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942A - 냉장고용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942A
KR20030089942A KR1020020027871A KR20020027871A KR20030089942A KR 20030089942 A KR20030089942 A KR 20030089942A KR 1020020027871 A KR1020020027871 A KR 1020020027871A KR 20020027871 A KR20020027871 A KR 20020027871A KR 20030089942 A KR20030089942 A KR 2003008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frigerator
frames
unfold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942A/ko
Publication of KR2003008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양측면에 지지되어,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으로써; 선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62)을, 안테나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다수개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부분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프레임(64a,64b,64c,64d)을 설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선반{Shelf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접어넣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접철 가능한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동상태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10)과, 냉장상태로 식품을 보관하는 냉장실(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은, 각각 도어(12,22)에 의하여 개폐되고 있다.
냉동실(10)의 내부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선반(14)이 설치되어 있으며, 냉장실(20)의 내부에도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다수개의 선반(24:24a,24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20)의 선반(24)은 용적이 큰 냉장실에서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모든 선반(24)는 전후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선반(24)은,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치높이는, 냉장고의 설계시 정해져 있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의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선반(24a)과 선반(24b) 사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간격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식품을 보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선반(24a,24b) 사이의 간격보다 큰 키의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부의 선반(24a)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의 선반을 제거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분리된 선반의 보관 등에 있어서도 불편한 단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냉장고의 선반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 내부의 공간 사용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냉장고용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종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의 일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이 적용된 상태의 냉장고 종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선반62 ..... 측면프레임
62a, 62b, 62c, 62d ..... 부분프레임
64a, 64b, 64c, 64d ..... 연결프레임
70 ,,,,, 냉장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양측면에 지지되어,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으로써; 선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을, 안테나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다수개의 부분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부분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설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설치되는 선반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서는 선반 사이의 간격보다 큰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반은, 실질적으로 냉장고 내부의 사용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의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선반(60)의 양측면에는 안테나식으로 인출되는 안테나형 측면프레임(6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형 측면프레임(62)은, 안테나식으로 인출 가능한 복수개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부분프레임(62a,62b,62c,62d)은, 도 3의 하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장실 내부에서 그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전방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상부의 상태에서, 도 3의 하부의 상태로 냉장실 후방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프레임(62)은, 예를 들면 원통상의 파이프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프레임은,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그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프레임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각각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은, 연결프레임(64a,64b,64c,64d)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은 상기 연결프레임(64a,64b,64c,64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같이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64a,64b,64c,64d)는 양측면에 위치하는 측면프레임(62)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상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좌우양단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을 연결함으로써, 양측의 대응하는 부분프레임이 같이 수납되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상부에 식품을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선반(60)이, 냉장실 내부에 장착되면, 전방으로 인출되어 완전히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수축되어 냉장실의 후벽에 근접하는 상태를 접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60)의 사용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장실(7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60,6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반(60)을 적용하게 되면, 그 하부에 있는 선반(60')의 간격 보다 긴 물품(F)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선반(60,60') 사이의 간격 보다 큰 키의 물품(F)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60)을 후방으로 밀어넣으면 된다.
본 발명의 선반(60)이 후방으로 밀어지면, 각각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은 그 뒤에 있는 부분프레임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도 3의 상부의 상태에서 하부의 상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선반(60)이 접혀지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의 선반(60')에는 높은 물품(F)을 올려놓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선반(6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부분프레임이 모두 펼쳐지는 상태가 되어, 하부의 선반(60')과 동일하게 전방으로 완전히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선반(60) 상에 식품을 올려놓고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62)을 안테나 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여, 선반(60) 자체를 전후방으로 안테나식으로 인출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반이 냉장실(70)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동실 선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후방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냉장실 내부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상방의 선반(60)을 후방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하방의 선반(60')에 보다 큰 부피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60)을 후방으로 밀어넣는 경우에도, 적절한 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하방의 선반에 큰 물품을 보관하면서도 상부의 선반(60)에도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부의 선반(60)은 전방으로 끌어내어 펼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에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냉장실 내부에서 큰 물품을 선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공간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1)

  1. 냉장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양측면에 지지되어,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으로써;
    선반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면프레임(62)을, 안테나식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다수개의 부분프레임(62a,62b,62c,62d)으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부분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프레임(64a,64b,64c,64d)을 설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KR1020020027871A 2002-05-20 2002-05-20 냉장고용 선반 KR2003008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71A KR20030089942A (ko) 2002-05-20 2002-05-20 냉장고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871A KR20030089942A (ko) 2002-05-20 2002-05-20 냉장고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942A true KR20030089942A (ko) 2003-11-28

Family

ID=323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71A KR20030089942A (ko) 2002-05-20 2002-05-20 냉장고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0503A1 (zh) * 2016-11-15 2018-05-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隔板组件和冰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0503A1 (zh) * 2016-11-15 2018-05-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隔板组件和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2274S1 (en) Display case
JP2005283091A (ja) 冷蔵庫
US10247469B2 (en) Refrigerator
JPH0666473A (ja) 冷蔵庫・冷凍庫の二重扉
KR20030089942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50055524A (ko) 냉장고 내 수납장치
US20210207881A1 (en)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KR20020057108A (ko) 냉장고용 선반
KR100189154B1 (ko) 냉장고
KR200225351Y1 (ko) 정렬구
CN107763949A (zh) 一种瓶座组件及具有该瓶座组件的冰箱
KR20080077890A (ko) 냉장고
KR100514912B1 (ko) 냉장고
WO1995012099A1 (en) An internal panel for cabinet doors
CN104121741A (zh) 冰箱
KR200190488Y1 (ko) 냉장고용 선반
KR100727668B1 (ko) 냉장고용 선반지지대
KR200157966Y1 (ko) 냉장고용 선반
KR19990020572U (ko) 냉장고용 와인병 홀더
KR100651279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00013271U (ko) 냉장고의 야채실커버 및 야채상자 고정장치
KR100623524B1 (ko) 접이식받침다리를 구비하는 냉장고선반구조
KR1011018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KR20040104010A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900008208Y1 (ko) 냉장고의 간이선반 착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