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962A - 업소용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업소용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962A
KR20030080962A KR1020020043848A KR20020043848A KR20030080962A KR 20030080962 A KR20030080962 A KR 20030080962A KR 1020020043848 A KR1020020043848 A KR 1020020043848A KR 20020043848 A KR20020043848 A KR 20020043848A KR 20030080962 A KR20030080962 A KR 2003008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main body
workbench
washing
wash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석
Original Assignee
허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석 filed Critical 허정석
Priority to KR102002004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962A/ko
Publication of KR2003008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소용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본체의 양측으로 싱크대와 작업대가 설치될 때 각각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거나 턱이 발생되면서 상기 연결부위를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고, 턱에 의해 랙이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표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싱크대(200)의 일측면에 표면(210)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211)를 형성하여 연결부(211)의 끝단이 본체(100)의 세척실(110) 일측 내부를 향해 구부러져 고정되도록 하고, 작업대(300)의 일측면 또한 표면(310)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311)를 형성하여 연결부(311)의 끝단이 본체(100)의 세척실(110) 타측 내부를 향해 구부러지도록 하므로서, 상기 연결부(211)(311)에 의해 싱크대(200)와 본체(100)와 작업대(300)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랙(400)이 본체(100)를 가운데 두고 싱크대(200)와 작업대(300)의 표면 (210)(310)을 따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어 식기 세척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업소용 식기 세척기{Dish washer for a eating house}
본 발명은 업소용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식기 세척기의 본체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싱크대와 작업대와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면서 틈새가 발생되거 연결부위에 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그릇등이 담겨지는 랙이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표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이나 물등이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연결부위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토록 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의 업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바닥의 중앙과 그 상부에 회전식 세척노즐을 설치하고, 그러한 세척실의 바닥 일측에는 음식찌꺼기의 걸름망 덮개가 복개되는 세척수탱크를 본체의 내부 하단에 위치되게 내장형으로 설치하며, 그러한 세척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탱크 외에 그 세척수탱크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세척노즐로 공급하는 펌프와 세척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탱크 일측에는 온수부스타에서 미리 가열된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을 설치하여 온수부스타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가 항시 세척탱크에서 먼저 공급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기의 일측에는 불림조와 애벌세척조가 구비된 상태에서 식기가 담긴 랙을 세척실로 공급하는 싱크대가 설치되고, 세척실의 타측에는 세척실에서 그릇의 세척이 완료된 랙을 받아주는 작업대가 설치되어 하나의 식기 세척기 라인을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도 1 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 라인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으로는 싱크대(20)가 위치되고, 본체(10)의 타측으로는작업대(30)가 위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싱크대(20)나 작업대(30)는 단순히 본체(10)의 측면에 접면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흔들림이나 충격 등에 의해 싱크대(20)와 본체(10)의 연결부위 또는 본체(10)와 작업대(30)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이물질 또는 물이 상기 틈새로 유입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지저분해지고 이물질이 장시간 유입되어 있을 경우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릇 등이 담겨지는 랙(40)은 싱크대(20)에 놓여있다가 본체(10)의 세척실(11)로 이동되어 세척되고 세척 후에는 본체(10)의 옆쪽에 위치한 작업대(30)로 이동되는데, 상기 랙(40)에는 많은 수의 그릇이 놓여지게 되므로 랙(40)을 이동시 싱크대(20)나 본체(10)나 작업대(30)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들어 올리기가 힘들어 보통 싱크대(20)나 본체(10)나 작업대(30)의 표면을 따라 끌면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싱크대(20)나 본체(10)나 작업대(30)가 개별적으로 만들어져 서로 밀착된 상태로 놓여지게 됨에 따라 연결부위에 턱이 형성되면서 랙(40)을 싱크대(20)와 본체(10)와 작업대(40)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 상기 턱에 랙(40)이 걸리게 되면서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므로 식기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의 일측면과 작업대의 일측면에 각각 연장된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의끝단을 본체의 세척실 내측으로 구부려 고정시키므로서,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랙을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표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의 일측면에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의 끝단이 본체의 세척실 내측을 향해 구부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고, 작업대의 일측면 또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의 끝단 또한 본체의 세척실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에 싱크대와 작업대가 설치될 때 싱크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와 작업대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가 본체의 세척실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랙이 본체를 중심으로 싱크대와 작업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업소용 식기 세척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본체와 싱크대와 작업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식기 세척기 본체와 싱크대와 작업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110 : 세척실
200 : 싱크대210, 310 : 표면
211,311 : 연결부300 : 작업대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싱크대와 작업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싱크대와 작업대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 본체의 양측으로 싱크대와 작업대를 설치함에 있어서,
싱크대(200)의 일측면에 표면(210)으로 부터 연장된 연결부(21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211)의 끝단이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고, 작업대(300)의 일측면에 표면(310)으로 부터 연장된 연결부(311) 또한 끝단이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400)은 그릇 등의 식기가 담겨지는 랙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본체(100) 양측으로 싱크대(200)와 작업대 (300)를 설치함에 있어서, 본체(100)와 싱크대(200)의 연결부위 및 본체(100)와 작업대(300)의 연결부위에 틈새나 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이물질 또는 물이 본체(100)와 싱크대(200)와 작업대(300)의 연결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랙(400)이 싱크대(200)와 작업대(300)의 표면(210)(310)을 본체(100)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은 본 발명에 따라 싱크대와 작업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예시한 것으로서, 싱크대(200)의 일측면에는 표면(21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1)의 끝단은 싱크대(200)의 측면에 접면된 본체(100)의 세척실(110) 일측 내부로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므로서, 싱크대(200)의표면(210)과 본체(100)의 세척실(110)이 상기 연결부(211)에 의해 턱이 없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어 싱크대(200)의 표면(210)에서 본체(100)의 세척실(110)로 이동되거나 세척실(110)에서 싱크대(200)로 이동되는 랙(400)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부(211)에 의해 싱크대(200)와 본체(100)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차단되므로서 이물질 또는 물등이 싱크대(200)와 본체(100)의 연결부위로 유입되던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대(300)의 일측면 또한 표면(310)으로 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1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311)가 작업대(300)의 측면에 접면된 본체(100)의 세척실(110) 타측 내부를 향해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작업대 (300)의 표면(310)과 본체(100)의 세척실(110) 또한 상기 연결부(311)에 의해 턱이 없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어 본체(100)로부터 작업대(300)로 이동되거나 작업대(300)에서 본체(100)로 이동되는 랙(400)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작업대(300)와 본체(100)와의 연결부위 또한 상기 연결부(311)에 의해 차단되므로서 작업대(300)와 본체(100)의 연결부위로 이물질 또는 물이 유입되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싱크대(200)와 작업대(300)에 연결부(211)(311)를 형성하여 본체(100)와 연결되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이며, 도면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부(211)(311)의 구성을 본체(100)에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연결부(211)(311)가 각각 싱크대(200)와 작업대(300)에 연결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본체의 양측에 접면되어 설치되는 싱크대와 작업대에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표면에서 연장된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에 의해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와 서로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본체와 싱크대와 작업대가 틈새와 턱이 없이 연결됨에 따라 본체와 싱크대와 작업대의 연결부위에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싱크대와 본체와 작업대를 따라 이동되는 랙이 신속하게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의 세척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식기 세척기 본체의 양측으로 싱크대와 작업대를 설치함에 있어서,
    싱크대(200)의 일측면에 표면(210)으로 부터 연장된 연결부(21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211)의 끝단이 본체(100)의 세척실(110) 일측 내부로 구부러져 고정되도록 하고, 작업대(300)의 일측면 또한 표면(310)으로 부터 연장된 연결부(311)를 형성하여 그 끝단이 본체의 세척실(110) 타측 내부로 구부러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1020020043848A 2002-07-25 2002-07-25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30080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48A KR20030080962A (ko) 2002-07-25 2002-07-25 업소용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48A KR20030080962A (ko) 2002-07-25 2002-07-25 업소용 식기 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833U Division KR200281699Y1 (ko) 2002-04-11 2002-04-11 업소용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962A true KR20030080962A (ko) 2003-10-17

Family

ID=3238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848A KR20030080962A (ko) 2002-07-25 2002-07-25 업소용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58A (ko)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측판 커버 구조
KR20160070456A (ko)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랙 받침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58A (ko)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측판 커버 구조
KR20160070456A (ko) 2014-12-10 2016-06-20 최정민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랙 받침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9499B1 (en) Bottle washing apparatus for use on the dishwasher rack
KR20080108528A (ko) 식기세척기 특히 가정용 식기세척기
DE50214404D1 (de) Vorrichtung zum ansteuern des spülvorgangs von spülgut i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DE69511531T2 (de) Geschirrspülmaschine
ATE450645T1 (de) Wasch- oder geschirrspülmaschine
US2407533A (en) Dishwashing device
EP3069648B1 (en)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comprising a washing agents dispens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80046850A (ko) 식기세척기
CA2278434C (en) Compact kitchenware washing station
KR200281699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30080962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60064576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공급관 구조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030080961A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US20120284938A1 (en) Brush Based Dishwasher
ITMI20000201A1 (it) Lavastoviglie con vasca di lavaggio supplementare
KR200165718Y1 (ko) 식기세척기의 방음방열장치
KR100664762B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0376006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랙 받침대 시스템
JPH10323244A (ja) 流し用シンク
CN210507652U (zh) 洗手系统
KR200333097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덮개 설치구조
KR0120942Y1 (ko) 식기 세척기가 부설된 싱크대
KR100615864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노즐
KR200268401Y1 (ko) 간이 식기 세척 및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