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778A -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778A
KR20030080778A KR1020020019568A KR20020019568A KR20030080778A KR 20030080778 A KR20030080778 A KR 20030080778A KR 1020020019568 A KR1020020019568 A KR 1020020019568A KR 20020019568 A KR20020019568 A KR 20020019568A KR 20030080778 A KR20030080778 A KR 20030080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ir conditioner
supporting
wal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778A/ko
Publication of KR2003008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7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에 설치함에 있어 윈도우프레임(62)과 공기조화기(1)의 사이에 위치되는 시일부(32)와 상기 공기조화기(1)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3)를 일체로 하여 서포트브라켓(3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은 지지앵글(40)과 조정볼트(50) 및 조정너트(55)를 사용하여 벽체(60)에 대해 공기조화기(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서포트브라켓(30)에 시일부(32)와 지지부(33)가 일체로 형성됨에 의해 구성부품이 간소화되고 공기조화기(1)의 하중에 의해 모멘트가 작용하는 부분의 강도가 커지게 되어 공기조화기(1)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Mounting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창문이나 벽체에 형성된 관통부에 설치시 건물의 외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케이싱 내에 모든 구성요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건물의 창문이나 벽체에 형성된 관통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그 정면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노출되고, 그 배면이 실외로 노출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중 하나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되는 창문의 형태에 따라 종류가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닫이창에 사용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좌우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그 바닥면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지지를 위한 구성이 보다 견고하게 구성될 것이 요청된다.
도 1에는 좌우폭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의 외관을 크게 베이스팬(3), 캐비넷(5)이 구성한다. 공기조화기(1)의 전면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향해 노출되므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베이스팬(3)은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캐비넷(5)은 공기조화기(1)의 양측면과 상면을 형성한다. 도면부호 6은 흡입루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1)의 배면은 개방된 상태여서 실외열교환기(8)를 통과한 공기가 실외로 자유롭게 토출된다. 상기 배면에는 공기의 토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실외열교환기(8)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배면그릴(7)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외관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1)는 건물의 벽체(10)에 구비되는 창문(11)에 설치된다. 이때 공기조화기(1)는 창문(11)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윈도우프레임(12)의 일측에 안착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창문(11)에 설치됨에 있어, 실내측보다 실외측으로 보다 많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실외측의 벽체(10)에 공기조화기(1)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윈도우프레임(12)과 베이스팬(3)의 하면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상기 시일플레이트(14)는 상기 윈도우프레임(12) 상에 걸쳐져 체결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시일플레이트(14)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지지판(15)이 연결된다. 상기 지지판(15)은 상기 베이스팬(3)의 하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시일플레이트(14)의 후단에 체결나사(15')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지지판(15)의 하면에는 ㄱ자형상의 지지앵글(18)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앵글(18)은 그 상단이 상기 지지판(15)에 체결볼트(16)와 체결너트(16')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너트(16')와 지지판(15)의 하면 사이에는 와셔(16w)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앵글(18)의 하단에는 조정볼트(19)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조정볼트(19)에는 조정너트(19')가 설치된다. 상기 조정볼트(19)는 그 머리부(19h)가 벽체(10)에 지지되고, 상기 조정너트(19')는 상기 조정볼트(19)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앵글(18)과 벽체(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판(15)이 공기조화기(1)를 지지하는 힘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시일플레이트(14)와 지지판(15)을 체결나사(15')로 체결하고, 상기 시일플레이트(14)를 상기 윈도우프레임(12)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앵글(19)을 상기 지지판(15)에 체결하고, 상기 지지앵글(19)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기 조정볼트(19)의 머리부(19h)가 벽체(10)에 지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15) 상에 공기조화기(1)를 안착시킨다. 참고로 상기 공기조화기(1)를 지지판(15) 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와 윈도우프레임(12)이 서로 체결되도록 체결작업을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공기조화기(1)가 상기 지지판(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너트(19')를 상기 조정볼트(19)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지지앵글(19)의 지지력을 조정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공기조화기(1)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시일플레이트(14), 지지판(15), 지지앵글(18) 및 조정볼트(19) 등으로 이루어져 이들을 조립하여 창문(11)에 설치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번거롭게 되고 전체 부품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 상기 지지판(15)은 상기 시일플레이트(14)에 체결나사(15')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판(15)이 체결나사(15')에 의해 체결되는 부분은 외팔보 형태인 지지판(15)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공기조화기(1)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체결나사(15')가 풀려 공기조화기(1)의 지지상태가 불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설치함에 있어 공기조화기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공기조화기30: 서포트브라켓
32: 시일부33: 지지부
40: 지지앵글41: 수평부
42: 수직부50: 조정볼트
55: 조정너트60: 벽체
62: 윈도우프레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윈도우프레임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윈도우프레임과 공기조화기의 바닥면 사이에 안착되는 시일부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서포트브라켓의 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부에 가해지는 공기조화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앵글과, 상기 지지앵글과 벽체사이를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앵글이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앵글은 상기 서포트브라켓의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조정구가 그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조정구는 상기 지지앵글과 벽체사이를 연결하는 조정볼트와 상기 조정볼트에 대해 회전되어 이동되고 상기 지지앵글에 밀착되는 조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일부와 지지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일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좌우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건물 외부 벽체에 대해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어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지지장치의 강도가 보다 커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포트브라켓(30)은 시일부(32)와 지지부(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시일부(32)는 공기조화기(1)의 바닥면과 윈도우프레임(62)의 사이에 위치되고 윈도우프레임(62)에 고정되어 지지부(3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의 시일부(32)는 윈도우프레임(6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서포트브라켓(30)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부(32)의 폭과 지지부(33)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3)는 공기조화기(1)의 바닥면의 면적에 따라 그 폭이 달라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1)가 그 좌우폭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케이스먼트 형태이어서 지지부(33)의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한다.
상기 지지부(33)에는 체결공(34)이 다수개 천공된다. 상기 체결공(34)은 체결볼트(36)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공(34)은 상기 지지부(33)의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요홈(35) 내에 천공되어 체결볼트(36)가 설치되더라도 상기 지지부(33)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33)의 길이는 공기조화기(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의 후단부까지 지지하도록 연장할 필요는 없다. 도면 부호 37은 상기 체결볼트(36)와 체결되는 체결너트(37)이고 38은 와셔이다.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의 지지부(33) 하면에는 상기 체결볼트(36)에 의해 체결되어 지지앵글(4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앵글(40)은 측면에서 볼 때 ㄱ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앵글(40)의 하면에 체결되는 수평부(41)와 상기 지지앵글(40)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41)에는 상기 체결볼트(36)가 관통되는 체결장공(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장공(43)은 상기 지지부(33)에 대해 상기 지지앵글(40)의 위치를 일정 거리 조절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42)의 하단에는 통공(45)이 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앵글(40)의 하단에는 지지앵글(40)과 건물의 벽체(6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앵글(40)의 통공(45)에는 조정볼트(50)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조정볼트(50)는 선단에 상기 벽체(60)에 지지되거나 매몰되어 설치되는 머리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조정볼트(50)의 머리부(52) 반대편에는 나사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53)에 체결되게 조정너트(55)가 설치된다. 상기 조정너트(55)는 상기 나사부(53)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상기 지지앵글(40)중 상기 벽체(60)와 마주보는 면에 밀착되게 상기 조정볼트(50)에 설치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부호를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도면부호의 100단위값으로 하였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포트브라켓(130)이 시일부(132)와 지지부(133)가 서로 직교하게 되어 평면도로 볼 때 T자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시일부(132)의 폭은 대략 공기조화기(1)의 좌우폭과 대응되게 하고, 상기 지지부(133)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3)는 공기조화기(1)의 바닥면의 면적에 따라 그 갯수가 달라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1)가 그 좌우폭에 비해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케이스먼트 형태이어서 지지부(133)가 하나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일부(132)가 공기조화기(1)의 바닥면과 윈도우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어 밀봉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윈도우프레임에 고정되어지지부(133)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치장치에 의해 공기조화기(1)가 창문에 설치되는 것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건물의 벽체(60)에 형성된 창문에 창문형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다. 상기 창문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윈도우프레임(62)이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은 그 시일부(32)가 상기 윈도우프레임(62)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30)상면에 공기조화기(1)가 얹어짐에 의해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은 상기 윈도우프레임(62)과 공기조화기(1)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브라켓(30)이 상기 윈도우프레임(62)에 설치됨에 의해 지지부(33)는 건물의 벽체(60)외부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앵글(40)은 그 수평부(41)가 상기 지지부(33)에 체결되고 상기 수직부(42)가 조정볼트(50)를 통해 벽체(60)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앵글(40)은 상기 지지부(33)에 가해지는 공기조화기(1)의 하중을 벽체(60)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볼트(50)의 나사부(53)에는 조정너트(55)가 설치되는데, 상기 조정너트(55)는 상기 벽체(60)와 마주보는 지지앵글(40)의 수직부(42)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앵글(40)의 조정볼트(50)에 대해 이동하면서 지지앵글(40)과 벽체(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브라켓(30), 지지앵글(40), 조정볼트(50) 및 조정너트(55)가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1)가 상기 서포트브라켓(30)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와 윈도우프레임(62)을 서로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야 외부에서 침입자가 공기조화기(1)를 제거하고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의 하중은 상기 지지부(33)에 가해지고,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지지앵글(40)과 조정볼트(50) 및 조정너트(55)에 의해 벽체(60)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1)의 하중에 따라 상기 조정너트(55)를 상기 조정볼트(50)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지지앵글(40)의 수직부(42)와 벽체(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지지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의 하중에 의해 지지부(33)가 처지는 경우에는 상기 조정너트(55)를 조정볼트(50)에 대해, 도 4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앵글(40)에 의해 지지부(33)가 보다 큰 힘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공기조화기(1)의 하중이 작을 때는 상기 조정너트(55)를 상기 조정볼트(50)에 대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부(33)를 지지하는 힘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준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에서는 공기조화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브라켓을 윈도우프레임에 안착되는 시일부와 공기조화기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되도록 구성하여 간소화하였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설치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설치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고 제조원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서포트브라켓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공기조화기의 하중에 의해 모멘트를 크게 받는 부분의 강도가 강하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볼트에 대해 조정너트를 회전시키면 지지앵글과 벽체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면서 지지앵글에 의한 지지부의 지지력이 조절되므로 지지력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윈도우프레임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윈도우프레임과 공기조화기의 바닥면 사이에 안착되는 시일부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서포트브라켓의 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부에 가해지는 공기조화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앵글과,
    상기 지지앵글과 벽체사이를 연결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앵글이 공기조화기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앵글은 상기 서포트브라켓의 지지부와 직교하는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조정구가 그 하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는 상기 지지앵글과 벽체사이를 연결하는 조정볼트와 상기 조정볼트에 대해 회전되어 이동되고 상기 지지앵글에 밀착되는 조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와 지지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시일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좌우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KR1020020019568A 2002-04-10 2002-04-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KR20030080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68A KR20030080778A (ko) 2002-04-10 2002-04-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68A KR20030080778A (ko) 2002-04-10 2002-04-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778A true KR20030080778A (ko) 2003-10-17

Family

ID=3237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568A KR20030080778A (ko) 2002-04-10 2002-04-10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7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087A (zh) * 2019-08-27 2019-12-03 江苏欧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黑板及其安装方法
WO2020224096A1 (zh) * 2019-05-08 2020-11-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马鞍式窗机的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WO2021121101A1 (zh) * 2019-12-17 2021-06-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窗式空调器的安装支架和窗式空调器组件
WO2021120415A1 (zh) * 2019-12-17 2021-06-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连接件、安装架组件和窗式空调器组件
US11397023B2 (en) 2019-12-17 2022-07-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Connection member,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assembl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4096A1 (zh) * 2019-05-08 2020-11-1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马鞍式窗机的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10525087A (zh) * 2019-08-27 2019-12-03 江苏欧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黑板及其安装方法
WO2021121101A1 (zh) * 2019-12-17 2021-06-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窗式空调器的安装支架和窗式空调器组件
WO2021120415A1 (zh) * 2019-12-17 2021-06-2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连接件、安装架组件和窗式空调器组件
US11397023B2 (en) 2019-12-17 2022-07-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Connection member,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assembly
US11397024B2 (en) 2019-12-17 2022-07-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9978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3008077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JP3080086B2 (ja) 空気調和機の据付具及び据付構造
JP2000065421A (ja) 空気調和機の据付装置
JPH10246488A (ja) ダクト用換気扇
JP3361172B2 (ja) 天井埋込形空調機のパネル枠取付装置
JP3773598B2 (ja) 空気調和機
JP2574286Y2 (ja) 天吊り形空気調和機
KR200162318Y1 (ko) 공조기기의 캐비넷
KR0115787Y1 (ko) 천정 장식판넬 설치용 고정부재
KR2003007959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장치
JP3028765B2 (ja) 天井埋込式空気調和機
JP2000081244A (ja) スプリット形空気調和機
KR2003007959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
KR200228663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
KR200153126Y1 (ko) 룸에어컨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KR20010009642A (ko) 공기조화기의 일체형 컨트롤박스 구조
KR200152094Y1 (ko) 에어콘의 지지장치
JP3539202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940007466A (ko) 공기 조화기
KR100436926B1 (ko) 천장카세트에어컨의 설치구조
JPH102584A (ja) 空気調和機
JPH04263711A (ja) 空気調和機の送風機取付構造
KR20240053417A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JP2596645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