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04A -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04A
KR20030082204A KR1020020020825A KR20020020825A KR20030082204A KR 20030082204 A KR20030082204 A KR 20030082204A KR 1020020020825 A KR1020020020825 A KR 1020020020825A KR 20020020825 A KR20020020825 A KR 20020020825A KR 20030082204 A KR20030082204 A KR 2003008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deo file
full screen
fi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호장
Original Assignee
손호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장 filed Critical 손호장
Priority to KR102002002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04A/ko
Publication of KR2003008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배우기 힘든 골프 스윙, 야구 스윙과 같은 스포츠 관련 자세 교정과, 표정 연기, 댄스 연습, 모델의 워킹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관련 분야와 교육분야 및 재활 치료 분야에서 원하는 자세 또는 모션을 녹화 후 저장한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전체화면 인터페이스로 사용함으로써, 녹화한 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고, 직감적 파일 재생이 가능하도록, 재생을 위해 직접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FULL IMAGE EXPLORING METHOD OF PORTABLE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본 발명은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츠 관련 자세 교정과, 표정 연기, 댄스 연습, 모델의 워킹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관련 분야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연습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에 적용되어서, 정적, 동적 이미지에 대한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신의 운동 모션 내지 자세를 연습하는 연습자들은 비디오 캠코더 등의 영상 촬영 수단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후, 이를 반복해서 확인하고 비교 검토함으로써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지만, 재생 및 검색 속도의 불편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다.
여기에 사용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는 연습자의 실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연습 도구로서, 골프스윙 교정기, 야구스윙 연습기, 모델의 워킹 연습기, 연기자의 표정 연습기, 댄서의 춤 연습기, 교육용 얼굴 모습 표현 교정기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스윙 자세 교정기는 골프 연습자의 스윙 모습이나 자세를 촬영하여 재생, 분석, 비교 등을 통해서 연습자의 단점을 눈으로 확인케 함으로써, 골프 실력을 증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히, 골프에서 골퍼의 자세교정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세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골프공의 방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골프공의 도달거리가 골프 클럽의 교구거리에 못 미치게 된다. 또한, 잘못된 스윙 자세가 무리한 스윙을 유발시켜서 인체의 중요부위인 허리와 목, 다리 부분에 손상을 입게 한다.
이처럼 골프와 같이 연습자 자신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 스포츠 경기 훈련 분야나, 모델의 워킹 모습, 연기자의 연기 모습, 댄서의 춤사위 등과 같은 동적 움직임이 매주 중요한 엔터테인먼트 분야 및, 행동양식, 표정 등을 보고 반복적으로 연습이 필요한 재활 치료 분야에서는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동적인 움직임을 용이하게 녹화하여 쉽게 반복 연습할 수 있는 장치가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자세 교정장치들은 스튜디오나 연습장과 같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해야 하는 공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자신의 움직임을 녹화하여 검토하거나 확인하기 어렵고, 실제적인 연습 및 교정을 하는데 불편하다.
또한, 종래의 자세 교정장치들은 단순 재생 내지 비교 분석을 위해서 다운로드한 영상파일이나, 직접 촬영/녹화한 영상파일을 액세스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종래의 자세 교정장치는 활영한 영상데이터에 획일적인 파일명(예를 들어, 'db00001.wmv','db0002.wmv' 등)을 부여하여 기록/저장하고, 추후에 사용자가 저장한 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 검색을 할 때, 자신의 기억에 의존하여 획일적인 파일명을 스크롤 한 후, 재생을 해보아 원하는 파일이 맞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파일 재생 단계가 복잡하고, 원활하게 검색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세 교정장치들 중 운영시스템이 장착된 시스템의 경우, 휴대형으로 제작하기 어려울 정도로 하드웨어적인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시스템 부팅 시간이 매우 늦거나 동영상 재생의 반응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물론, 일반적인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 사용되는 고가의 스크린터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운영시스템이 장착된 종래의 자세 교정장치에 적용하여 파일 저장시나 검색시에 파일명과 검색명령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넓은 화면을 제공하며, 휴대가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빠른 부팅 속도와 높은 동영상 재생의 반응도 및 파일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단일의 휴대형 몸체에 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복 촬영, 재생, TV 기능을 하나의 하드웨어 본체에 구현하고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서, 원터치 녹화와 함께 원터치 재생시 저장한 영상파일의 첫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여서 직접적인 파일검색이가능하고, 휴대와 취급이 간편하고, 빠른 부팅 속도와 높은 동영상 재생의 반응도를 갖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자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이 기록된 특정용도 직접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중 개인항목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중 이중화면항목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120 : 디스플레이 패널
131 ∼ 134 : 적외선 센서141 : TV/대기상태 스위칭 버튼
142 : 녹화/하향이동 버튼143 : 메뉴/엔터 버튼
144 : 재생/우향이동 버튼145 : 전원 버튼
170 : 터치패드200 : 영상캡쳐부
201 : TV 튜너300 : 작동제어신호 입력부
400, 401 : 메뉴500 : 특정용도 집적회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주기억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되고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된 ASIC 칩,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기억장치,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코덱, 상기 코덱에 접속된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에 접속된 카메라,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버퍼메모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입/출력 콘트롤러, TV 시청과 영상캡쳐 기능을 위한 영상캡쳐부, 상기 입/출력 콘트롤러에 접속된 작동제어신호 입력부, 및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전자 시스템을 갖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ASIC 칩에는 재생을 위해 직접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이 기록/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재생을 위해서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을 사용자가 스크롤 할 때, 각각의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화면 넓이에 꽉 차게 각각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이중화면 재생을 위해서상기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을 일측의 분할화면에서 스크롤 하여 소정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선택하고, 제 1재생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상기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을 반대쪽 측면의 분할화면에서 스크롤 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다시 선택한 후, 제 2재생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선택한 각각의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들을 이중화면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터치패드와 적외선 센서 및 작동버튼 중 어느 하나의 제어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자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이 기록된 특정용도 직접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중 개인항목에 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중 이중화면항목에 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체화면 검색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12.1인치에서 17인치 정도의 박판 LCD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정면에 구비하고 배면에 힌지식 받침대(110)를 장착한 패널형상의 본체(100)로 이루어진 휴대형 시스템에 적용된다.휴대형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로서,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 형태로 TV, 비디오, 유선방송, 컴퓨터, 케이블TV, 위성방송 등의 영상물을 순간 녹화하여 교육교재로 활용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에 설치된다.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본체(100)는 상단 중앙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장가능한 연장바(162)와, 이 연장바에서 힌지 방식으로 회전되고,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가능한 일체형 제 1카메라(16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정면 모습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체(100)의 상단 우측에는 TV 수신용 안테나(203)가 장착되어 있어서, 외부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단에는 커버로 씌워진 단자함(19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함(199)에는 사용자의 측면 모습을 촬영하는데 사용하는 제 2카메라(도시 안됨)를 연결하는 연결잭과, USB 포트와, 비디오/오디오 단자와, 외부용 TV 안테나 연결잭과, 시스템 초기화를 위한 리셋(reset) 버튼과, LCD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앞서 언급한 영상물을 표시하는 장치(TV, 비디오 플레이어, 컴퓨터, 케이블 셋톱박스, 위성방송 셋톱박스 등)와 접속되어 영상물을 본체(100)의 LCD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I/O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어서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그의 정면 하단에 일렬로 배치된 각종 작동버튼(141 ∼ 147)들과 적외선 센서(131 ∼ 134)들과 스피커(108, 109)를 갖는다.
여기에서, 스피커(108, 109)들은 TV 소리와 작동음(beep sound), 타이밍 사운드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작동버튼들은 좌에서 우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되, TV 내지 영상물의 입력상태와 대기상태를 변경하는 TV/대기상태 스위칭 버튼(141)과, 자신의 모습을 녹화하거나 메뉴의 항목을 하향으로 스크롤 하는데 사용하는 녹화/하향이동 버튼(142)과, 메뉴를 오버레이 형식으로 LCD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화면에 돌출시키거나 메뉴의 항목을 액세스시키는 메뉴/엔터 버튼(143)과, 녹화한 화상이나 저장한 화상정보를 재생하거나 메뉴의 항목을 우향으로 스크롤 하는데 사용하는 재생/우향이동 버튼(144)과, 작동램프 겸용 전원 버튼(145)과, TV와 같은 영상물 선택시에 사용하는 채널 업/다운버튼(146), 소리 크기 조절과 재생속도 선택을 위한 볼륨 업/다운버튼(147)들이다. 적외선 센서들은 좌에서 우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유효거리 12㎝ ∼ 30㎝ 정도의 적외선 센싱 성능을 갖는다.
제 1적외선 센서(131)는 상기 녹화/하향이동 버튼(142)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고, 제 2적외선 센서(132)는 메뉴/엔터 버튼(143)과, 제 3적외선 센서(133)는 재생/우향이동 버튼(144)과, 제 4적외선 센서(134)는 재생속도 선택을 위한 볼륨 업/다운버튼(147)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체(100)는 무선으로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한 터치패드(170)로 모든 기능들이 작동 제어된다. 예컨대, 터치패드(170)는 상면에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으며 고무 재질로서 내구성이 강하게 구성된 녹화/하향이동용 'R'버튼(171)과, 메뉴/엔터용 'M'버튼(174)과, 재생/우향이동용 'P'버튼(172)과, 재생속도를 제어용 'S'버튼(173)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터치패드(170)는 필요에 의해 전원버튼(도시 안됨)을 더 구비하여 원격으로 본체(100)의 전원을 켜고 끌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터치패드(170)는 휴대용 전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명령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일종의 리모컨과 같은 역할을 하고, 유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체(100)에 장착된 전자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시스템은 충전기(177)와 배터리(178) 겸용의 전원공급부(179)에 의해서 작동하는 메인보드(107)와, 팜 OS 가 기록 저장된 기억장치인 시스템 ROM(153)과, 주기억장치(RAM)인 메모리(151)와, 메인 컨트롤용 CPU(150)(제품명 : T33520 8bit micom)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 등과 같은 작동 알고리즘을 기록 저장한 ASIC 칩인 특정용도 집적회로(500) 및,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서 그래픽 처리 수단(도시안됨)('TW88 이미지 스케일러') 등이 제공된다. 또한, 메인보드(107)에는 제 1카메라(160) 내지 옵션으로 외부에서 연결 가능한 제 2카메라(161)를 통해 전달된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55)와 일반적인 비디오(jpeg) 코덱(154)과 이미지 저장용 메모리(도시 안됨)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메인보드(107)에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합성 비디오 신호 모듈(125 ; NTSC Module)과,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26)가 구비되어 있으며, USB 포트(139), USB 콘트롤러(138), 버퍼메모리(13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력 콘트롤러(193)는 음성 합성칩(194)(제품명 : MCL1043 Voice synthesis LSI)과 앰프칩(195)(제품명 : LM386M-1audio amp)과 좌/우 스피커(196, 197)가 접속되어 있어서, 재생되는 스윙 동영상을 따라할 수 있는 타이밍 사운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런 휴대형 자세연습기는 TV 시청기능과 영상캡쳐기능을 위해 입/출력(I/O) 콘트롤러(193)에 접속된 영상캡쳐부(200) 및 작동제어신호 입력부(30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을 앞서 언급한 전자 시스템의 특정용도 직접회로(500)에 기록/저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특정용도 직접회로(500)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소자인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주문형 반도체인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게이트 어레이 아키텍처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들 중 어느 하나가 사용가능하며, 더욱 양호하게는, 대용량 구현이 용이한 'FPGA' 중 알테라(ALTERA Corporation,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의 'EP1K50QC208-3'칩을 사용한다.
이런, 특정용도 직접회로(500)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일반적인 작동제어에 필요한 알고리즘들 즉, 대기 상태, 캡쳐 파일 저장, 일반 녹화, 정면/측면 동시 녹화, 따라하기 녹화관련 알고리즘(501)과, 일반 재생, 따라하기 재생, 정면/측면 동시 재생, 슬로우 모션 재생, 프레임별 재생관련 알고리즘(502)과, 파일 관리, USB 드라이버 설치, 다운로드관련 알고리즘(503)과,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과, 녹화시간 설정관련알고리즘(505)과, TV 시청, TV 화면 캡쳐관련 알고리즘(506)을 저장하고 있다.
특히,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은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아 이미지 저장용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영상파일을 검색할 때, 각각의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화면 넓이에 꽉 차게 각각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각각 전체화면으로 보여지는 영상파일을 직감적으로 스크롤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직접적인 액세스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래에서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와 도 5는 개인항목을 재생할 때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터치패드와 적외선 센서(131 ∼ 134) 및 작동버튼(141 ∼ 145) 중 어느 하나의 제어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작동버튼(141 ∼ 145)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작동램프 겸용 전원 버튼(145)을 눌러서 본 발명의 휴대형 자세연습기가 대기상태로 놓이게 한다(S10, S20).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소정의 영상파일을 검색한 후 재생하려고 할 때, 메뉴/엔터 버튼(143)을 눌러서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 주 메뉴(400)가 오버레이 형식으로 표출되도록 하고,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한 번 눌러서 제 1서브 메뉴(401)가 표출되도록 한 후, '개인' 항목에 커서(402)가 놓이게 한다(S30).
이런 경우,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첫 번째 영상파일의 첫 장면(첫 번째 영상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화면에 꽉 차게 표시한다(S40).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계속해서 녹화/하향이동 버튼(142)을 각각 누를 경우, 전자 시스템의 작동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해서 특정용도 직접회로에 이동신호가 차례로 입력되고, 이런 입력신호를 받은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다음 번째 영상파일의 첫 장면들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각각 차례로 표시한다(S50, S60).
그리고, 사용자는 녹화/하향이동 버튼(142)을 계속적으로 누르던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파일의 첫 장면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경우,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눌러 재생신호를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에 전달하고,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이 그 첫 장면에 해당하는 영상파일을 동영상으로 재생하도록 한다(S70, S80). 물론, 한번 본 영상파일은 사용자가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누를 때마다 반복 재생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뉴/엔터 버튼(143)을 눌러서 메뉴신호가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에 입력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메뉴가 표시되고(S90), 소정 시간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면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S100).
도 6과 도 7은 이중화면을 재생할 때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작동램프 겸용 전원 버튼(145)을 눌러서 본 발명의 휴대형 자세연습기가 대기상태로 놓이게 하고(S10, S20), 자신이 원하는 소정의 영상파일을 검색한 후 재생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메뉴/엔터 버튼(143)을 눌러서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에 주 메뉴(400)가 오버레이 형식으로 표출되도록 하며,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한 번 눌러서 제 1서브 메뉴(401)가 표출되도록 한 후 '이중화면 좌측' 또는 '이중화면 우측'항목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위치에 커서(402')가 놓이게 한다(S300).
이런 경우,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파일들 중 첫 번째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선택한 측면(도 6의 경우 이중화면 좌측)의 분할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310).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계속해서 녹화/하향이동 버튼(142)을 각각 누를 경우, 전자 시스템의 작동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해서 특정용도 직접회로에 이동신호가 차례로 입력되고, 이런 입력신호를 받은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다음 번째 영상파일의 첫 장면들을 선택한 측면, 즉 좌측의 분할화면에 각각 차례로 표시한다(S320, S330).
이렇게 녹화/하향이동 버튼(142)을 계속적으로 누르던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파일의 첫 장면이 좌측 분할화면에 표시된 경우,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한번 눌러서 우측 분할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제 1재생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제 1재생신호는 특정용도 직접회로의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에 전달되며,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의 클릭 수가 하나로 카운트된다. 이와 동시에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은 제 1재생신호의 입력에 따라 반대쪽 측면의 분할화면, 즉 우측 분할화면에 첫 번째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340, S350).
여기에서도, 사용자가 녹화/하향이동 버튼(142)을 눌러 이동신호를 입력시킬 경우, 차례로 우측 분할화면에 다음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이 디스플레이 되어서 원하는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검색할 수 있다(S360, S370).
이렇게 화면의 좌측과 우측에 원하는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들이 각각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재생/우향이동 버튼(144)을 다시 눌러서, 제 2재생신호가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에 입력되도록 한다(S380).
이런 경우, 이중화면으로 좌측과 우측에 분할된 동영상파일이 각각 재생된다(S390). 이후, 사용자가 메뉴/엔터 버튼(143)을 눌러서 메뉴신호가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에 입력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메뉴가 표시되고(S400, S410), 소정 시간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면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TV, 비디오, 유선방송, 컴퓨터, 케이블TV, 위성방송 등에서 캡쳐한 영상파일, USB포트를 통해 컴퓨터로 부터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의 파일명이 어떤 형식이든, 또는 그 파일명에 해당하는 화면 내용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기억하거나 골치아플 필요 없이, 직접적이면서도 단순 명료한 전체화면 검색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검색알고리즘을 통해서 영상파일 저장시에 재생, 검색, 색인을 위한 파일명을 입력하거나, 파일명에 해당하는 내용을 기억할 필요 없이 직접적이고도 직감적인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스크롤 해가면서 원하는 영상파일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런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거대한 운영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파일 검색 및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빠른 부팅 속도와 높은 동영상 재생의 반응도를 필요로 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용자들에게 편의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직접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첫 화면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로 원하는 영상파일을 쉽게 찾아 선택하기 때문에, 영상파일의 재생 준비시간이 매우 짧고, 빠른 액세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은 특정용도 집적회로에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을 기록/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프로그램 변경에 따라 작동 순서 내지 버튼 사용 순위 등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 1서브메뉴의 개인항목을 비롯하여 다운로드 정면, 다운로드 측면, 이중화면 좌측, 이중화면 우측, 그림 등 재생에 관련된 모든 항목을 직접적인 화면 인터페이스로 검색하여, 노약자,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 스포츠 맨, 컴퓨터의 제어 방법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과 재활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용이하고 쉽게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중앙처리장치(CPU; 150)에 접속된 주기억장치(RAM; 151),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되고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된 ASIC 칩(500),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기억장치(ROM; 153), 상기 ASIC 칩에 접속된 코덱(CODEC; 154), 상기 코덱에 접속된 A/D 컨버터(155), 상기 A/D 컨버터에 접속된 카메라(160),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접속된 버퍼메모리(137),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126), 상기 버퍼메모리에 접속된 입/출력 콘트롤러(193), TV 시청과 영상캡쳐 기능을 위한 영상캡쳐부(200), 상기 입/출력 콘트롤러(193)에 접속된 작동제어신호 입력부(300), 및 전원공급부(179)를 구비한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ASIC 칩(500)에 기록/저장된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으로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스크롤 하여 원하는 영상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은 상기 영상파일을 사용자가 스크롤 할 때, 이동신호의 입력 유무와, 재생신호의 입력 유무를 판단하여 각각의 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화면 넓이에 꽉 차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은 이중화면 재생을 위해서 상기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을 일측의 분할화면에서 스크롤 하여 소정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선택하고,
    제 1재생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상기 촬영, 캡쳐 또는 다운로드 받은 영상파일을 반대쪽 측면의 분할화면에서 스크롤 하여 상기 소정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을 다시 선택한 후,
    제 2재생신호의 입력 유무에 따라 선택한 각각의 동영상파일의 첫 장면들을 이중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화면 검색알고리즘(504)은 터치패드(170)와 적외선 센서(131 ∼ 134) 및 작동버튼(141 ∼ 145) 중 어느 하나의 제어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KR1020020020825A 2002-04-17 2002-04-17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KR20030082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25A KR2003008220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25A KR2003008220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04A true KR20030082204A (ko) 2003-10-22

Family

ID=3237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25A KR20030082204A (ko) 2002-04-17 2002-04-17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733B2 (en) Imaging apparatus with display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20023719A (ko) 이동식 골프스윙 자세 교정장치
JP603455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661068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00172624A1 (en) Video capture, playback and analysis tool
KR10114692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비디오의 대표 영상 제공 방법
EP1672471A1 (en) Content playback device with touch screen
JP7393541B2 (ja) ビデオ表示方法、電子機器及び媒体
KR102032541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US104679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9639965A (zh) 摄像头的启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60757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KR20220005087A (ko) 촬영 방법 및 단말
CN116114250A (zh) 显示设备、人体姿态检测方法及应用
US20090110363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videos therein
KR101968953B1 (ko)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H04295886A (ja) 携帯型画像入出力装置
CN110650304B (zh) 一种视频生成方法及电子设备
KR20030082204A (ko) 휴대형 자세연습기의 전체화면 검색방법
CN107526460A (zh) 输出控制装置、输出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9204079B2 (en) Method for providing appreciation object automatically according to user&#39;s interest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349200A (zh) 电视控制装置与相关方法
JP7173020B2 (ja)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80708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KR20030082203A (ko) 영상녹화 가능한 휴대형 자세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