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975A -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975A
KR20030090975A KR1020020028877A KR20020028877A KR20030090975A KR 20030090975 A KR20030090975 A KR 20030090975A KR 1020020028877 A KR1020020028877 A KR 1020020028877A KR 20020028877 A KR20020028877 A KR 20020028877A KR 20030090975 A KR20030090975 A KR 20030090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lve
fatigue limit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led water
forg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975A/ko
Publication of KR20030090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8Combined heat-treatments not provided for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19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by interrupted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밸브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존에 단조작업후 공냉처리하고 있는 공정을 제어 수냉으로 변경하고, 기존에 하지 않았던 용체화 처리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서, 고온 피로강도를 기존대비 30%이상 그리고 내부식성을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배기밸브의 단조작업후, 150∼200 ℃/분의 속도로 상온까지 제어 수냉하고, 이를 다시 1100∼1200℃로 용체화 처리한 후, 620∼760 ℃/60∼90분 동안 템퍼링을 실시한 후, 공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Method for improving fatigue limit of exhaust valv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밸브의 제조공정중 단조공정 후, 현행 공냉과정을 수냉으로 제어 냉각하여, 엔진 배기밸브의 고온 피로강도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는 이그조스트 밸브라고도 불리우며 엔진 연소실의 연소동작 후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밖으로 배출시켜주는 구성품으로서, 기밀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배기밸브의 구성은 크게 록카암이 닿는 스템엔드 부분, 밸브 가이드와 접촉하게 되는 시스템부분, 실린더 헤드의 밸브시트와 접촉하게 되는 실질적으로 기밀이 이루어지는 밸브 마진부분으로 나눌수 있으며, 높은 고열에서도 변형이나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합금강을 사용하고 있다.
보통 배기밸브의 크기는 흡입밸브보다 작고 두껍게 제작이 되어 있어 흡입밸브와 구분이 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는 고온 피로강도 및 내부식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배기성능 및 신뢰성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상기 배기밸브는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으로서, 다음의 표 1과 같은 합금계 성분을 갖는 SUH35,SUH36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 표와 같은 합금계 성분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밸브를 제조하는 바, 그 제조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기밸브는 와이어로 된 재료를 평평하게 펴서, 소정의 크기로 커팅을 하고, 커팅된 재료를 가열한 다음, 포밍하는 단조 작업을 시행한 후, 성형 가공 및마찰몰딩, 크롬도금, 질화처리, 면고주파처리등의 후처리 공정등을 거쳐서 제조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배기밸브 제조공정중 상기 단조작업은 약 1200℃에서 진행하게 되고, 단조작업후 그대로 공냉을 시키고 있다.
위와 같이, 기존에는 배기밸브의 단조 작업후 대개 공냉과정을 거치게 되어 있지만, 이는 고온 피로강도 및 내부식성을 요하는 배기밸브의 특성에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있다.
즉, 보다 고온에서 견딜수 있는 피로한도 및 보다 향상된 내부식성을 갖도록 하는 것은 배기밸브의 제조 공정상 항상 요구되는 사항이므로, 기존의 특성치보다 휠씬 나은 고온 피로강도 및 내부식성을 갖도록 하는 연구개발이 계속 진행중에 있다.
이에, 자동차용 배기밸브의 고온 피로강도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밸브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존에 단조작업후 공냉처리하고 있는 공정을 제어 수냉으로 변경하고, 기존에 하지 않았던 용체화 처리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서, 고온 피로강도를 기존대비 30%이상 그리고 내부식성을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배기밸브의 단조작업후, 150∼200 ℃/분의 속도로 상온까지 제어 수냉하고, 이를 다시 1100∼1200℃로 용체화 처리한 후, 620∼760 ℃/60∼90분 동안 템퍼링을 실시한 후, 공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배기밸브와 기존의 배기밸브간의 피로한도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의 배기밸브 제조공정에 있어서, 기존에 단조작업후 공냉 처리하고 있는 공정을 제어 수냉으로 변경하고, 기존에 하지 않았던 용체화 처리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서, 고온 피로강도를 기존대비 30%이상 그리고 내부식성을 3배 이상 향상시키는데 그 주된 특징이 있다.
상기 엔진 배기밸브의 제조공정은 최초 공급된 재료(표 1의 합금계 성분으로 이루어짐)로서 와이어로 된 재료를 평평하게 펴는 단계, 소정의 알맞은 크기로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재료를 가열처리하는 단계, 배기밸브의 형상으로 포밍하는 단조 작업을 시행하는 단계를 거친 후, 성형 가공 및 마찰 몰딩, 크롬도금, 질화처리, 면고주파처리등의 후처리 공정등이 진행되어진다.
기존에는 상기 배기밸브 제조공정중 단조작업을 약 1200℃에서 진행한 다음상온까지 그대로 방치하여 공냉시켰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공냉 공정 대신에, 단조작업후, 150∼200 ℃/분의 속도로상온까지 제어 수냉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 수냉후, 재료를 1100∼1200℃로 용체화 처리한 후, 620∼760 ℃/60∼90분 동안 템퍼링을 실시한 다음 상온까지 공냉시키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정후, 기존과 마찬가지로 성형 가공 및 마찰 몰딩, 크롬도금, 질화처리, 면고주파처리등의 후처리 공정등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배기밸브에 대한 고온 피로강도를 측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위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0℃ 이상 고온에서 배기밸브에 대한 피로강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따른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배기밸브에 대한 내부식성 평가를 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내부식성은 내열강의 특성상 입계에 탄화물이 예민화 편석되는 정도를 정량화 비교하여 대별할 수 있으며 예민화지수는 위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예민화지수는 입계에 편석된 탄화물의 이미지 어널라이져에 의한 면분석으로 측정된 것이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에는 예민화지수가 상온보다 760℃의 고온에서 약 3배 가량 높게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온 및 760℃의 고온에서 예민화지수가 기존보다 현격히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배기밸브의 고온 피로강도를 향상시키고, 내부식성을 좋게 함으로써, 배기밸브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신엔진 개발시 엔진 허용온도범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에 의하면, 기존에 단조작업후 공냉처리하고 있는 공정을 제어 수냉으로 변경하고, 기존에 하지 않았던 용체화 처리 및 템퍼링을 실시하여서, 고온 피로강도를 기존대비 30%이상 그리고 내부식성을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배기밸브의 단조작업후, 150∼200 ℃/분의 속도로 상온까지 제어 수냉하고, 이를 다시 1100∼1200℃로 용체화 처리한 후, 620∼760 ℃/60∼90분 동안 템퍼링을 실시한 후, 공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KR1020020028877A 2002-05-24 2002-05-24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KR20030090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77A KR20030090975A (ko) 2002-05-24 2002-05-24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877A KR20030090975A (ko) 2002-05-24 2002-05-24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975A true KR20030090975A (ko) 2003-12-01

Family

ID=3238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77A KR20030090975A (ko) 2002-05-24 2002-05-24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601A (ko) * 2008-12-08 2010-06-17 삼미금속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 밸브의 헤드부 급속 냉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8515A (ja) * 1986-03-17 1987-09-25 Kobe Steel Ltd クリ−プ破断性質にすぐれるFe基耐熱合金の熱処理方法
JPH046212A (ja) * 1990-04-23 1992-01-10 Kobe Steel Ltd Nbを含有する8〜13%Cr鋼の結晶粒微細化熱処理法
KR970074963A (ko) * 1996-05-29 1997-12-10 가나이 쯔도무 회전전기용 로우터웨지와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전전기
JP2001073092A (ja) * 1999-09-06 2001-03-21 Kobe Steel Ltd 高温強度および靱性に優れた9〜12%Cr系耐熱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8515A (ja) * 1986-03-17 1987-09-25 Kobe Steel Ltd クリ−プ破断性質にすぐれるFe基耐熱合金の熱処理方法
JPH046212A (ja) * 1990-04-23 1992-01-10 Kobe Steel Ltd Nbを含有する8〜13%Cr鋼の結晶粒微細化熱処理法
KR970074963A (ko) * 1996-05-29 1997-12-10 가나이 쯔도무 회전전기용 로우터웨지와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전전기
JP2001073092A (ja) * 1999-09-06 2001-03-21 Kobe Steel Ltd 高温強度および靱性に優れた9〜12%Cr系耐熱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601A (ko) * 2008-12-08 2010-06-17 삼미금속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 밸브의 헤드부 급속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0828A (zh) 高残余应力气门弹簧的生产工艺
EP0244253B1 (en) Surface treatment of titanium articles
EP2327804B1 (en) Exhaust poppet valve and solution treatment method of poppet valve
CN101155943A (zh) 具有氮化金属层的多层钢垫圈
KR20030090975A (ko) 자동차용 엔진 배기밸브의 피로강도 향상 방법
US20080105229A1 (en) Tappe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363901B2 (en) Engine valv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cylinder head incorporating same
WO2005042931A1 (ja) カ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カムシャフト及びこれに用いるカムロブ材
US20060219200A1 (en) Titanium alloy valve lif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342655B2 (ja)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およびそれを備えた単気筒内燃機関ならびに鞍乗型車両
US5918367A (en) Method of producing valve lifter
US20130248058A1 (en) Heat Treatment Process for Engine Ring Gear
WO2012111527A1 (ja) 鋼製部品、単気筒内燃機関、鞍乗型車両および鋼製部品の製造方法
KR100194731B1 (ko) 자동차용 티타늄 배기 밸브 제조 방법
US7276129B2 (en) Surface treating methods of titanium parts
KR100346469B1 (ko) 자동차용 태핏심의 제조방법
JP3872364B2 (ja) 冷間成形コイルばね用オイルテンパー線の製造方法
JPH09170490A (ja) 内燃機関用鋳鉄ピストン
EP4276203A1 (en) Oil ring wire
JPS63169326A (ja) 吸気バルブ
JPS62253723A (ja) 歯車の製造方法
KR100793612B1 (ko) 선박 디젤 엔진용 피스톤 크라운 링 그루브의 경제적 제조방법
Abe et al. Development of a high strength valve spring
JPH0790490A (ja) 窒化用合金鋼
JP4292099B2 (ja) エンジン用チタン合金製バルブリフ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