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7Y1 -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7Y1
KR200300847Y1 KR20-2002-0020656U KR20020020656U KR200300847Y1 KR 200300847 Y1 KR200300847 Y1 KR 200300847Y1 KR 20020020656 U KR20020020656 U KR 20020020656U KR 200300847 Y1 KR200300847 Y1 KR 200300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ock
sliding
hou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20-2002-0020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향식 여닫이 도어를 갖는 제품들중 도어를 원하는 위치만큼 열었을 때 도어가 중간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게 하는 힌지를 장착하는 랙힌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향식 여닫이 도어가 장착된 제품에 유용하도록 고안된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상향식 여닫이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도어의 끝부분에는 힌지가 장착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힌지들은 단순 스프링의 힘으로만 누르고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장착했을 때 많은 힘을 인가하게 만들어 연결부분의 마모 및 제품자체의 손상을 가져오기 마련이다.
본 고안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기존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강력한 스프링의 힘에 의한 도어 프레임의 변형을 억제하며 도어의 급격한 위치변화로 말미암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점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힌지 { DOOR HINGE }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대하여 유동부재를 회동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가 채용된 제품들의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며, 도어를 중간에 정지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할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김치냉장고는 주부들이 많이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상향식 여닫이 도어가 채용되어 있는 김치냉장고는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으로 도어를 열고 닫는데 노약자나 주부들로써는 애로점이많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도어를 열고자 할 때는 도어의 무게에 의한 자중을 극복해야하며, 또 상향식 여닫이 도어가 장착된 제품의 경우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가 자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내려오므로 안전사고에 주의하여야한다.
대부분의 냉장고를 사용하는 주부들은 냉기의 유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도어를 중간정도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의 음식을 꺼내거나 넣거나 하기 때문에 도어가 원하는 중간정도 위치에 안정적으로 멈추어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여닫이 도어를 갖는 기기 들에게는 일반적인 단순한 구조의 힌지장치로서는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김치냉장고 뿐만 아니라 상향식 여닫이 도어개폐구조를 갖는 제품의 도어를 열고 닫는데 있어서 원하는 각도만큼 열어놓고 안정적으로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갑자기 열리거나 닫히는 안전사고로부터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일의 효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를 중간 열림 상태로 정지시킬 수가 있어서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일부분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샤프트의 정면도 및 좌,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딩 블록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딩 블록의 입체 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앞과 뒤 커버에 삽입되는 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케이스 역할과 편심블럭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 블록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앞쪽 커버의 정면도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뒤쪽 커버의 정면도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조립한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장착한 도어를 사진 합성하여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우징 블록 2. 힌지 샤프트
5. 커버 고정홀 21. 슬라이딩 블록
23. 스프링 홀 37.프론트 커버 슬립링
38. 리어커버 슬립링 43. 프론트 커버
53. 리어 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양측이 개구된 하우징 블록; 하우징 블록의 양측 개구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관통공이,그리고, 이 관통공의 주변에 다수의 나사공이 각각 형성된 프론트 및 리어커버; 프론트 및 리어 커버의 나사 공을 통하여 하우징 블록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핀; 프론트 및 리어 커버의 관통 공을 통하여 하우징 블럭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샤프트; 하우징 블록의 내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블록; 이 슬라이딩 기어블록 내부에 압축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는 다수의 설치공이 구비되고, 힌지샤프트에 조립된 슬라이딩 블록을 일측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하우징 블록 단면에는 다수의 관통공과 위치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및 리어 커버에는 이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어 하우징에 대한 프론트 커버 및 리어 커버의 위치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일부분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나타낸 샤프트의 정면도 및 좌,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딩 블록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슬라이딩 블록의 입체 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앞과 뒤 커버에 삽입되는 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케이스 역할과 편심블럭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 블록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앞쪽 커버의 정면도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의 뒤쪽 커버의 정면도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조립한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장착한 도어를 사진 합성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하우징 블록(1), 프론트 및 리어 커버(43)(53), 힌지샤프트(2), 슬라이딩블록(21), 프론트커버와 리어커버에 삽입되는 슬립링(37)(38), 슬라이딩블록의 홀(23)에 들어가는 압축코일스프링등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블럭(1)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상을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형상은 자유로운 다각형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하우징 블록(1)은 기기 본체에 고정되며, 양 단면 부에는 다수의 위치 고정공(32)이 형성되고 다수의 커버고정홀(5)이 형성되어 프론트 커버(43)및 리어커버(53)와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 블록의 내면(4)에는 길이방향으로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블록(21)의 한쪽 끝단에 있는 슬라이딩 헤드(22)와 슬라이딩하며 맞물리게 되어 있다.
하우징 블록(1) 내면의 슬라이딩면(4)의 홈(31)의 갯수및 간격은 도어를 완전히 열고 닫을 때 도어의 개폐 단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커버(43)(53)는 도 7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및 리어 커버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프론트 커버(4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몸체의 중앙에는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45)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나사공(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우징 블록(1)의 위치고정공(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론트 및 리어 커버(43)(53)는 그의 위치고정돌기가 상기 하우징 블록(1)의 위치고정공(32)에 끼워져 조립 위치가 결정되며, 이 후 다수의 셋트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관통공(41)과 하우징 블록(1)의 커버고정홀(5)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힌지샤프트(2)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 측에 기기의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 즉 도어콘넥트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어콘넥트홈(15)은 조립시 순조로운 조립을 위하여 양측이 면취되어 있다. 또한 힌지샤프트(2)는 힌지샤프트블록(13)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샤프트(2)와 힌지샤프트블록(13)은 도 1 및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블록(1)의 내부에 설치되며 힌지샤프트(2)는 프론트커버(43)의 관통공(45)과 조립되고, 힌지샤프트블록(13)의 축(11)은 리어 커버(53)의 관통공(51)에 끼워져 설치, 조립된다. 이 때, 도어콘넥트홈(15)은 프론트커버(43)의 관통공(45)을 통해 외부로 돌출 된다.
상기 힌지샤프트블록(13)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의 슬라이딩블록(21)과 조립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코일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블록(21)과 힌지샤프트블록(13)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블록(21)을 일 측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블록(21)은 도어의 개폐 작용에 무관하게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밀어 올려지며슬라이딩블록(21)은 90도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한다. 그러나 도어의 중량에 따른 토크 때문에 하우징 블럭내(1)에 설치된 슬라이딩블록(21)은 적정위치로 슬라이딩되며 도어의 무게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슬라이딩블록(21)이 올라가려는 힘이 대등해지는 힘의 평형지점에서 멈추어 있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블록(21)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도어의 개방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조립된 상태를 보면,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하우징블럭(1)은 기기 본체에 매몰되게 되고, 상기 힌지샤프트(2)의 결합부 ,도어콘넥트홈(15)는 기기의 도어에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블럭(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여기서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블럭(1) 내의 슬라이딩블록(21)의 슬라이딩 면(22)과 하우징블럭 내면(4)는 맞물려 접촉하고 있으며, 이 슬라이딩블록(21)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다.
도 1및 도6 에서 상기와 같은 도어 열림 상태는, 슬라이딩 블록(21)는 하우징 블록(1)의 블록(33)에 의해 더이상 열리지 않게 되어있으며, 스프링은 항상 일정한 힘으로 슬라이딩블록(21)을 밀어 주고 있다. 따라서 도어는 안정적인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닫기 위하여 도어를 회전시키면, 힌지샤프트(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힌지샤프트(2)와 연결된 힌지샤프트블록(13)이 회전을 하게되고, 힌지샤프트블럭(13)에 조립된 슬라이딩블록(21)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일측방향으로의 힘을 유지한 채 회전하게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21)은 하우징블럭(1)내의 슬라아당면(4)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어를 중간에 멈추게 되면 슬라이딩블록(21)는 슬라이딩을 멈추게 되며, 이때 스프링의 탄력 힘에 의해 슬라이딩블록(21)은 맞물려 슬라이딩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완전히 닫힘 상태에서 도어의 최초 중간열림정도가 40도가 되도록 설정하였으나, 이러한 초기 중간 열림 정도는 하우징 블록내면의 위치에 따라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어를 더 열기 위하여 도어를 다시 회전시키면, 힌지샤프트(2)의 힌지샤프트블록(13)은 회전하게 되고, 슬라이딩블록(21)은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 열림과 닫힘 과정에서 도어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도어는 더 열리거나 닫히거나 하지 않고 열린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도어가 최대로 열리면, 슬라이딩 블록(21)는 하우징블럭내의 블록(33)에 막혀 정지하게 되고, 도어가 최대로 닫히면 슬라이딩 블록(21)는 하우징블럭내의 블록(34)에 막히게 되며 도어는 최대 대략95도 정도까지 개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을 바탕으로 하우징블럭 내면의 슬라이딩 면을 설계에 따라서는 도어의 개폐범위가 최대 360도까지도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힌지장치는, 도어의 열고 닫음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이 하우징블럭의 내면과 슬라이딩하게되고,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도어를 열거나 닫는 과정의 도중에서 도어의 작동을 멈추면 슬라이딩블록과 하우징 블록의 슬라이딩 면은 서로 맞물려 있게되고 도어는 그 자리에서 정지되게 된다. 즉, 도어의 개방정도를 적당히 열어 놓은 상태로 편리하게 내부의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김치냉장고 뿐만 아니라 상향식 여닫이 도어를 갖는, 기기의 도어를 쉽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 작동의 원할 성을 도모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및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중간 정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향식 여닫이 도어를 갖는 모든 제품들에 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고정부재로서의 기기 본체에 대하여 유동부재로서의 도어를 회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양측이 개구되고 여러 개의 홈이 형성된 하우징블럭;
    상기 하우징블럭의 양측 개구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하우징블럭과 결합되는 관통공이 있는 프론트 및 리어 커버;
    하우징블럭 내면과 슬라이딩하며 한쪽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둥근표면 및 스프링을 넣기 위해 설치공이 있는 슬라이딩블록;
    하우징블럭 양편에 프론트 커버와 리어커버를 장착하고 하우징블럭 내면과 슬라이딩블록의 슬라이딩 방식을 채택한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블록에 설치공을 만들어 수개의 스프링이 들어가도록 만들어졌으며 그 한쪽 단면에는 슬라이딩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블럭 내부의 면에 홈이 형성하여 만들어졌으며 회전하는 슬라이딩블록의 표면이 블럭하우징의 홈과 슬라이딩방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블록이 장착되고 회전하는 힌지샤프트블록에 다단의 기어가 형성되어, 힌지샤프트가 회전할 때 힌지샤프트블록의 기어가 회전하면서 기어하우징 내부의 슬라이딩기어와 맞물리는, 슬라이딩방식을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2-0020656U 2002-07-10 2002-07-10 도어힌지 KR200300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6U KR200300847Y1 (ko) 2002-07-10 2002-07-10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6U KR200300847Y1 (ko) 2002-07-10 2002-07-10 도어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Y1 true KR200300847Y1 (ko) 2003-01-17

Family

ID=4939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56U KR200300847Y1 (ko) 2002-07-10 2002-07-10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924A (en) Door closer unit
EP3604990B1 (en) Refrigerator
CN116480237A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A2438766A1 (e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WO2007075888A2 (en) Two-stage adjustable door hinge
KR20130089456A (ko)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EA034304B1 (ru)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петля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KR200300847Y1 (ko) 도어힌지
KR200275852Y1 (ko) 도어힌지
KR10063544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KR200340468Y1 (ko) 도어힌지
KR20110139362A (ko) 고정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275106Y1 (ko) 힌지장치
KR200279142Y1 (ko) 도어힌지
KR100972789B1 (ko)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KR100596987B1 (ko) 힌지장치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CN216197375U (zh) 闭门器和冰箱
CN220504827U (zh) 合页组件和门窗结构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KR100534135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0520811B1 (ko) 다중캠 힌지장치
KR100720368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CN108120212B (zh) 用于冷藏冷冻装置的把手组件及冷藏冷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