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301A -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6301A KR20030086301A KR10-2003-7011883A KR20037011883A KR20030086301A KR 20030086301 A KR20030086301 A KR 20030086301A KR 20037011883 A KR20037011883 A KR 20037011883A KR 20030086301 A KR20030086301 A KR 200300863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concept
- product concept
- input
- concep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품 컨셉을 파악하고, 또 상품의 잠재요구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적시에 유효한 상품개발을 행할 수 있는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입력자가 자유로운 발상에 의해 머리에 떠오른 상품 컨셉을 입력 템플레이트에 입력하고,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작업용 리스트를 작성한다. 모든 입력이 완료하면, 입력 템플레이트에 작업용 리스트의 상품 컨셉 등을 표시하고, 상품 컨셉 등의 타당성을 확인하며, 수정한다. 이어서, 집계표를 작성한 후,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에 따라 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한다. 얻어진 상품 컨셉 정보를 도면 또는 표로서 출력한다.
Description
상품개발에 있어서, 메이커(생산자)측에서 그 메이커가 보유하는 유력한 기술력을 상품품질로서 구현하는 소위 시즈 전개형 혹은 프로덕트 아웃(product out)형 사상에서 시장조사를 통해 사용자 요구를 받아들여 상품품질에 반영하는 소위 요구 대응형 혹은 마켓인형 사상으로의 전환의 중요성이 인식되게 된지 오래다.
이와 같은 점은, 상품판매에 있어서, 메이커 혹은 세일러(판매자)가 자사제품 기술의 우수성을 기본적인 무기로 이것에 다른 수단을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판매를 꾀하는 소위 푸쉬(push)형 판매방법에서, 사용자가 상품품질 또는 상품 이미지에 매료되어 자발적으로 상품 구매행동을 일으키는 매력적인 상품을 제공하는 소위 풀(pull)형 판매방법으로의 전환이 행해지고 있는 것도 공통되는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상의 전환을 행하여 상품판매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얻는 것은 반드시 용이한 것은 아니다.
즉, 시장조사의 결과를 반영하여 품질이 향상된 신상품은 그 상품을 본 사용자에 대해, 「역시 좋은 상품이다」라는 인식을 부여하는 경우는 있어도, 그 상품을 사고 싶다라는 구매의욕을 일으키기까지는 미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에 상품개발 혹은 상품판매의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신상품의 품질설계에 시장조사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구매활동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은 시장조사의 결과가 신상품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적(顯在的)인 요구를 반영함에 그쳐, 이 때문에 약간의 품질향상이 도모되어도 사용자에게 신선함도 놀라움도 부여할 수 없으며, 다시말하면 감동을 줄 수 없다는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행해지고 있다(신전범명편저「상품기획 7가지 도구-신상품개발을 위한 툴 집-」일과기연출판 1995년 발행).
이 지적 중에서, 감동은 창조성과 잠재요구 적합성과의 배가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중, 전자의 창조성은 상기한 프로덕트 아웃트 방법과 푸쉬형 판매방법에 관계되는 것이며, 상품개발력과 생산기술력 등에 힘입은 바가 크다. 한편, 이것에 비해 후자의 잠재요구 적합성은 상기한 마켓인 방법과 풀형 판매방법에 관계되는 것이며, 적확(的確)한 시장조사 방법을 확립하는 것에 의해 실현 가능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행해지고 있는 시장조사는 조사원에 의한 피검자와의 대면 청취조사, 전화에 의한 청취조사 혹은 우송 등에 의한 앙케이트 조사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은 조사방법은 피검자가 지닌 이미지, 의식을 적확하게 또 미묘한 부분까지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조사 가능한 피검자의 수, 즉 샘플수가 조사비용 면에서 제약을 받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물리적으로도 제약을 받음으로써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혹은 또 데이터의 수집에서 데이터의 분석, 결과의 아웃풋까지를 행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하여 조사결과를 상품개발에 적시에 반영 할 수 없다는 우려도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에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품 컨셉을 파악하고, 또 상품의 잠재요구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을 통해 적시에 유효한 상품개발을 행할 수 있는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 현행제품 및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각각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를 구하여, 그 관계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한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 중점을 부여한 상품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이란, 경합 각(各) 사 혹은 동일 사내에서 제조되는 제품군이 속하는 미리 정해진 특성을 가지는 카테고리, 다시말하면 제품의 유사성, 고객계층, 판매경로, 사용방법 등에서 밀접한 관련을 지닌 상품라인, 제품그룹 혹은 제품종목에 가까운 개념을 말하며, 한편 제품이란, 상기 상품에 속하고, 경합 각(各) 사 혹은 동일 사내에서 제조되는 상품(제품)군, 다시말하면, 제품라인 등에서의 품목 혹은 개개의 아이템에 가까운 개념을 말한다. 통상, 상품과 제품은 거의 구별하지 않고 이용되고 있으며, 혹은 생산자의 바로 앞에 있는 제품이 시장에 유통한 것을 상품이라 부르는 정도의 구별이 행해지고 있지만, 여기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또 현행제품이란, 현실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는 제품을 말하며,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이란 현행제품이 속하는 상품의 이상적인 형태, 즉 이상(理想)적인 상품 컨셉을 구비한 상품을 말한다.
또 상품 컨셉이란, 상품이 지닌 의미 내용, 다시말하면 상품가치를 말한다. 상품 컨셉은 상품이 가지는 물리적 혹은 기술적인 특성에 대한 컨셉, 다시말하면 물적기능의 실현을 도모하는 상품(구체적상품(object commodity))의 의미 내용을 가르키는 구체적·컨셉과, 상품의 사용자(여기서는, 사용자가 스스로 컴퓨터를 조작할 때의 입력자 혹은 입력 오퍼레이터를 통해서 상품 컨셉을 제시하는 고객의 쌍방을 말한다.)를 포함하는 추상적인 상품 이미지, 다시말하면 개성적 생활의 실현을 도모하는 상품(추상적상품(subject commodity))의 의미 내용을 가르키는 추상적·컨셉의 쌍방을 포함한다. 후자의 상품 이미지(추상적·컨셉)는 상품의 물리적 혹은 기술적인 특성으로 치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품개발 등의 타켓으로서, 실질적으로 전자의 물리적 혹은 기술적인 특성에 대한 컨셉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소비자로부터 얻는 상품 이미지(추상적·컨셉)를 적확하게 상품으로 구현하는 것이 현재의 상품개발 등에서의 키포인트이다.
또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란, 예를 들면 1개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현행제품의 물건으로 입력된 수와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물건으로 입력된 수의 비율과 차 등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전자의 비율로 나타내는 경우,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 현행제품에서 공통되는 상품 컨셉에 대해 비율이 1보다 큰 것은 그 상품 컨셉이 사용자의 현재적(顯在的) 요구 중 현행상품으로의 실현도가 낮은 컨셉인 것을 의미하고, 또 이 비율이 무한대로 되는 것, 즉 현행제품에 대한 상품 컨셉으로서 사용자에게 전혀 인지되어 있지 않은 것은 그 상품 컨셉이 잠재적 요구에 대한 것, 즉 그 상품에 대한 신규한 컨셉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 중점부여가 행해진다.
정보의 출력방법은 화면표시방법, 인쇄방법 등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출력형식은 도표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며, 상품의 가치 포트폴리오로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정보를 입력자의 컴퓨터에서 출력하는 것에 의해 입력자, 즉 상품의 사용자(고객)에게 유용한 제품 선택의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문언의 의미 내용은 이하의 각 발명에 있어서도, 특단의 설명을 부가하지 않는 한, 동일하며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위 정의법이라 불리는 방법을 활용하여 유용한 상품 컨셉을 추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 구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적(顯在的) 요구에 대한 것 중 현행상품으로의 실현도가 낮은 상품 컨셉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또 잠재적 요구에 대한 상품 컨셉을 파악하는 것에 의해 이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 타켓으로 하며, 상품(이 경우, 제품과 같은 뜻)의 품질설계 혹은 판매정책 등의 광의(廣義)의 상품개발에 적시에 반영하여 고객 흡인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을 자사 현행제품군이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또는 자사 현행제품군의 상품 컨셉으로서 약할 때에는, 이 상품 컨셉을 전면에 내세운 신상품개발과 제품개량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한편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이 자사의 주판매 현행제품에 구비된 것이라면, 더욱 그점을 강조하여 자사 상품을 더 한층 차별화를 꾀할 수 있다.
소위 정의법을 활용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 있어서, 시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시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과 상기 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과의 일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더 가지면, 지금부터 발매하려고 하는 제품이 상기한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정량적(定量的)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2개의 좌표축의 양극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組)를 정의하여 좌표축 이름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표시하는 좌표축 이름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을 입력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좌표 평면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좌표 평면도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이란, 예를 들면 남성적과 여성적이라는 동일한 카테고리에 포함되고 또 쌍이 되는 컨셉이며, 이와 같은 대립하는 상품 컨셉을 하나의 좌표축의 양극, 즉 1개의 좌표축의 중심을 사이에 두는 양측(2개의 상한(象限))에 배치(분할)하고, 이와 같은 한쌍의 대립하는 상품 컨셉을 2조 배치한 2좌표축으로 이루어지는 좌표 평면도(맵)를 준비한다. 그리고,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해당하는 좌표점을 입력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시장조사에 의해 복수의 현행제품 중에서 주판매 제품을 파악하고, 그 주판매 제품이 2축 좌표 평면에 위치하는 상한(象限)을 화정(畵定)하는 것으로 구해진 2개의 상품 컨셉은 주판매 제품이 실현하는 상품 컨셉이므로 유용하다.
이 방법은 소위 포지셔닝(배치법)이라 불리는 방법을 활용하여 상품 컨셉을추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 구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적(顯在的) 요구에 대한 것 중 주판매 제품에 대해 인식되어 있는 상품 컨셉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의 타켓으로 상품의 품질설계 혹은 판매정책에 반영하는 것에 의해 고객 흡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소위 포지셔닝법을 활용한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 있어서,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좌표축으로 하고,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상기 좌표 평면도 상에, 상기 각 현행제품과는 다른 정보의 포지션을 중첩하여 나타내고, 출력하는 중첩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면, 예를 들면 2축으로 정적·동적 및 남성적·여성적이라는 이미지(상품 컨셉)를 배치한 좌표 평면도 상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배치함과 동시에, 현행제품과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석 처리한, 예를 들면 복수의 탤런트명(일종의 기지의 감성정보)을 중첩하여 배치하고, 그 현행제품과 탤런트명과의 중첩상태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표시하는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 표시된 복수의 상품 컨셉의 각각의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클러스터(cluster)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를 행하는 중점부여공정과, 각 현행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소위 고감도 차이 추출법이라 불리는 방법을 활용하여 상품 컨셉을 추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입력자(상품 사용자)는 제시된 3개의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을 2군으로 나누는 근거가 되는 상품 컨셉을 입력하고, 표시된 각 현행제품에 대해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한다. 그리고, 복수의 입력자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상품 컨셉을 클러스터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한다. 각 현행제품은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가지게 되지만, 이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자의 수에 따라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할 수 있다. 각 현행제품을 그 중요성이 큰 주요한 상품 컨셉에 따라 유별(類別)(복수의 클러스터로 분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클러스터로 구성되는 수형(樹刑)맵을 얻을 수 있다. 이 분석방법을 통해 주판매 상품에 대해 인식되어 있는 중점부여의 비중이 큰 상품 컨셉은 유용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현재적(顯在的) 요구에 대한 것 중 주판매 제품에 대해 인식되어 있는 상품 컨셉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의 타켓으로 상품의 품질설계 혹은 판매정책에 반영하는 것에 의해 고객 흡인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대상상품에 대해서 하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며, 그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상품 중간가치 및 상품 만족도의 각 방향으로 연관시켜 발상(發想)한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각 방향마다 구별하여 정의하고, 입력하는 연관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데마텔(dematel)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및 상품 만족도를 양극으로 하고, 상품 중간가치를 중간점으로 하는 1축 상에 연관시켜 전개하는 상품 컨셉 연관부여공정과, 연관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상품 컨셉 연관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자(사용자)의 자유로운 발상에 기초하여 먼저 1개 얻어지는 상품 컨셉은 통상 사용자가 그 상품에 대해 직감하는 일차적인 가치, 다시말하면 감상적, 제일 인상적인 것이다. 또 그 상품 컨셉에 연관하여 발상되는 상품품질에 대한 컨셉은 품질설계에 직결하는 것이며, 1개 얻어지는 상품 컨셉에 관해 「왜(Why)」라는 질문에 의해 인과관계적으로 원인계로서 혹은 계층관계적으로 연상되는 것이다. 이것에 비해, 그 상품 컨셉에 연관하여 발상되는 상품 만족도에 대한 컨셉은 사용자가 그 상품에 대해 구하는 궁극적인 가치이며, 1개 얻어지는 상품 컨셉에 관해 「이것은 결국 어떤것, 결국 어떤게 좋아(So What)」라는 질문에 의해 인과관계적으로 결과계로서 혹은 계층관계적으로 연상되는 것이다.
이들의 가치는 고차로 계층전개하는 것에 의해, 그 상품에 관해 현재적(顯在的)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 상품에 대해서는 자각(自覺)되어 있지 않은 잠재적인것까지 파악될 수 있다. 또 대상상품에 대한 근원적인 품질요구와 상품 사용자가 요구하는 궁극적인 상품 이미지까지 파악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소위 신데마텔법 혹은 문장 완성법이라 불리는 방법을 활용하여 상품 컨셉을 추출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치인식의 논리적인 구조를 가시화하는 것을 통해, 상품품질에 관한 상품 컨셉 및 상품 만족도에 관한 상품 컨셉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혹은 파악하는 것에 의해 이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의 타켓으로 상품의 품질설계 혹은 판매정책에 반영하여 고객 흡인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 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여 얻어진 정보를 히스토그램 등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것을 해석하는 것에 의해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대상상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의 각 워드(단어)를, 각 워드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각 워드를 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여 상품 컨셉 관련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소위 KJ법 등의 연상법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상품 컨셉의 유사성,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의의 절취선에서 각 상품 컨셉을 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잠재요구에 적합한 상품 컨셉을 발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상기 한 각 상품개발방법 중 적어도 2개의 상품개발방법에서 파악된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의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의 공통성으로부터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품 컨셉의 공통성이란, 상품 컨셉이 동일한 경우뿐 만아니라 상품 컨셉이 유사한 경우를 포함한다.
다른 각 상품개발방법에 의해 파악된 유용한 상품 컨셉이 공통성을 가지는 경우, 그 상품 컨셉의 유용성은 한층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그 반대로, 공통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상품 컨셉의 유용성을 재차 음미하는 것에 의해, 판단의 실수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다른 각 상품개발방법에 의해 파악된 유용한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가 각 상품개발방법에 의해 상위하는 경우에는 각 상품 컨셉의 유용성을 총합적으로 판단하여 더욱 적확한 상품 컨셉 타켓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용성이 더욱 높은 상품 컨셉을 파악하는 것에의해 이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 또는 상품판매에서의 타켓으로 해서 상품 컨셉을 상품의 품질설계 혹은 판매정책에 반영하여 고객 흡인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template)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공정과,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공정을 포함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방법을 가지면, 간단한 입력방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망의 분석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상품개발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 있어서, 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通有性)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공정을 포함하는 상품 컨셉 입력 데이터 처리방법을 가지면, 분석시에 각 사람마다 다른 상품 컨셉의 워드를 공통화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상품개발방법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진 상품 컨셉 카테고리란, 공통적, 보편적인 상품 컨셉이다. 이 공통적, 보편적인 상품 컨셉은 입력되는 상품 컨셉과 동일한 말인 경우도 있으면, 유사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상위 개념적인 경우도 있다.
또 상기의 각 상품개발방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은 상품 컨셉의 집합체인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의컴퓨터와, 그 상품 컨셉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품개발을 위한 상품 컨셉 정보를 출력하는 제2의 컴퓨터를 구비하며, 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수단과,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은 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수단과, 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의 각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현행제품 및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 각각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를 구하여, 그 관계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 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2개의 좌표축의 양극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정의하여 좌표축 이름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표시하는 좌표축 이름 및 현행상품 표시공정과, 각 현행제품에 대해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을 입력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총계처리하여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좌표 평면도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표시하는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 표시된 복수의 상품 컨셉의 각각의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클러스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를 행하는 중점부여공정과, 각 현행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대상상품에 대해서 1개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며, 그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상품 중간가치 및 상품 만족도의 각 방향으로 연관시켜 발상한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각 방향마다 구별하여 정의하고, 입력하는 연관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데마텔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및 상품 만족도를 양극으로 하고, 상품 중간가치를 중간점으로 하는 1축 상에 연관시켜 전개하는 상품 컨셉 연관부여공정과, 연관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상품 컨셉 연관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 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프로그램은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를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 집계한 상품 컨셉의 각 워드를, 각 워드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각 워드를 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여 상품 컨셉 관련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공정과,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은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공정과, 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관한 기록매체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는 조사원에 의한 대면 청취조사 등에 의해 얻어진 것이라면, 더욱 유용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및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상품개발방법의 개략 처리플로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상품개발방법에서의 템플레이트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상품개발방법에서의 상품 컨셉 카테고리화 방법을 설명하기위한 플로우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상품개발방법에서의 상품 컨셉의 공통성 분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이다.
도6은 본 실시형태의 제1, 제4,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공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7은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8은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9는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전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작업용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2는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집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3은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한 「현재 빈도수」와 「이상(理想) 빈도수」의 상관도이다.
도14는 도13에 있어서, 각각의 상품 컨셉에 대해 「이상(理想)달성 빈도수」의 대소를 타원의 지름의 대소로 표시한 도이다.
도15는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6은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집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7은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진 복수의 현행제품의 배치를 산포도이다.
도18은 도17에 있어서, 「조사품」마다 10% 확률 타원의 형태로 표시한 도이다.
도19는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0은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빈도수 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1은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클러스터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2는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덴드로그램(dendrogram)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23은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특징적인 상품 컨셉을 추출하여 작성한 집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4는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각 「조사품」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25는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6은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작업용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27은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크로스 서포트 행렬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28은 도27의 크로스 서포트 행렬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전영향(全影響) 행렬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29는 도28의 전영향 행렬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가치인식 구조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0은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특정 워드를 중심으로 한 가치인식 구조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1은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집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2는 도31의 집계표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각 「카테고리 워드」에 대한 「원인도」와 「중심도」와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3은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4는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 사용하는 집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5는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각 카테고리 워드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36은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 얻어지는 카테고리 워드를 배치한 직교 좌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의 예라 한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를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품개발 시스템의 개략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 예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에 대해서, 도1을 참조하여 개략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예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10)은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복수의 컴퓨터(제1의 컴퓨터)(12)와, 상품 컨셉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품 컨셉 정보를 출력하는 컴퓨터(제2의 컴퓨터)(14)와, 이들 컴퓨터(12) 및 컴퓨터(14) 사이를 접속하는 일반의 통신회선 혹은 인터넷 회선 등의 회선망(회선)(16)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상품 컨셉 정보는 컴퓨터(12)로 출력해도 된다.
복수의 컴퓨터(12)는 예를 들면 상품을 점두(店頭)판매하는 판매점의 점두 혹은 서비스 스테이션 등에 배치되고, 한편 컴퓨터(14)는 상품개발 부문 등에 배치된다.
이 경우, 쌍방의 컴퓨터(12, 14)는 일반 혹은 전용의 통신회선으로 접속된 것이라도 되며, 인터넷 회선으로 접속된 것이라도 된다. 또 쌍방의 컴퓨터(12, 14)는 LAN을 통신회선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클라이언트 및 서버라도 되며, 또 이른바 단말과 호스트의 관계라도 된다.
상품개발 시스템(10)에 있어서,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인 예를 들면 CD-ROM(18)이 준비되고, CD-ROM(18)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14)에 설치되며, 혹은 컴퓨터(12)에 설치된다.
컴퓨터(12)에는 상품 컨셉 데이터가, 상품 사용자 스스로의 손에 의해 입력되고, 혹은 상품 사용자로부터 상품 컨셉 데이터를 청취하면서 판매점의 판매원 등의 손에 의해 입력된다. 혹은 앙케이트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판매점의 판매원 등이 복수인의 데이터를 일괄 입력처리해도 된다.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는 일괄처리방식과 즉시처리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에 의해 컴퓨터(14)에 집적되어 처리된다.
상기의 상품개발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본 실시형태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1의 예부터 제6의 예까지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공통 처리플로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각 예에 대해서 처리플로우를 설명한다.
1) 개략처리플로우
먼저, 도2를 참조하여 개략처리플로우를 설명한다. 이 개략처리플로우는 본실시형태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각 예에 대해서 공통의 것이다.
처음에, 컴퓨터(12)에 입력항목과 입력방법을 지정한 입력 템플레이트가 표시된다(S100).
이 입력 템플레이트의 미리 정해진 항목란에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한다(S120).
이어서, 복수의 컴퓨터(12)에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가 회선망(16)을 통해 컴퓨터(14)에 모여 집계처리된다(S140).
이어서,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에 의해 데이터가 분석된다(S160).
이어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형식 및 미리 정해진 출력방법으로 상품 컨셉 정보가 출력된다(S180).
얻어진 상품 컨셉 정보를 생산·판매기획에 반영하는 것에 의해 상품개발이 행해진다(S200).
2) 입력플로우(템플레이트의 사용법)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도2 중 입력공정(S100, S120)에서의 템플레이트의 사용법에 관해 설명한다.
입력공정(S100, S120)에 있어서, 먼저 미리 정해진 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 템플레이트가 표시된다(S102).
이어서, 입력자가 필요한 입력 템플레이트를 선택한다(S104). 이 경우 컴퓨터(14) 측에서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에 대응한 입력 템플레이트를 선택하도록 컴퓨터(12) 측에 요구해도 되며, 입력자가 임의로 입력 템플레이트를 선택해도 된다.
그리고, 선택한 입력 템플레이트에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한다(S122).
3) 집계플로우(상품 컨셉 카테고리화)
다음에, 도4를 참조하여 도2 중 집계공정(S120, S130)에서의 상품 컨셉 카테고리화에 관해 설명한다.
상품 컨셉 데이터가 입력되면(S124), 상품 컨셉이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된다(S142). 여기서, 상품 컨셉 카테고리란, 어느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상품 컨셉은 개개의 입력자가 지닌 어휘의 풍부함, 감성의 상위 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의 것이 다양한 언어로 표현된다. 이 때문에, 효율적이고 또 유용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상품 컨셉을 통일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상품 컨셉 카테고리화가 행해진다. 또한 상품 컨셉의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의 치환은 상품 컨셉과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시킨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치환한 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집계처리가 행해진다(S144).
4) 상품 컨셉 정보 후처리(상품 컨셉의 공통성 분석)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상품 컨셉 정보의 후처리공정으로서의 상품 컨셉의 공통성 분석에 대해서 설명한다.
1개의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해서 얻어진 상품 컨셉 정보(상품 컨셉 정보①)를 컴퓨터(14)에 입력하고(S182), 또 다른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해서 얻어진 상품 컨셉 정보(상품 컨셉 정보②)를 컴퓨터(14)에 입력한다(S184).
그리고, 이 2개의 상품 컨셉 정보의 공통성을 분석하며(S186), 그 공통성에 기초하여 재평가한 상품 컨셉의 정보를 출력한다(S188). 이것에 의해 개개의 상품 컨셉 정보보다 더욱 유용한 상품 컨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각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개별 처리플로우)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1~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에 대해서 순차 설명한다.
1) 본 실시형태의 제1, 제4,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 도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 제4,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공통적으로 설명한다.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소위 정의법을 이용한 것이며,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소위 문장 완성법을 이용한 것이며,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소위 연상법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입력자가 자유로운 발상으로 머리에 떠오른 상품 컨셉(정의한 상품 컨셉)을 컴퓨터(12)의 입력 템플레이트에 입력한다(S300).
이어서, 상품 컨셉과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시킨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품 컨셉과 상품 컨셉에 히트한 상품 컨셉 카테고리가 반영된 작업용 리스트를 작성한다(S302).
이어서, 히트하지 못한(반영되지 않은) 상품 컨셉에 대해서,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작업용 리스트에 입력한다(S304).
그리고, 모든 상품 컨셉 카테고리의 작업용 리스트로의 입력이 완료하면(S306), 입력 템플레이트에 작업용 리스트의 상품 컨셉 및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표시한다(S308).
이어서, 상품 컨셉 및 상품 컨셉 카테고리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S310).
이어서, 복수의 입력자에 의한 복수의 입력 데이터를 집계하여 집계표를 작성한다(S312). 이 집계표는 각 상품개발방법에서 채용하는 분석방법에 의해 각각 다른 형식이 된다. 각각의 집계표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각 상품개발방법에서 채용하는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에 의해 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한다(S314).
그리고, 얻어진 상품 컨셉 정보를 각 상품개발방법에서 채용한 미리 정해진 분석방법에 의해 각각 다른 형식으로, 도면 또는 표로서 출력한다(S316).
2)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설명한다.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소위 배치법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정의한 좌표축 이름과, 복수의 현행제품을 입력 템플레이트에 표시한다(S400).
이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의 수치를 좌표 평면 데이터로서 입력 템플레이트에 입력한다(S402).
이어서, 복수의 입력 데이터를 집계하여 미리 정해진 집계표(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표)를 작성한다(S404). 집계표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어서, 복수의 입력 데이터를 총계처리하여 확률 타원 묘화(描畵) 데이터를작성한다(S406). 확률 타원 묘화 데이터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어서, 확률 타원 묘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행제품을 배치(포지셔닝)한 상품 컨셉 정보를 도형(좌표 평면도)으로 출력한다(S408).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현행제품과는 다른 정보, 예를 들면 복수의 탤런트명을 동일한 도형(좌표 평면도)으로 중첩하여 표시하고(S410), 그 현행제품과 탤런트명과의 중첩상태를 해석한다.
3)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을 해석한다.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의 처리플로우를 설명한다.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은 소위 고감도 차이 추출법을 이용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입력 템플레이트에 표시한다(S500).
이어서, 입력 템플레이트에 표시된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구별하여 예를 들면 ○× 등을 입력한다(S502).
상기 스텝502(S502) 이후의 순서는 도6의 스텝302(S302)에서 스텝316(S316)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각 예에 관한 상품개발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명)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1~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 대해서, 순차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정의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9에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입력 템플레이트에는 「현상」, 「이상(理想)」, 「시제품」의 3항목이 표시된다. 각각, 상기 한 현행제품, 이상(理想)상품 및 시제품에 대응한다. 또 각 항목도 각각 「가공되지 않은 워드(raw word)」및 「카테고리 워드」의 각 기재란이 있다. 전자는 상기한 상품 컨셉에 대응하고, 후자는 상기 한 상품 컨셉 카테고리에 대응한다(도2 중 S100에 대응).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는 특정상품에 대한 조사의 실시를 결정한 시점에서, 예를 들면 「샴프」라는 조사대상 상품을 특정한다. 이 조사대상 상품은 입력 템플레이트에 별도 표시하며, 혹은 다른 방법으로 명확하게 한다. 그리고, 입력자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샴프(현행제품)의 상품 컨셉을 자유롭게 정의하고, 또 이상(理想)의 샴프(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상품 컨셉을 동일하게 정의하기 위한 도9의 입력 템플레이트가 준비된다. 또 필요에 따라, 시제품에 대해서 요구와의 일치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하게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한다(도2 중 S120, 도6 중 S300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샴프는 꽃 향기이고 머리카락을 촉촉하게 하며, 이상(理想)의 샴프는 거품이 잘 일어나고, 때를 확실히 없애는 등의 상품 컨셉이 입력된다.
도10에, 사전 테이블을 나타낸다. 사전 테이블은 「가공되지 않은 워드」와 「카테고리 워드」를 대조하여 나타낸다. 이 사전 테이블은 상품개발을 행하는 대상상품의 종류에 따라 복수 종류가 준비되고, 혹은 분석방법의 종류에 따라 복수종류가 준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각 예에 있어서는, 동일한 사전 테이블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피부에 부담이 없다는 「가공되지 않은 워드」에 대해 자극이 적다는 「카테고리 워드」가 참조된다.
도11에, 작업용 리스트를 나타낸다. 작업용 리스트는 「현상」, 「이상(理想)」, 「시제품」의 3항목의 각각에 대해서 입력된 「가공되지 않은 워드」와 대응하는 「카테고리 워드」를 리스트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작업용 리스트의 형식은 본 실시형태의 각 예마다 다르다.
모든 입력항목에 대해 입력 템플레이트로의 입력이 완료한 경우, 미리 정해진 사전 테이블을 지정한 후에, 카테고리화를 지시하면, 「현상」, 「이상(理想)」, 「시제품」의 3항목의 각각에 대해 입력된 모든 「가공되지 않은 워드」가 작업용 리스트에 복사됨과 동시에, 각각의 「가공되지 않은 워드」에 히트한 「카테고리 워드」가 작업용 리스트에 반영된다(도6 중 S302에 대응).
여기서, 입력자는 작업용 리스트에 반영되지 않은 「카테고리 워드」를 작업용 리스트에 직접 입력해도 된다(도6 중 S304에 대응). 또 입력자는 작업용 리스트의 「가공되지 않은 워드」를 수정할 수도 있다.
작업용 리스트의 모든 「카테고리 워드」의 입력이 완료 후, 「완료」조작을 하면, 원래의 입력 템플레이트에 작업 리스트의 「가공되지 않은 워드」및 「카테고리 워드」가 되돌아간다(도6 중 S308에 대응).
이어서, 입력자는 되돌아간 「가공되지 않은 워드」및 「카테고리 워드」의 타당성을 확인, 수정한 후(도6 중 S310에 대응), OK이면 「집계」를 지시한다.
도12에 집계표를 나타낸다. 집계표는 「카테고리 워드」와 함께, 이하의 각 항목에서 구성된다.
「샘플 수」는 복수의 입력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수(입력자 총수)이다. 「현재 빈도수」는 「샘플 수」중, 「현상」에 대한 그 「카테고리 워드」의 입력수이며, 「이상(理想) 빈도수」는 「샘플 수」중, 「이상(理想)」에 대한 그 「카테고리 워드」의 입력수이다. 「합계 빈도수」는 「현재 빈도수」와 「이상(理想) 빈도수」의 합계이다. 여기서, 「현재 빈도수」가 큰 「카테고리 워드」는 현행제품에 대한 상품 사용자의 상품 이미지와 의식을 나타내는 것이며, 말하자면, 현재화(顯在化)한 상품 컨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이상(理想) 빈도수」가 큰 「카테고리 워드」는 이상(理想)상품에 대한 상품 사용자의 상품 이미지와 의식을 나타내는 것이며, 말하자면 잠재적인 상품 컨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S계수」는 「이상(理想) 빈도수」를 「현재 빈도수」로 나눈 값이다. 이 「CS계수」는 고객 만족도 계수이며, 복수의 상품 컨셉(여기에서는 「카테고리 워드」)에 대해 상기한 상품 컨셉의 성격의 관점에서 중점을 부여한 것이다.
「CS지수」는 「CS계수」에 「이상(理想) 빈도수」와 「현재 빈도수」와의 합계치를 곱하고, 또한 「샘플 수」의 1/2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이 「CS지수」는 말하자면 복수의 상품 컨셉 중에 점유하는 그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의 보편화를 도모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신가치지수」는 「현재 빈도수」가 영(零)인 「카테고리 워드」에 대한「CS지수」이다. 따라서, 「신가치지수」가 큰 「카테고리 워드」는 현행상품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이상(理想)으로서 바라는 상품 컨셉, 말하자면 궁극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시제품 평가 샘플 수」는 실제로 시제품을 사용하여 앙케이트에 대답한 복수의 입력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수(입력자 총수)이다. 「시제품 빈도수」는 「샘플 빈도수」중, 「시제품」에 대한 그 「카테고리 워드」의 입력수이다.
「이상(理想)달성 빈도수」는 「시제품 빈도수」를 「시제품 평가 샘플 수」로 나누고, 또 「이상(理想) 빈도수」를 「샘플 수」로 나눈 것으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 「이상(理想)달성 빈도수」는 말하자면 상품 사용자가 궁극적으로 요구하는 상품 컨셉을 시제품이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향상지수」는 「샘플 수」를 「시제품 평가 샘플 수」로 나누고, 또한 「현재 빈도수」를 「샘플 수」로 나눈 것으로 나눈 것을 백분률로 나타낸 것이다. 이 「향상지수」는 시제품이 현행상품을 어느 정도 능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고유가치지수」는 「시제품 빈도수」를 「시제품 평가 샘플 수」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 「고유가치지수」는 「현재 빈도수」 및 「이상(理想) 빈도수」가 어느 것이나 영(零)인 상품 컨셉에 대해서는 시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처음에 인식한 시제품 고유의 신가치라 할 수 있다.
「집계」를 지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집계표를 작성한다(도2 중 S140, 도6중 S312에 대응). 이 경우, 집계작업은 실질적으로 분석작업(도2 중 S160, 도6 중 S314)을 포함한다.
집계표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여러가지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도2 중 S180, 도6 중 S316에 대응).
예를 들면 도13은 얻어진 복수의 상품 컨셉(여기서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에 대해 「현재 빈도수」와 「이상(理想) 빈도수」의 상관도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가치 포트폴리오(빈도수)」, 「가치 포트폴리오(%)」 보턴을 누르면 이 상관도(相關圖)를 얻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13 중 상품 컨셉(A)은 잠재적인 신규한 가치로서의 성격을 지닌 것이며, 한편, 상품 컨셉(B)은 현재적(顯在的)인 가치 중에서 유용한 가치로서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얻어진 상품 컨셉(A) 혹은 상품 컨셉(B)을 실현할 수 있는 신상품을 개발하는 등에 의해 유효한 상품개발을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14는 도13에 있어서, 각각의 상품 컨셉에 대해, 「이상(理想)달성 빈도수」의 대소를 타원의 지름의 대소로 나타낸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신규의 가치인 상품 컨셉(A)에 대해서는 시제품에 의해 상당히 충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집계표의 각 항목에 대해서, 수치가 큰 것으로부터 상품 컨셉의 순서를 바꾸어 나열하여, 말하자면 가치표로서 집계표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의 다른 절취선으로 상품 컨셉의 유용성을 고찰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포지셔닝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15에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입력 템플레이트에는 입력자를 구별하는 「패널번호」, 조사대상인 복수의 현행제품(현행제품명)을 표시하는 「조사품」, 이하의 X좌표축 이름에 대한 좌표점을 표시하는 「X」 및 하기의 Y좌표축 이름에 대한 좌표점을 표시하는 「Y」의 각 항목이 나타난다. (도2 중 S100, 도7 중 S400에 대응). 「X좌표축 이름」및 「Y좌표축 이름」에는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정의하여 둔다. 예를 들면 「X좌표축 이름」에 정적·동적이라는 명칭을, 또 「Y좌표축 이름」에 남성적·여성적이라는 명칭을 각각 설정해 둔다.
본 실시형태의 제2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는 상기의 입력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사품」의 항에서 복수의 조사대상 상품을 특정한 후, 각각의 「조사품」에 대해서, 「X좌표축 이름」및 「Y좌표축 이름」의 말하자면 상품 컨셉의 관점에서 봐서, 각각의 좌표축 상 어느 좌표점에 배치하면 자기의 의식, 이미지와 합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입력자가 좌표점 「X」,「Y」를 입력한다(도2 중 S120, 도7 중 S402에 대응). 이 때, 모든 「조사품」에 대한 입력을 완료한 후, 각 「조사품」사이의 상대적인 밸런스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좌표점 「X」, 「Y」를 수정 입력한다.
그리고, 복수의 입력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여도16에 나타내는 집계표를 작성한다. 또한 이 집계표는 실질적으로 분석표를 겸한다(도2 중 S140, S160, 도7 중 S404, S406에 대응).
집계표는 「조사품」과 함께, 「X평균」, 「Y평균」 및 「확률 타원 묘화 데이터」의 각 항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X평균」, 「Y평균」은 각각 「X」, 「Y」에 대해 표준화된 것(도15 중, 「표준화 X」, 「표준화 Y」)의 평균치이다.
다음에, 집계표의 「확률 타원 묘화 데이터」를 이하의 순서로 작성한다.
먼저, 「조사품」마다 회귀직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이어서, 평균(X, Y)을 중심으로 각 좌표를 기울기에 따라 회전한다. 이어서, 회전후의 X방향, Y방향의 표준편차를 구한다. 이어서, 확률(P)에 대해서, 표준정규분포의 역함수의 값을 구하여 타원의 X방향, Y방향의 지름으로 한다.
상기의 집계표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여러가지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도2 중 S180, 도7 중 S408에 대응).
예를 들면, 도17은 얻어진 복수의 현행제품의 배치를 산포도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또 도18은 도17에 있어서, 「조사품」마다 10% 확률 타원의 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도18에 있어서, 예를 들면 현행제품(C, D)이 자사제품이며, 현행제품(E, F)이 타사 제품인 경우를 생각한다. 그리고, 현행제품(C)이 주판매 상품(제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주판매 상품인 현행제품(C)은 여성적 이미지라는 상품 컨셉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품 아이템을 늘릴 때에는 여성적 이미지라는 상품 컨셉을 상품개발에서 타켓으로 하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행제품(C)은 여성적 이미지라는 상품 컨셉으로 타사제품(F)과 경합하고 있으며, 현행제품(D)는 정적 이미지라는 상품 컨셉으로 타사제품(E)과 경합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으며, 이들의 정보는 상품개발 등에서 유용하다.
여기서, 상기 집계표를 얻은 후, 상기와는 별도로 「조사품」으로서, 예를 들면 여성 탤런트의 이름을 복수 들어, 상기와 같은 순서로 집계표를 작성한다. 그리고, 2개의 집계표의 데이터를 동일한 산포도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도7 중 S410에 대응).
이 산포도에 있어서, 현행제품과 탤런트명과의 중첩상태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더욱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고감도 차이 추출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19에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입력 템플레이트에는 「패널번호」, 「가공되지 않은 워드」, 「카테고리 워드」와 함께, 복수의 조사품의 판정란으로서의 「조사품(A~N)」의 항목이 설치되어 있다(도2 중 S100, 도8 중 S500에 대응).
본 실시형태의 제3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는 먼저, 상기의 입력 템플레이트에, 조사대상 상품에 포함되는 복수의 현행제품명을 「조사품(A~N)」의 항에 표시해 둔다.
그리고, 입력자는 각 「가공되지 않은 워드」혹은 각 「카테고리 워드」마다, 각각의 현행제품(현행제품명)이 그 「가공되지 않은 워드」 등의 이미지를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가공되지 않은 워드」등의 이미지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를 입력한다(도2 중 S120, 도8 중 S502).
이후의 처리순서는 도2의 스텝140(S140) 이후의 순서와 동일하다.
먼저 집계표로서, 도20에 나타내는 빈도수 표를 작성한다.
빈도수 표는 2매 작성한다. 1장은 「좋고 나쁨」을 무시한 인상 데이터 빈도수 표(좋은 빈도수+나쁜 빈도수)이며, 다른 1장은 「좋음」에 착안한 선호 데이터 빈도수 표(좋은 빈도수-나쁜 빈도수)이다.
각 빈도수 표에는 각 「조사품」에 대해서, 각 「카테고리 워드」의 입력수가 나타난다.
이 빈도수 표에 기초하여, 도21에 나타나는 클러스터 분석결과가 얻어지고, 또 「클러스터 분석결과」에 대해 도22에 나타내는 덴드로그램이 얻어진다.
도21 및 도22에 있어서, 주요 상품 컨셉의 차이의 관점에서 복수의 클러스터로 구별되어, 각각의 클러스터에는 그 주요한 상품 컨셉을 현행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근거로 한 각 현행제품이 배치된다.
이들 각 현행제품은 그 주요한 상품 컨셉을 포함하여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가진다. 도21에서는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각각의 상품 컨셉 입력자 수에 의해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주요 상품 컨셉을 파악할수 있다. 그리고, 각 현행제품을 그 중점부여의 비중이 큰 주요한 상품 컨셉에 의해 유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클러스터로 구성되는 도22의 덴드로그램(수형 맵)을 얻을 수 있다.
이 분석방법을 통해, 주판매 상품에 대해 인식되어 있는 중점부여의 비중이 큰 상품 컨셉은 유용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도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징적인 상품 컨셉(상품 컨셉 카테고리)을 예를 들면 5개 추출하여 집계표를 작성하고, 이 집계표에 기초하여 도24에 나타내는 각 「조사품」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면, 상기 덴드로그램과는 다른 절취선으로 상품 컨셉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문장 완성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25에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입력 템플레이트에는 「~이므로」, 「~때문에」 및 「~이다」의 각 항목에 대해서 각각 「가공되지 않은 워드」 및 「카테고리 워드」를 입력하는 란이 설치되어 있다(도2 중 S100에 대응).
본 실시형태의 제4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는 먼저, 조사대상 상품을 특정한 후에(입력 템플레이트에는 도시하지 않음.) 그 조사대상 상품의 상품 컨셉을 표현하는 「~이므로, ~때문에, ~이다」라는 사실, 감상, 결론으로 이루어지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완성하도록 각 란에 입력한다(도2 중 S120, 도6 중 S300에 대응). 예를 들면 조사대상 상품인 「나의 샴푸」에 대해서, 「거품이 잘나므로」, 「촉촉하기 때문에」, 「손질이 쉽다」라는 상품 컨셉(「가공되지 않은 워드」또는 「카테고리 워드」)이 입력된다.
입력한 후,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와 같은 순서로, 도6 중 스텝302(S30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단, 이 경우, 작업용 리스트는 도26에 나타내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데마텔 분석은 먼저, 도27에 나타내는 크로스 서포트 행렬이라 불리는 변수×변수의 정방행렬을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변수 사이의 정방행렬은 상관계수 행렬과 다르며, 비대칭 행렬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셀 내의 각 수치에 방향성의 의미를 지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행에서 열을 향하는 영향력 관계와 인과관계, 순서관계 등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데마텔의 분석은 크로스 서포트 행렬을 2승, 3승 … 했을 때에 발생하는 패스의 영향력을 크로스 서포트 행렬에 그 역행렬을 곱하는 것으로 일괄하여 연산하고, 간접영향 행렬을 얻을 수 있으며, 직접영향 행렬에 가함으로써, 도28에 나타내는 전영향 행렬로서 도출한다.
전영향 행렬에 기초하여 도29에 나타내는 가치인식 구조도(상품 컨셉 연관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가치인식 구조도는 감상 워드인 일차적 가치를, 사실 워드인 상품품질 및 결론 워드인 상품 만족도의 쌍방에 1축 상에 중층적으로 전개한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품 사용자의 가치인식의 논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도29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전개해 감으로써, 잠재적인 가치, 요구를 발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여기서 특정 워드를 지정하는 것에 의해 도30에 나타내는 특정 워드를 중심으로 한 가치인식 구조도를 얻을 수 있다.
또 도31에 나타내는 집계표를 작성하고, 각 「카테고리 워드」에 대해서, 행합계와 열합계의 합인 「원인도」와 행합계와 열합계의 차인 「중심도」를 구하는 것에 의해, 도32에 나타내는 산포도를 얻을 수 있다. 이 산포도에서 어느 워드가 가치 인식의 원인이 되며, 어느 워드에 결과하는지, 어느 워드가 이용되는 빈도가 높은지 라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연상법)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도33에, 사용하는 입력 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입력 템플레이트에는 도시하지 않는 조사대상 상품에 대해서 「가공되지 않은 워드」 및 「카테고리 워드」를 입력하는 란이 설치되어 있다(도2 중 S100에 대응).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는 먼저, 조사대상 상품이 미리 설정되고, 이 조사대상 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자유롭게 정의하여 입력한다. 이 입력공정 이후의 순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1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 대한 도6의 스텝302(S302) 이후의 순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5의 예에 관한 상품 컨셉 개발방법에서는 도34에 나타내는집계표를 얻는다.
집계표는 각 「카테고리 워드」의 「빈도수」 즉, 입력수의 일람의 형태로 얻어진다.
이 집계표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도35에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얻을 수 있다. 히스토그램에서, 대상상품에 대해 상품 사용자가 품고있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품개발의 타켓이 되는 상품 컨셉을 얻을 수 있다.
또 도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반경(半徑)으로 한 타원을 직교하는 좌표축을 지닌 그래프 상에 각 「카테고리 워드」를 배치하고, 각 「카테고리 워드」(상품 컨셉)의 유사성,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의의 절취선에서 각 상품 컨셉을 자유롭게 배치 변경하는 것에 의해, 잠재요구에 적합한 상품 컨셉을 발견할 수 있다.
Claims (29)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현행제품 및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각각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를 구하여, 그 관계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시제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 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시제품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시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과 상기 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과의 일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더 가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2개의 좌표축의 양극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組)를 정의하여 좌표축 이름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표시하는 좌표축 이름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을 입력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좌표 평면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좌표 평면도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좌표축으로 하고,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상기 좌표 평면도 상에, 상기 각 현행제품과는 다른 정보의 포지션을 중첩하여 나타내며, 출력하는 중첩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표시하는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표시된 복수의 상품 컨셉의 각각의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클러스터(cluster)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를 행하는 중점부여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대상상품에 대해서 하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며, 그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상품 중간가치 및 상품 만족도의 각 방향으로 연관시켜 발상(發想)한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각 방향마다 구별하여 정의하고, 입력하는 연관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데마텔(dematel)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및 상품 만족도를 양극으로 하고, 상품 중간가치를 중간점으로 하는 1축 상에 연관시켜 전개하는 상품 컨셉 연관부여공정과,연관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상품 컨셉 연관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의 각 워드(단어)를, 각 워드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각 워드를 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여 상품 컨셉 관련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제1~제8 항 중 적어도 2개의 항에 관한 상품개발방법에서 파악된 상품 컨셉의 공통성을 추출하여 상품 컨셉을 재평가하는 상품 컨셉 평가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template)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공정과,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공정을 포함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방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는 상품개발방법으로서,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의 개념으로 통유성(通有性)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공정을 포함하는 상품 컨셉 입력 데이터 처리방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방법.
- 상품 컨셉의 집합체인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의 컴퓨터와, 그 상품 컨셉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품개발을 위한 상품 컨셉 정보를 출력하는 제2의 컴퓨터를 구비하며,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수단과,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 시스템.
- 상품 컨셉의 집합체인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의 컴퓨터와, 그 상품 컨셉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품개발을 위한 상품 컨셉 정보를 출력하는 제2의 컴퓨터를 구비하며,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수단과,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분석하는 분석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개발 시스템.
- 현행제품 및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각각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를 구하여, 그 관계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2개의 좌표축의 양극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정의하여 좌표축 이름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표시하는 좌표축 이름 및 현행상품 표시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을 입력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총계처리하여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좌표 평면도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표시하는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표시된 복수의 상품 컨셉의 각각의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클러스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를 행하는 중점부여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대상상품에 대해서 1개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며, 그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상품 중간가치 및 상품 만족도의 각 방향으로 연관시켜 발상한 복수의 상품 컨셉을각 방향마다 구별하여 정의하고, 입력하는 연관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데마텔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및 상품 만족도를 양극으로 하고, 상품 중간가치를 중간점으로 하는 1축 상에 연관시켜 전개하는 상품 컨셉 연관부여공정과,연관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상품 컨셉 연관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를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의 각 워드를, 각 워드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각 워드를 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여 상품 컨셉 관련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공정과,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공정과,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 현행제품 및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의 각각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각각 현행제품과 이상(理想)으로 하는 상품과의 관계를 구하여, 그 관계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2개의 좌표축의 양극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고, 대립하는 한쌍의 상품 컨셉의 2조를 정의하여 좌표축 이름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복수의 현행제품을 표시하는 좌표축 이름 및 현행상품 표시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상품 컨셉의 인식정도에 따라 좌표점을 입력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집계하는 좌표 평면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좌표 평면 데이터를 총계처리하여 복수의 현행제품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좌표 평면도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복수의 상품 컨셉 및 복수의 현행제품을 정의하여 표시하는 상품 컨셉 및 현행제품 표시공정과,표시된 복수의 상품 컨셉의 각각의 상품 컨셉마다, 각 현행제품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인식의 유무를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클러스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해서 각 현행제품에 대해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를 행하는 중점부여공정과,각 현행제품에 대한 복수의 상품 컨셉의 중점부여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대상상품에 대해서 1개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며, 그 상품 컨셉을 상품품질, 상품 중간가치 및 상품 만족도의 각 방향으로 연관시켜 발상한 복수의 상품 컨셉을 각 방향마다 구별하여 정의하고, 입력하는 연관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 데이터를 데마텔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상품 컨셉을상품품질 및 상품 만족도를 양극으로 하고, 상품 중간가치를 중간점으로 하는 1축 상에 연관시켜 전개하는 상품 컨셉 연관부여공정과,연관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상품 컨셉 연관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복수의 상품 컨셉에 대해서, 그 상품 컨셉의 입력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품 컨셉에 중점을 부여하는 상품 컨셉 중점부여공정과,중점이 부여된 상품 컨셉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대상상품에 대해서, 복수의 상품 컨셉을 정의하여 입력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입력공정과,복수인에 의해 입력된 상품 컨셉 데이터를 집계하는 상품 컨셉 데이터 집계공정과,집계한 상품 컨셉의 각 워드를, 각 워드간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각 워드를평면 좌표도 상에 배치하여 상품 컨셉 관련도로서 출력하는 상품 컨셉 정보 출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로서,복수의 분석방법에 대응한 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제1의 컴퓨터에 표시하는 입력용 템플레이트 제공공정과,복수의 입력용 템플레이트 중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용 템플레이트를 선택하여 상품 컨셉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수집, 해석한 상품 컨셉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개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상품 컨셉과 그 상품 컨셉과 동일한 개념으로 통유성을 가지는 상품 컨셉 카테고리를 대조한 사전 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품 컨셉을 상품 컨셉 카테고리로 치환하는 상품 컨셉 치환공정과,상품 컨셉 카테고리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공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071005A JP2002269334A (ja) | 2001-03-13 | 2001-03-13 | 商品開発方法、商品開発システム、商品開発プログラムおよび商品開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JPJP-P-2001-00071005 | 2001-03-13 | ||
PCT/JP2002/002252 WO2002073487A1 (fr) | 2001-03-13 | 2002-03-11 | Procede de developpement de marchandise, systeme de developpement de marchandise, programme de developpement de marchandise et support d'enregistrement sur lequel le programme de developpement de marchandise est enregist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6301A true KR20030086301A (ko) | 2003-11-07 |
KR100852543B1 KR100852543B1 (ko) | 2008-08-18 |
Family
ID=1892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1883A KR100852543B1 (ko) | 2001-03-13 | 2002-03-11 |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133461A1 (ko) |
EP (1) | EP1380977A4 (ko) |
JP (1) | JP2002269334A (ko) |
KR (1) | KR100852543B1 (ko) |
CN (1) | CN1496529A (ko) |
TW (1) | TWI248009B (ko) |
WO (1) | WO20020734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4066175A1 (ja) * | 2003-01-17 | 2004-08-05 | Dentsu Inc. | ブランドコミュニケーション戦略シナリオ作成支援装置 |
JP4807054B2 (ja) * | 2005-11-28 | 2011-11-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商品評価方法、商品評価装置、及び、商品評価用プログラム |
JP2009020712A (ja) * | 2007-07-12 | 2009-01-29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事業策定支援方法、事業策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事業策定支援プログラム |
CN102402425A (zh) * | 2010-09-09 | 2012-04-04 |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 一种软件概念产品的生成方法、装置及erp生成系统 |
FI20106280A (fi) * | 2010-12-03 | 2012-06-04 | Zef Solutions Oy | Vertailumenetelmä ja -kone kohteiden graafiseen vertailuun |
FI20116210L (fi) * | 2011-12-01 | 2013-06-02 | Zef Solutions Oy | Parannettu vertailukone |
CN110222375B (zh) * | 2019-05-13 | 2021-07-13 | 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舰载机着舰过程的安全监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41972A (en) * | 1988-04-15 | 1991-08-20 | Frost W Alan | Method of measuring and evaluating consumer response for the development of consumer products |
US5124911A (en) * | 1988-04-15 | 1992-06-23 | Image Engineering, Inc. | Method of evaluating consumer choice through concept testing for the marketing and development of consumer products |
US5179643A (en) * | 1988-12-23 | 1993-01-12 | Hitachi, Ltd. | Method of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display for a large volume of record information items and a system therefor |
JP2771201B2 (ja) * | 1988-12-23 | 1998-07-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商品情報分析方法 |
US5500793A (en) * | 1993-09-02 | 1996-03-19 | Equitrade | Computerized system for developing multi-party property equity exchange scenarios |
JPH07262172A (ja) * | 1994-03-18 | 1995-10-13 | Fujitsu Ltd | データ分析装置 |
US5615109A (en) * | 1995-05-24 | 1997-03-25 | Eder; Jeff | Method of and system for generating feasible, profit maximizing requisition sets |
JP2980067B2 (ja) * | 1997-06-30 | 1999-11-22 | 日本電気株式会社 | 文書分類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AU4237500A (en) * | 1999-04-16 | 2000-11-02 | Ge Financial Assurance Holdings, Inc. |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financial services product |
JP2001056763A (ja) * | 1999-08-18 | 2001-02-27 | Yoko Ishino | 製品概念形成装置及び方法 |
US6658391B1 (en) * | 1999-12-30 | 2003-12-02 | Gary A. Williams | Strategic profiling |
-
2001
- 2001-03-13 JP JP2001071005A patent/JP2002269334A/ja active Pending
-
2002
- 2002-03-11 EP EP02702874A patent/EP138097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3-11 KR KR1020037011883A patent/KR1008525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3-11 WO PCT/JP2002/002252 patent/WO2002073487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3-11 CN CNA028060962A patent/CN1496529A/zh active Pending
- 2002-03-11 US US10/471,352 patent/US2004013346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03-12 TW TW091104620A patent/TWI24800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380977A1 (en) | 2004-01-14 |
KR100852543B1 (ko) | 2008-08-18 |
JP2002269334A (ja) | 2002-09-20 |
CN1496529A (zh) | 2004-05-12 |
WO2002073487A1 (fr) | 2002-09-19 |
EP1380977A4 (en) | 2007-05-02 |
US20040133461A1 (en) | 2004-07-08 |
TWI248009B (en) | 2006-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hoo Huang et al. | An evidence‐based taxonomy of intellectual capital | |
Demiralp et al. | Learning perceptual kernels for visualization design | |
US6313833B1 (en) | Graphical data collection and retrieval interface | |
Gustafsson et al. | Conjoint analysis: a useful tool in the design process | |
Breyfogle III | Statistical methods for testing,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 |
Scholtz et al. | Qualitative techniques for evaluat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user interfaces | |
Purwati et al. | Total Service Ouality Management And lt's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Of Online Transportation ln lndonesia | |
Fu et al. | Comparison of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users and designers in mobile shopping app interface design: Implications for evaluation practice | |
JP2006065482A (ja) | 多次元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方法、多次元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 |
Kachamas et al. |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t in the prediction of consumer behavior from Facebook posts analysis | |
Sato et al. | Value analysis tear-down: a new proces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 |
Pasuhuk et al. | Integrating Social Media Marketing and Brand Gestalt: An Empirical Analysi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 |
KR20030020874A (ko) | 상품 컨셉트 개발 방법 | |
Lokman | KE as affective design methodology | |
KR100852543B1 (ko) | 상품개발방법, 상품개발 시스템, 상품개발 프로그램 및상품개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
Lajevardi et al. | Understanding environmental awareness through green marketing: an empirical study using Q-methodology | |
Wedley et al. | A predecision support system | |
Vriens | The rol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mpetitive intelligence | |
Gutiérrez et al. | Benefits and trade-offs of different model representations in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non-expert users | |
Pilgrim et al. | Towards the efficient use of simulation in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a user survey | |
Sun et al. | On the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E-commerce UI design | |
Eklund et al. | A Face Validation of a SOM‐Based Financial Benchmarking Model | |
Baj-Rogowska | AutoCAD: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user adoption | |
Abbott | The program evaluation prism: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discover patterns | |
Ulfah et al. | Website User Interface Design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