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515A -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515A
KR20030082515A KR1020030068800A KR20030068800A KR20030082515A KR 20030082515 A KR20030082515 A KR 20030082515A KR 1020030068800 A KR1020030068800 A KR 1020030068800A KR 20030068800 A KR20030068800 A KR 20030068800A KR 20030082515 A KR20030082515 A KR 2003008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arch
modified
molding material
plastic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구오량
Original Assignee
에스엔비환경주식회사
지구오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비환경주식회사, 지구오량 filed Critical 에스엔비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515A/ko
Publication of KR2003008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분외의 각종 첨가성분을 투입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가소성능이 우수하여 각종 식기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 전분 등의 분해전분, 변성 보조재료, 식물당, 가소제, 분해 억제재,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키틴폴리당을 일정 조성비로 교반하여 변성시키고, 특정 형상으로 압축 성형, 건조함으로써 각종 식기류 및 제품 포장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옥수수, 밀가루, 쌀, 고구마, 감자 등의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첨가물을 부가한 후 원료를 제조하고, 그 원료를 압축 성형, 건조하여 용기나 각종 성형재를 제조함으로써 분해 속도와 분해시간을 통제할 수 있으며, 분해된 후 토양을 개량과 양성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성형재는 무독성이며, 무공해, 무취, 무향이고, 내수, 내유, 내열, 내한, 내압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나 가공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ORMING MATERIAL RESOLVING BY A MICROORGANISM}
본 발명은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전분외의 각종 첨가성분을 투입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가소성능이 우수하여 각종 식기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차성 포말법을 이용한 비닐 식기류는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면서 실생활에 간편함을 부여하여 편의를 높여주기는 하나, 이와 같은 일회용 비닐용기는 환경적으로 심각한 백색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종래의 일회용 비닐용기가 백색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이유는 그러한 비닐용기는 수백년동안 생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닐용기는 강제처리하는 방법으로도 처리되는 바, 대표적인 강제처리방법은 연소이다.
그러나, 비닐용기를 연소처리하는 경우에는 유해기체나 유해물질 예컨대, 다이옥신 등이 발생되어 인체 및 생물환경에 심각한 위험성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비닐용기는 60℃ 온도환경에서 독소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전분류를 원료로 사용하는 식기류가 속속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분을 원료로 하는 식기류는 비록 포말로 인한 백색 오염문제는 해결하였지만 자체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낮으며, 가소성능이 낮은 원인으로 인해 다양하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분 원료 식기류는 그 생산 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생산 원가가 높은데다가 생산공정중 복수개의 장치를 사용해야 되므로 생산 과정중 보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생산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분외의 각종 첨가성분을 투입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가소성능이 우수하여 각종 식기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 전분과 PP와, PE하여 종합반응을 거쳐 전분 51 내지 75 중량%, 변성 보조재료 9 내지 3.8 중량%, 식물당 8 내지 6.4 중량%, 가소제 3.5 내지 3 중량%, 분해 억제재 13.5 내지 2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5 내지 7.8 중량%, 키틴폴리당 5.5 내지 2 중량%를 교반하여 변성시키고, 특정 형상으로 압축 성형, 건조함으로써 제품 포장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옥수수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2 내지 90 중량%, 변성 보조재료 5 내지 0.5 중량%, 식물당 7 내지 2.1 중량%, 가소제 8 내지 2.4 중량%, 분해 억제재 1 내지 1.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10 내지 2.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목서(木署)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5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3 내지 0.5 중량%, 식물당 9 내지 2.5 중량%, 가소제 10 내지 2.5 중량%, 분해 억제재 2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9 내지 3 중량%, 키틴폴리당 12 내지 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쌀겨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60 내지 80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4.5 중량%, 식물당 3.5 내지 1.5 중량%, 가소제 12 내지 4.5 중량%, 분해 억제재 2.5 내지 3.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0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7 내지 6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감자, 고구마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3 내지 89 중량%, 변성 보조재료 3.5 내지 0.5 중량%, 식물당 4.5 내지 2.5 중량%, 가소제 7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3.5 내지 0.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25.5 내지 3.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밀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4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0.5 중량%, 식물당 2.5 내지 1 중량%, 가소제 8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9.5 내지 2.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6.5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5.5 내지 9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분이 쌀, 밀가루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0 내지 70 중량%, 변성 보조재료 2.5 내지 0.5 중량%, 식물당 6 내지 2.5 중량%, 가소제 4.5 내지 0.5 중량%, 분해 억제재 7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 내지 10 중량%, 키틴폴리당 21 내지 1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식기류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분외의 각종 첨가성분을 투입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가소성능이 우수하여 각종 식기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은 생물분해기로 알갱이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한 각종 식기류 예컨대, 스낵 용기, 슈퍼쟁반, 컵, 사발, 나이프, 포크, 숟가락 등 자연 생분해가 가능한 제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는 천연 고분자 전분(예컨대, 옥수수, 고구마, 감자, 누에콩 등의 원료로 가공된 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미생물 발효방법으로 고분자 재료인 생물수지, 생물 섬유소를 생산하며 생분해 촉매제, 첨가제를 보조재료로 하여 혼합반응을 거쳐서 알갱이를 제작한 일종의 합성재료로 이루어진다. 외관은 백색을 띠며 알갱이 모양이로 이루어지고, 독성이 없으며, 무취, 무향이고 우수한 가공성을 갖는다. 또한, 희석재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우수한 가공성능을 가져 직접 사출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생분해 가능한 전분 식기류는 식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비, 전자기기, 아동완구, 의료설비 등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조성은 전분 51 내지 80 중량%, 변성 보조재료 10 내지 20 중량%, 식물당 6 내지 12.5 중량%, 가소제 1.3 내지 6 중량%, 분해 억제재 0.2 내지 1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2 내지 8.5 중량%, 키틴폴리당 0.5 내지 1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는 천연 고분자 및 그 유도체(예컨대, 파괴성 전분, 활성전분)과 변성 식물당을 적용하였으며 식물유를 가소제로 분해 억제제를 첨가하여 지방족 폴리카르롤락톤과 탄소원으로 균종 배양을 진행하여 제조된 폴리히드록시버터산리포이드 중합물, 키틴 폴리당 등 부동한 물질을 중합 반응시킨다. 또한, 식물유를 가소 윤활제로 첨가하여 만든 제품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가소성이 강하므로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중량 백분비에 따라 전분 51 내지 80 중량%, 변성 보조재료 10 내지 20 중량%, 식물당 6 내지 12.5 중량%, 가소제 1.3 내지 6 중량%, 분해 억제재 0.2 내지 1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2 내지 8.5 중량%, 키틴폴리당 0.5 내지 1 중량%를 준비하고, 그 재료를 교반하여 변성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분해 메카니즘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미생물과 각종 세균 및 효소의 작용을 통하여 재료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여 분자량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분자연쇄를 저분자량으로 분해하거나 다공 파괴구조로 분열시킴으로써 재료의 표면적에서 세균과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반응이 발생되어 피다종 미생물대사의 정도에 도달되게 한다.
본 발명의 재료로 일차성 식기를 제조하게 되면, 독성, 공해, 무취, 무향, 내수, 내유, 내열(150℃), 내한(-20℃), 내압성이 강하여 가마에 찌거나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여도 안전하게 식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종이로 만들어진 식기가 등장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경우에는 펄프 제품 원가의 40 내지 50%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는 성형재에 한하지 않고, 포장지류를 제조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에에서는 포장지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 전분과 PP와, PE하여 종합반응을 거쳐 전분 51 내지 75 중량%, 변성 보조재료 9 내지 3.8 중량%, 식물당 8 내지 6.4 중량%, 가소제 3.5 내지 3 중량%, 분해 억제재 13.5 내지 2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5 내지 7.8 중량%, 키틴폴리당 5.5 내지 2 중량%를 준비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팰릿으로 제조한다. 그 팰릿을 정압성형기, 부압성형기, 주입기를 통해 성형함으로써 일차성 식품 포장물, 공업포장물, 약용 포장물, 일용품 포장물을 제조한다.
이하, 각 전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첨가조성물을 가지는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옥수수 분해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52 내지 90 중량%, 변성 보조재료 5 내지 0.5 중량%, 식물당 7 내지 2.1 중량%, 가소제 8 내지 2.4 중량%, 분해 억제재 1 내지 1.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10 내지 2.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옥수수 분해 전분은 흰색, 베이지색 등의 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목서(木署)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55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3 내지 0.5 중량%, 식물당 9 내지 2.5 중량%, 가소제 10 내지 2.5 중량%, 분해 억제재 2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9 내지 3 중량%, 키틴폴리당 12 내지 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목서(木署) 전분은 흰색의 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쌀겨 분해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60 내지 80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4.5 중량%, 식물당 3.5 내지 1.5 중량%, 가소제 12 내지 4.5 중량%, 분해 억제재 2.5 내지 3.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0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7 내지 6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쌀겨분해 전분은 베이지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감자, 고구마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53 내지 89 중량%, 변성 보조재료 3.5 내지 0.5 중량%, 식물당 4.5 내지 2.5 중량%, 가소제 7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3.5 내지 0.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25.5 내지 3.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고구마, 전분 전분은 베이지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밀 분해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54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0.5 중량%, 식물당 2.5 내지 1 중량%, 가소제 8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9.5 내지 2.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6.5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5.5 내지 9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밀 분해 전분은 흰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쌀, 밀가루 분해 전분에 의해 성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전분 50 내지 70 중량%, 변성 보조재료 2.5 내지 0.5 중량%, 식물당 6 내지 2.5 중량%, 가소제 4.5 내지 0.5 중량%, 분해 억제재 7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 내지 10 중량%, 키틴폴리당 21 내지 1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킨다.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한다. 이러한 쌀, 밀가루 분해 전분은 커피 색상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및 그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및 그 제조방법은 옥수수, 밀가루, 쌀, 고구마, 감자 등의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각종 첨가물을 부가한 후 원료를 제조하고, 그 원료를 압축 성형, 건조하여 용기나 각종 성형재를 제조함으로써 분해 속도와 분해시간을 통제할 수 있으며, 분해된 후 토양을 개량과 양성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성형재는 무독성이며, 무공해, 무취, 무향이고, 내수, 내유, 내열, 내한, 내압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나 가공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옥수수, 밀, 감자, 고구마 전분과 PP와, PE하여 종합반응을 거쳐 전분 51 내지 75 중량%, 변성 보조재료 9 내지 3.8 중량%, 식물당 8 내지 6.4 중량%, 가소제 3.5 내지 3 중량%, 분해 억제재 13.5 내지 2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5 내지 7.8 중량%, 키틴폴리당 5.5 내지 2 중량%를 교반하여 변성시키고, 특정 형상으로 압축 성형, 건조함으로써 제품 포장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옥수수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2 내지 90 중량%, 변성 보조재료 5 내지 0.5 중량%, 식물당 7 내지 2.1 중량%, 가소제 8 내지 2.4 중량%, 분해 억제재 1 내지 1.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10 내지 2.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목서(木署)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5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3 내지 0.5 중량%, 식물당 9 내지 2.5 중량%, 가소제 10 내지 2.5 중량%, 분해 억제재 2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9 내지 3 중량%, 키틴폴리당 12 내지 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쌀겨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60 내지 80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4.5 중량%, 식물당 3.5 내지 1.5 중량%, 가소제 12 내지 4.5 중량%, 분해 억제재 2.5 내지 3.0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1.0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7 내지 6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감자, 고구마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3 내지 89 중량%, 변성 보조재료 3.5 내지 0.5 중량%, 식물당 4.5 내지 2.5 중량%, 가소제 7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3.5 내지 0.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7 내지 1.5 중량%, 키틴폴리당 25.5 내지 3.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밀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4 내지 85 중량%, 변성 보조재료 4.0 내지 0.5 중량%, 식물당 2.5 내지 1 중량%, 가소제 8 내지 1.5 중량%, 분해 억제재 9.5 내지 2.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6.5 내지 0.5 중량%, 키틴폴리당 15.5 내지 9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쌀, 밀가루 분해 전분인 경우에는 전분 50 내지 70 중량%, 변성 보조재료 2.5 내지 0.5 중량%, 식물당 6 내지 2.5 중량%, 가소제 4.5 내지 0.5 중량%, 분해 억제재 7 내지 1.5 중량%, 폴리카르롤라톤 및 폴리히디록시버터산 리포이드 중합물 9 내지 10 중량%, 키틴폴리당 21 내지 15 중량%를 준비하여 하고, 상기한 원료를 종합반응 교반을 통하여 변성시키고, 변성된 원료를 압축성형기에 투입하여 특정 성형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 제조방법.
KR1020030068800A 2003-10-02 2003-10-02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KR20030082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800A KR20030082515A (ko) 2003-10-02 2003-10-02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800A KR20030082515A (ko) 2003-10-02 2003-10-02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515A true KR20030082515A (ko) 2003-10-22

Family

ID=3238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800A KR20030082515A (ko) 2003-10-02 2003-10-02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5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38132C (zh) * 2005-02-28 2007-09-19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全生物分解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38132C (zh) * 2005-02-28 2007-09-19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全生物分解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1056B1 (en) Composition for use in edible biodegradable articles and method of use
CN1074435C (zh) 多元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1359190B1 (en) Compositions for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 and use thereof
CN101311209B (zh) 高强度淀粉基降解环保材料及制造方法
JP4117900B2 (ja) 植物由来の生分解性天然素材
CN107254095A (zh) 一种机械强度高可降解的新型环保材料及其制备方法
RU2309652C2 (ru) Саморазлагающаяся одноразовая посуд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CN110577753A (zh) 采用茉莉花制作可降解一次性餐具的方法
CN100393809C (zh) 一种植物纤维绿色环保一次性快餐餐具及其制备方法
CN1160401C (zh) 淀粉基降解环保材料及制造方法
AU2021270978A1 (en) Granulate of only natural constitutions; granulate for the manufacture of composa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anulate and the products obtained therefrom
CN101921411A (zh) 资源综合利用型生物降解环保材料及制备方法
KR20030082515A (ko)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CN111700180A (zh) 一种微生物发酵猪饲料及其制备工艺
JP2009114265A (ja) 生分解性組成物及び強度部材等の生分解性加工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AU2010356317B2 (en) Homogeneous biodegradable mixture for shaped-bodies: method for preparing
CN111560159A (zh) 一种竹粉聚丁二酸丁二醇脂淀粉生物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KR20060087493A (ko) 생분해 가능한 전분 성형재의 제조방법
JPH05246417A (ja) 生分解性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8345C (zh) 以魔宇为主要原料制成的一次性使用用品
US20230189861A1 (en) Granulate of only natural constitutions; granulate for the manufacture of composa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anulate and the products obtained therefrom
CN104592558A (zh) 资源综合利用型光生物双降解环保材料及制备方法
KR101169735B1 (ko) 왕겨, 쌀겨 및 생분해성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친환경 육묘용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Leong et al. Bioprocessing for production and applications of bioplastics from algae
KR100979734B1 (ko) 생분해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조성물을 이용한 용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