡입패킹(50)을 장착한다. 단 흡입패킹(50)의 V홈(50a)은 하부로 향하도록 장착한다. 이어서, 본체(10)의 삽입부(10a)를 통해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을 장착한 다음 체결볼트(70)로 손잡이(60)를 결합한다.
작동에 있어서, 도 4에서 부항기(100)의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한 손잡이(60)를 상부로 당겨 잔여한 내부공기를 완전히 빼낸다.(도 2처럼) 이때,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된 배출패킹(20)에 의해 내부공기가 배출되고 외부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된다. 즉 본체(10)내로 압력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시술하고자 하는 피부(경락부위나 경혈부위)에 부항기(100)를 밀착시키며 공기의 압력차에 의하여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이 본체(10)의 관통공(10c)을 통해 상부로 천천히 올라가게 됨에 따라 피스톤(40)의 밀착구(41)에 장착된 흡입패킹(50)이 본체(10)의 내경면을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내경으로 피부를 당겨주게 되고 이로 인해 부항효과를 추구하게 된다.
그리고, 시술이 끝난 뒤에는 피부에 밀착된 부항기(100)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60)를 하부로 밀게 되면 간단하게 부항기(100)가 피부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항컵만으로 이루어진 부항기(100)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의 부항기(1)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부수적인 기구(연결관(4), 흡입기(3)등)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직 부항컵만으로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사용방법이 간편하면서도 누구라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부항기(1)를 구성하는 기구(연결관, 흡입기 등)들이 필요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부항기의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서, 상기 본체(10)의 흡착면(10b)에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고무(80)를 장착한다. 실리콘 고무(80)의 구조는 종단면이 ""형을 띄면서 본체(10)의 흡착면(10b)에 결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흡착면(10b)에 장착되는 실리콘 고무(80)에 의해 인체의 피부(S)와의 흡착력을 조금 더 배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굳이 부항기(100)의 본체(10)형태를 원형이 아닌 타원으로 제작하여도 본 발명에서 실시한 방법으로도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부항기를 구성하는 부항컵만으로 부항요법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부수적인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직 부항컵만으로 부항효과를 누릴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부항기를 구성하는 기구(연결관, 흡입기 등)들이 필요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누구라도 간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경혈상의 피부에 음압(陰壓)을 작용시켜 담(痰)과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부항기에 있어서:
    상하단에 삽입부(10a)와 흡착면(10b)을 구비하고, 내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 삽입부(10a)에 안착되는 V홈(20a)을 지닌 배출패킹(20)을 구비하고, 이와 맞물리는 V홈(30a)이 개재되는 패킹덮개(30)와;
    상기 본체(10)의 삽입부(10a)를 통하여 개재되고, 상기 본체(10)의 내경면에 밀착되는 밀착구(41)와 슬라이드봉(42)을 구비하는 피스톤(40)과; 및
    상기 피스톤(40)의 슬라이드봉(42)에 체결볼트(70)로 결합되는 손잡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41)의 중간에 결착홈(41a)을 개재하고, 상기 결착홈(41a)을 통해 장착되는 V홈(50a)을 지닌 흡입패킹(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3.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흡착면(10b)에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고무(80)를 장착하여인체의 피부(S)와의 흡착력을 배가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KR1020020030365A 2002-05-30 2002-05-30 부항기 KR20030092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365A KR20030092639A (ko) 2002-05-30 2002-05-30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365A KR20030092639A (ko) 2002-05-30 2002-05-30 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639A true KR20030092639A (ko) 2003-12-06

Family

ID=3238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365A KR20030092639A (ko) 2002-05-30 2002-05-30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6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42B1 (ko) * 2009-02-18 2009-08-26 장태순 마사지장치용 이중 마사지 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2186A (en) * 1940-10-21 1944-06-27 John T Corrigan Variable pitch propeller
KR910005281Y1 (ko) * 1989-09-11 1991-07-22 김동기 부항기
KR200254011Y1 (ko) * 2001-08-25 2001-11-23 정태영 스프링을 이용한 부항
KR101292296B1 (ko) * 2011-10-21 2013-08-01 주식회사 선진 농업 비닐하우스 덮개 권취용 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2186A (en) * 1940-10-21 1944-06-27 John T Corrigan Variable pitch propeller
KR910005281Y1 (ko) * 1989-09-11 1991-07-22 김동기 부항기
KR200254011Y1 (ko) * 2001-08-25 2001-11-23 정태영 스프링을 이용한 부항
KR101292296B1 (ko) * 2011-10-21 2013-08-01 주식회사 선진 농업 비닐하우스 덮개 권취용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42B1 (ko) * 2009-02-18 2009-08-26 장태순 마사지장치용 이중 마사지 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919B2 (en) Reduced pressure treatment system
KR100360605B1 (ko) 의료기기
EP2424585B1 (en) Nasal aspirator
RU260843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ания носа и система с имитатором разрушаемого картриджа
US20050148913A1 (en) Reduced pressure wound treatment appliance
AU2016326490B2 (en) A dual port tube for suction and fee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010047148A1 (en) Breast pump
KR100900317B1 (ko) 콧물 흡인 장치
KR20030092639A (ko) 부항기
KR200208737Y1 (ko) 부항기
KR200383720Y1 (ko) 연장밸브관을 구비한 부항기
KR200395374Y1 (ko) 부항기용 자동펌핑기구
KR20060062480A (ko) 의료용 흡인기
CN2824917Y (zh) 一种鼻炎清洗治疗机
CN213100463U (zh) 一种用于治疗鼻炎及缓解眼底皱纹的治疗仪
CN213490935U (zh) 一种吸附导管
KR200181529Y1 (ko) 부항기
CN215740795U (zh) 用于儿科的家用型负压吸鼻器
KR100827423B1 (ko) 부항기
CN214550420U (zh) 一种消化护理胃肠减压器
KR100894562B1 (ko) 액체 분무 장치
US20230277753A1 (en) Negative pressure medical device
CN2333392Y (zh) 水压流鼻炎治疗保健器
KR200208736Y1 (ko) 부항기
KR19990022440U (ko) 전동부항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