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3Y1 -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3Y1
KR200300913Y1 KR20-2002-0029523U KR20020029523U KR200300913Y1 KR 200300913 Y1 KR200300913 Y1 KR 200300913Y1 KR 20020029523 U KR20020029523 U KR 20020029523U KR 200300913 Y1 KR200300913 Y1 KR 200300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air
shaped
outdoor unit
press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균
Original Assignee
오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균 filed Critical 오성균
Priority to KR20-2002-0029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방장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리된 증발실과 응축실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사각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가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브이자형 응축기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 하부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이 공급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일정 단위공간에 대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응축기의 전열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대용량의 냉방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V-shaped condenser}
본 고안은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단위공간에 대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응축기의 전열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확보된 응축기에 대하여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지함으로써,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한정된 설치공간에서 대용량의 냉방을 구현할 수 있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라 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냉방장치에서는 냉매를 응축시킬 때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가 냉방장치 전체의 성능과 냉방용량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냉방장치에서는 응축기를 실내에서 냉각하는 데 기술적 한계가 있었던 관계로 소용량의 냉방능력을 갖는 일부 이동식 냉방장치나 창문형의 냉방장치를 제외하고는 실외기를 설치하여 응축기를 냉각하는 것이 통상적인 일이었다.
하지만, 실외기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미관상의 이유로 최근에는 실외기가 없는 냉방장치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는 대용량의 냉방장치의 개발과 보급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는 응축기 냉각장치에 채택되는 방식으로는 공냉식과 수냉식, 또는 공냉식과 수냉식을 혼합한 형태인 혼합식이 있으며, 이 중에 공냉식은 냉각수 배관이나 냉각수 순환펌프와 같이 복잡한 설비가 필요 없고, 특히 실내에서 냉각수를 원활하게 공급받기 위한 설치장소의 제약과 냉각수 처리를 위한 불편함이나 장치의 부식 등과 같은 냉각수 사용에 따른 폐해가 전혀 없기 때문에 많이 채택된다.
하지만, 상기 공냉식은 배기팬에 의해 흐르는 공기로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야 되고, 상기 공기에 접촉되어 열교환할 수 있는 응축기의 표면적을 넓게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도 1 은 공냉식을 채택한 종래의 실외기 없는 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외기 없는 냉방장치는 응축실(106)에 설치되는 응축기(101)와 상기 응축기(101)를 냉각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배기팬(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기팬(103)에 의하여 상기 냉방장치의 외부에서 공급구(105)를 통하여 응축실(100) 내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응축실(100) 내로 공급된 공기는 계속 흐르면서 상기 응축기(101)의 표면에 접촉되어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응축기(101)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기팬(10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실외기 없는 냉방장치에 의하면 중량과 부피가 큰 압축기(107)가 냉방장치 하부에 설치되는 등의 이유로, 상기 응축실(100) 내로 공급된 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응축기(101)를 충분한 크기로 설치하지 못하였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냉방장치의 경우, 전열면적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응축기를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지 않고 적층시킨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응축기에 한번 접촉된 공기가 적층된 응축기에 재차 중복하여 접촉되는 것은 물론 인접된 응축기들이 서로간의 열배출을 간섭하기 때문에 설치된 응축기의 전열면적에 비하여 냉각효과는 극히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방장치로는 응축기의 전열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곤란하였으며, 더욱이 설치된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공기의 흐름마저도 원활하지 못한 관계로 응축기에 대한 냉각효율이 떨어져 그 결과 실외기 없이는 대용량의 냉방장치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응축기를 혁신적인 구조를 갖는 브이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일정 공간에 대하여 보다 넓은 전열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응축기에 대하여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대용량의 냉방을 가능하게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공냉식을 채택한 종래의 실외기 없는 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의 내부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의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와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을 개략화하여 보여주는 참조도.
도 6 은 본 고안의 냉각공기 공급수단으로 복수개의 공급팬이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7 은 본 고안의 분배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8 은 본 고안의 배기수단을 도시한 참조도.
도 9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와 배기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조도.
도 10 은 본 고안의 공기 가이드를 도시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3 : 응축실
5 : 증발실 7 : 압축기
9 : 브이자형 응축기 11 : 팽창밸브
13 : 증발기 15 : 냉각공기 공급수단
17 : 배기수단 19 : 하우징
29 : 분배판 35 : 공기 가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는, 상기 냉방장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리된 증발실과 응축실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사각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가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브이자형 응축기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 하부로 균일하게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이 공급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수단은,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응축실의 하부 후측부에 설치되어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측부로 공급하는 공급팬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의 하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상부로 균일하게 분배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공은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수단으로 안내하도록 밑변이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상변과 접하여 설치된 돔형태의 공기 가이드를 더욱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의 내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는 상부에는 냉매를 증발하여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3)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14)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송풍기(14)가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냉방장치 상부 내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증발기(13)가 냉각하고 다시 송풍기(13)가 송풍구를 통하여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냉방장치 하부는 응축기(9)가 설치되는 응축실(3)이 위치되며, 상기 응축실(3)의 저면부에 중량과 부피가 큰 압축기(7)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응축기(9)를 브이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응축실(3)에 마련된 제한된 설치공간에 대하여 보다 넓은 전열면적을 확보함과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외기 일체형의 케이싱(1)과, 압축기(7)와,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로 구성된 브이자형 응축기(9)와, 팽창밸브(11)와, 증발기(13)와, 냉각공기 공급수단(15)과, 배기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은 상기 냉방장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리된 증발실(5)과 응축실(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7)는 상기 응축실(3) 저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7)는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하부 중앙을 피해 보다 넓은 공간이 허용된 응축실 좌우측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압축기(7)의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는 사각형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가 하변이 상호 인접되어 브이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는 상기 압축기(7)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각형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가 브이자형으로 구성되면, 동일한 설치공간에 대하여 훨씬 넓은 전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응축실(3) 내의 동일 설치공간에 응축기를 수직하게 설치하는 경우와 단순비교하면 수치상으로 최소 2 배 이상의 응축기 전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9)는 상기와 같이 넓은 전열면적을 확보하면서도 원활한 공기의 흐름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가운데 냉각공기가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팽창밸브(11)는 증발기(13)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를 연결하는 중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증발실(5) 혹은 응축실(3) 내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팽창밸브(11)는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3)는 상기 증발실(5)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11)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은 상기 응축실(3)에 설치되고, 공급관(16)을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수단(17)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이 공급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이 잘 설명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냉방장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와 이를 냉각하기 위해 구성된 요소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도 5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와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을 개략화하여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교환을 위하여 브이자형 응축기(9)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 냉각용의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수단(15)과 그 상부에는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수단(17)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브이자형 응축기(9) 형태의 구조로써 동일 설치공간에서 최대한 전열면적이 확보된 가운데,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과 배기수단(17)에 의하여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표면 전체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으로는 상기 응축실(3)의 하부 후측부에 설치되어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측부로 공급하는 공급팬(27)이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공급팬(27)이 설치되어 실외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응축실(3)의 전측부까지 토출하게 되면, 상기 배기수단(17)에 의한 흡입력 때문에 상기 응축실(3) 전측부까지 충분한 양의 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 하부 전역에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고안의 냉각공기 공급수단으로 복수개의 공급팬이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각공기 공급수단(15)으로 복수개의 공급팬(27)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공급관(16)을 복수개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공급관(16)에 공급팬(27)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공급팬(27)이 복수개 설치되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하부좌우측으로 더욱 균일한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하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분산시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판(2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7 은 본 고안의 분배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배판(29)은 하부의 공기를 상부로 균일하게 분배하여 관통시키는 복수개의 통공(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통공(31)은 공기가 응축실(3)의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이동하는 양과 속도 및 압력, 상부 중앙에 설치된 배기수단(17)의 흡입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통공(31)이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도달하기 때문에 후측부와 전측부에서 분배판(29)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지역적인 편차없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 균일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배판(29)에는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크기가 변하는 통공(31)만이 아니라 작고 동일한 크기의 통공(33)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분배판(29)이 약간 정도는 공기의 흐름을 저항하여 공기가 넓게분산되게 하지만 과도한 저항으로 공기의 흐름 자체를 교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극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배판(29)은 위치에 따라 다른 크기로 형성된 통공(31)과 동일 크기로 형성된 작은 통공(31)에 의하여 지엽적으로 흐르는 공기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15)은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공급팬(27)과 분배판(29)이 함께 설치되거나 이 중 어느 하나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가운데 상기 공급팬(27)과 분배판(29)이 동시에 설치된 경우, 상기 공급팬(27)이 상기 분배판(29)이 설치된 하부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분배판(29)은 지엽적으로 공급되던 공기를 넓게 분산시키면서 상부에 위치한 브이자형 응축기(9)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8 은 본 고안의 배기수단을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기수단(17)은 하부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측부에 토출구(23)가 형성된 하우징(19)과, 상기 하우징(19) 내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구(21)로 흡입하여 토출구(23)로 토출하는 배기팬(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9)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를 통과한 후 상기 배기팬(25)에 의해 중앙으로 모아지는 공기를 교란없이 원활하게 흡입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9)의 흡입구(21)는 다량의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소정 이상의 크기와,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의 흡입시 주변에서 중앙으로 모이는 병목현상으로 공기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나팔관 형상을 갖는 소정의 가이드가 구비 또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9)의 토출구(23)는 도시된 것처럼 측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연결되는 배출관(26)의 위치나 케이싱(1)의 형상에 따라 상부와 같은 그 외의 위치에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 는 본 고안의 브이자형 응축기와 배기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기수단(17)과 브이자형 응축기(9)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를 구성하는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가 각각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를 구성하는 각 응축기(9a,9b)에 대하여 살펴보면, 그 각각은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일정 설치공간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보다 더 넓은 전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중앙에 상기 배기수단(17)이 위치하고 그 주위로 각 응축기(9a,9b)가 중첩되지 않으면서 위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배기수단(17)만으로도 확보된 넓은 면적의 응축기(9a,9b)에 충분한 양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기수단(17)과 브이자형 응축기(9)가 이격된 거리를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공간을 더욱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종래의 응축기로는 배기수단에 의해 흡입되면서 모아지는 공기와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야 하였고, 이에 따라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 은 본 고안의 공기 가이드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이자형 응축기(9)와 접촉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배기수단(17)으로 안내하는 공기 가이드(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 가이드(35)는 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배기수단(17)에 장착되고, 그 밑변은 상기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의 상변과 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가이드(35)는 상기 배기수단(17)의 흡입구(21)가 내부에 위치하고, 토출구(23)가 외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처럼, 상기 공기 가이드(35)가 설치되면 상기 배기수단(17)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는 거의 대부분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 표면을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더 많은 공기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의 동작을 브이자형 응축기(9)의 열교환을 중심으로 첨부한 도면에 의거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제 1 응축기(9a) 및 제 2 응축기(9b)로 구성된 브이자형 응축기(9)가 작동하면 상기 응축기(9) 내부에서 증기 상태의 냉매가 응축되면서 열이 발생되며 이와 동시에 배기수단(17) 및 냉각공기 공급수단(15)인 공급팬(27)이 작동된다.
이렇게 상기 공급팬(27)과 배기수단(17)이 작동되면, 실외의 공기가 공급관(16), 상기 공급팬(27), 분배판(29), 브이자형 응축기(9), 배기수단(17), 배출관(26)을 경유하여 흐르면서 다시 실외로 배출되며, 이때 본 고안의 냉방장치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에 접촉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가 냉각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먼저, 공급팬(27)이 작동되면, 실외의 공기가 공급관(16)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 하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공급팬(27)에 의해 응축실(3)의 후측부 뿐만 아니라 전측부까지 충분한 양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 하부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배기수단(17)에 의해 흡입되면서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영역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분배판(29)에 형성된 통공(31,32)을 통과하면서 전,후,좌,우,중앙측 전체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이후, 상기 분배판(29)을 통과하여 전,후,좌,우,중앙에서 균일하게 분산된 공기는 배기수단(17)의 흡입력에 의해 각 지역에서 상부 중앙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수단(17)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는 사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브이자형 응축기(9)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를 냉각하게 된다.
이후,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9)의 표면과 접촉되어 통과된 공기는 상기 배기수단(17)에 흡입된 후 토출되어 상기 배출관(26)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는 일정 단위공간에 대하여 응축기의 전열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확보된 응축기에 대하여는 높은 냉각효율을 가지고 냉각할 수 있게 되어 실외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작은 설치공간으로 대용량의 냉방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로써,
    상기 냉방장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리된 증발실과 응축실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사각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가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브이자형 응축기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 하부로 균일하게 공급하는 냉각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이 공급하는 공기를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수단은,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은,
    응축실의 하부 후측부에 설치되어 실외로부터 공기를 전측부로 공급하는 공급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4.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의 하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하게 설치되고, 공기를 상부로 균일하게 분배하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분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후측부에서 전측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배기수단으로 안내하도록 밑변이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상변과 접하여 설치된 돔형태의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KR20-2002-0029523U 2002-10-02 2002-10-02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KR200300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523U KR200300913Y1 (ko) 2002-10-02 2002-10-02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523U KR200300913Y1 (ko) 2002-10-02 2002-10-02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Y1 true KR200300913Y1 (ko) 2003-01-15

Family

ID=4939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523U KR200300913Y1 (ko) 2002-10-02 2002-10-02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267B1 (ko) 공기조화시스템
US10480799B2 (en) Outdoor unit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KR20060127550A (ko) 이동형 수냉식 에어컨
KR200300913Y1 (ko) 브이자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CN218379667U (zh) 空调装置
CN212901780U (zh) 空调室外机
KR20040029818A (ko) 역피라미드형 응축기를 구비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KR200300917Y1 (ko)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KR200275848Y1 (ko) 대용량의 냉방이 가능한 실외기 일체형 냉방장치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53199B1 (ko) 공기조화기
JP7130888B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20015916A (ko) 에어 컨디셔너
CN219141422U (zh) 烘干机组风道结构
CN216557414U (zh) 吊顶式空调
CN218544650U (zh) 空调器室外机
KR200339846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CN219014493U (zh) 一种恒温恒湿机
KR20017160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110017310A (ko) 에어컨용 응축수 증발장치
KR200335239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포터블 에어컨
KR200170251Y1 (ko) 이동식 천정형 에어컨
KR100357115B1 (ko) 이동형 냉방장치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