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189A -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189A
KR20030081189A KR1020030023236A KR20030023236A KR20030081189A KR 20030081189 A KR20030081189 A KR 20030081189A KR 1020030023236 A KR1020030023236 A KR 1020030023236A KR 20030023236 A KR20030023236 A KR 20030023236A KR 20030081189 A KR20030081189 A KR 2003008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extract
folic acid
composition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세
김영설
Original Assignee
이응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응세 filed Critical 이응세
Publication of KR2003008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85Pyrazines or piper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6Vitamin B8 Fo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6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억제하여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제 및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an vitamin complex and the extract of crude drug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lipemia and arteriosclerosis}
본 발명은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사망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으로서, 수백만의 인명의 사망, 의료비 및 경제적 손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심혈관계질환의 대표적인 원인은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및 혈전증 등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다수의 성과가 달성되었는데, 이러한 성과는 환자의 위험도 확인 및 초기 치료가 현대의학업무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다양한 인자와 임상적 변수가 현재 상태 또는 심혈관계 질환의 미래 가능성과 상호 연관됨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위험인자는 측정 가능한 생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변수, 예를 들어, 혈청 콜레스테롤, HDL, LDL, 피브린 수치 등 또는 비만, 흡연과 같은 생활 스타일 패턴의 거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인자로서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의 수치변화가 있는데, 이 호모시스테인은 메티오닌(methionine)의 대사과정 중에 생성되는 설파기를 갖는 아미노산이며, 메티오닌으로 대사되는 두가지 경로와 시스테인으로 대사되는 한가지 경로를 거치게 된다(Cyrus D et al.;Drug,62(4), pp605-616, 2002).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노화 및 폐경기 이후에 증가하며, 음식섭취 및 신장기능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attaneo M.;Thromb. haemost. 81, pp165-176,1999).
최근 역학조사 및 임상연구에 의하면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동맥경화증 및 혈전증을 일으키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밝혀져 있으며, 또한 흡연, 고혈압 등의 다른 인자와 상승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Graham IM et al,;J.A.M.A.,277, pp1775-1781,1997).
실험적으로 호모시스테인은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혈전증과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Wang H et al.;Blood,99, pp939-945, 2002), 인간 제대 혈관 내피세포에서의 세포자멸사(apoptosis)을 유도하고(Zhang C, et al.;J Biol Chem,276(38), pp35867-35874, 2001), 이런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세포자멸사은 내피세포의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동맥경화성 손상을 야기한다(Norata GD, et al.;Nutr. Metab. Cardiovasc. Dis.,12(5), pp297-305, 2002). 최근의 역학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의 증가와 심혈관계질환 위험도가 비례하며, 피리독신 섭취가 낮은 집단에서 혈중 시스테인의 농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Cattaneo et al.Ann. med., 32, pp46-52,2000). 호모시스테인의 대사경로에 여러 효소가 관여하며 이러한 효소반응과정에 피리독신, 비타민 B12, 엽산 등의 조요소(cofactor)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타민 복합체의 부족이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이어서 동맥경화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에 이러한 비타민을 투여하여 호모시스테인의 농도가 저하되었다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고호모시스테인 혈증의 치료에 충분한 비타민제의 종류 및 용량은 아직은 규명되지 않았다 (Cyrus D et al.;Drug,62(4), pp605-616, 2002).
최근에는 동맥경화의 병태생리가 밝혀지게 됨에 따라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스타틴제제는 치명적인 횡문근융해증으로 사용에 제한이 되고 있으며, 항혈소판제는 위장출혈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종래 약물들을 대체할 만한 만족할 만한 약제가 없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줄어들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만한 조성물을 탐구하고자 전통한의서인 동의보감에 기재된 임상적 치료법들을 참고로 하여 여러 종의 생약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황금 및 원지 등의 생약이 동맥경화 및 고지혈증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데에 착안하여 호모시스테인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비타민 복합체들과 복합제제를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비타민 B6는 일명 피리독신(pyridoxine)이라 하며, 피리독신, 피리독살(pyridoxal), 피리독사민(pyridoxamine) 세가지 화합물이 있다. 이들은 모두 체내에서 피리독살 포스페이트(pyridoxal phosphate)로 활성화되어 보효소로 작용하는데, 이 비타민이 부족시에는 피부, 신경계 및 조혈기관의 장애를 나타내게 된다. 신경계 병변으로는 다발성 말초신경염이 활막부종과 압통을 동반하여 특히 손목에 통증이 심하며 경련이 나타나게 되는데, 임상적인 용도로서는 결핵치료제인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및 시클로세린(cycloserine) 또는 윌슨(wilson) 병 치료제인 페니실아민(penicillamine)을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피리독신 결핍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한다(이우주, 김경환저;약리학강의, 이학문화사, 제4판, p787-788, 1998).
비타민 B12는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e)이라 하며, 사람이 자기 자신의 장내 세균에 의하여 합성한 비타민 B12를 거의 흡수하지 못하므로 다른 동물의 체내에서 합성된 비타민 B12를 섭취함으로써 공급을 받아 간장에 저장한다. 주로 소고기, 간 및 콩팥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부족시에는 악성빈혈(megaloblastic anemia) 및 신경계통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이우주, 김경환저;약리학강의, 이학문화사, 제4판, p758-763, 1998).
엽산은 화학적으로는 프테로일모노글루탐산 (pteroylmonoglutamic acid)로서 동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특히 효모, 간 및 푸른 야채(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배추, 상추) 등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부족시에는 거대 적아구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영양성 대적혈구성 빈혈(nutritional macrocytic anemia), 스푸루우(sprue), 임신부 거대적아구성 빈혈(pregnancy megaloblastic anemia), 소아 및 괴혈병에서 나타나는 거대 적아구성 빈혈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이우주, 김경환 저;약리학강의, 이학문화사, 제4판, p763-766, 1998).
황금(黃芩)은 다년생 초본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GEORGI)의 뿌리로서 한국의 중부 및 북부지역에 분포하며, 그 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린(baicalin), 우고닌(wogonin), 우고노시드(wogonoside) 및 네오바이칼레인 (neobaicalein)을 함유하며, 진정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저, 도해 향약 대사전, 영림사 p864-865, 1998년).
원지(遠志)는 다년생 초본인 원지 (Polypora tenuifoliaWILLD)의 뿌리로서, 한국의 중부이북 지역에 분포하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원지사포닌 A 및 B가 알려져 있으며, 기관지 분비작용, 거담작용, 자궁수축작용, 항균작용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저, 도해 향약 대사전, 영림사 p798-799, 1998년).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혈중 호모시스테인과 관련된 동맥경화증, 고지혈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발명자는 상기한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등의 비타민제제 및 황금, 원지 등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조성물이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에 따른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에 치료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에 따른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다양한 농도의 호모시스테인(Hyc) 처리 후, 혈관내피세포증식 정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2 는 50μM 호모시스테인 처리 후, 비타민 복합제, 원지 및 황금을 이용한 다양한 조합의 조성물을 처리한 다음 관찰한 혈관내피세포증식 정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3 은 50μM 호모시스테인 처리 후, 비타민 복합제, 원지 및 황금을 이용한 다양한 조합의 조성물을 처리한 다음 혈관내피세포의 세포자멸사의 정도를 관찰한 도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제제 및 황금, 원지를 포함한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를 함유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저하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제제 및 황금, 원지를 포함한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를 함유한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동맥경화증은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및 죽상동맥경화증 (Artherosclerosi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맥경화증 또는 고지혈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제를 0.02 ~ 9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제제 및 황금, 원지를 포함한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를 함유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비타민 제제들의 조성비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의 중량비가 각각 약 1: 1∼80: 1∼80, 바람직하게는 약 1:1∼10: 1∼1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1:1로 균등하게 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생약 건조 추출물들의 조성비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원지 및 황금의 중량비가 각각 약 10∼90: 90∼10, 바람직하게는 약 30∼70:70∼3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50의 비율로 균등하게 배합하는 것이다.
상기 비타민 제제 및 상기 생약제제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그 비율이 약 1:1∼10,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배합비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타민 제제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모든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단독 또는 그 비율에 제한됨이 없는 혼합물 형태의 모든 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황금 및 원지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수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중에서 구입하거나 재배 또는 채취한 건조상태의 황금 및 원지 중량의 약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 부피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알콜 용액, 증류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80℃의 반응온도에서 30분 내지 2일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24시간 환류추출법, 초음파추출법, 냉침법 등과 같은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이를 다시 감압건조, 동결건조, 상온건조 등의 건조법을 사용하여 건조상태의 생약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본 발명의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들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분획물들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형으로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들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들은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비타민 및 생약추출물들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식품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0.1g, 바람직하게는 0.3∼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1당 일반적으로 약 1 ∼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자는 혈관 내피세포를 배양하여 호모시스테인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상기 비타민 제제 및 생약 추출물들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가를 시험하기 위하여, 배양된 혈관 내피세포를 대상으로 세포증식능실험, 세포자멸사의 측정법 등의 실험을 통하여 상기 비타민 제제 및 생약 추출물들이 탁월하게 세포수준에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배합한 복합제제의 제조예 (1)
실험용 순수 비타민제로 비타민 B6(Sigma, P5669), 비타민 B12(Sigma, V2876) 및 엽산(Sigma, F7876)을 각각 200g씩 구입하여 비타민 B6, 비타민 B12 및 엽산 각 10g씩을 배합하여 30g의 비타민 복합제를 얻었다.
또한 생약추출물은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원지 500g 및 황금 500g에 각각 에탄올 2ℓ를 가하여 70-80℃에서 24시간 환류추출법을 시행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동결건조기(Eyela, model FD-5N)에서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원지 건조 추출물 35g 및 황금 40g의 건조추출물을 각각 15g씩 배합하여 30g의 생약 복합제를 얻었다.
상기 비타민 복합제 30g 및 생약 추출물 복합제 30g을 균등 배합하여 60g의 복합제제 (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배합한 복합제제의 제조예 (2)
추출용매를 물: 메탄올 혼합용매(1:10) 1ℓ로 사용하고 반응시간을 12시간을 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얻어진 원지 건조 추출물 42g 및 황금 40g의 건조추출물을 각각 10g 및 30g을 취하여 이를 비타민 B6 10g, 비타민 B12 60g 및 엽산 30g씩 배합하여 얻어진 비타민 복합제 100g과 배합하여 140g의 복합제제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배합한 복합제제의 제조예 (3)
추출용매를 물 1ℓ로 사용하고 초음파 추출법으로 반응시간을 12시간을 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얻어진 원지 건조 추출물 48g 및 황금 53g의 건조추출물을 각각 40g 및 60g을 취하여 이를 비타민 B6 40g, 비타민 B12 20g 및 엽산 40g씩 배합하여 얻어진 비타민 복합제 100g과 배합하여 200g의 복합제제(3)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증식능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복합제의 복합제제들의 약효를 실험하기 위하여, 제대혈관 내피세포는 호시(Hoshi)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준비하였으며(Hoshi H et al ;P.N.A.S.USA, 81, pp6413-6417,1984), 제대혈관 내피세포 증식능 시험을 왕(Wang)등의 문헌에 기재된 시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Wang H et al.;Blood,99, pp939-945, 2002).
1-1. 혈관 내피 세포의 배양
미국 ATCC사에서 구입한 사람의 제대 혈관 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ithelial cell, 제품번호 CRL-1730)를 4mM의 L-글루타민, 10U/㎖ 페니실린, 0.1 ㎎/㎖의 스트렙토마이신, 20%(V/V)의 우태아혈청(FBS)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Lab.사, 미국) 배지에 가하고 5% 이산화탄소, 95% 공기 하에 37℃에서 배양하였다.
1-2. 제대 혈관 내피세포 증식능 측정
상기 제대 혈관 내피세포를 24 웰 플레이트(Becton Dickinson사)의 2x104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하여 상기의 4mM L-글루타민, 10U/㎖ 페니실린, 0.1 ㎎/㎖의 스트렙토마이신, 20%(V/V)의 우태아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에 넣고 2일간 배양한 다음, 다양한 농도 (0, 30, 60, 125, 250 및 500 μM)의 DL-호모시스테인(Sigma사, H0501)이 포함된 배지로 교환한 후, 2일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확하기 6시간 전에 각 웰 당 1μCi의 [3H]-티미딘(Specific activity: 92.5GBq/mM, 25Ci/mM, Amersham사, 미국)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균질화시킨 후 200㎕를 20㎖의 계수 시험관에 넣고 10㎖의 베타선계수용액(Aqualuma plus; Lumac사, 네덜란드)을 넣어 β카운터(Beckman사, LS5000TD, 미국)에서 CPM(counts per minutes)을 측정하여 DNA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합성능을 지표로 혈관 내피세포의 증식능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혈관내피세포의 증식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상기의 결과에서, 세포의 증식능을 50% 이상 저하시키는 50μM의 DL-호모시스테인 및 본 발명의 복합제제들을 처리하였을 때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50μM의 호모시스테인을 처리한 혈관내피세포배양액에 비타민 B6, 비타민 B12 및 엽산 단독 또는 그 배합물과 실시예의 복합제제들을 다양한 농도(1, 10, 100㎍/㎖)로 DMSO 용액에 녹여 얻어진 시료용액을 첨가하였으며, 그리고 0.3%의 우혈청 알부민이 포함된 DMEM 배지에 2일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복합제제 처리시의 변화된 세포 증식능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세포의 증식능이 50% 이상 저하되는 50μM의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에서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등의 복합제와 원지 또는 황금을 조합하여 투여한 결과 세포의 증식능에는 변화가 없었다 (도 2 참조).
실험예 2: 세포자멸사(apoptosis) 측정시험
비타민 복합제 및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생약복합제의 복합제제들의 약효를 실험하기 위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 시험을 왕(Wang)등의 문헌에 기재된 시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Wang H et al.;Blood,99, pp939-945, 2002).
2-1. 효소면역법을 이용한 세포자멸사의 측정
24 웰 배양 플레이트에 2x104세포/웰의 농도로 제대혈관내피세포를 분주하여 2일간 배양하고, 50μM의 호모시스테인 처리 후, 비타민 복합제, 원지 및 황금의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처리 후, 2일간 추가로 배양하고, 세포자멸사의 정량을 위하여 세포사탐지키트(cell death detection kit, Roche Molecular Biochemicals사, 독일)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데이터를 프리즘(prism) 3 프로그램(GraphPad Software, 미국)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50μM 호모시스테인을 처리한 군에서 유의하게 세포자연사가 증가 되었으며,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등의 비타민 복합제와 원지 또는 황금을 조합하여 투여한 결과, 4군 모두에서 부분적인 세포자연사의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특히 비타민, 황금 및 원지를 포함한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그 억제효과가 현저하였다 (도 3 참조).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제제가 비타민제제 및 생약제제의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유의성있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및 원지 및 황금의 복합 조성물제제가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에 따른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세포자멸사를 억제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산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포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0 mg
탈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 mg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정 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0 mg
옥수수전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mg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캅셀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건조분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옥수수전분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유당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mg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pH 조절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약전 제제총칙중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액제 100㎖당 하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 건조분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0 mg
이성화당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 g
만니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g
정제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적량
또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 분말 0.1∼20%, 설탕 5~10%, 구연산 0.05~0.3%, 캬라멜 0.005~0.02%, 비타민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서 되는 비타민 및 생약 복합제제를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액상과당 (0.5%), 올리고당 (2%), 설탕 (2%), 식염 (0.5%), 물 (75%)와 같은 부재료와 분획 C 건조분말 20%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및 원지 및 황금의 복합 조성물 제제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자사멸을 감소시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시키므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에 따른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제제 및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GEORGI), 원지(Polypora tenuifoliaWILLD)를 포함한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제제를 함유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저하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황금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를 함유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저하용 약학 조성물.
  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을 포함한 비타민 제제 및 황금, 원지를 포함한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제제를 함유한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황금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를 함유한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황금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의 중량비가 1:1:1:1:1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및 생약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9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제제 형태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액제, 주사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조성물.
  8.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황금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건강 음료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30023236A 2002-04-13 2003-04-12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30081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219 2002-04-13
KR20020020219 2002-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89A true KR20030081189A (ko) 2003-10-17

Family

ID=3237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236A KR20030081189A (ko) 2002-04-13 2003-04-12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11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8284A1 (en) * 2002-12-27 2004-07-1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nti-obesity ingret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tion
KR20180049732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골 질환,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8284A1 (en) * 2002-12-27 2004-07-1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nti-obesity ingret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tion
KR20180049732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골 질환,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4531A3 (ko) * 2016-11-03 2018-08-09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골 질환,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2204B1 (ko)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0524385B1 (ko) 용안육, 산조인, 원지 및 백복신의 추출물을 함유한 기억력 증진 및 청소년기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050044007A (ko)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있는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30081189A (ko) 비타민 복합제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82839B1 (ko)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94483B1 (ko) 생강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690071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20090114022A (ko) 이묘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1464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050043092A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6187A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00034B1 (ko)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97034B1 (ko)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8551B1 (ko) 보골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뇌졸중 치료를위한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20001317A (ko) 한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1316A (ko)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40011B1 (ko) 보골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20040062274A (ko) 용안육, 산조인, 원지, 백복신 및 은행잎의 추출물을함유한 기억력 증진 및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