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138A - 폐지 복합보드 - Google Patents

폐지 복합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138A
KR20030086138A KR1020020024517A KR20020024517A KR20030086138A KR 20030086138 A KR20030086138 A KR 20030086138A KR 1020020024517 A KR1020020024517 A KR 1020020024517A KR 20020024517 A KR20020024517 A KR 20020024517A KR 20030086138 A KR20030086138 A KR 2003008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posite board
waste paper
flame retardan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058B1 (ko
Inventor
김현중
양한승
진동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김현중
양한승
주식회사 리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김현중, 양한승, 주식회사 리싸이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서울대학교 총장)
Priority to KR102002002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4Press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06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 D21B1/08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dry methods the raw material being waste paper; the raw material being ra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08Impregnated or coated fibreboar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10After-treatment
    • D21J1/12Harden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1/00Fibreboard
    • D21J1/16Special fibreboard
    • D21J1/18Hardboar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산업 폐기물인 폐지를 함유하는 복합보드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보드는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심각한 폐기물중의 하나인 막대한 양의 폐지를 재활용한 기능성 복합재료로서, 기존의 재료보다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환경친화적인 건축 내장재 및 자동차 등의 소모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지 복합보드{WASTE PAPER COMPOSITE BOARD}
본 발명은 산업 폐기물인 폐지를 함유하는 복합보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산업폐기물 및 기타 생활폐기물 등에 의한 환경공해 발생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전세계적인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신문지, 폐골판지 등 폐지류는 갈수록 회수량이 증가하고 있다. 폐지의 재활용은 주로 습식, 즉 폐지를 물에 해섬하여 다시 재생지를 생산하는 단순한 단계에 머물러 있어 아직까지 폐지에 대한 재활용 방안은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손(1995) 등은 폐지를 이용하여 목질혼합복합재 제조를 위해 건식보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절단한 종이를 다양한 목질원료 등과 50:50으로 혼합하여 PMDI, UF, PF 수지 벼로 보드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목질혼합 복합재의 평가를 통해 보드 제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외의 연구 동향을 보면 Deppe(1985)는 건식보드 제조방법을 통해 고지섬유를 혼합한 중밀도 섬유판을 제조할 때 특히 낮은 박리강도와 불량한 치수안정성이 문제가 되는데 그 이유를 고지를 해섬하여 보드의 원료로 사용할 때 해섬된 섬유가 서로 엉키는 "ball-up"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는 중밀도 섬유판을 제조할 때 신문고지섬유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이 감소하며, 고지섬유를 혼합하여 양호한 성질의 중밀도 섬유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보드밀도를 800kg/m3이상으로 올리거나 수지첨가량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보고 하였다.
스토크(Stokke)와 리안(Liang)(1991)은 고지와 목질원료(플레이크, 파티클, 열기계펄프 목섬유)를 50:50으로 혼합하여 목질혼합복합재를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공업용 보드와 대등한 휨강도적 성질을 나타내지만 박리강도가 낮고 두께팽윤율 또한 25%이상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는 두께팽윤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포성 폴리스티렌(foamed polystyrene)을 첨가하였다고 보고하는 등 국내·외 연구를 통해 건식보드 제조방법으로 폐지를 재활용한 기능성 보드를 제조 할 수 있는 기초가 어느 정도 확립되어 있는 상태로 평가되어지지만 보드의 난연성, 내수성 개선 및 실질적인 대량 생산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는 더욱 더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폐지는 탈묵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원료의 전처리 과정이 크게 불필요하고,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제품 생산 후 2차적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제품에 비하여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기능성을 부여한 복합소재의 개발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있다. 특히 향후 시장규모를 볼때 폐지를 재활용한 친환경적인 기능성 복합소재는 국내 수요 및 환경규제가 엄격한 외국시장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 이에 따른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폐지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상기 폐지를 이용하여 복합보드를 제작하고, 물리적 성질을 시험하고 그 수준을 평가하여 실용화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 결과 기능성 복합재료로서 개발가능성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복합재료의 원료로서 폐지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재활용 자원으로서 폐지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한 용도개발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지를 함유하는 복합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지 복합보드의 제조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폐지 복합보드의 휨강도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를 혼합한 폐지 복합보드의 휨강도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처리 폐섬유를 혼합한 폐지 복합보드의 휨강도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처리 폐섬유와 난연제 10%를 혼합한 폐지 복합보드의 휨강도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폐지로 제조되는 복합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보드는 폐지가 접착제 및 경화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난연성 등의 특수 목적을 부여하기 위하여 난연제를 추가로 첨가한다.
본 명세서에서 "폐지"라 함은 일반 가정 또는 산업 폐기물로부터 회수된 모든 폐지를 말하며, 일예로 폐신문지, 폐골판지 및 초지 폐액에서 얻어지는 폐펄프 등을 들수 있으며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폐지는 생분해성으로 인하여 2차적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폐지 분말"은 가공이 용이하도록 원료인 폐지를 절삭기로 절삭 후 파쇄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가제"라 함은 보드의 기계적 물성, 표면 물성, 화학적 물성, 미학적 물성 및 가공 물성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을 말하며, 일예로 무기충전제, 염료 및 난연제 등을 포함하며, 그 성상에 따라 "고체 첨가제" 및 "액상 첨가제"로 나뉘며, 그 종류 또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폐지 복합보드"라 함은 폐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복합보드를 말한다.
본 발명의 복합보드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상기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소정 크기로 절삭 및 파쇄된 폐지에 고체 첨가제가 혼합된 분말에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를 이용하여 접착제, 경화제 및 액상 첨가제를 분사 혼합시킨 혼합원료(101)의 함수율을 8 ∼ 14%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 12% 범위로 조절한다. 건조된 혼합원료(108)를 성형틀(102)에 넣은 후 콜드 프레스(103)로 냉간 압축하여 매트(104)를 제조하고, 제조된 매트(104)를 두개의 카울(105) 사이에 위치시킨 후 스토퍼(106)를 매트(104)의 양측면에 위치시킨 후 핫플레이트(107)를 사용하여 열간 압축함으로써 폐지의 복합보드(108)가 완성된다. 완성된 복합보드(108)는 폐지가 접착제 및 경화제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공정중 공기 분사기를 이용한 분무공정에서 접착제 및 경화제 분사 후 첨가제의 순으로 수행하며, 이는 첨가제로 인한 접착제의 접착 특성의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냉간압축 및 열간 압축의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복합보드 내부에 기공을 3∼20 부피% 범위 내에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는 상대적으로 저하되나 흡음성 및 방진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공정의 폐지는 폐신문지, 폐골판지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보드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종이 제품에 적용가능한 접착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자들은 편의상 시판되고 있는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hol, PVA) 및 요소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접착제의 사용량은 폐지간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 폐지에 대해 6 ∼ 14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8 ∼ 1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접착제 외에 경화제(hardener or curing agent)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또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편의상 시판되고 있는 NH4Cl 경화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경화제의 사용량은 통상 접착제에 대해 6 ∼ 14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8 ∼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보드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 (휨강도, 박리강도, 흡음성) 및 물리적 성질(비중, 함수율, 흡수율, 두께팽창률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적용시 원하는 물성의 획득이 용이하며, 일예로 폐지가 지니고 있는 생분해성 이외에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하여 난연성, 흡음성 등을 더욱 부여할 수 있다.
복합보드 공정시 폐지의 탈묵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 제조된 보드의 색이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엔 부적합하므로 원하는 색상의 염료 및 화이트 카본을 첨가한다. 이때 그 함량은 통상 폐지에 대해 1 ∼ 20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건축 등의 자재로 이용하기 위해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계 난연제(FR-7R)를 첨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첨가되는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된 복합보드의 휩강도가 약간 저하되므로 그 함량은 폐지에 대하여 10∼20 중량%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보드는 폐지가 갖는 생분해성 외에 여러가지 첨가제 등에 의해 흡음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휨강도, 열저항, 내충격성, 내화염성, 방균성 및 단열성 등의 특성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지를 원료로 자동차 에어필터용 프레임 박스, 석고보드, 중밀도 섬유판(MDF) 및 파티클 보드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물성을 측정한 결과, 몰딩가능성 및 자체지지력 평가에서 우수하였으며 여러 물리적 특성 또한 최고 수준과 동등 이상의 결과치를 보였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보드는 프레스 공정을 이용하여 프레임 박스를 제작이 가능하고, 경량이며 열변형이 적고 열성형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형태-요철-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보드로 제작된 석고보드는 종래 석고보드가 지닌 고비중 및 저강도의 단점을 보완하여 저비중 및 고강도 뿐 아니라 우수한 난연성을 가진다. 또한 중밀도 섬유판 및 파티클 보드 대용품을 개발하였고 환경친화적인 접착제(E0, E1)를 사용함으로써 유해한 물질인 포름알데하이드의 방산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무기계 난연제(FR-7R)를 처리하여 내장용 난연보드를 제작하여 건축 분야에 응용할 수 있으며, 건물의 화재시 내장재의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는 무기계 난연제(FR-7R) 뿐만 아니라 난연처리된 폐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체적인 제품들은 본 발명의 복합보드로 제작되어 질 수 있는 일예를 설명한 것이며, 이외에도 각각의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무기계 난연제(FR-7R) 및 난연처리된 폐섬유를 사용하여 난연성을 지닌 복합보드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첨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고 해석되어져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재료>
- 폐지
폐지로는 폐신문지를 수거하여 가공한 분말형태의 2차분쇄분 (2 mm 이하)을 사용하였다. 파쇄된 폐지분말은 특수 제작한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폐지 함수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밀폐 보관하였다.
- 접착제
접착제는 고형분량 14%인 PVA 수용액 및 고형분량이 60%인 요소수지 수용액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경화제
경화제는 NH4Cl 수용액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난연제
(주)리싸이텍에서 개발한 메탄올에 녹인 15∼25% 무기계 난연제(FR-7R)를 사용하였다. 또한 난연처리가 된 폐섬유(10 ∼ 20 mm)를 사용하였다.
- 화이트 카본
첨가제로서 120 메쉬의 화이트카본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복합보드의 제조
혼합기에 폐지 분말 및 화이트 카본을 주입하고 에어 컴프레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PVA 접착제(10 중량%) 및 요소수지 접착제(10 중량%)를 분사한 후, 무기계 난연제(FR-7R), 난연처리된 폐섬유 및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균질 혼합된 혼합원료의 함수율은 원료의 함수율 및 기타 첨가제의 수분량으로 조절하였으며 혼합원료의 함수율은 8 ∼ 14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12 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적당하다.
혼합원료를 본 틀에 넣기 전 일정 형태를 만들어 주기 위하여 30cm×30cm×40cm(길이×폭×높이)의 성형틀에 넣은 후 2 kgf/cm2의 압력으로 나사형 프레스를 이용하여 냉간압축을 실시하였다. 냉간 압축 후 성형틀을 제거하고 매트를 카울(caul) 위에 올려놓은 후 일정한 폐지 복합보드의 두께를 얻기 위해 1.0cm의 스토퍼(stopper)를 매트의 길이 방향으로 카울 위에 올려놓고, 또 다른 카울을 매트위에 올려놓았다. 그 다음 카울을 열압기의 열판사이에 넣은 후 주열압압력 50 kgf/cm2, 열압온도 130℃, 주열압시간 10분의 열압스케줄 조건하에서 열압을 가한 후 열압 압력을 낮추어 매트내에 형성된 수증기를 제거(breathing), 증기압을 완화시켜 주어 매트 내부에서 접착제의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 증기압에 의한 매트의 팽창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압력을 다시 한번 낮추어 매트내의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켜 준 후 열판으로부터 카울을 꺼내 제거한 후 제조된 복합재를 상온에서 냉각시켜 폐지 복합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공정을 거쳐 비중이 0.8 및 1.0이고, 두께가 각각 6cm, 9cm 및 12cm인 복합보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폐지 복합보드를 이용하여 물리적 성질, 기계적 성질 및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 밀도, 비중, 함수율
폐지 복합보드의 비중 및 함수율은 KS F 3104에 의거 측정하였다.
- 휨강도
KS F 3104에 의거하여 각각의 복합재로부터 25cm×5cm×1.0cm의 시험편을 1매당 1개씩 재단하여 하중속도 10mm/min, span 15cm로 Hounsfield사의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5반복 측정하였다.
< 결과 및 고찰 >
A. 물리적 성질
a) 비중, 함수율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지 복합보드의 평균함수율은 8.32% 이었다.
페지보드 연질섬유판 중밀도 섬유판 경질 섬유판 석고보드(두께 1.25cm)
비중 1.00 < 0.35 0.35∼0.85 0.85 < 0.75∼1.13
함수율 8.32% 5∼13% 5∼13% 5∼13% < 3%
B. 기계적 성질
a) 휨강도
본 발명에 따른 폐지 복합보드의 휨강도를 도 2a∼2d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난연제가 함유되지 않은 폐지 복합보드의 비중 및 두께에 따른 휨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복합보드의 비중이 1.0인 경우가 0.8인 것에 비해 휨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보드의 두께별로는 휨강도의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b는 무기계 난연제(FR-7R)가 함유된 복합보드(비중 1.0, 두께 9 mm)의 난연제의 함량에 따른 휨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휨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석고보드와 연질판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도 2c는 난연제로 난연처리된 폐섬유를 혼합한 복합보드(비중 1.0, 두께 9 mm)의 폐섬유의 함량에 따른 휨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도 2b에서와 마찬가지의 경향을 나타낸다. 도 2d는 무기계 난연제(FR-7R) 및 난연처리된 폐섬유를 혼합사용한 복합보드에 있어 폐섬유의 함량에 따른 휨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이또한 상기한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휨강도가 저하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한 실험 모두에서 종래 석고보드(gypsum board) 및 연질판(insulation board)에 비하여 휨강도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폐지내 함유된 셀룰로오스 성분에 의해 휨강도가 증가하고 접착제 등으로 인하여 상기 성분들이 견고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중밀도 섬유판 (2,150 psi (15형)) 및 경질 섬유판(2,870 psi (S20형)) 보다는 휨강도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나 연질판 (15 psi), 석고보드(400 psi) 보다는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바, 난연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건축 내장용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폐지 복합보드는 저비중 및 고강도의 특성으로 인하여 원료 특성상 비중이 높고 약한 강도를 지닌 석고보드의 우수한 대체품으로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C. 난연성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계 난연제(FR-7R)를 10, 15, 20 중량%를 첨가하여 비중 1.0, 두께 9mm 의 복합보드를 제작하였으며, JIS A 1321-1994 에 의거하여 하기와 같이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 발연계수(CA)
하기 식에 의거 단위 면적당 발연계수를 측정하였으며, 난연 1급은 30이하,난연 2급은 60 이하 및 난연 3급은 120 이하로 분류하였다.
CA= 240 log(Io/I)
Io: 가열시험 개시시의 빛의 세기 (lx)
I : 가열시험 중의 빛 세기의 최저값 (lk)
- 탄화면적 (℃×min)
배기 온도 곡선이 표준 온도 곡선을 초과하고 있는 부분의 배기 온도 곡선과 표준 온도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으로, 난연 2급은 100 이하, 난연 3급은 350 이하로 분류하였다.
- 중량감소율 (%)
가열시험 전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 착화시간
가열 개시 후 착화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 잔염시간
가열후 잔염이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 산소지수
ASTM D 2863에 의거 복합보드의 산소지수를 측정하였다.
평가항목 난연제의 함량(%)
10 15 20
비중 1.0 1.0 1.0
발연계수 CA 24 15.7 6.75
탄화면적 ℃·min 119 67.5 50
중량감소율 % 18.15 13.78 12.1
착화시간 sec 99 103.33 127.5
잔염시간 min 75 65 57.5
산소지수 29.1 31.2 35.11
상기 표 2에 따르면, 무기계 난연제(FR-7R)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난연성이 우수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발연계수의 경우 모두 난연1급에 해당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탄화면적의 경우는 난연제 함량 10 중량%의 경우 난연3급, 나머지 경우는 모두 난연2급에 해당하는 등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산소지수의 경우도 시편이 연소되기 위한 공기중의 최소한의 산소의 농도를 나타내주는 수치로서, 무기계 난연제(FR-7R)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난연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폐자원을 재활용한 폐지 복합보드를 제조하여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을 평가, 시험하고 복합재 제조의 가능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중 및 함수율이 낮고 휨강도가 우수함에 따라 종래 비중이 높고 저강도인 석고보드의 우수한 대체재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특히 무기계 난연제(FR-7R)를 첨가함에 따라 불에 타지 않는 건축내장재료로서 적합함을 알 수있었다.
2. 휨강도 시험결과 비중이 클수록 높은 휨강도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수치가 저하된 것처럼 보이나 종래 연질판 및 석고보드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3. 제조된 폐지 복합보드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계 난연제(FR-7R)를 첨가하여 우수한 난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폐지 복합보드가 난연특성외에 다른 물리적 특성을 얻고자 하는 경우 이에 부합하는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폐지를 재활용한 기능성 복합재료의 건축자재로의 활용은 기존재료보다 성능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한다는 점과 더불어, 폐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공해 유발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보드는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심각한 폐기물중의 하나인 막대한 양의 폐지를 재활용한 기능성 복합재료라는데 특징이 있으며, 기존의 목재 보드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공해 유발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즉, 기존재료보다 성능이 우수한 소재를 제공함과 아울러 재활용 자원으로서의 폐지가 갖는 여러 장점을 적절히 재활용함과 아울러 건축자재 등의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폐지가 갖는 생분해성 외에 여러가지 첨가제 등에 의해 흡음성, 난연성, 치수안정성, 휨강도, 내충격성, 내화염성 및 단열성 등의 특성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자동차 에어필터용 프레임 박스, 석고용품, 중밀도 섬유판 또는 파티클 보드 등의 산업 또는 건축자재로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폐지 분말을 함유하고, 이들이 결합제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폐지 복합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지가 폐신문지, 폐골판지, 초지 폐액에서 얻어지는 폐펄프 및 이들의 혼합조성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보드가 접착제, 경화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보드.
  5. 폐지 분말을 접착제와 혼합한 혼합원료를 성형틀에 넣은 후 냉간 압축하여 매트를 제조하고, 제조된 매트를 두개의 카울 사이에 위치시킨 후 스토퍼를 매트의양측면에 위치시키고 핫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열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복합보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복합보드로 제작되는 자동차 에어필터용 프레임 박스, 석고용품, 중밀도 섬유판 또는 파티클 보드.
KR1020020024517A 2002-05-03 2002-05-03 폐지 복합보드 KR10054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17A KR100545058B1 (ko) 2002-05-03 2002-05-03 폐지 복합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17A KR100545058B1 (ko) 2002-05-03 2002-05-03 폐지 복합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38A true KR20030086138A (ko) 2003-11-07
KR100545058B1 KR100545058B1 (ko) 2006-01-24

Family

ID=3238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17A KR100545058B1 (ko) 2002-05-03 2002-05-03 폐지 복합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71B1 (ko) * 2002-08-31 2005-02-05 김정만 자동차 에어클리너의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1730A (en) * 1972-03-21 1978-09-05 Balatinecz John J Producing recycle composition paper flake board
US4263077A (en) * 1978-05-12 1981-04-21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In-press transfer painting of hardboard
KR940004148A (ko) * 1992-08-03 1994-03-14 서현열 레진 페이퍼(resin paper)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950001015A (ko) * 1993-06-07 1995-01-03 안찬웅 폐지(廢紙)를 이용한 합판대용 건축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970011108B1 (ko) * 1994-08-16 1997-07-07 박희재 기계이송축의 5자유도 운동오차 측정장치
KR970025890A (ko) * 1995-11-15 1997-06-24 강광욱 폐자재를 이용한 내 · 외장합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71B1 (ko) * 2002-08-31 2005-02-05 김정만 자동차 에어클리너의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058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707C2 (ru) Плита, синтезированная из порошка из негодных печатных плат,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6926954B2 (en) Decorative sheet or molding comprising fibers and fill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ayamani et al.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natural fibre reinforced composites
CN102152373B (zh) 利用废电路板粉合成的零碳木质纤维环保板材的制造工艺
CA2045729A1 (en) Process for making stable fiberboard from used paper and fiberboard made by such process
EP2722142A1 (en) Circuit-board powder made eco-friendly panel free from aldehyde and carbon emission and production method
Kairytė et al. Evaluation of self-thermally treated wood plastic composites from wood bark and rapeseed oil-based binder
US785800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re-resistant wood fiber moldings
JP2001260108A (ja)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7425B1 (ko) 왕겨를 주재료로 하는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45058B1 (ko) 폐지 복합보드
CA2294890C (en) Refractory liq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fractory material, refractory building material and refractory adhesive each manufactured from the refractory liquid
CN1239628C (zh) 以废弃物为填充材的防火板材类制品的制造方法
CN113119267B (zh) 一种环保均质超强刨花板及其制备方法
CN108247804A (zh) 一种阻燃泡沫复合板的制备方法
EP2001522A1 (en) Process for making composite products from fibrous waste material
WO1997004184A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late boards for construction
JP3641246B2 (ja) 難燃性古紙ボードの製造方法及び難燃性古紙ボード
KR102492068B1 (ko) 폐목재를 이용한 불연성 파티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6015677A (ja) 難燃性木質ボード
KR100642213B1 (ko) 폐지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화이버 건축 단열보드 및 내장재의 제조방법
Singh et al. Composite building materials from natural fibers/agro-forest residues
KR102614267B1 (ko) 불연성을 갖는 황색 보드 제조 방법
KR101071782B1 (ko) 종이섬유질의 난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난연재
RU2104253C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