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587A -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587A
KR20030092587A KR1020020030298A KR20020030298A KR20030092587A KR 20030092587 A KR20030092587 A KR 20030092587A KR 1020020030298 A KR1020020030298 A KR 1020020030298A KR 20020030298 A KR20020030298 A KR 20020030298A KR 20030092587 A KR20030092587 A KR 20030092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area
information storage
layer
wo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526B1 (ko
Inventor
이경근
박인식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5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가지고,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개선한 다층의 정보 저장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다층의 정보 저장매체는,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가지는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을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흠집이나 지문, 먼지 등이 생기더라도 각 정보 저장층에 구비된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이 재생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plural information storage layer}
본 발명은 다층의 정보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가지고,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개선한 다층의 정보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저장매체는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광픽업장치의 정보 기록매체로 널리 채용되며, 정보 저장매체의 한 종류인 광디스크는 정보기록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HD-DVD도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디스크는 점점 기록 용량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기록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기록 광원의 파장을 단파장화 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고개구수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밖에, 기록층을 복수층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복수층의 기록층을 가지는 DVD-ROM에 대해 미국 특허 US5,881,0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2층 기록층을 가지는 디스크의 섹터 어드레스 구조가 도 1a에도시되어 있다. 이 디스크에는 제1기록층(L1)과 제2기록층(L2)이 구비되고, 각 기록층에는 리드인 영역(1a)(2a)과 리드아웃(1b)(2b)이 구비된다. 상기 제1기록층(L1)에서는 디스크 내주(Rin)에서 외주(Rout) 방향으로 가면서 섹터 어드레스(X)가 증가되고, 제2기록층(L2)에서는 디스크 외주(Rout)에서 디스크 내주(Rin)로 가면서 섹터 어드레스(X')가 증가된다.
한편, 2층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다층 광디스크는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방향에 따라 OTP(Opposite Track Path)와 PTP(Parallel Track Path)로 나뉜다. OTP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 방향으로 재생이 수행되고,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 방향으로 재생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OTP는 트랙 스파이럴 방향이 각 기록층마다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형을 말한다. 또한, 도 1c는 OTP의 경우에 제1 내지 제4 기록층(L1)(L2)(L3)(L4)을 가지는 다층 광디스크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 4기록층(L1)(L2)(L3)(L4)에는 디스크의 내주 영역과 외주 영역에 교대로 제1 내지 제4 리드인 영역(1a)(2a)(3a)(4a)과 제1 내지 제4 리드아웃 영역(1b)(2b)(3b)(4b)이 구비된다. 이러한 4층 광디스크의 재생 방향을 보면,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로,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로, 제3기록층(L3)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로, 제4기록층(L4)의 외주(Rout)에서 내주(Rin)로 재생된다.
도 2는 PTP 유형의 2층 광디스크를 도시한 것으로, 제1기록층(L1)의 내주(Rin)에서 외주(Rout)쪽으로 정보가 재생되고, 이어서 제2기록층(L2)의 외주에서 내주쪽으로 정보가 재생된다. 다시 말하면, 트랙 스파일 방향이 각 기록층마다 동일하게 형성되는 유형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록층(L1)의 내주쪽에 제1리드인 영역(1a)이, 외주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b)이 구비되고, 상기 제2기록층(L2)의 내주쪽에 제2리드인 영역(2a)이, 외주쪽에 제2리드아웃 영역(2b)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인 영역(1a)(2a)(3a)(4a)과 리드아웃 영역(1b)(2b)(3b)(4b)에는 디스크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경우 기록에 관련된 여러 가지 조건들이 함께 기록된다. 따라서, 이들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해야만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기록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DVD-ROM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보면, 각 층의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다른 층의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과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크의 입사면(I)상에 먼지나 사용자의 지문 등으로 인해 오염이 된 경우 각 층의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모두 재생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대응되는 입사면의 오염 등으로 인해 레이저 빔이 입사면을 통과하지 못하면, 각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다른 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까지도 이르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DVD-ROM에서와 같은 다층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제1기록층의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지 못하면 다른 기록층의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도 재생하지 못하게 되어 디스크의 불량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층 이상의 정보 기록층을 갖는 다층 광디스크에 있어서, 각 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디스크 표면의 오염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킨 다층 광디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DVD-ROM 2층 광디스크의 섹터 어드레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DVD-ROM 2층 광디스크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종래의 DVD-ROM 4층 광디스크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DVD-ROM 4층 광디스크에서 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에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2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2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2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OTP(Opposite TrackPath)의 경우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2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PTP(Parallel Track Path)의 경우 리드인 및 리드아웃 영역의 배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각 정보 저장층의 기록/재생 영역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주파수변조에 의한 워블로부터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위상변조에 의한 워블로부터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진폭변조에 의한 워블로부터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MAM 변조에 의한 워블로부터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QPSK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f 및 도 7g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채용되는 여러 가지 워블의 변조 방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제1정보 저장층, L2...제2정보 저장층
L3...제2정보 저장층, L4...제4정보 저장층
1i,2i,3i,4i...리드인 영역, 1o,2o,3o,4o...리드아웃 영역 Rin...내주 Rout...외주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가지는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생 전용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된 재생전용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생 전용 데이터가 그루브 워블로 기록된 재생전용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가지고, 각 층마다 리드인 영역(1i)(2i)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1u)(2u) 및 리드아웃 영역(1o)(2o)을 포함하며,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li)(2i)과 리드아웃 영역(1o)(2o)이 디스크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제1정보 저장층(L1)과 제2정보 저장층(L2)을 가지는 2층 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OTP(Opposite Track Path)의 경우의 여러 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 영역(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 영역(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o)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 영역(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1정보 저장층(L1)과 제2정보 저장층(L2)을 가지는 2층 의 정보저장 매체에서 PTP(Parallel Track Path)를 따라 재생되는 경우의 여러 가지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을, 제1정보 저장층(L1)의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을 구비하고,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Rin)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안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인 영역(2i)을,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Rout)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 제2리드아웃 영역(2o)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들은 모두 제1리드인 영역과 제1리드아웃 영역의 위치및 제2리드인 영역과 제2리드아웃 영역의 위치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점에서 공통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3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가지는 정보저장 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a에 OTP를 따르는 4층 정보저장 매체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4층 정보저장 매체는 제1 내지 제4 정보 저장층(L1)(L2)(L3)(L4)을 포함하고, 각 정보 저장층마다 리드인 영역(1i)(2i)(3i)(4i), 사용자 데이터 영역(1u)(2u)(3u)(4u) 및 리드아웃 영역(1o)(2o)(3o)(4o)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쪽(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이, 외주쪽에 제1리드아웃(1o)이 배치되며,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 영역(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2리드인(2i)이,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l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2리드아웃 영역(2o)이 배치된다. 또한, 제3정보 저장층(L3)의 내주쪽에 상기 제2리드아웃 영역(2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3리드인 영역(3i)이, 제3정보 저장층(L3)의 외주쪽에 상기 제2리드인 영역(2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3리드아웃 영역(3o)이 배치되고, 제4정보 저장층(L4)의 외주쪽에 상기 제3리드아웃 영역(3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4리드인 영역(4i)이, 제4정보 저장층(L4)의 내주쪽에 상기 제3리드아웃 영역(3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4리드아웃 영역(4o)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로, 도 5b를 참조하면, PTP의 경우의 4층의 정보저장 매체는,제1 내지 제4 정보 저장층(L1)(L2)(L3)(L4)이 구비되고, 제1정보 저장층(L1)의 내주(Rin)쪽에 제1리드인 영역(1i)이, 외주(Rout)쪽에 제1리드아웃 영역(1o)이 배치되며, 제2정보 저장층(L2)의 내주쪽에 상기 제1리드인 영역(1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2리드인 영역(2i)이, 제2정보 저장층(L2)의 외주쪽에 상기 제1리드아웃 영역(1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2리드아웃 영역(2o)이 배치된다. 또한, 제3정보 저장층(L3)의 내주쪽에 상기 제2리드인 영역(2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3리드인 영역(3o)이, 제3정보 저장층(L3)의 외주쪽에 상기 제2리드아웃 영역(2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3리드아웃 영역(3o)이 배치되고, 제4정보 저장층(L4)의 내주쪽에 상기 제3리드인 영역(3i)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4리드인 영역(4i)이, 제4정보 저장층(L4)의 외주쪽에 상기 제3리드아웃 영역(3o)보다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제4리드아웃 영역(4o)이 배치된다.
상기 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리드인 영역(1i)(2i)(3i)(4i)이 디스크 내주쪽에 순차적으로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제1 내지 제 4 리드아웃 영역(1o)(2o)(3o)(4o)이 디스크 외주쪽에 순차적으로 반경 방향에 대해 바깥쪽으로 배치된다.
이밖에도,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인 영역(1i)(2i)(3i)(4i)과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아웃 영역(1o)(2o)(3o)(4o)을 각 층별로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저장 매체는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각 정보 저장층마다 리드인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는 재생전용영역과 재기록가능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생전용영역은 예를 들어,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거나 그루브 워블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그루브 워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제1그루브 워블과 구분되는 제2그루브 워블이 형성된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a에는 본 발명의 그루브 워블 신호의 변조방식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조 방식은 주파수변조(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워블(105)(105')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0" 비트와 '1" 비트의 조합으로 기록되고, 비트가 논리값 "0"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주파수와 비트가 논리값 "1"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주파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0" 비트에서의 주파수가 "1"비트에서의 주파수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0"비트와 "1"비트가 인식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방식이 있다. 이는 워블(108)(108')의 위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트가 논리값 "0"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위상과 비트가 논리값 "1"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위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0" 비트를 나타내는 워블의 위상과 "1"비트를 나타내는 워블의 위상이 180도 위상차가 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비트가 논리값 "0"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진폭과 비트가 논리값 "1"을 취하는 경우에 워블의 진폭을 다르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기의 단일 주파수의 워블부(135) 및/또는 소정 주기의 비워블부(13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MAM(Modified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블부(135)는 단일 주파수로 구성되고, 상기 비워블부(137)는 워블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워블부(135) 또는 비워블부(137)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외에,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워블신호(140)의 위상을 90°씩 어긋나도록 변조하는 QPSK(Quda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기록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45는 사용자 데이터인 기록 마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워블에 의해 재생전용데이터를 기록하면 그루브 및/또는 랜드 트랙을 따라 사용자 데이터와 재생 전용 데이터가 함께 기억되므로 디스크의 기록영역 사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워블의 일부 구간의 주파수만을 변화시키는 MSK(Minimum Shift Keying) 방식 또는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태의 워블(150)을 형성한 STW(Saw Tooth Wobble)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톱니형 워블(150)은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큰 부분(150a)과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150b)의 형상에 따라 "0"비트 또는 "1"비트가 결정된다.
상술한 그루브 워블의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은 각각 QPSK 방식, 주파수변조 방식, 진폭변조 방식, 소정 주기의 단일 주파수 워블과 소정 주기의 비워블부를 조합한 방식, 위상 변조방식, MSK 방식 및 톱니형 변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용함으로써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을 구별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은 각각 서로 다른 변조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고, 일부는 같고 일부는 다른 변조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는,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을 동일한 변조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이 동일하게 주파수변조 방식을 채용하되 상기 제2그루브 워블의 주파수가 상기 제1그루브 워블의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는,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가지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각 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을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흠집이나 지문, 먼지 등이 생기더라도 각 정보 저장층에 구비된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이 재생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보저장 매체의 불량률을 줄이고,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재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가지는 2층 이상의 정보 저장층을 구비한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에 있어서,
    각 정보 저장층의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이 반경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생 전용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된 재생전용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생 전용 데이터가 그루브 워블로 기록된 재생전용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 사용자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은 그루브 워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 영역의 제1그루브 워블과 구별되는 제2그루브 워블이 형성된 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 워블과 제2그루브 워블은 각각 QPSK 방식, 주파수변조 방식, 진폭변조 방식, 소정 주기의 단일 주파수 워블과 소정 주기의 비워블부를 조합한 방식, 위상 변조방식, MSK 방식 및 톱니형 변조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층의 정보 저장층에서 반경 방향에 대해 내주쪽에서 외주쪽으로 정보를 재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층의 정보 저장층마다 교대로 반경 방향에 대해 내주쪽에서 외주쪽으로 그리고 외주쪽에서 내주쪽으로 정보를 재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정보 저장 매체.
KR1020020030298A 2002-05-30 2002-05-30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KR10087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98A KR100878526B1 (ko) 2002-05-30 2002-05-30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98A KR100878526B1 (ko) 2002-05-30 2002-05-30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587A true KR20030092587A (ko) 2003-12-06
KR100878526B1 KR100878526B1 (ko) 2009-01-13

Family

ID=3238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298A KR100878526B1 (ko) 2002-05-30 2002-05-30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5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225A (en) * 1989-10-30 1994-04-12 Matsushita Electrical Industrial Co., Ltd. Multi-layered optical disk with track and layer identification
JPH08212561A (ja) * 1994-11-30 1996-08-20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そのデータ記録媒体を使用する記録/再生装置
JP3189616B2 (ja) * 1995-03-17 2001-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層型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AU5570100A (en) * 1999-06-28 2001-01-31 Sony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reading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2133714A (ja) * 2000-10-23 2002-05-10 Pioneer Electronic Corp 多層情報記録媒体及び記録装置
JP2002150568A (ja) * 2000-11-07 2002-05-24 Pioneer Electronic Corp 多層ディスク及び多層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526B1 (ko) 200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972B1 (ko) 다층 정보 기록 매체, 기록 방법, 및 재생 방법
JP4964840B2 (ja) 光記録媒体
US7843798B2 (en)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transition area
US20060198289A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739672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KR20050001976A (ko) 정보 저장 매체
JP3954322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KR100878526B1 (ko)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JP4315253B2 (ja) 情報記録媒体
KR100739806B1 (ko) 광정보 저장매체의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754229B1 (ko) 광정보 저장매체의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765800B1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데이터의 재생 방법
EP1518230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thereon
KR100924778B1 (ko) 광정보 저장 매체 및 정보 재생/기록 장치
KR100917890B1 (ko) 광정보 저장 매체 및 정보 재생/기록 장치
KR20080002734A (ko) 광정보 저장 매체 및 정보 재생/기록 방법
KR20040002371A (ko) 정보저장 매체 및 그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20040110542A (ko) 정보 저장 매체 및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20030093066A (ko) 다층의 정보저장 매체
JP2002183976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並びに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80002735A (ko) 광정보 저장 매체 및 정보 재생/기록 방법
KR20010053783A (ko) 광기록매체 및 그 재생방법
KR20040079946A (ko) 다층 정보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