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005A - 왕복동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왕복동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005A
KR20030090005A KR1020020027948A KR20020027948A KR20030090005A KR 20030090005 A KR20030090005 A KR 20030090005A KR 1020020027948 A KR1020020027948 A KR 1020020027948A KR 20020027948 A KR20020027948 A KR 20020027948A KR 20030090005 A KR20030090005 A KR 2003009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resonant
reciprocating
piston
resona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796B1 (ko
Inventor
현성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04B39/001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with valve arranged i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2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설치하는 프레임유니트와 ;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여 가동자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식모터와 ; 왕복동식모터의 내측고정자가 외주면에 삽입하도록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가동자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압축유니트와 ;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와 압축유니트의 피스톤을 함께 지지하여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공진스프링유니트를 포함함으로써 압축기의 횡방향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공진스프링유니트를 서로 중첩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압축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 피스톤을 가동자의 안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립시 가동자와 피스톤의 동심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동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멸이나 가동자와 고정자의 충돌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공진스프링유니트를 각각 여러 개의 공진스프링으로 구비하고 각 공진스프링의 감긴 방향을 반대로 배열함으로써 구동시 각 공진스프링이 수축/신장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모멘트를 미연에 방지하여 피스톤의 틀어짐이나 또는 각 공진스프링과의 접촉부위 마멸을 줄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본 발명은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횡방향 크기를 줄이고 비틀림 모멘트를 상쇄하며 가동자와 피스톤의 동심도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가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것으로, 도 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가스흡입관(SP) 및 가스토출관(DP)을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에 탄력 지지하는 프레임유니트(20)와, 프레임유니트(20)에 고정하여 가동자(33)가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왕복동식모터(30)와, 프레임유니트(20)에 고정하고 왕복동식모터(30)의 가동자(33)에 결합하여 가스를 흡입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유니트(40)와, 왕복동식모터(20)의 가동자(33)를 압축유니트(40)의 피스톤(42)과 함께 탄력 지지하여 그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공진스프링유니트(50)로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유니트(20)는 압축유니트(40)의 실린더(41)와 피스톤(42)을 함께 지지하고 왕복동식모터(30)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전방프레임(21)과, 전방프레임(21)에 결합하여 왕복동식모터(3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중간프레임(22)과,중간프레임(22)에 결합하여 공진스프링유니트(50)를 수용하는 후방프레임(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왕복동식모터(30)는 압축유니트(40)의 실린더(41)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고정자(outer stator)(31)와, 외측고정자(31)의 내측에 일정 공극을 두고 상기 전방프레임(21)의 외주면에 고정하는 내측고정자(inner stator)(32)와, 외측고정자(31)와 내측고정자(32) 사이의 공극(air gap)에 개재하여 압축유니트(40)의 피스톤(42)에 결합하고 그 피스톤(42)과 함께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33)로 이루어져 있다.
압축유니트(40)는 전방프레임(21)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실린더(41)와, 왕복동식 모터(30)의 가동자(33)에 결합하여 실린더(41)의 압축공간(P)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42)과, 피스톤(42)의 선단에 장착하여 그 피스톤(42)의 흡입유로(F)를 개폐하면서 냉매가스의 흡입을 제한하는 흡입밸브(43)와, 실린더(41)의 토출측에 장착하여 압축공간(P)을 개폐하면서 압축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 조립체(44)로 이루어져 있다.
공진스프링 유니트(50)는 실린더(41)의 외주면과 이에 대응하는 내측고정자(32) 사이에 삽입하고 일단은 전방프레임(21)에 지지하는 반면 타단은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연결부에 지지하는 한 개의 전방측 공진스프링(51)과,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연결부에 일단을 지지하는 반면 타단은 후방프레임(23)의 내측면에 지지하는 한 개의 후방측 공진스프링(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측 공진스프링(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52)은 각각 압축코일스프링으로이루어져 실린더(41)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한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왕복동식모터(30)의 외측고정자(31)에 전원을 인가하면, 그 외측고정자(31)와 내측고정자(32) 사이에 플럭스(flux)가 형성되어 가동자(33)와 피스톤(42)이 함께 플럭스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공진스프링유니트(50)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이와 함께 피스톤(42)이 실린더(41)의 내부에서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41)의 압축공간(P)에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일정 압력까지 압축하였다가 토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왕복동식 압축기는, 각각의 공진스프링(51)(52)이 비틀림 모멘트를 갖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한 개씩 전후 양측에 장착함에 따라 각 공진스프링(51)(52)이 수축/신장을 반복하면서 비틀림 모멘트를 발생하여 피스톤(42)의 직진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51)을 내측고정자(32)의 내주면과 실린더(41)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함에 따라 적어도 그 공진스프링(51)의 선재두께 만큼 압축기의 횡방향 직경이 커지는 단점도 있었다.
이를 감안한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다른 왕복동식 압축기는, 압축유니트(40)는 전방프레임(21)에 고정하는 반면 왕복동식모터(30)는 압축유니트(40)의 실린더(41) 후방측에 배치하여 후방프레임(23)에 고정하고, 그 왕복동식모터(30)의 가동자(33)와 압축유니트(40)의 피스톤(42)을 기구적으로 연결하며, 가동자(33)와 피스톤(42)의 연결부에 별도의 스프링지지대(60)를 결합하여 전방측 공진스프링(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52)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51)의 타단은 전방프레임(21)의 내측면에 지지하는 반면 후방측 공진스프링(52)의 타단은 외측고정자(31)의 전방측면에 지지하여 상대적으로 압축기의 횡방향 직경을 줄일 뿐만 아니라 전방측 공진스프링(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52)을 각각 여러 개씩 구비하여 각 공진스프링(51)(52)의 반복적인 수축/신장에 따른 비틀림 모멘트를 줄임으로써 피스톤(42)의 직진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는, 왕복동식모터(30)와 압축유니트(40)를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함에 따라 왕복동식모터(30)의 각 고정자(31)(32)와 가동자(33)를 동심상에 배치하더라도 이와 피스톤방향으로 떨어진 실린더(41)의 동심도를 다시 조정하여야 하므로 압축기의 조립성이 떨어지고 설사 동심도를 맞춰 조립을 하였더라도 구동중에 가동자(33)가 조금만 틀어져도 피스톤(42)은 심하게 틀어져 결국 실린더(41)와 피스톤(42)이 충돌하면서 마멸을 일으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각 공진스프링의 비틀림 모멘트를 줄여 피스톤의 직진성을 높일 수있고 압축기의 횡방향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왕복동식모터와 압축유니트의 동심도를 유지할 수 있는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왕복동식 압축기의 변형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내측고정자와 실린더의 조립상태를 측면과 정면에서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스프링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양쪽 공진스프링의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양쪽 공진스프링의 감긴방향을 보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공진스프링의 고정상태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싱 120 : 프레임유니트
121,122,123 : 전방,중간,후방프레임 122a,123a : 관통구멍
130 : 왕복동식모터 131 : 외측고정자
132 : 내측고정자 133 : 가동자
140 : 압축유니트 141 : 실린더
142 : 피스톤 143 : 흡입밸브
144 : 토출밸브조립체 150 : 공진스프링유니트
151,152 : 전방측,후방측 공진스프링 160 : 스프링지지부재
161,162 : 스프링장착부 161a,162a : 고정돌기
170 : 스프링베이스 170a : 고정돌기
170b : 회동방지돌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설치하는 프레임유니트와 ;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는 외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 그리고 그 외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가동자로 된 왕복동식모터와 ; 왕복동식모터의 내측고정자가 외주면에 밀착하여 삽입하도록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러지게 삽입하고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유체를 흡입 압축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압축유니트와 ;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와 압축유니트의 피스톤과의 연결부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왕복동식모터의 측면 또는 그 왕복동식모터의 측면에 밀착한 프레임유니트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하는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상기 연결부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유니트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하여 상기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함께 압축유니트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후방측 공진스프링으로 된 공진스프링유니트를 포함한 왕복동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내측고정자와 실린더의 조립상태를 측면과 정면에서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스프링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도 7은 본 발명 양쪽 공진스프링의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양쪽 공진스프링의 감긴방향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공진스프링의 고정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탄력 지지하여 설치하는 프레임유니트(120)와, 프레임유니트(120)에 고정하여 직선으로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왕복동식모터(130)와, 프레임유니트(120)에 지지하여 유체를 흡입 압축하는 압축유니트(140)와, 프레임유니트(120)와 왕복동식모터(130)의 가동자(133) 사이에 결합하여 그 가동자(133)와 압축유니트(140)의 피스톤(142)이 함께 공진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공진스프링유니트(150)를 포함한다.
프레임유니트(120)는 왕복동식모터(130)의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 일측면을 함께 지지함과 아울러 압축유니트(140)의 실린더(141)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21)과, 전방프레임(121)에 결합하여 왕복동식모터(130)의 외측고정자(131) 타측면을 지지하고 후술할 전방측 공진스프링(151)을 지지하는 중간프레임(142)과, 중간프레임(142)에 결합하여 왕복동식모터(130)의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 타측면을 함께 지지하고 후술할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을 지지하는 후방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진다.
왕복동식모터(130)는 전방프레임(121)과 중간프레임(122) 사이에 고정 설치하는 외측고정자(131)와, 외측고정자(131)의 내측에 일정 공극을 두고 압축유니트(140)의 실린더(141)에 결합하는 내측고정자(132)와,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 사이의 공극(air gap)에 개재하여 압축유니트(140)의 피스톤(142)에 결합하고 그 피스톤(142)과 함께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자(133)로 이루어진다.
내측고정자(132)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이 실린더(141)의 외주면에 직접 압입하여 압축기의 횡방향 길이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유니트(140)는 전방프레임(121)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실린더(141)와, 왕복동식모터(130)의 가동자(133)에 결합하여 실린더(141)의 압축공간(P)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142)과, 피스톤(142)의 선단에 장착하여 그 피스톤(142)의 흡입유로(F)를 개폐하면서 냉매가스의 흡입을 제한하는 흡입밸브(143)와, 실린더(141)의 토출측에 장착하여 압축공간(P)을 개폐하면서 압축가스의 토출을 제한하는 토출밸브조립체(144)로 이루어진다.
공진스프링유니트(150)는 왕복동식모터(130)의 가동자(133)와 압축유니트(140)의 피스톤(142)에 함께 결합한 스프링지지대(160)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왕복동식모터(130)의 측면 또는 그 왕복동식모터(130)의 측면에 밀착한 중간프레임(122)의 일측면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하는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상기 스프링지지대(160)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후방프레임(123)의 내측면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하는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지지대(160)는 원판모양의 환형으로 형성하여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을 피스톤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하거나 또는 평면투영시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을 서로 번갈아 배열할 수도 있으나,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측면투영시 환형으로 형성하되 외주면에서 내주연으로 절개하여 다수 개의 스프링장착부(161)를 갖고 각 스프링장착부(161)(162) 중에서 일부 스프링장착부(161)는 후방측으로 절곡하여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이 서로 중첩구간(L)을 갖도록 피스톤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하는 것이 압축기의 피스톤 방향 길이를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또,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프링지지부(161)(162)를 전후 양쪽으로 절곡하여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이 서로 중첩구간(L)을 갖도록 피스톤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할 수도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은 각각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되, 도 8에서와 같이 각 공진스프링(151)(152)은 피스톤 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맞은편 공진스프링(152)(151)과 감긴 방향을 대칭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도 9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공진스프링((151)(151))((152)(152))끼리 감긴 방향을 서로 대칭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을 일자로 배치하는 경우 피스톤 방향으로 대응하는 맞은편 공진스프링(151)(152)과 감긴 방향을 대칭으로 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공진스프링((151)(151))((152)(152))끼리도 감긴 방향을 대칭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 도 10에서와 같이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끝단이 접하는 스프링지지대(160)에는 그 각각의 공진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61a)(16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끝단이 접하는 중간프레임(122)의 일측면 또는 후방프레임(123)의 내측면에는 그 각 공진스프링(151)(152)을 지지하는 스프링베이스(170)를 구비하고, 스프링베이스(170) 중에서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끝단이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한 고정돌기(170a)를 형성하며, 고정돌기(170a)의 타측면에는 중간프레임(122) 또는 후방프레임(123)에 구비한 관통구멍(122a)(123a)에 삽입하여 스프링베이스(17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돌부(170b)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왕복동식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왕복동식모터(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외측고정자(131)와 내측고정자(132) 사이에 플럭스(flux)가 형성되면, 가동자(133)와 피스톤(142)이 함께 플럭스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공진스프링유니트(150)에 의해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이와 함께 피스톤(142)이 실린더(141)의 내부에서 직선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실린더(141)의 압축공간(P)에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냉매가스를 흡입하여 일정 압력까지 압축하였다가 토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왕복동식모터(130)의 내측고정자(132)를 실린더(141)의 외주면에 직접삽입하여 고정하므로 내측고정자(132)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횡방향 크기를 줄여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151)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을 여러 개씩 등간격으로 배열함과 아울러 각 공진스프링(151)(152)의 스프링선 끝단이 상호 대칭하도록 배열함으로써 각 공진스프링(151)(152)이 수축/신장할 때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모멘트를 서로 상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가동자(123)와 피스톤(142)이 안정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공진스프링(151)(152)이 돌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공진스프링(151)(152)과 스프링지지부(160) 및 프레임유니트(120) 사이의 마멸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151)들과 후방측 공진스프링(152)들을 교번되게 배열되고, 그 중 전방측 공진스프링(151)의 후방단이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전방단과 일부 겹쳐 중첩구간(L)을 갖도록 배치됨에 따라 전방측 공진스프링(151)의 전방단에서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후방단까지의 길이가 전방측 공진스프링(151)의 길이와 후방측 공진스프링(152)의 길이를 합한 길이 보다 짧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압축기의 횡방향 길이가 줄어들어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 가동자(133)의 안쪽에 피스톤(142)을 배치함에 따라 가동자(133)와 피스톤(142)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시 가동자(133)의 동심도가 틀어지는 경우 피스톤(142)의 동심도가 그 이상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각 부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시 실린더(141)와 피스톤(142)의마멸과 가동자(133)와 고정자(131)(132)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왕복동식 압축기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내측고정자를 삽입 고정하고 전방측 공진스프링을 외측고정자의 측면에 지지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압축기의 횡방향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을 서로 중첩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압축기의 축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 피스톤을 가동자의 안쪽에 위치시킴으로써 그 가동자와 피스톤의 길이방향 간격을 최소한으로 줄여 조립시 가동자와 피스톤의 동심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동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마멸이나 가동자와 고정자의 충돌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을 각각 여러 개씩 구비하고 각 공진스프링의 감긴 방향을 반대로 배열함으로써 구동시 각 공진스프링이 수축/신장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모멘트를 미연에 방지하여 피스톤의 틀어짐이나 또는 각 공진스프링과의 접촉부위 마멸을 줄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5)

  1. 케이싱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설치하는 프레임유니트와 ;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는 외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 그리고 그 외측고정자와 내측고정자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가동자로 된 왕복동식모터와 ;
    왕복동식모터의 내측고정자가 외주면에 밀착하여 삽입하도록 프레임유니트에 고정 설치하는 실린더와, 그 실린더의 내주면에 미끄러지게 삽입하고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에 결합하여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유체를 흡입 압축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압축유니트와 ;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와 압축유니트의 피스톤과의 연결부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왕복동식모터의 측면 또는 그 왕복동식모터의 측면에 밀착한 프레임유니트의 일측면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상기 연결부의 타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프레임유니트의 내측면 사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여 상기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함께 압축유니트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후방측 공진스프링으로 된 공진스프링유니트를 포함한 왕복동식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은 피스톤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맞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은 피스톤방향으로 평행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은 서로 중첩구간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5.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은 각각 피스톤 방향으로 대응하는 맞은편 공진스프링과 감긴 방향이 일치하도록 배치한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6.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공진스프링과 감긴 방향이 대칭인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왕복동식모터의 가동자와 압축유니트의 피스톤에 함께 결합하고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 사이에 배치하여 각 공진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지지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지지부재는 정면투영시 외주면에서 내주연쪽으로 절개하여 낱개의 스프링장착부들을 등간격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스프링장착부들은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스프링장착부들은 이웃하는 스프링장착부와 높이차를 갖도록 일부를 절곡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장착부는 이웃하는 스프링장착부와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을 교대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프링장착부는 이웃하는 스프링장착부와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을 교대로 배열하되,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은 이웃하는 후방측 공진스프링과 중첩구간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3.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의 끝단이 접하는 부위에는 그 각각의 공진스프링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4.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의 끝단과 이에 접하는 프레임유니트 또는 왕복동식모터의 고정자 측면 사이에는 그 각각의 공진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한 프레임유니트 또는 왕복동식모터의 고정자 측면에 밀착하는 스프링베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15.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 전방측 공진스프링과 후방측 공진스프링의 끝단이 접하는 부위에는 그 각각의 공진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베이스를 구비하고, 스프링베이스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회동방지돌부를 형성하며, 스프링베이스가 접하는 프레임유니트에는상기한 회동방지돌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식 압축기.
KR1020020027948A 2002-05-20 2002-05-20 왕복동식 압축기 KR10058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48A KR100585796B1 (ko) 2002-05-20 2002-05-20 왕복동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48A KR100585796B1 (ko) 2002-05-20 2002-05-20 왕복동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05A true KR20030090005A (ko) 2003-11-28
KR100585796B1 KR100585796B1 (ko) 2006-06-02

Family

ID=3238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948A KR100585796B1 (ko) 2002-05-20 2002-05-20 왕복동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31B1 (ko) * 2004-07-2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CN103775305A (zh) * 2012-10-17 2014-05-07 Lg电子株式会社 往复压缩机
CN109538445A (zh) * 2018-11-07 2019-03-29 南通鸿亨热控科技有限公司 一种独立式空调的压缩机减振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816B1 (ko) * 2000-05-18 2002-04-19 구자홍 리니어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31B1 (ko) * 2004-07-26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모터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CN103775305A (zh) * 2012-10-17 2014-05-07 Lg电子株式会社 往复压缩机
KR101495188B1 (ko) * 2012-10-17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CN109538445A (zh) * 2018-11-07 2019-03-29 南通鸿亨热控科技有限公司 一种独立式空调的压缩机减振结构
CN109538445B (zh) * 2018-11-07 2020-04-14 南通鸿亨热控科技有限公司 一种独立式空调的压缩机减振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796B1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8644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スプリング支持構造
KR10033281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구조
CN1149335C (zh) 往复式压缩机的阀固定结构
JP4021848B2 (ja) 往復動式圧縮機の摩耗防止構造
US6733245B2 (en) Piston support structur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9755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51801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스프링 고정 구조
KR20030042751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585796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2157883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48656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046404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스프링 배열구조
KR100531898B1 (ko) 압축 코일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왕복동식 압축기
KR10050489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공진스프링 지지구조
KR2005001723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공진스프링 조립구조
KR10033959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풍손 저감구조
KR20030073662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040021453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99014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43861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 장치
US20080232984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Supporting Unit Attentuating Lateral Displacement Thereof
KR10045122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스프링 지지 장치
KR10048010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초기위치 조절장치
KR10043021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공진스프링 배열구조
KR10052758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30

Effective date: 200603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