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06A -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06A
KR20030091106A KR1020020028521A KR20020028521A KR20030091106A KR 20030091106 A KR20030091106 A KR 20030091106A KR 1020020028521 A KR1020020028521 A KR 1020020028521A KR 20020028521 A KR20020028521 A KR 20020028521A KR 20030091106 A KR20030091106 A KR 2003009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data
time
time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923B1 (ko
Inventor
김덕중
김성규
엄태인
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코드
뉴라인캐피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코드, 뉴라인캐피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to KR10-2002-002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9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에서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손쉽고 편리하게 제작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은,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형화하여 구성하고,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며, 상기 정형화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한 후,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를 생성하는 저작 도구; 상기 저작 도구에서 지정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해석하고, 그에 맞는 실시간 정보를 외부 컨텐츠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 내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편집한 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저작 도구 및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에서 생성된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 방송에 필요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송출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간 자료구조를 정형화된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다양한 쟝르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에 맞는 비정형 실시간 정보를 정형화하고, 매번 새로운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제작할 때마다 다른 자료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장르, 특정 컨텐츠마다 별도로 운영 시스템과 별도의 제작이 요구되는 비 자동화되고 중복투자가 요구되는 실시간 데이터 방송 컨텐츠 제작의 비생산적인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A SYSTEM FOR CREATING AND OPERATING REAL-TIME DATA CONTENTS FOR DATA BROADCASTING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contents)와 그에 맞는 실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과, 상기 생성된 실시간 정보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실시간 정보를 지정하여 실시간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실시간 운영시스템을 통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자동 또는 수동 업데이트되는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라 함은 데이터 방송에서 날씨, 교통 정보, 스포츠 경기 정보 등과 같이 컨텐츠의 라이프 타임(life time) 전반에 걸쳐 컨텐츠가 포함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말한다.
데이터 방송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저작 도구를 사용하거나, 표준에 준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 및 디자이너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한다. 이때, 컨텐츠의 라이프 타임 동안 수동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일 경우에는, 실시간 데이터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실시간 운영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즉,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실시간 데이터와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작도구와,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원시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여기서, 원시 데이터베이스라 함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불리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비롯하여, "확장성 표기 언어"로 불리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표현된 데이터와, 그 외 다른 일반적인 방법으로 표현된 모든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기술분야에서는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 그에 합당한 실시간 운영 시스템을 필요할 때마다 프로그래밍(programming)을 통해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의 구조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지정하거나 디자인을 편집할 수 있는 저작도구가 없었고, 수정 및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려면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 데이터를 운영하는 운영시스템과, 업데이트된 실시간 정보를 송출시스템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각각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해야 하므로 전문가가 아니면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송출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를 처리해주는 프로그래밍이 요구되지만,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이 없어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데이터방송용 컨텐츠 제작에서 실시간 데이터 정보를 손쉽게 제작 및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툴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정형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종류의 실시간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라도 사용자가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그래픽 디자인 요소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방송용 운영시스템을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별로 만들지않고,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한 실시간 운영시스템에 의해, 실시간 방송용 저작 도구에서 컨텐츠의 제작과 함께 정형화된 메타데이터로 정의한 필요 실시간 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미 생성된 다양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편집, 생성하는 운영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원시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저작도구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서 해석 가능한 정형화된 형태의 데이터로 가공 및 생성할 수 있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송출 시스템에 업데이트된 실시간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정의 하여 다양한 송출시스템과 연동 될 수 있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용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용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저작 도구에서 실시간 데이터와 DTD 상의 데이터의 링크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AAT 파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저작 도구와 송출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과 송출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외부 DB와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작 도구 11 : 실시간 정보 정의기
12 : 편집기 13 : 실시간 정보 지정기
14 : 코드 생성기 15 : 파일 입출력기
16 : 인터페이스 20 :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
21 : 제1인터페이스 22 : 실시간 정보 편집기
23 : 실시간 정보 프리뷰기 24 : 파일 입출력기
25 : 코드 생성기 26 : 실시간 데이터 생성기
27 : 제2인터페이스 210 : 외부 DB
220 : 내부 실시간 DB 30 : 송출 시스템
31 : 인터페이스 32 : 송출 모듈
40 : 셋톱 박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은,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형화하여 구성하고,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며, 상기 정형화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한 후,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를 생성하는 저작 도구;
상기 저작 도구에서 지정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해석하고, 그에 맞는 실시간 정보를 외부 컨텐츠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 내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편집한 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저작 도구 및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에서 생성된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 방송에 필요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송출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구성 및 그 효과는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용 조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용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저작 도구(10),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 및 송출 시스템(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출 시스템(30)은 무선 또는 위성 등을 통한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수신측인 셋톱 박스(40)에 방송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송출 시스템(30)은 방송 신호의 전송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검증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작 도구(10)는 실시간 정보 정의기(11), 편집기(12), 실시간 정보 지정기(13), 코드 생성기(14), 파일 입출력기(15) 및 인터페이스(16)로 구성된다. 상기 저작 도구(10)에서는 상기 실시간 정보 정의기(11)가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형화하여 구성하고, 상기 편집기(12)가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한다. 상기 실시간 정보 지정기(13)는 상기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하며, 코드 생성기(14)는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를 생성한다. 파일 입출력기(15)와 인터페이스(16)는 상기 생성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와 어플리케이션을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과 송출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저작 도구(10)는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다양한 분야의 실시간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실시간 정보를 표현한다. 상기 실시간 정보의 정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현이 가능하도록 고려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XML 형식으로 실시간 정보의 구조가 표현된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에서 선수 정보가 생방송 도중에 교체 선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면, 축구 선수에 대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예) 축구선수의 실시간 정보
<Player>Player<PhotoPath>PhotoPath</PhotoPath>
<Position>Position</Position>
<신체치수>신체치수</신체치수>
<소속>소속</소속>
<주요경력>주요경력</주요경력>
<특기사항>특기사항</특기사항>
</Player>
만약 일기예보 정보라면
<날씨>날씨
<온도>온도</온도>
<습도>습도</습도>
<풍향>풍향</풍향>
</날씨>
같은 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핵심은 이렇게 실시간 정보를 정의하고 나면 나머지 작업은 정형화한 정보 표현을 저작 도구(10) 및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에서 분석(Pharse)하여 자동으로 표현, 처리한다는 점이다. 즉, 동일한 방법으로 정의 및 지정된 정보가 상기 저작 도구(10)에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으로 저작도구용 문서파일 속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은 저작 도구(10)내에서 지정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해석하고, 그에 맞는 실시간 정보를 수집, 편집, 저장, 프리뷰(preview) 또는 시뮬레이션(simulation) 등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의 장르나 내용상 특징에 따라 별도의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을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은 제1인터페이스(21), 실시간 정보 편집기(22), 실시간 정보 프리뷰기(23), 파일 입출력기(24), 코드 생성기(25), 실시간 데이터 생성기(26) 및 제2인터페이스(27)를 포함하며, 외부 DB(210)와 내부 실시간 DB(220)를 억세스(access)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21)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업자(CP : contents provider)가 제공하는 외부 DB(210)를 억세스한다. 상기 실시간 정보 편집기(22)는 상기 저작 도구(10)에서 생성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파일 입출력기(24)를 통해 읽어와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의 구성을 해석하고, 그 해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외부 DB(210)에서 제공된 컨텐츠와 내부 실시간 DB(220)에서 실시간 정보를 읽어와서 편집한다. 상기 편집 과정 동안에 실시간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작업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드 생성기(25)와 실시간 데이터 생성기(26)는 상기 실시간 정보 편집기(22)에서 얻어진 결과물을 코드로 변환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상기 저작 도구(10) 및 송출 시스템(30)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상기 실시간 정보 프리뷰기(23)는 실시간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적용하여 테스트해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출 시스템(30)은 그 내부에 인터페이스(31)와 송출 모듈(32)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31)는 상기 저작 도구(10)와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며, 상기 송출 모듈(32)은 실시간 데이터, 실시간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방송신호 형태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용 시스템의 동작이 순서도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동작이 시작되면(S1),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시간 데이터의 자료 구조가 결정된다(S22). 상기 자료 구조는 정형화된 메타데이터의 형식이며, XML로 작성된 문서형식 정의 문서(DTD : document type definition, 이하, 'DTD'라 함)의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단계(S22)에서 결정된 자료 구조를 바탕으로 DTD가 완성된다(S24). 상기 DTD를 기반으로 저작 도구(10)에서는 상기 DTD에 맞는 컨텐츠의 디자인 및 편집이 이루어지며(S231), 이어서, 상기 DTD와 실시간 데이터 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링크 작업이 이루어진다(S232). 한편, 상기 DTD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원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며(S25), 상기 DTD와 원시 데이터베이스에서 XML 데이터가 추출된다(S261).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XML 데이터로전송용 XML이 구성된다(S262). 한편, 상기 단계(S232)에서 DTD와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링크 작업이 완료되면, 컨텐츠와 실시간 데이터가 통합된 AAT 파일이 생성된다(S233). 상기 AAT는 본 출원인인 에어코드(Aircode) 사가 임의의 정의한 파일 형식이란 의미이다. 다음으로, 상기 AAT 파일을 이용하여 코드가 생성되며(S263),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27). 최종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코드와 실시간 데이터가 생성되며, 상기 단계(S263)에서 얻어진 전송용 XML과 상기 생성된 코드 및 실시간 데이터가 송출 시스템(30)에 의해 셋톱 박스(40)로 송출되어(S28), 전체 동작이 완료한다(S29).
도 3에는 상기 단계(S232)에서 수행되는 DTD와 실시간 데이터 사이의 링크 동작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편집 화면에 정의된 오브젝트(object)와 외부 데이터 및 외부 데이터 DTD는 서로 결합되어 트리 구조의 DTD 레이아웃으로 표현된다. 즉, 정의한 실시간 정보 구조는 저작도구에서 편집 과정 중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트리 형태로 편집 화면에 표시되며, 그 중 한 항목을 디자인된 편집화면에서 각 항목이 나중에 실시간 정보 중 어떤 값이 표현되어야 하는지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의 형태로 보여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실시간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할 때는 실시간으로 전달될 데이터와 이미 송출되어 실행중인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 전달 형식이 정의되어야 한다. 기존의 방식으로 실시간 서비스를 구현할 때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 그에 맞는 운영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사이 데이터 형식을 그 때마다 프로그래머가 정의해서 사용해왔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저작 도구(10)에서 정의한 실시간 정보 구조에 따라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과의 데이터 전달 형식이 자동으로 정해진다. 그 때문에 하나의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실시간 소스 데이터의 경우 내부 DB에서 가져오는 경우와 외부 CP에서 제공되는 소스를 활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시간에 입력하는 경우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동 입력, 편집기능과 내부 DB활용방법은 편집 방법을 제공하고 내부 DB의 경우 XML을 활용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송출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여 생성된 실시간 정보와 업데이트된 정보를 동일한 프로토콜로 전달할 수 있게 하기위해 송출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는 모듈화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송출 시스템 또는 검증 시스템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전달하여 실제 송출 서비스 전에 실시간 업데이트 사항을 검증 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즉, 상기 도 4는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은 정의된 DTD, 저작 도구(10)에서 이 DTD를 기반으로 편집된 컨텐츠 생성용 AAT파일, 원시 데이터베이스를 코드 생성기(25), XML 처리기(261), 실시간 정보 편집기(22), 실시간 정보 프리뷰기(23) 등의 모듈을이용하여 관리하고 이를 제2인터페이스(27)를 이용하여 송출시스템(30)에 송출 요청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11)는 작업자로부터 업데이트/편집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에서는 소스 코드/데이터와 전송/재전송 요구가 상기 송출 시스템(30)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5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AAT 파일의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도 5의 AAT 파일은 저작 도구(10)와, 송출 시스템(30) 또는 검증 시스템 사이의 정보 전달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도 5에는 자동화된 컨텐츠 생산 및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모든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AAT파일의 내용이 도식화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정보들은 기본적인 확장(Enhanced) 컨텐츠를 비롯하여 실시간 데이터 방송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외에 운영상의 자동화 및 편의, 컨텐츠 접근 권한을 비롯한 컨텐츠 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저작 도구와, 송출 시스템 또는 검증 시스템은 일련의 운영흐름을 자동화 한다.
도 6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저작 도구와 송출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내어져 있다.
즉, 저작 도구(10)에서 초기에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을 통하지 않고 송출 시스템(30)으로 직접 컨텐츠를 전달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저작도구에서 생성한 소스 파일을 나타내며, 리소스(Resource)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각종 이미지(Image)나 기타 리소스 정보들이다. 초기 데이터(Data)는 어플리케이션이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그 초기에 필요한 데이터 정보이다.
도 7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과 송출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도 7은 업데이트시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에서 송출 시스템(30)에 실세 패킷(Packet)으로 전달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즉, 데이터 카로젤(Data Carrousel) 방식과 어드레스 가능 섹션(Addressable Section) 방식 두 가지로 구분되며, 각 방식에 따라 전달하는 정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 8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외부 DB(210)와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20)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나타내어져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불러올 경우, 크게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인 어플리케이션 인포(application Info)와 실제 데이터인 "Application"으로 나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포에는 장르, 이름, 설명등으로 구분되며, "Application"에는 어플리케이션과 리소스(Resource), 초기 데이터로 나뉜다. 이 "Application"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될 때 압축을 하여 저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 제작 및 운영 시스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나 전문가가 아니더라고 손쉽고 빠르게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고 실시간 운영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정보를 정형화하여 표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에 상응하는 실시간 운영시스템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하나의 실시간 운영시스템으로 대응할 수 있다. 실시간 어플리케이션과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과의 데이터 전달 방식도 자동으로 설정된다.
또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디자인한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은 재편집하여 재사용 가능하다. 즉, 장르에 제한 없이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이너가 프로그래밍하지 않고도 제작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일기예보, 교통정보, 뉴스 티커 같은 실시간 데이터 방송을 제작에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형화하여 구성하고,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며, 상기 정형화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한 후,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를 생성하는 저작 도구; 및
    상기 저작 도구에서 지정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해석하고, 그에 맞는 실시간 정보를 외부 컨텐츠 제공업자의 데이터베이스, 내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편집한 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 및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에서 생성된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 방송에 필요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송출시스템 또는 송출 과정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증 시스템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정보의 구조는 정형화된 메타데이터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정형화하여 구성하는 실시간 정보 정의기;
    데이터 방송용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하는 편집기;
    상기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하는 실시간 정보 지정기;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 및,
    상기 생성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과 송출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파일 입출력기 및 인터페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은,
    외부의 컨텐츠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억세스하는 제1인터페이스;
    상기 저작 도구에서 생성된 실시간 정보의 구조를 읽어와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의 구성을 해석하고, 그 해석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의컨텐츠와 내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온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간 정보 편집기;
    상기 실시간 정보 편집기에서 편집된 결과물을 코드로 변환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와 실시간 데이터 생성기; 및,
    상기 저작 도구 및 송출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인터페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정보 운영 시스템은,
    실시간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적용하여 테스트하기 위한 실시간 정보 프리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
  7. 실시간 데이터의 자료 구조를 결정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결정된 자료 구조를 바탕으로 문서형식 정의 문서(DTD : document type definition, 이하 "DTD"라 함)를 완성시키는 제2단계;
    상기 DTD를 기반으로 상기 DTD에 맞는 컨텐츠의 디자인 및 편집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DTD와 실시간 데이터 간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링크 작업을 수행하는 제4단계;
    상기 DTD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원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제5단계;
    상기 DTD와 원시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장형 표기 언어 (XML : 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전송용 XML을 구성하는 제6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링크 작업이 완료된 후, 컨텐츠와 실시간 데이터를 통합한 파일을 생성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얻어진 통합 파일을 이용하여 코드를 생성하고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코드와 실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6단계에서 얻어진 전송용 XML과 상기 생성된 코드 및 실시간 데이터를 송출 시스템에 의해 셋톱 박스로 송출시키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2-0028521A 2002-05-22 2002-05-22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KR10045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21A KR100457923B1 (ko) 2002-05-22 2002-05-22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521A KR100457923B1 (ko) 2002-05-22 2002-05-22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06A true KR20030091106A (ko) 2003-12-03
KR100457923B1 KR100457923B1 (ko) 2004-11-20

Family

ID=3238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521A KR100457923B1 (ko) 2002-05-22 2002-05-22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9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946B1 (ko) * 2005-05-30 2006-12-2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Ocap 기반의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682851B1 (ko) * 2004-12-06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의 컨텐츠 기술을 위한 데이터 및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KR100702854B1 (ko) * 2004-12-14 2007-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스트리밍 콘텐츠 제작 및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717000B1 (ko) * 2005-05-1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장치 및 그 데이터 방송 수신기
KR101020138B1 (ko) * 2008-03-28 2011-03-08 주식회사 씽크풀 컨텐츠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224221B1 (ko) * 2012-05-10 2013-01-22 쉐어쉐어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콘텐츠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082A (ja) * 1996-12-13 1998-06-26 Toshiba Corp 双方向tv放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ファイルアクセス方法
KR20000020719A (ko) * 1998-09-23 2000-04-15 이형도 디지탈 위성정보-인터넷문서 실시간 갱신방법
JP2001075944A (ja) * 1999-06-30 2001-03-23 Sony Corp 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KR100377966B1 (ko) * 2000-06-08 2003-03-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텔레비젼용 컨텐츠의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52549B1 (ko) * 2000-07-29 2002-09-1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정의 화일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데이터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51311B1 (ko) * 2001-02-23 2004-10-06 주식회사 에어코드 실시간 데이터 방송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851B1 (ko) * 2004-12-06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의 컨텐츠 기술을 위한 데이터 및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KR100702854B1 (ko) * 2004-12-14 2007-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스트리밍 콘텐츠 제작 및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717000B1 (ko) * 2005-05-1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디스플레이하는 방법, 장치 및 그 데이터 방송 수신기
KR100649946B1 (ko) * 2005-05-30 2006-12-2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Ocap 기반의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020138B1 (ko) * 2008-03-28 2011-03-08 주식회사 씽크풀 컨텐츠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224221B1 (ko) * 2012-05-10 2013-01-22 쉐어쉐어주식회사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콘텐츠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923B1 (ko)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51592B (zh) 一种基于iptv的epg自编排方法及其系统
US20160351189A1 (en) Content segmentation and time reconciliation
US20210074276A1 (en) Content Segmentation and Time Reconciliation
US69415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aphics engine
CN103530407B (zh) 一种富文本文档的生成方法与装置
CN104317587A (zh) 面向安卓移动设备的程序自动生成方法
WO2020199423A1 (zh) Yang模型配置界面的自动化构建方法及系统
CN101981625A (zh) 将元数据与内容相关联用于直播制作的方法与设备
KR100352549B1 (ko) 어플리케이션 정의 화일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데이터의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10013130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even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KR100457923B1 (ko) 데이터 방송용 실시간 데이터 컨텐츠의 제작 및 운영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N101656838B (zh) 一种电视台播出线自动化字幕制播系统
CN101656839A (zh) 一种无人值守的自动化字幕单制播方法
KR101061994B1 (ko) 공연 관리 시스템
JPWO2007132568A1 (ja) データ処理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11428077A (zh) 一种资讯信息处理的方法及其终端
CN105023184A (zh) 一种基于微信端的金融行情信息查询方法
JP2008278121A (ja) 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制作方法
CN1328687C (zh) 一种基于可扩展标记语言的集中式广谱报表生成方法
WO2006103760A1 (ja) 文書変換活用システム
CN102111564A (zh) 一种电视气象节目的制播系统
CN102065241B (zh) 一种自动制作字幕的字幕机
US7971220B2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nsuring consistency between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tables and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tables in a digital television stream
CN112015726B (zh) 一种用户活跃度预测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2001075944A (ja) 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