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395A -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395A
KR20030085395A KR1020020023807A KR20020023807A KR20030085395A KR 20030085395 A KR20030085395 A KR 20030085395A KR 1020020023807 A KR1020020023807 A KR 1020020023807A KR 20020023807 A KR20020023807 A KR 20020023807A KR 20030085395 A KR20030085395 A KR 2003008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m
ais
rdi
valu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2002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395A/ko
Publication of KR2003008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77Localisation of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47Cell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웍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정확히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식별토록 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 손실(LOF), 신호 손실(LOS), 셀 묘사 손실(LOCD)에 대한 알람이 발생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방향으로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는 RDI를 발생하며,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OAM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OAM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종료하고, OAM 수신일 경우에는 AIS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AIS의 수신일 경우, 기존의 AIS 카운트 필드의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소정값(1)을 가산하고, 기존의 RDI 카운트 값에 소정값(1)을 감산한 후 순방향으로 OAM 셀을 전송하고, 상기 AIS의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RDI 필드의 수신값과 자신의 OAM 셀의 카운트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OAM 위치를 판정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Method for identification OAM location in a ATM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웍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정확히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식별토록 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ATM 시스템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 각 ATM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Ope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이라 약칭함) 발생시 카운트를 시작하고, 각각의 연결점에서 이에 대한 카운트를 늘려감으로써 대국에 대해 자신으로부터의 OAM인지 다른 세그먼트 또는 엔드-포인트로부터의 OAM이 발생했는지를 정확히 판별토록 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ATM 시스템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 운영 및 유지보수(OAM)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발생시 순방향으로는 알람 식별 신호(Alarm Indication Signal : 이하, "AIS"라 약칭함)를, 역방향으로는 원격 결점 식별(Remote Defect Indication : 이하, "RDI"라 약칭함)를 발생시키며, OAM 필드중 네트워크 ID 필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ID를 삽입함으로써, 최초 발생하는 OAM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OAM 발생시 현재의 시스템처럼 네트웍 ID를 부여하지 않은 블록에서 OAM 발생 후 여러 블록을 거치게 되면 OAM 최초 발생 위치 파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ATM 시스템에서 OAM 발생후 위치 파악의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웍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정확히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식별토록 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ATM 시스템이 다단으로 연결된 경우, 각 ATM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Operation and Maintenance : 이하, "OAM"이라 약칭함) 발생시 카운트를 시작하고, 각각의 연결점에서 이에 대한 카운트를 늘려감으로써 대국에 대해 자신으로부터의 OAM인지 다른 세그먼트 또는 엔드-포인트로부터의 OAM이 발생했는지를 정확히 판별토록 한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손실(LOF), 신호 손실(LOS), 셀 묘사 손실(LOCD)에 대한 알람이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방향으로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는 RDI를 발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OAM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OAM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종료하고, OAM 수신일 경우에는 AIS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AIS의 수신일 경우, 기존의 AIS 카운트 필드의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소정값(1)을 가산하고, 기존의 RDI 카운트값에 소정값(1)을 감산한 후 순방향으로 OAM 셀을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AIS의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RDI 필드의 수신값과 자신의 OAM 셀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OAM 위치를 판정하는 제6단계를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식별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식별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ATM 시스템
200 ..... 제2ATM 시스템
300 ..... 제3ATM 시스템
400 ..... 제4ATM 시스템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식별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 내지 400은 제1 내지 제4ATM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및 제4ATM 시스템은 엔드-포인트이며, 제2 내지 제3ATM 시스템은 세그먼트 시스템(segment system)이다.
제1ATM 시스템(100)의 송신(Tx)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 제2ATM 시스템(200)에서는 알람을 감지하고, 상기 제1ATM 시스템(100)으로는 RDI를 송출하고, 제3ATM 시스템(300)으로는 세그먼트 AIS를 송출한다.
이때 제3ATM 시스템(300)에서는 제2ATM 시스템(200)으로부터의 AIS는 제4ATM 시스템(400)으로 계속 전달하며, 제2ATM 시스템(200)방향으로는 RDI를 송출한다.
아울러 제4ATM 시스템(400)에서는 제3ATM 시스템(300)으로 세그먼트 AIS를 송출한다.
이때 각 블록 사이에서 즉, 제2ATM 시스템(200)과 제3ATM 시스템(300)사이,제3ATM 시스템(300)과 제4ATM 시스템(400)사이는 약속된 카운트 필드(Count Field)를 이용하여 서로가 정상임을 알 수 있다. 즉, 제1ATM 시스템(100)의 송신과 제2ATM 시스템(200)의 수신(Rx) 사이에서 장애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식별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손실(LOF : Loss of Frame), 신호 손실(LOS : Loss of Signal), 셀 묘사 손실(LOCD : Loss of Cell Delineation) 등의 알람이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01)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방향으로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는 RDI를 발생하는 단계(S102)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OAM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103)와, 상기 체크결과 OAM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종료하고, OAM 수신일 경우에는 AIS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4)와, 상기 확인결과 AIS의 수신일 경우, 기존의 AIS 카운트 필드의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1을 가산하고, 기존의 RDI 카운트값에 1을 감산한 후 순방향으로 OAM 셀을 전송하는 단계(S105)와, 상기 AIS의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RDI 카운트값을 처리하는 단계(S106)와, 상기 처리한 RDI 카운트값으로 OAM 위치를 판정하는 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식별 방법은, 먼저 단계 S101에서 프레임 손실(LOF : Loss of Frame), 신호 손실(LOS : Loss of Signal), 셀 묘사 손실(LOCD : Loss of Cell Delineation) 등의 알람이 발생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 S102로 이동하여 순방향으로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는 RDI를 발생시킨다. 이때 순방향으로는 OAM 필드의 1바이트를 선택하여 최초 발생임을 알리는 카운트 계수값 1을 삽입하며, 역방향 RDI 발생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와는 달리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3으로 이동하여 OAM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OAM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종료하고, OAM 수신일 경우에는 단계 S104로 이동하여 AIS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AIS의 수신일 경우, 단계 S105로 이동하여 기존의 AIS 카운트 필드의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1을 가산하고, 기존의 RDI 카운트값에 1을 감산한 후 순방향으로 OAM 셀을 전송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AIS의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RDI 카운트값을 처리하고, 단계 S107로 이동하여 AIS를 송신한 시스템에서는 RDI 필드의 수신값과 자신의 OAM 셀의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OAM 위치를 판정한다.
즉, AIS 송신 카운트값과 RDI 수신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두 경로 사이는 정상이라고 판정을 하며, 다르면 두 경로 사이가 비정상적이라고 판정을 하게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ATM 시스템이 다단의 네트웍으로 연결된경우, OAM 발생시 장애위치의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점으로 장애 복구가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ATM 시스템에서 OAM 위치 판별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손실(LOF), 신호 손실(LOS), 셀 묘사 손실(LOCD)에 대한 알람이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한 경우에는 순방향으로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는 RDI를 발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체크결과 알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OAM 수신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OAM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종료하고, OAM 수신일 경우에는 AIS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AIS의 수신일 경우, 기존의 AIS 카운트 필드의 값을 확인하고 그 값에 소정값(1)을 가산하고, 기존의 RDI 카운트값에 소정값(1)을 감산한 후 순방향으로 OAM 셀을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AIS의 수신이 아닐 경우에는 RDI 필드의 수신값과 자신의 OAM 셀의 카운트값을 비교하는 제5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OAM 위치를 판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순방향으로는 OAM 필드의 1바이트를 선택하여 최초 발생임을 알리는 카운트 계수값 1을 삽입하여 AIS를 발생시키고, 역방향으로도 순방향과 동일하게 카운트 계수값 1을 삽입하여 RDI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OAM 위치 판정은,
    상기 AIS 송신 카운트값과 RDI 수신 카운트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두 경로 사이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다르면 두 경로 사이가 비정상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KR1020020023807A 2002-04-30 2002-04-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KR20030085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07A KR20030085395A (ko) 2002-04-30 2002-04-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07A KR20030085395A (ko) 2002-04-30 2002-04-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395A true KR20030085395A (ko) 2003-11-05

Family

ID=3238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07A KR20030085395A (ko) 2002-04-30 2002-04-30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5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5842B (zh) * 2007-06-14 2012-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远端缺陷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5842B (zh) * 2007-06-14 2012-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指示远端缺陷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700B1 (ko) Ip 패킷 통신 장치
US6977886B2 (en) Transmitter for automatically changing transmission data type within specified band
EP0658032B1 (en) Location identification in a communications signalling network
US9479430B2 (en) Distributed protection switching architecture for point-to-point microwave radio systems
EP2015512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cting and reporting the failure of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CN103684818A (zh) 检测网络通道故障的方法及装置
CN111342893B (zh) 通道故障点定位方法
CN101540710A (zh) 数据传输
CN101136810A (zh) 链路状态的检测方法以及网络设备
US7110354B2 (en) Method of controlling 1+1bi-directional switching operation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KR20030085395A (ko)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운영 및 유지보수 위치 식별방법
CA24831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deadlock of auto-negotiation sequence between switches
JP4662652B2 (ja) Sdh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切替方法
KR100333954B1 (ko) 단일코어를 이용한 광통신망 이중화와 고장감시방법 및 그장치
JP3610922B2 (ja) 警報転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07700B2 (ja) 障害検出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光伝送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4412068B2 (ja) 無瞬断切替システム及び無瞬断切替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通信局
KR100711658B1 (ko) 에이티엠 네트워크의 중계선 시험 방법
KR100748681B1 (ko)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단방향 절체 제어 방법
JP3170048B2 (ja) Atm試験方式
JPS609246A (ja) デ−タ回線網監視方式
KR100630066B1 (ko) 전송 시스템에서 선로감시를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
KR100801138B1 (ko) 에스오앤이티/에스디에이치 장비에서 보호 절체 유무에의한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09044703A (ja) フレーム同期装置、通信装置及び障害検出方法
KR100264858B1 (ko) 데이터전송시스템의구간에러체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