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6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61A
KR20030091161A KR1020020029009A KR20020029009A KR20030091161A KR 20030091161 A KR20030091161 A KR 20030091161A KR 1020020029009 A KR1020020029009 A KR 1020020029009A KR 20020029009 A KR20020029009 A KR 20020029009A KR 20030091161 A KR20030091161 A KR 2003009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terminal
function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식
권중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161A/ko
Publication of KR2003009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분실 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잠금으로써, 단말기 및 SIM 카드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 기능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 코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단말기의 기능 잠금을 실행하기 위한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는 제3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잠금 코드와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잠금 코드를 비교하는 제4단계와; 상기 두 잠금 코드가 동일할 경우, 단말기의 기능 조작을 차단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FUNCTION REMOTE LOCK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분실 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잠금으로써, 단말기 및 SIM 카드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도 단말기를 이용해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SMS), 전화 번호부 또는 전화 통화 목록 검색 기능, 게임 기능, 시계 기능 등이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집이나 기타 다른 곳에 놓고 왔을 경우(즉, 사용자 부재중인 경우나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등),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와 SIM 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에 저장된 각종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말기 분실 시 해당 서비스 사업자에게 신고를 하면, 분실 단말기를 이용한 전화 통화를 막을 수는 있으나, 역시 단말기 및 SIM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은 막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단말기의 분실 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잠금으로써, 단말기 및 SIM 카드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기능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 코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단말기의 기능 잠금을 실행하기 위한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는 제3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잠금 코드와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잠금 코드를 비교하는 제4단계와; 상기 두 잠금 코드가 동일할 경우, 단말기의 기능 조작을 차단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인자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2에서 구분인자에 포함된 초기화 인자 및 잠금 실행 인자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단문 메시지(SMS)에 포함된 잠금 코드(Lock Code)를 수신한 단말기가, 이미 단말기(또는, SIM 카드)에 저장되어 있던 잠금 코드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성공시 단말기의 기능 조작을 잠그게 된다.
즉, 분실 단말기의 사용자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해당 사업자 서비스센터에 전화를 걸어 단말기 잠금 기능 서비스를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제어대상 단말기에 원하는 서비스 코드(기능 잠금 코드)를 전송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업자 서비스센터(직통전화 또는 ARS 등)에 전화를 걸면, 소정의 서비스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고, 사용자는 그 중에서 단말기 잠금 기능 서비스 메뉴를 선택(안내자에게 직접 말하거나 전화버튼을 눌러 선택)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센터에서는 단말기의 실제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해서, 또는 잠금 코드(Lock Code) 생성을 위해서 비밀번호를 묻고, 사용자가 이에 응답하면 그 비밀번호를 이용해 암호화된 잠금 코드를 생성한다(이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에 잠금 코드를 설정한 경우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생성된 잠금 코드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어 SMS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자의 분실 단말기로 전송되고, 단말기는 암호화되어 수신된 상기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여, 단말기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잠금 코드와 대조하게 되고, 동일한 잠금 코드인 경우 단말기의 기능 조작이 잠기게 된다.
이때,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기존의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와 구분하기 위한 구분 인자(Lock Message Indicator) 필드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헤더부 등에 더 포함되어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보인 실시예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에 잠금 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경우로서,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 가입 시 해당 사업자가 보다 더 복잡하게 암호화한 잠금 코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구분 인자(Lock Message Indicator)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업자에 의해 초기 잠금 코드 설정을 위한 초기화 인자(Initialize Indicator)와, 단말기 분실 시 잠금 기능 실행을 위한 잠금 실행 인자(Lock Indicator)로 구분된다.
즉,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잠금 코드는 사용자가 기억을 해야 하기 때문에, 되도록 간단하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쉽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게 되므로, 그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자에 의해서만 초기 잠금 코드 설정 및 잠금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문 메시지를 통해 잠금 코드를 수신한 단말기의 잠금 동작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다.
즉, 단말기는 상기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S101), 그 메시지 타입을 먼저 구분하게 되는데, 그 구분인자가 잠금 설정을 위한 초기화 인자(Initialize Indicator) 인지, 잠금 실행 인자(Lock Indicator) 인지를 구분한다(S102, S105).
메시지 타입이 초기 잠금 코드 설정을 위한 초기화 인자(Initialize Indicator)를 구분 인자로 갖는 경우(S102),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여(S103), 그 잠금 코드를 저장한다(S104).
그러나, 메시지 타입이 잠금 기능 실행을 위한 잠금 실행 인자(Lock Indicator)를 구분 인자로 갖는 경우(S105), 단말기 내부에 서비스 신청 시 사업자를 통해 설정된 잠금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07)
만약, 기 저장되어 있는 잠금 코드가 없다면 잠금 기능 실행이 불가능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잠금 코드가 있다면 단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한다(S108).
다음, 상기 디코딩된 잠금 코드와 기 저장되어 있는 잠금 코드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S109), 동일하지 않으면 잠금 기능 실행이 불가능하고, 동일한 경우에만 SIM 카드 및 단말기, 키패드의 기능 조작을 차단한다(S110).
물론, 상기 잠금 코드 구분 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는 단문 메시지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10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 분실 신고를 접수받은 사업자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실행을 위해 정의한 단문 메시지를 분실 신고된 단말기로 전송하면, 단말기는 단말기와 SIM 카드를 자동으로 락(Lock) 시킴과 동시에 습득자가 휴대폰 조작을 더 이상 할 수 없도록 키패드 입력도 차단한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후술한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한 것으로,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은, 단말기의 분실 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 전화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잠금으로써, 단말기 및 SIM 카드에 저장된 개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단말기에 기능 조작을 차단하기 위한 잠금 코드를 설정하는 제1단계와;
    단말기의 기능 잠금을 실행하기 위한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는 제3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잠금 코드와 단말기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잠금 코드를 비교하는 제4단계와;
    상기 두 잠금 코드가 동일할 경우, 단말기의 기능 조작을 차단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미리 설정하는 잠금 코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이 가능하게 하거나, 잠금 기능 서비스 신청에 의해 사업자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잠금 코드를 전송하여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코드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와 구분하기 위한 구분 인자(Lock Message Indicator) 필드를 헤더부에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 인자는,
    사업자에 의해 단말기에 초기 잠금 코드 설정을 위한 초기화 인자(Initialize Indicator) 및 잠금 기능 실행을 위한 잠금 실행 인자(Lock Indicator)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구분인자가 초기화 인자(Initialize Indicator)인 경우,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암호화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여, 그 잠금 코드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구분인자가 잠금 실행 인자(Lock Indicator)인 경우,
    단말기 내부에 잠금 기능 서비스 신청 시 사업자를 통해 설정된 잠금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수신된 잠금 코드를 디코딩 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잠금 코드가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제2과정과;
    상기 두 잠금 코드가 동일한 경우, SIM 카드 및 단말기, 키패드의 기능 조작을 차단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KR1020020029009A 2002-05-24 2002-05-24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KR20030091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09A KR20030091161A (ko) 2002-05-24 2002-05-24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09A KR20030091161A (ko) 2002-05-24 2002-05-24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61A true KR20030091161A (ko) 2003-12-03

Family

ID=3238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009A KR20030091161A (ko) 2002-05-24 2002-05-24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1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5232A (en) * 2005-04-11 2006-10-18 Nec Technologies Inhibiting use of mobile device and SIM card
KR100811590B1 (ko) * 2005-12-01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락해킹시 제어 방법
KR100948188B1 (ko) * 2008-02-25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잠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이의 제공 방법
KR101121139B1 (ko) * 2005-09-02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95429B1 (ko) * 2007-11-30 2014-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17042A (zh) * 2019-07-23 2019-11-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交易验证的防盗用锁定码验证方法及相关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5232A (en) * 2005-04-11 2006-10-18 Nec Technologies Inhibiting use of mobile device and SIM card
KR101121139B1 (ko) * 2005-09-02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무단 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811590B1 (ko) * 2005-12-01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락해킹시 제어 방법
KR101395429B1 (ko) * 2007-11-30 2014-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8188B1 (ko) * 2008-02-25 2010-03-16 주식회사 케이티 잠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이의 제공 방법
CN110517042A (zh) * 2019-07-23 2019-11-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交易验证的防盗用锁定码验证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236B1 (ko) 셀룰러 전화기의 사용자-프로그램가능한 서비스 프로그래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5551073A (en) Authentication key entry in cellular radio system
KR20010082890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잠금 기능 방법
RU2004105275A (ru) Способ запуска приложения с помощью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FI107577B (fi) Laite ja menetelmä matkapuhelimen ohjaamiseksi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20010045885A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300911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원격 잠금 방법
KR100591341B1 (ko)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증방법
JP2002290546A (ja) 移動通信端末とその設定データ変更方法
KR20040100153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AU758726B2 (en)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KR10038220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KR100677450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KR20020037416A (ko) 단말기의 전화 잠금 방법
KR20040069841A (ko) 네트웍을 이용한 가입자 확인모듈용 스마트 카드의 인증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EP3783938A1 (en) A method for resetting a personal code of a user of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sponding applet and server
KR200000444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제어 방법
KR20040087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6546449A (zh) 安卓应用拦截短信验证码的实现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