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742A -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742A
KR20030084742A KR10-2003-0026203A KR20030026203A KR20030084742A KR 20030084742 A KR20030084742 A KR 20030084742A KR 20030026203 A KR20030026203 A KR 20030026203A KR 20030084742 A KR20030084742 A KR 20030084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ixture
recovering
particles
coag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84614B1 (en
Inventor
겐이찌 우라베
겐이찌 다까쯔구
Original Assignee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7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6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22Coa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ABS 수지 등을 포함하는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미분 입자가 적고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회수 방법은 스태틱 믹서 등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絲狀)으로 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실형 혼합물을 50 ℃ 이상의 열수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고화 및 분단하는 응고 공정과,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한다. 회수된 중합체 입자는 입경 0.5 내지 4 mm의 입자가 전체에 대하여 70 내지 95 질량%인 입경 분포를 갖는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nd a constant particle diameter from a polymer latex containing an ABS resin or the like.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lding step of forming a mixture of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obtained by a static mixer or the like into a solid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nd adding and stirring the solid mixture to hot water of 50 ° C. or higher. A solidification step of solidifying and dividing, and a separation step of filtering and separating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which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5 to 4 mm are 70 to 95 mass% with respect to the whole.

Description

중합체의 회수 방법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Recovery Method for Polymers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본 발명은 유화 중합 등으로 얻어지는 ABS 수지 등을 포함하는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중합체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미분 입자가 적고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from a polymer latex containing an ABS resin or the like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nd a constant particle size.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중합체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체 라텍스에 응고제를 첨가하여 응고시킨 후, 탈수ㆍ건조시켜 분말형의 중합체를 얻는 방법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중합체 라텍스의 응고는 소정 온도 (원하는 입경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온도)의 열수를 채운 응고조에 중합체 라텍스와 응고제 수용액을 공급하고, 그 응고조 내에서 교반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미분 입자가 많이 생성되고 회수되는 중합체 입자의 입경 분포가 커지기 때문에, (1) 응고 공정 후의 탈수 공정에서의 탈수성이 나쁘고, (2) 분리ㆍ건조 공정에서 미분 입자가 폐색을 일으켜 생산성이 저하되고, (3) 미분 입자의 누설이나 비산에 의한 손실이 크고, (4) 부피 비중이 작아져 큰 저장 용적이 필요하고, (5) 분진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등이 필요하고, (6) 압출기 등의 혼련기에 투입할 때 미분 입자가 비산하고, 또한 압출기의 내부에서 편석이 생겨 혼합성이 나빠져 성형 불량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As a method of recovering a polymer from the polymer latex, a method of obtaining a powdery polymer by dehydration and drying after coagulation by adding a coagulant to the polymer latex has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In this conventional method, solidification of the polymer latex is performed by supplying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aqueous solution to a coagulation bath filled with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predetermined temperature determined by the desired particle diameter) and stirring in the coagulation bath. 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fine particles are generated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is increased, (1) dehydration is poor in the dehydration step after the coagulation step, and (2) the fine particles are blocked in the separation and drying step. Productivity is reduced, (3) the loss by the leakage and scattering of fine particles is large, (4) the volume specific gravity becomes small, a large storage volume is needed, (5) the facilities for preventing dust explosion, etc. are needed, (6) When entering into a kneading machine such as an extruder, fine particles are scattered, and segregation occurs inside the extruder, resulting in poor mixing properties, resulting in poor molding.

본 발명은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미분 입자가 적고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ver polymer particle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and a constant particle diameter from a polymer latex.

본 발명자들은 중합체 라텍스와 응고제 수용액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소정의The inventors have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btained by mixing a polymer latex and an aqueous coagulant solution

농도 범위의 크림상 혼합물을 소정의 직경을 갖는 실형으로 하고, 이 실형의 크림상 혼합물을 열수 중에서 교반함으로써 분단 및 고화시킴으로써 미분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은 중합체 입자를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It has been found that a polymer mixture containing almost no fine particles can be recovered by making a creamy mixture in a concentration range into a yar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separating and solidifying the creamy mixture of the yarn by stirring in hot water.

도 1은 중합체 회수 장치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polymer recovery apparatus.

도 2는 스태틱 믹서의 믹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mixer unit of a static mixer.

도 3은 다른 중합체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nother polymer recovery apparatus.

도 4는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중합체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ymer recovery device used in Example 1.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혼합기10 mixer

11 다이11 die

12 격벽12 bulkhead

20 응고조20 coagulation tank

21 회전축21 axis of rotation

22 교반 날개22 stirring wings

30 습식 분쇄기30 wet grinder

40 탈수기40 dehydrator

50 건조기50 dryers

100 실형 혼합물100 solid mixture

본 발명은 이하에 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elow.

1.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1.A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particles from polymer latex,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으로 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실형 혼합물을 열수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고화 및 분단하는 응고 공정과,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의 회수 방법.A molding step of mixing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into a solid shap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 solidification step of solidifying and dividing the solid mixture into hot water and stirring, and a separation step of filtering and separating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A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2.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고형분 농도는 15 내지 40 질량%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2.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is 15 to 40 mass%.

3.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온도는 회수 대상의 중합체의 비컷트 (Vicat) 연화 온도를 Tm이라 할 때, (Tm-60) ℃ 이상이고, 또한 (Tm-10) ℃ 이하의 범위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3. The method of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is (Tm-60) ° C or higher and (Tm-10) ° C or lower when the Vicat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polymer to be recovered is Tm. Recovery method of the polymer in the range.

4.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의 사용량은 상기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질량부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4. The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amount of the coagulant used is 1 to 1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5.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스태틱 믹서에 의해 얻어진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5. The method of recovering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mixture is obtained by a static mixer.

6.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단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이상의 다수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얻어진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6. The method of recovering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mixture is obtained by a single screw extruder or a twin screw or more multi screw extruder.

7.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수의 온도는 (Tm-30) ℃ 이상이고, 또한 (Tm+30) ℃ 이하의 범위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7. The method for recovering the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at least (Tm-30) ° C and is at most (Tm + 30) ° C.

8. 제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형 혼합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열수에 투입하는 중합체의 회수 방법.8. The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solid mixture is cut into predetermined lengths and then charged into hot water.

9. 제1의 방법에 있어서, 회수된 중합체 입자는 입경 0.5 내지 4 mm의 입자가 전체에 대하여 70 내지 95 질량%인 입경 분포를 갖는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9. The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wherein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which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5 to 4 mm are 70 to 95 mass% with respect to the w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으로 하고, 이것을 열수에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거의 균일한 길이로 분단되고, 또한 고화하기 때문에 미분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얻을 수 있고, 회수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ture of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is made into a solid shap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nd this is divided into almost uniform lengths by adding the mixture to hot water and stirring, so that the particle size contains little fine particles because it solidifies. Constant polymer particles can be obtained and can be recovered.

상기 혼합물의 고형분 농도가 15 내지 40 질량%인 경우에는 실형 혼합물이 열수에 투입되었을 때, 형 변형을 일으키는 일 없이, 응고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Whe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said mixture is 15-40 mass%, when a solid mixture is thrown into hot water, a solidification process can be advanced, without causing mold deformation.

또한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Tm-60) ℃ 이상이고, 또한 (Tm-10) ℃ 이하의 범위인 경우에는 혼합물이 적절한 점성을 갖기 때문에 실형 혼합물이 열수에 투입되었을 때, 형 변형을 일으키는 일 없이, 응고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is above (Tm-60) ° C and below the range of (Tm-10) ° C, since the mixture has an appropriate viscosity, it does not cause mold deformation when the solid mixture is added to hot water. The coagulation process can be advanced.

상기 응고제의 사용량이, 상기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질량부인 경우에는 중합체 라텍스의 응고를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When the usage-amount of the said coagulant is 1-1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said polymers, solidification of a polymer latex can be advanced efficiently.

상기 혼합물을 스태틱 믹서에 의해 얻은 경우에는 양호한 혼합 상태인 혼합물을 얻을 수 있고 후속 공정에 있어서, 그 고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When the mixture is obtained by a static mixer, a mixture in a good mixed state can be obtained, and the solidific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 subsequent step.

또한 상기 혼합물을 단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이상의 다수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얻은 경우에는, 양호한 혼합 상태에 있는 혼합물을 얻을 수 있고, 후속 공정에 있어서, 그 고화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said mixture is obtained by a single screw extruder or a biaxial or more multi-screw screw extruder, the mixture in a favorable mixing state can be obtained, and the solidific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a subsequent process.

상기 열수의 온도가 (Tm-30) ℃ 이상이고 또한 (Tm+30) ℃ 이하의 범위인 경우에는 중합체 라텍스의 응고를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Tm-30) ° C or more and (Tm + 30) ° C or less, solidification of the polymer latex can be efficiently proceeded.

상기 실형 혼합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열수에 투입한 경우에는 입경이 보다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solid mixture i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introduced into hot water, polymer particles having a more uniform particle siz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분리 공정에 있어서의 탈수 작업에서의 탈수성을 개선하고, 폐색을 방지하고, 중합체의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회수한 중합체 입자의 부피 비중을 크게함으로써 저장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진 폭발 방지를 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압출기 등의 성형기로의 투입시에 미분 입자가 비산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성형기에서의 미분 입자의 편석에 기인하는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dehydration property in the dehydration operation | work in a separation process can be improved, a blockage can be prevented, and the loss of a polym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storage volume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olding defects due to segregation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molding machine since no equipment for preventing dust explosion is required and fine particles are not scattered during injection into a molding machine such as an extruder.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으로 하는 성형 공정과,상기 실형 혼합물을 열수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고화 및 분단하는 응고 공정과,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particles from a polymer latex, comprising a molding step of mixing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into a solid shap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nd a solidification step of solidifying and dividing the solid mixture into hot water and stirring the mixture. And a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by filt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중합체는 (i)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α-메틸스티렌 수지 (내열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N-페닐말레이미드 수지 (내열 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ㆍ프로필렌ㆍ디엔-스티렌 수지 (AES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MBS 수지), 하이임팩트 폴리스티렌 수지 (HIP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AAS 수지) 등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수지형 중합체, (ii)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BR), 아크릴 고무 등의 고무형 중합체, (iii)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MS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경질 수지형 중합체 등이다.In addition, polymers applic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α-methylstyrene resin (heat resistant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N-phenyl Maleimide resin (heat resistant ABS resin), acrylonitrile-ethylene-propylene-diene-styrene resin (AES resin),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resin (MBS resin), high-impact polystyrene resin (HIPS resin), Resins such as graft copolymers such as acrylonitrile-acrylate-styrene resin (AAS resin), (ii)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BR), and rubber such as acrylic rubber Hard polymers such as a type polymer, (iii) acrylic resin, polystyrene, styrene-methyl methacrylate (MS resin), and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AS resin).

상기 중합체 라텍스는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지고, 통상 고형분 농도는 20 내지 50 질량%이다. 한편 상기 응고제로서는 종래부터 중합체 라텍스의 응고에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이들 산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칼슘,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등의 무기염,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알루미늄 등의 유기염을 들 수 있다. 이 금속염은 고체 상태대로 사용할 수 있고, 물 등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응고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aid polymer latex is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solid content concentration is 20-50 mass% normally. On the other hand, as said coagulant, what is conventionally used for coagulation of a polymer latex, For exampl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a sulfuric acid, nitric acid,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acid, formic acid, a citric acid, and metal salt of these acids are mentioned. As this metal salt, inorganic salts, such as calcium chloride, aluminum chloride, aluminum sulfate, magnesium sulfate, organic salts, such as calcium acetate and aluminum acetate, are mentioned, for example. This metal salt can be used as it is, and can also be used after melt | dissolving in water etc. The said coagulan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상기 응고제의 첨가량은 중합체 라텍스의 고형분 농도와, 중합체의 응석치를 고려하고,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질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응고제의 첨가량이 1 질량부보다 적으면 중합체 라텍스를 충분히 응고시킬 수 없다. 한편 10 질량부를 초과하면 응고제의 필요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낭비가 생긴다. 여기서 상기 「응석치」란 소정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중합체 라텍스와 상이한 고형분 농도를 갖는 응고제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침전 생성이 확인된 경우의, 침전이 생기는 최저 농도 (혼합 후의 농도)를 말한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coagulant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1 to 5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in consideration of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tion value of the polymer. If the amount of the coagulant added is less than 1 part by mass, the polymer latex cannot be sufficiently solidified.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mass, waste is generated because the required amount of the coagulant is exceeded. Here, the "coagulation value" is a polymer latex having a predetermined solid content concentration and a coagulant having a different solid content concentration,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inimum concentration (concentration after mixing) at which precipitation occurs when precipitation formation is confirmed. Say.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를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를 따로 따로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법, 중합체 라텍스에 응고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법, 응고제에 중합체 라텍스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방법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크림상으로 할 수 있다. 혼합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온도는 회수 대상의 중합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합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를 Tm ℃로 하였을 때, 혼합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60) ℃ 내지 (Tm-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Tm-55) ℃ 내지 (Tm-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Tm-50) ℃ 내지 (Tm-20) ℃의 범위이다. 이 온도가 (Tm-60) ℃ 보다 낮으면 응고 공정에 의해서 응고조에서 미립자로서 분산하고, 회수되는 중합체 입자의 중에는 미분 입자가 많아지고, 입경 분포가 커진다. 한편 (Tm-10) ℃ 보다 높으면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 혼합물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온도로 하기 위해서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를 미리 가온시킬 수 있고, 혼합기를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얻어지는 혼합물도 상기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mixing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ethod of mixing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separately by mixing them in a mixer, the method of adding the coagulant to the polymer latex and mixing the method, and the method of adding the polymer latex to the coagulant and mixing them, etc. Can be mentioned. By these methods, it can become a creamy form preferably. Although mixing conditions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select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e non-cut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polymer to be recovered. When the non-cut softening temperature of this polymer is set at Tm ° C,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ixing is preferably (Tm-60) ° C to (Tm-10) ° C, more preferably (Tm-55) ° C to (Tm- 15) ° C, more preferably (Tm-50) ° C to (Tm-20) ° C. When this temperature is lower than (Tm-60) C, it disperse | distributes as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in a coagulation | solidification tank by a coagulation | solidification process, and among the polymer particle collect | recovered, a lot of fine particles are mad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becomes larg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higher than (Tm-10) ° C, the viscosity of the mixture tends to be high, so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solid mixtur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Moreover, in order to make it the said temperature,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can be pre-warmed and a mixer can also be heat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also maintain the obtained mixture at the said temperature.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를 혼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혼합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태틱 믹서, 단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이상의 다수축 스크류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로서는 스태틱 믹서, 단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이상의 다수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혼합기는 종 배치 또는 횡 배치일 수 있다. 혼합기를 종 배치로 한 경우에는 혼합기의 출구측 (하단측)의 하측 위치에 응고조를 설치함으로써 혼합기로부터 압출되는 혼합물을, 그대로 응고조에 투입할 수 있다. 혼합기를 횡 배치한 경우에는 그 혼합물을 응고조로 유도하기 위한 설비가 별도로 필요하다. 혼합기로서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 경우는 혼합 성능 및 압출 안정성의 견지로부터, 맞물림형의 2축 스크류 압출기가 바람직하다.The mixer used for mixing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tatic mixer, a single screw extruder, a two or more multiaxial screw extruder, and the like.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atic mixer, a single screw extruder, or two or more multiaxial screw extruders as said mixer. These mixers may be in longitudinal or transverse arrangement. In the case where the mixer is arranged vertically, the mixture extruded from the mixer can be directly put into the coagulation bath by providing a coagulation bath at a position below the outlet side (lower end) of the mixer. In the case of the transverse arrangement of the mixer, a facility for guiding the mixture into the coagulation bath is required separately. In the case of using a screw extruder as the mixer, an interlocking twin screw extruder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mixing performance and extrusion stability.

여기에서, 상기 혼합기의 한 예인 스태틱 믹서는, 다수의 믹서 유닛을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된다.Here, the static mixer, which is an example of the mixe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ixer units in series.

각 믹서 유닛의 통 단부면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이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형태, 다각 형태 등일 수 있다. 통 내에 펌프 등으로 압입되는 중합체 라텍스와 응고제를 혼합하면서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통 내의 격벽이 통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비틀어질 필요가 있다. 그 비틀림 각도, 즉 믹서 유닛의 통의 일단부면에서 타단부면으로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격벽이 회전하는 각도는 예를 들면 90 도, 180 도 등이지만 이들 이외의 각도일 수도 있다. 또한 전단의 믹서 유닛의 출구측의 격벽의 단부면과, 그 다음 단의 믹서 유닛의 입구측의 격벽의 단부면이 교차하도록 연결된다.The cylindrical end face shape of each mixer unit is circular, for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an elliptical form, a polygonal shape, etc. In order to move the resulting mixture while mixing the polymer latex and coagulant press-fitted into the barrel by a pump or the like, the partition walls in the barrel need to be twisted as they face the barrel direction. The torsion angle, that is, the angle at which the partition wall rotates from one end face to the other end face of the cylinder of the mixer unit, for example, is 90 degrees, 180 degrees, or the like, but may be an angle other than these. Further, the end face of the partition wall on the outlet side of the mixer unit at the front end and the end face of the partition wall on the inlet side of the mixer unit at the next stage are connected so as to intersect.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내지 35 질량%의 범위이다. 상기 혼합물의 고형분 농도가 15 질량%보다 적으면 크림상이 아닌 슬러리상이 되어 실형 혼합물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고, 회수되는 중합체 입자 중에는 미분 입자가 많아져 입경 분포가 커진다. 한편, 40 질량%를 초과하면 혼합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 혼합물을 얻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which consists of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5-40 mass, More preferably, it is 20-40 mass%, More preferably, it is the range of 25-35 mass%. If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is less than 15% by mass, it becomes a slurry, not a cream,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olid mixture, and the polymer particles to be recovered have a large amount of fine particles and a lar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40 mass%, since the viscosity of a mixture tends to become high,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the solid mixture of diameter 0.5-15 mm.

상기 혼합기 중의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로 이루어지는 크림상 혼합물은 혼합기의 출구측에 구비된 통상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멍으로부터 압출되고, 직경 0.5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의 실형 혼합물이 된다 (성형 공정). 또한 이 「직경」이란 외부 직경의 최대 길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The creamy mixture of the polymer latex and coagulant in the mixer is extruded from a generally circular or elliptical hole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mixer, and has a diameter of 0.5 to 15 mm, preferably 0.5 to 10 mm, more preferably 1 To a 5 mm solid mixture (molding process). In addition, this "diameter" is a broad meaning including the maximum length of an outer diameter.

이 실형 혼합물은, 연속되는 것일 수 있지만 압출된 시점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이다. 절단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절단기를 사용하는 방법, 유체 커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실형 혼합물이 압출된 시점에 있어서의 그 온도는 상기에서 설명한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시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solid mixture may be continuous but may b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time of extrusion. In the case of cutt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length is preferably 1 to 10 mm, more preferably 1 to 5 mm. The cut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re are a method of using a cutter, a method of using a fluid cutter, and the like.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extrusion of the solid mixture into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ixing of the polymer latex and coagulant demonstrated above.

그 후, 상기 실형 혼합물은 응고조 내의 열수 (가온된 물)에 투입되어 교반된다 (응고 공정). 이 실형 혼합물은 대기에 접촉될 수 있고 열수 중에 투입될 수 있고 열수 중에 압출되어 투입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olid mixture is introduced into hot water (warmed water) in a coagulation bath and stirred (coagulation step). This solid mixtur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and can be introduced in hot water and extruded in hot water.

상기 열수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30) ℃ 내지 (Tm+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Tm-20) ℃ 내지 (Tm+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Tm-10) ℃ 내지 (Tm+10) ℃이다. 이 온도가 (Tm-30) ℃ 보다 낮으면 실형 혼합물이 투입된 그 상태로 고화되지 않고, 응고조 중에서 미립자로서 분산하여, 회수되는 중합체 입자 중에는 미분 입자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온도가 동일 또는 다른 열수의 응고조를 다수단으로 직렬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후단의 응고조 만큼 열수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실형 혼합물의 고화가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미분 입자가 한층 더 적고, 또한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얻게 된다.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preferably (Tm-30) ° C to (Tm + 30) ° C, more preferably (Tm-20) ° C to (Tm + 20) ° C, still more preferably (Tm-10) ° C to (Tm + 10) ° C. When this temperature is lower than (Tm-30) ° C, the solid mixture is not solidified in the state in which it is introduced, and is dispersed as fine particles in a coagulation bath, and tends to increase the number of fine particles in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In addition, coagulation bath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temperature can be installed in series in multiple stage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be increased by the coagulation bath at the rear stage. Thereby, since solidification of a solid mixture advances gradually, the polymer particle which is smaller in fine-grained particle | grains and has a constant particle diameter is obtained.

또한 상기 열수는, 응고제 또는 응고 조제를 포함하는 열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t water may be hot water including a coagulant or a coagulation aid.

상기 실형 혼합물은, 열수에 투입되면서 동시에 고화 (응고)하여, 또한 교반되면 바로 분단되어 단실형 또는 입상이 된다. 교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교반에 사용하는 교반 날개로서는 상기 실형 혼합물을 열수 중에서 효율적으로 단실형 또는 입상으로 분단할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패들 날개, 파우드라 날개, 터빈 날개, 블마진 날개, 맥스 블랜드 날개, 풀존 날개 등의 교반 날개를 사용할 수 있다.The solid mixture is solidified (coagulated) at the same time as it is introduced into hot water, and is further divided immediately when stirred to form a single thread or granular form. Stirring conditions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Moreover, as a stirring blade used for stirring, it can be what can divide | disconnect the said solid-form mixture into single-bed form or a granular form in hot water efficiently, an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stirring blades, such as a paddle wing, a padra wing, a turbine wing, a bland margin wing, a max blend wing, and a full zone wing, can be used.

상기 응고 공정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입자는 필터 등을 사용하여, 여과 분리된 (분리 공정) 후, 탈수, 건조되어 회수된다. 또한 여과 분리 및 탈수가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The polymer particles obtained by the coagulation step are separated by filtration (separation step) using a filter or the like, then dehydrated and dried to be recovered. In addition, filtration separation and dehydration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여과 분리 수단으로서는 밸트 필터, 진공 밸트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탈수 수단으로서는 원심 탈수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건조 수단으로서는 기류 건조기, 유동 건조기, 로터리 드라이어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온도 (기류 온도를 말한다.)는 통상 (Tm-50) ℃ 내지 Tm ℃, 바람직하게는 (Tm-40) ℃ 내지 (Tm-1O) ℃이다. 중합체가 ABS계 수지인 경우,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이다.As a filtration separation means, a belt filter, a vacuum belt filter, etc. are mentioned. Centrifugal dehydrator etc. are mentioned as dehydration means. Moreover, an airflow dryer, a fluid dryer, a rotary dryer, etc. are mentioned as drying means. The drying temperature (refers to the airflow temperature) is usually (Tm-50) ° C to Tm ° C, preferably (Tm-40) ° C to (Tm-1O) ° C. When the polymer is an ABS resin,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to 100 ° C, more preferably 70 to 95 ° C.

본 발명에 의하면 회수된 중합체 입자는 입경 0.5 mm 이하의 입자가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의 입경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경 0.5 mm를 초과하는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경 0.5 내지 4 mm의 범위에 있는 입자는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2 질량%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경 0.1 mm 이하의 입자는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인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may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mm or less, preferably 2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hole. have. Moreover, the particle | grains exceeding 0.5 mm of particle diameters are preferably 8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85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it can be set as 90 mass% or more. Moreover, the particle | grains in the range of 0.5-4 mm of particle diameters are 70-95 mass% with respect to the whole, Preferably it is 75-95 mass%, More preferably, it can be set as 80-92 mass%.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1 mm or less are preferably 1%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hole.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

도 1은 중합체 회수 장치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회수장치는 5단의 믹서 유닛을 연결한 스태틱 믹서를 연직 방향으로 설치한 혼합기 (10)과, 열수가 들어간 응고조 (제1의 응고조) (20)을 구비한다. 또한 제1의 응고조 (20)의 후단에는 습식 분쇄기 (30), 제2의 응고조 (20a) 등을 구비하고, 탈수기 (40), 건조기 (50) 등을 이 순으로 구비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polymer recovery apparatus. This recovery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mixer 10 which installed the static mixer which connected five stage mixer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agulation tank (1st coagulation tank) 20 in which hot water was entered. In addition, a wet mill 30, a second solidification tank 20a,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olidification tank 20, and the dehydrator 40, the dryer 50,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 this order.

습식 분쇄기 (30) 및 제2의 응고조 (20a) (도 1에 있어서, (21a)는 교반 날개의 회전축을, (22a)는 교반 날개를 나타낸다)는 생략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더욱 증설할 수도 있다. 즉, 혼합기 (10)으로부터 압출되어 형성되는 실형 혼합물 (100)을 원하는 크기로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제1의 응고조 (20)에서 충분히 분단하고, 이것을 고화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습식 분쇄기 (30) 및(또는) 제2의 응고조 (20a)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형 혼합물의 고화를 서서히 진행시킴에 따라 미분 입자를 충분히 저감하여 중합체 입자의 크기를 균일하고 일정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습식 분쇄기 (30) 및(또는) 제2의 응고조 (20a)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The wet grinder 30 and the 2nd coagulation tank 20a (in FIG. 1, 21a shows the rotating shaft of a stirring blade, 22a shows a stirring blade) may be omitted, and it can further expand as needed. It may be. That is, when the solid mixture 100 extruded from the mixer 10 is uniformly divided in the first coagulation tank 20 in order to make it constant to a desired size, and this can be solidified, the wet grinder 30 and (Or) The second coagulation bath 20a can be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solid mixture is gradually solidified, a fine grinder 30 and / or a second coagulation tank 20a are installed in order to sufficiently reduce the fine particles to uniformly and uniformly size the polymer particles. If necessary, it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스태틱 믹서는 도 1에 있어서는 믹서 유닛을 5단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체 라텍스와 응고제를 충분히 혼합할 수 있는 것이면 4단 이하일 수도, 6단 이상일 수도 있다.The static mixer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mixer unit in five stages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fully mix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four or less stages may be sufficient and six or more stages may be sufficient as it.

또한 스태틱 믹서 구성하는 각 믹서 유닛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단부면 원형의 통형을 이루고, 통 내에는 이 통 내를 통과하는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2개로 분류하여 나선형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하는 1매의 격벽 (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격벽 (12)는 통 내를 통과하는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나선형으로 진행시켜 얻도록 통 방향을 향하여 비틀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비틀림 각도, 즉 통의 일단부면 (입구측의 단부면)으로부터 타단부면 (출구측의 단부면)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격벽 (12)가 비틀어지는 각도는 도 2의 예로서는 180 도이다. 즉, 입구측의 단부면으로부터 출구측의 단부면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반회전하도록 비틀려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 각도는 180 도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90 도, 270 도, 360 도 등일 수 있고, 이들 이외의 각도일 수 있다. 격벽 (12)이 서서히 비틀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 2(X)에 입구측에서의 격벽의 단부면 (12i)를, 도 2(Y)에 통 중앙부에서의 격벽의 절단 단부면 (12c)를, 도 2(Z)에 출구측에서의 격벽의 단부면 (12o)를 각각 나타낸다.In addition, each mixer unit constituting the static mixer has a cylindrical shape of an end face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2, and guides the spiral mixture by dividing the mixture of polymer latex and coagul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into two cylinders. One partition 12 is provided. The partition wall 12 is provided to be twisted in the direction of the cylinder to obtain a mixture of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passing through the cylinder in a spiral manner, and its twist angle, that is, one end face of the cylinder (end face on the inlet side) The angle at which the partition wall 12 is twisted from to the other end surface (end surface on the exit side) is 180 degrees in the example of FIG. 2. That is, it is twisted so that half rotation may be carried out from the end surface of an entrance side to the end surface of an exit side. This twist angle is not limited to 180 degrees, and may be, for example, 90 degrees, 270 degrees, 360 degrees, or the like. In order to show the state which the partition 12 is twisted gradually, the end surface 12i of the partition at the entrance side is shown to FIG. 2 (X), and the cut end surface 12c of the partition at the center part of the cylinder is shown to FIG. 2 (Y). 2 (Z) shows the end face 12o of the partition wall at the outlet side, respectively.

각 믹서 유닛은 전단측과 그 후단측에서 격벽 (12)가 교차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전단의 믹서 유닛의 출구측의 격벽 단부면과, 그 후단의 믹서 유닛의 입구측의 격벽 단부면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 관계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단측의 믹서 유닛 내를 2개의 분류로서 통과한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은 후단측의 믹서 유닛으로 유입할 때 또한 2개로 분류되고, 그 결과 그 시점에서는 4개로 분류된다. 이하 믹서 유닛의 단수를 거침에 따라 분류수가 증가하여 충분히 혼합되게 된다.Each mixer unit is connected so that the partition 12 may cross | intersect at the front end side and the back end side.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wall end face on the outlet side of the mixer unit at the front end and the partition wall end face on the inlet side of the mixer unit at the rear end are connected so as to have a positional relationship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mixture of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which passed through the mixer unit on the front side as two fractions is also classified into two when it enters the mixer unit on the rear side, and as a result, it is classified into four at that time. As the number of stages of the mixer unit goes through, the number of fractions increases and is sufficiently mixed.

또한 도 2의 예로서 각 믹서 유닛의 격벽 (12)는 곡면 형상을 이루는 1매의 판형 부재이고, 이 때문에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2개로 분류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지만 반드시 1매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중합체 라텍스와 응고제 수용액의 혼합물을 3개로 분류하는 작용을 갖는 형상을 이루는 부재 (통축으로 직교하는 절단 단부면이 통축으로부터 같은 각도로 3개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4 이상으로 분류하는 작용을 갖는 형상의 부재 (통축으로 직교하는 절단 단부면이 통축으로부터 같은 각도로 4개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FIG. 2, the partition wall 12 of each mixer unit is a single plate-shaped member having a curved shape, and therefore has a function of classifying a mixture of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into two, but it is not necessarily one sheet. For example, a member having a shape having a function of classifying a mixture of a polymer latex and an aqueous solution of a coagulant into three parts (a member having a radially orthogonal cutting end surface extending radially in three directions at the same angle from the cylindrical axis). It may be. It may also be a member of a shape having an action of dividing into four or more (a member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ut end surface orthogonal to the cylindrical axis extends radially in four directions at the same angle from the cylindrical axis).

또한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온도를, 상기의 바람직한 온도 범위로 하기 위해서 스태틱 믹서에 가열원을 구비할 수 있다.Moreover, in order to make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which consists of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into said preferable temperature range, a static heat source can be provided in a static mixer.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은 혼합기 (10)의 하단의 다이 (11)의 다수의 구멍 (각각 내부 직경이 0.5 내지 15 mm 정도의 구멍)으로부터 실형으로 압출된다.The mixtur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s extruded in a solid form from a plurality of holes (each having a diameter of about 0.5 to 15 mm in diameter) of the die 11 at the bottom of the mixer 10.

실형 혼합물 (100)이 투입되는 응고조 (20)에는 열수가 들어 있다. 이 열수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m-30)℃ 내지 (Tm+30)℃이다. 이 열수 중에는 미리 응고제나 응고 조제를 넣을 수 있다. 응고조는 도 1과 같이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고 그 경우는 제1의 응고조 (20)의 열수의 온도를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후단으로 갈수록 높게 설정함으로써 실형 혼합물 (100)의 고화를 서서히 진행시킬 수 있고 미분 입자가 더욱 적고, 입경 분포가 작은 중합체 입자를 회수할 수 있다.Hot water is contained in the coagulation tank 20 into which the solid mixture 100 is introduced. The temperature of this hot water is preferably (Tm-30) 占 폚 to (Tm + 30) 占 폚. In this hot water, a coagulant or a coagulation aid can be added in advance. The coagulation bath can be installed in two or more stages as shown in FIG. 1, in which cas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of the first coagulation bath 20 is set relatively low, and the coagulation bath is gradually set higher so as to gradually solidify the solid mixture 100. It is possible to advance the polymer particles with less finely divided particles and have a small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응고조 (2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원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회전축 (21)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회전되는 교반 날개 (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반 날개 (22)의 회전에 의해 혼합기 (10)으로부터 응고조 (20)으로 들어가는 열수 중에 투입되는 실형 혼합물은 분단되어 단실형 또는 입상이 된다.Although not shown, the coagulation tank 20 is provided with the stirring blade 22 which rotates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from a drive source (motor) through the rotating shaft 21. As shown in FIG.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22, the solid mixture introduced into the coagulation bath 20 from the mixer 10 into the coagulation bath 20 is divided into a single threaded or granular form.

응고조 (20)의 후단측의 습식 분쇄기 (30)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종래부터 공지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층 더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수기 (40) 및 건조기 (50)도 마찬가지로 종래부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종래부터 공지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층 더한 설명은 생략한다.As the wet mill 30 of the rear end side of the coagulation tank 20,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can be used and since it demonstrates a conventionally well-known function, further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imilarly, the dehydrator 40 and the dryer 50 can also use a conventionally well-known thing, and since it exhibits a conventionally well-known function, further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은 도 1과는 다른 중합체 회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회수 장치에서는 혼합기 (1Oa)로서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밖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표시하고 설명은 생략한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different from FIG. In this recovery apparatus, a screw extruder is used as the mixer 10a.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Fig. 1,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description thereof.

도 3의 중합체 회수 장치에서 사용하는 스크류 압출기는 1축이지만 이것은 예시이며, 2축 이상의 다수축의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할 경우는 혼합 성능 및 압출 안정성의 견지로부터 맞물림형이 바람직하다.The screw extruder used in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of FIG. 3 is a single screw, but this is an example, and a screw extruder of two or more axes can be used. When using a twin screw extruder, the interlocking type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mixing performance and extrusion stabilit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 및 %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Hereinafter, an Example is given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In addition, in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a part and% are a basis of weight unless there is particular notice.

<실시예 1><Example 1>

비컷트 연화 온도가 90 ℃의 ABS 수지를 포함하는 라텍스 (고형분 농도 35 %)와, 응고제인 황산마그네슘 수용액 (고형분 농도 10 %)를 이용하여, 도 4에 표시하는 구성의 중합체 회수 장치에 의해, ABS 수지 입자를 회수하였다. 즉, 혼합기로서 스태틱 믹서를 이용한 중합체 회수 장치에 의해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였다.By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using the latex (solid content concentration 35%) containing ABS resin of 90 degreeC of non-cut softening temperature, and magnesium sulfate aqueous solut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10%) which is a coagulant, ABS resin particles were recovered. That is, polymer particles were recovered by a polymer recovery device using a static mixer as a mixer.

또한 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중합체 회수 장치는 엄밀하게는 도 4에 나타내는 중합체 회수 장치와 다음 점에서 다르다. 즉, 믹서 유닛이 4단이라는 점이다. 또한, 혼합기 (10)으로서의 스태틱 믹서의 내부 직경은 8 mm이고, 스태틱 믹서의 출구측에 설치한 다이 (11)의 구멍의 갯수는 3개, 각 구멍의 직경은 각각 6 mm이다.In addition,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used in this Example 1 differs from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shown in FIG. 4 in the following points. In other words, the mixer unit has four stages. Moreover,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static mixer as the mixer 10 is 8 mm, the number of the holes of the die 11 provided in the exit side of the static mixer is three, and the diameter of each hole is 6 mm, respectively.

처음에, 상기 라텍스 및 상기 응고제를 각각 30 리터/시간 및 2.1 리터/시간 (라텍스에 포함되는 중합체 100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2부에 상당하는 사용량)의 속도로 스태틱 믹서에 투입하고, 50 ℃에서 혼합하였다.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스태틱 믹서의 출구측에 설치한 다이로부터 실형 혼합물 (고형분 농도는 33.4%, 온도는 50 ℃이었다.)로서 압출하고 교반 날개를 구비한 응고조 (20) 내의 열수 (온도 90 ℃) 중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이 응고조 (20) 중에서 회전수 120 rpm으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평균 체류 시간을 0.5 시간으로 하였다. 이 교반에 의해 실형 혼합물이 분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여, 80 ℃에서 건조시켜 회수하고, 중합체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Initially, the latex and the coagulant were introduced into the static mixer at a rate of 30 liters / hour and 2.1 liters / hour, respectively (usage amount of 2 parts of magnesium sulfate relative to 100 parts of the polymer included in the latex) and at 50 ° C. Mixed. Thereafter, the obtained mixture was extruded from the die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tatic mixer as a solid mixtur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33.4%, temperature was 50 ° C) and hot water in the coagulation bath 20 with stirring blades (temperature 90 In)). Subsequently, the stirring blade was rotated at the rotation speed of 120 rpm in this coagulation tank 20, and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made into 0.5 hou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l mixture was parted by this stirring. Thereafter,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were separated by filtration, dried at 80 ° C. for recovery,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라텍스와 응고제를 사용하고,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중합체 회수 장치에 의해, ABS 수지 입자를 회수하였다. 즉, 혼합기 (10a)로서, 종 배치형의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한 중합체 회수 장치에 의해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였다.ABS resin particle | grains were collect | recovered by the polyme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using the latex and coagulant in the said Example 1. That is, the polymer particle was collect | recovered by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which used the longitudinally arranged twin screw extruder as the mixer 10a.

또한 이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중합체 회수 장치는 엄밀하게는 도 3에 나타낸 중합체 회수 장치와 다음 두점에서 상이하다. 즉, (1) 제2의 응고조 (20a)가 없고, (2) 스크류 압출기가 맞물림형의 2축이라는 점이다. 또한 스크류 압출기의 스크류 직경은 251 mm, 스크류의 L/D는 4 (L은 10 cm),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측에 설치한 다이 (11)의 구멍의 갯수는 50 개, 각 구멍의 직경은 각각 2 mm이다.In addition,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used in this Example 2 differs strictly from the polymer recovery apparatus shown in FIG. 3 in the following two points. That is, (1) there is no 2nd coagulation tank 20a, and (2) a screw extruder is an interlocking biaxial | shaft. In addition, the screw diameter of the screw extruder is 251 mm, the screw L / D is 4 (L is 10 cm), the number of holes of the die 11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the screw extruder is 50, and the diameter of each hole is 2 mm.

처음에, 상기 라텍스 및 상기 응고제를 각각 30 리터/시간 및 2.1 리터/시간 (라텍스에 포함되는 중합체 100 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2부에 상당하는 사용량)의 속도로 스크류 압출기에 투입하고, 50 ℃에서 혼합하였다.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스크류 압출기의 출구측에 설치한 다이에서 실형 혼합물 (고형분 농도는 33.4 %, 온도는 50 ℃이었다.)로서 압출하고 교반 날개를 구비한 응고조 (20) 내의 열수 (온도 90 ℃) 중에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이 응고조 (20) 중에서 회전수 120 rpm으로 교반 날개를 회전시키고 평균 체류 시간을 0.5 시간으로 하였다. 이 교반에 의해 실형 혼합물이 분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여 회수하고 중합체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Initially, the latex and the coagulant were introduced into the screw extruder at a rate of 30 liters / hour and 2.1 liters / hour, respectively (usage amount of magnesium sulfate 2 parts per 100 parts of the polymer included in the latex), and 50 캜. Mixed in. Thereafter, the obtained mixture was extruded from the die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crew extruder as a solid mixtur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33.4%, temperature was 50 ° C), and hot water in the coagulation bath 20 with stirring blades (temperature 90 In)). Next, in this coagulation tank 20, the stirring blade was rotated at the rotation speed of 120 rpm, and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made into 0.5 hou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l mixture was parted by this stirring. Thereafter,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were collected by filtration,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라텍스와 응고제를 이용하여 종래부터 공지된 회수 장치에 의해, ABS 수지 입자를 회수하였다. 즉, 도 4에 있어서 혼합기 (10)을 사용하지 않은 구성의 중합체 회수 장치에 의해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였다.ABS resin particle | grains were collect | recovered by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using the latex and coagulant in the said Example 1. That is, the polymer particle was collect | recovered by the polymer collection | recovery apparatus of the structure which did not use the mixer 10 in FIG.

상기 라텍스, 상기 응고제 및 물 (온도 30 ℃)를 각각 30 리터/시간, 2.1 리터/시간, 2.1 리터 /시간 (라텍스에 포함되는 중합체 100 부에 대하여 황산마그네슘 2 부에 상당하는 사용량), 및 9.9 리터/시간의 속도로, 혼합하는 일 없이 응고조 (20) (온도 90 ℃)에 투입하여, 회전수 120 rpm으로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평균 체류 시간을 0.5 시간으로 하고, 라텍스를 응고시켰다. 그 후,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여 회수하고, 중합체 입자의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latex, the coagulant and water (temperature 30 ° C.) were each 30 liters / hour, 2.1 liters / hour, 2.1 liters / hour (the amount equivalent to 2 parts of magnesium sulfate per 100 parts of polymer included in the latex), and 9.9 Into the coagulation bath 20 (temperature 90 degreeC), without mixing, the stirring blade was rotated at the rotation speed of 120 rpm,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made 0.5 hour, and the latex was solidified at the speed of liter / hour. Thereafter,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were collected by filtration,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olymer particl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표 1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0.5 mm 이하의 입자가 65 %나 생성되고, 그 중, 0.1 mm 이하의 미분 입자가 33 %나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0.1 mm 이하의 미분 입자가 거의 없고, 또한 0.5 내지 4 mm의 입자가 각각 85 % 및 90 %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분 입자가 적고 입경이 일정한 중합체 입자를 회수할 수 있다.As is clear from Table 1, in the comparative example, 65% of particles of 0.5 mm or less were produced, and among them, 33% of fine particles of 0.1 mm or less were contained. On the other hand, Examples 1 and 2 had almost no fine particles of 0.1 mm or less, and the particles of 0.5 to 4 mm were 85% and 90%, respectively. Therefor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polymer particles with few fine particles and constant particle size can be recovered.

본 발명에서는 스태틱 믹서 등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으로 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실형 혼합물을 50℃ 이상의 열수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고화 및 분단하는 응고 공정과,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미분 입자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중합체 입자를 회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lding step of mixing a polymer latex and a coagulant obtained by a static mixer or the like into a solid shap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nd a solidification step of solidifying and dividing the solid mixture into 50 ° C or more of hot water and stirring, By providing the separation process which isolate | separates the obtained polymer particle by filtration, the polymer particle which hardly contains a fine particle can be collect | recovered.

Claims (9)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for recovering polymer particles from polymer latex, 중합체 라텍스 및 응고제의 혼합물을 직경 0.5 내지 15 mm의 실형 (絲狀)으로 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실형 혼합물을 열수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고화 및 분단하는 응고 공정과, 응고된 중합체 입자를 여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의 회수 방법.A molding process in which the mixture of the polymer latex and the coagulant is in a solid shape having a diameter of 0.5 to 15 mm, a solidification process in which the solid mixture is poured into hot water and stirred, and solidified and separated, and the solidified polymer particles are separated by filtration. A process for recovering a polymer, comprising a separation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고형분 농도는 15 내지 40 질량%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id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is 15 to 40 m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온도는 회수 대상의 중합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를 Tm이라 하였을 때, (Tm-60) ℃ 이상이고, 또한 (Tm-10) ℃ 이하의 범위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of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mixture is (Tm-60) ° C or higher and (Tm-10) ° C or lower when the non-cut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polymer to be recovered is T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의 사용량은 상기 중합체 1OO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질량부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the coagulant used is 1 to 1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스태틱 믹서에 의해 얻어진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xture is obtained by a static mix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단축 스크류 압출기 또는 2축 이상의 다수축 스크류 압출기에 의해 얻어진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xture is obtained by a single screw extruder or a two or more multiscrew screw extru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의 온도는 (Tm-30) ℃ 이상이고, 또한 (Tm+30) ℃ 이하의 범위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s at least (Tm-30) ° C and at most (Tm + 3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형 혼합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열수에 투입하는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of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id mixture is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charged into hot water. 제1항에 있어서, 회수된 중합체 입자는 입경 0.5 내지 4 mm의 입자가 전체에 대하여 70 내지 95 질량%인 입경 분포를 갖는 것인 중합체의 회수 방법.The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vered polymer particles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which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5 to 4 mm are 70 to 95 mass% with respect to the whole.
KR1020030026203A 2002-04-26 2003-04-25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KR1009846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7464A JP3987755B2 (en) 2002-04-26 2002-04-26 Polymer recovery method
JPJP-P-2002-00127464 2002-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742A true KR20030084742A (en) 2003-11-01
KR100984614B1 KR100984614B1 (en) 2010-09-30

Family

ID=2926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203A KR100984614B1 (en) 2002-04-26 2003-04-25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87755B2 (en)
KR (1) KR100984614B1 (en)
CN (1) CN1257192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6216B2 (en) * 2005-02-15 2011-04-27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Polymer recovery method from polymer latex
JP4673085B2 (en) * 2005-02-28 2011-04-20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Polymer recovery method and polymer recovery apparatus from polymer latex
JP5138909B2 (en) * 2006-08-18 2013-02-06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impact resistance modifi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4980676B2 (en) * 2006-08-28 2012-07-18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Polymer recovery method
CN102311610B (en) * 2011-07-06 2012-09-05 惠州市昌亿科技股份有限公司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composite material used for housing of intelligent water me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3933A (en) * 1984-02-03 1985-08-2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Recovery of 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21547A (en) 2003-11-14
JP3987755B2 (en) 2007-10-10
CN1453297A (en) 2003-11-05
CN1257192C (en) 2006-05-24
KR100984614B1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350B1 (en) Dehydration Method of Molten Synthetic Resin
US6287470B1 (en) Two-step method for dehydrating plastic dispersions
US20020188098A1 (en) Method for reducting the polymer content of effluent during the drainage of polymer/ water mixtures
JP20015070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coagulation of aqueous graft rubber dispersion
KR100984614B1 (en) Method for Recovering a Polymer
CA12079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agulating a rubbery polymer latex
JP200723745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wet master batch, wet master batch formed thereby, rubber composition and tire
US5962614A (en) Dry resin made from an emulsion polymerized thermoplastic latex
CN10117579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ubber-reinforced) styrenic resin composition
EP0423759A2 (en) Production process of particulate polymer
JPH01123853A (en) Production of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EP1229056B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particles
JP445231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et masterbatch
JPS60163933A (en) Recovery of polymer
WO2006017792A1 (en) Method for extracting nylon from waste materials
JP3969071B2 (en) Polymer recovery method and recovery apparatus
JPS6230106A (en) Method of recovering polymer
JP4673085B2 (en) Polymer recovery method and polymer recovery apparatus from polymer latex
JPH01118502A (en) Recovery of polymer from polymer latex
JP3145844U (en) Extrusion equipment for thermoplastic resin regeneration
JPH03247603A (en) Coagulation of polymer latex and production of granular polymer
JPH01121311A (en) Production of rubber-modified thermoplastic resin
JPS6092301A (en) Production of solid rubber/carbon black mixture
WO2024038080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moulding compounds
KR100337761B1 (en) Solidification Method of Polymer Lat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