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720A -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720A
KR20030085720A KR1020020023937A KR20020023937A KR20030085720A KR 20030085720 A KR20030085720 A KR 20030085720A KR 1020020023937 A KR1020020023937 A KR 1020020023937A KR 20020023937 A KR20020023937 A KR 20020023937A KR 20030085720 A KR20030085720 A KR 20030085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viding
service
portable terminal
member compan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인텍
Priority to KR102002002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720A/ko
Publication of KR20030085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72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는 서비스 종류 별로 휴대용 단말기의 선택 버튼을 누르는 절차 만으로도,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용이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GPS system and system therof}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소비자, 즉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와 특정 서비스 제공자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의 일환으로 범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예를 들어 휴대폰의 위치 정보 확인으로 휴대폰 사용자의 위치 및 지도 상의 이동 방향을 표시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범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은 인공 위성을 이용한 지구 위치 결정 체계로서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는 위성에서 발신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관측함으로써, 관측점의 위치를 구하는 체계이다. 기존의 GPS의 경우에는 군사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위성 신호에 포함되었던 고의적 오차 등으로 인하여, 정확한 수치를 민간인들이 사용할 수 없었으나, 최근 위성 신호에 포함되었던 고의적 오차가 제거됨으로써, 위치 정확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또 다른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는 네트워크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이 있으며, 이 네트워크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은 지상에서의 신호 전파 과정에서의 가청성(hearability)의 문제, 다중 경로(multipath)와 NLOS(none line of sight)의 영향으로 인하여 전달시간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 때문에, GPS 시스템과 통합하여 보다 오차가 적은 위치 추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GPS 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 방향을 추적하여 지도상에 표시해 주는 등의 시각적인 서비스에만 집중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들은 현재 자기 위치를 파악하거나, 길을 찾는 등의 서비스에는 이용할 수 있으나, 휴대폰 등의 액정의 경우 크기가 작아서, 많은 정보를 표현하기 힘들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보기 위해서는 특수한 액정을 이용하거나, 컴퓨터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접근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추적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추적이 가능한 단말기 사용자가, GPS 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데이터를 비교해서 검색해야 하는 불필요한 시간을 없애고, 필요한 정보를 즉석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320: 휴대용 단말 장치
122, 322: 서비스 모드 선택부
124, 324: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140, 340: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
326: 디스플레이부
160, 340: 서비스 제공 서버
162: 인접 회원사 결정부
362: 추천 회원사 결정부
164, 364: 회원사 데이터베이스
180, 380: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단계에서 탐색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의 터미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c)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선정된 조건이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 간에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탐색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결정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 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용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용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120), 예를 들면, 휴대폰, PDA, 소형 노트북 등,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 서비스 제공 서버(160), 및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180)을 구비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총괄하여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20)에 구비된 서비스 모드 선택부(122)의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서비스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60)에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4)에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품목, 예를 들어 대리운전, 이사짐 센터, 각종 A/S, 꽃배달, 세탁, 치킨, 패스트푸드, 중식 등배달 중심의 각종 요식업, 인터넷 케이블망 사업자, 위성 TV, 케이블 TV 등의 각종 출장 설치 서비스, 각종 음식점, 영화관, 퀵서비스, 콜택시 등과 같은 서비스 선택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서는 초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지만, 선택적으로 용역 서비스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되는 정보는 일정한 주기, 예를 들어 1 개월 또는 1 분기 단위로 네트워크를 통해 갱신된다.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는 원하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종류, 휴대용 단말기의 호출 정보 등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자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서비스 모드 선택부(122)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는 이동 통신망, PSTN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 전송된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휴대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기존의 GPS 시스템에 의한 소유자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에 의해 정확히 체크하여, 휴대폰 단말기의 위치, 즉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생성한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60)의 인접 회원사결정부(162)는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가 저장된 회원사 데이터베이스(164)를 탐색하여,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인접한 인접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결정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는 회원사 위치, 상호명, 제공 서비스 품목,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회원사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회원사 정보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일주일 또는 1 개월 단위로 갱신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위치 측정 시스템 중 인공 위성을 이용한 위치 결정 시스템인 범세계 위치 측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위치 결정 시스템으로서 GPS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120)의 정확한 위치만 제공할 수 있으면, 어떠한 위치 결정 시스템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원사 중 휴대용 단말기(120)에 가장 인접한 회원사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회원사 데이터베이스(164)에 저장된 인접 회원사 정보를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60)로부터 전송된 회원사 정보,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20)와 인접한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을 직접 연결시킨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60)가 휴대용 단말기(120)와 상기 결정된 용역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180)를 통화 가능한 상태로 직접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원사 중 휴대용 단말기(120)에 가장 인접한 회원사가 결정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중 서비스 요청자 식별 정보를 결정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 단말기(180)에 제공하여, 회원사가 당해 서비스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20)에 접속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2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이동 통신망, PSTN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다.
단계 2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존의 GPS 시스템과 같이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사 데이터베이스(164)를 탐색하여, 선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회원사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정된 조건은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인접한 회원사이지만, 선택적으로 다른 소정의 조건에 따라 적합한 회원사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2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와 결정된 회원사의 터미널을 연결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320),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 서비스 제공 서버(360),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38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320)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모드 선택부(322)의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된 서비스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는 이동 통신망, PSTN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로 전송된다.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는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종류, 호출 번호, 이동 수단 정보 등이 포함된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는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휴대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기존의 GPS 시스템에 의한 소유자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에 의해 정확히 체크하여, 휴대폰 단말기의 위치, 즉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는 생성한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60)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360)는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6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60)의 추천 회원사 결정부(362)는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의 제공 받고자하는 서비스 종류, 이동 수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가 저장된 회원사 데이터베이스(364)를 탐색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휴대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인접한 추천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결정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회원 정보는 회원사 위치, 상호명, 제공 서비스 품목, 전화 번호, 서비스 요금 할인 정보, 소비자 평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회원사 데이터베이스(364)에 저장된 회원사 정보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일주일 또는 일개월 단위로 갱신된다.
추천 회원사 결정부(362)는 서비스 제공 서버(360)가 수신한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서비스 요청자 정보의 사용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회원사 선택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요청자 정보에 포함된 요청자의 이동 수단이 도보 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320)와 회원사 간의 거리가 1km 이내, 이동 수단이 차량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320)와 회원사 간의 거리가 10km 이내인 서비스 제공 회원사 들이 포함된다.
추천 회원사 결정부(362)는 회원사 데이터베이스(364)를 탐색하여 요청된 서비스 품목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원사들 중 상기 거리 조건에 부합하는 회원사들을 선택하여, 이들 회원사의 호출 정보, 거리 정보, 할인 정보, 및 소비자 평가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사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320)에 전송한다.
회원사 추천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20)는 수신한 회원사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6)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회원사 추천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회원사를 선택하고, 선택된 회원사 정보를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에 전송하고, 모바일 서비스 제공 서버(340)는 휴대용 단말기(320)로부터 전송된 상기 선택된 회원사 정보,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320)와 인접한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380)을 직접 연결시킨다.
선택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2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360)로 상기 선택된 회원사 정보가 전송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360)가 휴대용 단말기(320)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380)을 통화 가능한 상태로 직접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60)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중 서비스 요청자 식별 정보를 선택된 회원사 터미널(380)에 제공하여, 회원사가 당해 서비스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320)에 모바일 서비스 서버(340)를 거쳐 접속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회원사 추천 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320)는 수신한 추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26)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26)에 표시된 추천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회원사를 선택하고,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 회원사를 호출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휴대용 단말기(320)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정보 전송, 이에 대한 서비스 제공 서버(340)의 추천 정보 생성 및 전송, 및 회원사 선택 및 호출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41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이동 통신망, PSTN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는 원하는 서비스의 종류, 호출 번호, 이동 수단 등이 포함된다.
단계 4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존의 GPS 시스템과 같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전송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 및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사 데이터베이스(364)를 탐색하여, 선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추천 회원사 리스트를 작성한다. 추천 회원사 리스트에는, 각 회원사의 호출 정보, 거리 정보, 할인 정보, 및 소비자 평가 정보 등이 포함된다.
단계 4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 430에서 작성된 추천 회원사 리스트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45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회원사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6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 450에서 수신한 회원사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회원사 터미널을 접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서비스 종류별로 휴대용 단말기의 선택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생소한 지역이나 처음 방문한 지역에서도 전화번호 안내 없이 모바일 서비스 만으로 원하는 특정 서비스 제공자와 직접적으로 연결 가능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수신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1) 상기 (c) 단계에서 탐색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의 터미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d2) 상기 (c) 단계에서 탐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 요청자의 이동 수단 및 특정 서비스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선정된 조건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제공 회원사 간의 거리,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제공 요청자의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 (e)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d2) 단계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 중에서 선택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 (f)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의 터미널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위치 추적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회원사 터미널 간에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탐색하여, 선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를 결정하는 인접 서비스 제공 회원사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제공 회원사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 회원사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조건은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회원사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서비스 제공 회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요청 정보는 서비스 제공 요청자의 이동 수단 및 특정 서비스 선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조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제공 회원사 간의 거리,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서비스 제공 요청자의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20023937A 2002-05-01 2002-05-01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5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37A KR20030085720A (ko) 2002-05-01 2002-05-01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937A KR20030085720A (ko) 2002-05-01 2002-05-01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720A true KR20030085720A (ko) 2003-11-07

Family

ID=3238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37A KR20030085720A (ko) 2002-05-01 2002-05-01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5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439B2 (en) Positional camera and GPS data interchange device
US7561065B2 (en)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KR10105428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US20100159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KR20120051636A (ko) 디지털 지도의 표시
KR20020015122A (ko) 위치정보와 지리정보에 기반한 정보 수집 방법 및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107977A (ja) 位置推定装置、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および位置推定用プログラム
KR20130127730A (ko) 실시간 리스팅이 가능한 상점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1095361B1 (en)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KR20030085720A (ko) Gps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7516013B1 (en) Method for gathering mobile consumer-initiated business service look-up requests
EP1626382B1 (en) Personal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