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572A -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572A
KR20030080572A KR1020020019270A KR20020019270A KR20030080572A KR 20030080572 A KR20030080572 A KR 20030080572A KR 1020020019270 A KR1020020019270 A KR 1020020019270A KR 20020019270 A KR20020019270 A KR 20020019270A KR 20030080572 A KR20030080572 A KR 2003008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output
lof
local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498B1 (ko
Inventor
정언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4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498B1/ko

Link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조 후 불요파로 분류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동통신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조기에 있어서; 할당된 국부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국부발진기와; 국부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일한 레벨로 분할하여 각각의 경로로 출력하는 스플리터와; 스플리터의 일출력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입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혼합하여 할당된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와; 스플리터의 다른 일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위상을 90도 이동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위상변환기의 90도 위상이동을 포함하는 180도의 위상이동이 정확하도록 조정한 후 출력하는 위상조정회로와;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위상조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더하므로써 국부발진주파수를 제거하여 변조된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컴바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A DEVICE FOR PROTECTING LOCAL OSCILLATION FREQUENCY OF UP-DOWN CONVERTER IN TRANSMIT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환기(UP/DOWN CONVER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환(CONVERTING)후 불요파(SPURIOUS FREQUENCY)로 분류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LOCAL OSCILLATOR FREQUENCY)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교환국에 유선접속되고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기지국과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사이에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하는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즉시 원하는 상대방과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하여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무선통신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는 기지국(SITE)은 가입자로부터 인가되는 통신용 저주파 신호 또는 중간주파 신호를 할당된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고주파로 무선수신되는 신호를 중간주파 신호 또는 저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상하향 변환기(UP/DOWN CONVERTOR)를 사용한다.
상기 상하향변환기는,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 또는 중간주파 신호를 해당 국부발진 주파수(LOF)와 혼합(MIXING)하여 할당된 주파수의 고주파(RF)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에 불필요한 불요파를 제거한 후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해당 국부발진 주파수(LOF)와 혼합(MIXING)하여 필요한 중간주파 신호 또는 저주파 신호로 변환한 후 불필요한 불요파를 제거하여 출력하므로써 필요한 정보신호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하향변환기에서 불필요한 불요파(SPURIOUS)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도를 제고하는 중요한 것이며, 여파기(FILTER)를 사용하는 경우, 입력 레벨(LEVEL)이 높은 불요파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송수신용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 주파수 제거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송수신용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 주파수 제거장치는, 정보(INFORMATION)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1)와,
상기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와 혼합(MIXING) 되므로써, 상기 중간주파(IF) 신호가 할당된 고주파 신호로 변조(MODULATION)되도록 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국부발진기(LOCAL OSCILLATOR)(3)와,
상기 입력되는 중간주파 신호(1)와 상기 국부발진기(3)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를 혼합(MIXING)하므로써 할당된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CONVERSION) 및 변조(MODULATION)하여 출력하는 믹서(MIXER)(5)와,
상기 믹서(5)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 중에서 할당된 범위의 신호만을 통과하므로써, 불필요한 불요파(SPURIOUS)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제거하는 밴드패스필터(BPF: BAND PASS FILTER)(7)와,
상기 밴드패스필터(7)로부터 출력되는 것으로써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전송되는 고주파(RF) 신호(9)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송수신용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정보가 포함되어 입력되는 중간주파 신호(1)와 상기 국부발진기(3)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는 상기 믹서(5)에 각각 인가되어 혼합(MIXING)되므로써 할당된 범위의 주파수로 변환(CONVERSION) 및 변조(MODULATION)된다.
상기 국부발진기(3)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는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보다 레벨(LEVEL)이 크다.
상기 믹서(5)는 각각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와 국부발진주파수(LOF)가 혼합되어 필요로 하는 할당된 주파수(IF+LOF)의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필요로 하니 않는 불요파(SPURIOUS)로써 IF-LOF 상태로 혼합된 신호와 높은 입력레벨에 의하여 일부 레벨의 국부발진주파수(LOF) 등을 함께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믹서(5)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신호로부터 필요로 하는 대역(BAND)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믹서(5)의 출력신호를 대역패스필터(BPF)(7)에 인가한다.
상기 대역패스필터(BPF)(7)는 할당된 대역(BAND)의 변조된 신호만을 통과(PASS) 시키고, 상기 할당된 대역 이외의 모든 주파수인 불요파를 통과되지 못하도록 차단 또는 여파(FILTER)하여 해당 대역의 고주파 신호(9)만을 출력한다.
상기 불요파(SPURIOUS)가 출력되는 경우, 잡음신호(NOISE SIGNAL)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출력신호는 고주파 신호(9) 또는 저주파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고주파 신호(9)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국부발진 주파수 제거장치는, 밴드패스필터(7)의 특성상 하나의 밴드패스필터(7)로는 레벨(LEVEL)이 높은 불요파 국부발진주파수(LOF)를 출력되지 못하도록 차단 또는 여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밴드패스필터(7)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 어느 정도 개선이 되므로 레벨이 높은 국부발진주파수를 차단 또는 여파할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는 동시에 정상적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해당 고주파 신호의 레벨이 함께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신호가 전송되는 주경로(MAIN PATH) 상의 신호로부터 불요파를 여파하며 밴드패스필터(7)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잡음신호는 여파되지 못하고 추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향변환기에 변조용으로 입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가 출력단으로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국부발진주파수의 위상을 조정 및 변환하여 상쇄되도록 하므로써 높은 레벨의 국부발진주파수가 출력되지 못하도록 하는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환기에 있어서; 할당된 국부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국부발진기와;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일한 레벨로 분할하여 각각의 경로로 출력하는 스플리터와; 상기 스플리터의 일출력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입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혼합하여 할당된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 스플리터의 다른 일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위상을 90도 이동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위상변환기의 90도 위상이동을 포함하는 180도의 위상이동이 정확하도록 조정한 후 출력하는 위상조정회로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위상조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더하므로써 국부발진주파수를 제거하여 변조된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컴바이너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 주파수 제거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위상조정회로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중간주파신호3,20 : 국부발진기
5,40 : 믹서7 : 밴드패스 필터
9,80 : 고주파신호30 : 스플리터
50 : 위상변환기60 : 위상조정회로
70 : 컴바이너100 : 방향성결합기
101 : 입력포트102 : 출력포트
103 : 결합포트104 : 분리포트
110 : 제1 인덕터120 : 제1 바락터 다이오드
130 : 제2 바락터 다이오드140 : 제2 저항
150 : 제3 저항160 : 제1 저항
170 : 컨덴서180 : 제2 인덕터
190 : 제3 바락터 다이오드200 : 제4 바락터 다이오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 주파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위상조정회로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환기(UP/DOWN CONVERTOR)에 있어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된 가입자로부터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INFORMATION)가 포함되어 입력되는 중간주파신호(IF: INTERMEDIATE FREQUENCY)(10)와,
할당된 지정주파수를 고정 생성하는 것으로써, 국부발진주파수(LOF)를 생성하여 고정 출력하는 국부발진기(LO: LOCAL OSCILLATOR)(20)와,
상기 국부발진기(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일한 레벨(LEVEL)의 2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해당 경로로 출력하는 스플리터(SPLITTER)(30)와,
상기 스플리터(30)의 일출력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와 상기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를 혼합(MIXING)하여 할당된 주파수로 변환(CONVERSION) 및 변조(MODULATION)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MIXER)(40)와,
상기 스플리터(30)의 다른 일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의 위상(PHASE)을 90도 이동(SHIFT)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50)와,
상기 위상변환기(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PHASE)을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이동(SHIFT)하는 동시에 상기 위상변환기(50)의 90도 위상이동(PHASE SHIFT)을 포함하는 180도의 위상이동이 정확하도록 조정한 후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포트(101)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PHASE)을 90도 이동(SHIFT)하여 출력포트(THROUGHPUT PORT)(102)로 출력하는 동시에 레벨(LEVEL) 차이가 있는 상기 90도 위상이동(PHASE SHIFT)의 신호를 결합포트(COUPLING PORT)(103)로 출력하고180도 위상이동(PHASE SHIFT)된 신호를 분리포트(ISOLATION PORT)(104)로 각각 출력하는 방향성결합기(DIRECTIONAL COUPLER)(100);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분리포트(104)와 접지(GROUND 또는 EARTH)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 인덕터(INDUCTOR)(L1)(110); 상기 제1 인덕터(110)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서 전압의 인가되는 레벨(LEVEL) 변화에 의하여 컨덴서(CONDENSER) 성분의 용량(CAPACITANCE)이 변화하는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D1, D2)(120,130); 상기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120,130)에 공통 접속되는 제2 저항(R2)(140);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결합포트(103)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인덕터(L2)(180); 상기 제2 인덕터(180)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전압의 인가되는 레벨(LEVEL) 변화에 의하여 컨덴서 성분의 용량(CAPACITANCE)이 변화하는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D3, D4)(190,200); 상기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D3, D4)(190, 200)에 공통 접속되는 제3 저항(R3)(150); 상기 제2 및 제3 저항(140,150)에 공통 접속되는 동시에 전원전압(VCC)에 접속되어 상기 제2 및 제3 저항(140,150)에 인가되는 전원전압(VCC)의 레벨(LEVEL)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변저항(VARIABLE RESISTANCE)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저항(R1)(160); 상기 제2 및 제3 저항(140,150)에 공통 접속되어 상기 제1 저항(160)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AC) 신호를 접지로 흐르게 하는 컨덴서(CONDENSER)(C1)(170)로 이루어지는 위상조정회로(60)와,
상기 믹서(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위상조정회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더하므로써 국부발진주파수(LOF)를 제거하여 변조된 주파수의 해당 고주파(RF) 신호(80)만을 출력하는 컴바이너(COMBINER)(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이동통신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환기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국부발진기(20)는 할당된 주파수의 국부발진주파수(LOF)를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발생(GENERATION)하여 계속 고정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국부발진기(20)로부터 일정하게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는 스플리터(30)에 인가되어 동일한 레벨(LEVEL)의 2개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로 나누어진다.
상기 스플리터(30)에 의하여 나누어진 2개의 국부발진주파수(LOF) 중에서 하나는 상기 믹서(40)로 출력되고, 또 하나는 상기 위상변환기(50)로 출력된다.
상기 믹서(40)는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입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와 상기 전송할 정보(INFORMATION)가 실려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를 모두 입력받고 혼합(MIXING) 하므로써, 할당된 해당 주파수(FREQUENCY)의 신호, 즉, 상향변조(UP CONVERTING)된 고주파(RF) 신호를 상기 컴바이너(70)에 출력한다.
상기 믹서(40)에서는 하향변조(DOWN CONVERTING)된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상향변조와 하향변조의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일 예로, 고주파(RF) 신호(80)가 출력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저주파 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은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위상변환기(50)는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의 위상(PHASE)을 90도 이동 또는 변이(SHIFT)시킨 후, 상기 위상조정회로(60)에 인가한다.
상기 위상조정회로(60)는 90도 위상이동 또는 위상변이(PHASE SHIFT)가 발생되어 입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를 방향성결합기(100)의 입력포트(101)에 인가한다.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입력포트(101)로 인가된 신호는, 추가로, 90도 위상이동 또는 위상변이(PHASE SHIFT)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된 대다수 레벨의 전력(POWER), 일 예로, 입력전력의 약 4/5 전력은 출력포트(THROUGH PORT)(102)로 출력되며, 나머지 일부 레벨의 전력(POWER), 일 예로, 입력전력의 약 1/5 전력은 결합포트(COUPLING PORT)(103)로 출력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포트(102)로 출력되지 못한 일부 전력의 신호는 반사(REFLECT)되며, 또 다시 90도의 위상이동 또는 위상변이(PHASE SHIFT)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포트(ISOLATION PORT)(104)로 출력된다.
상기 위상이동(PHASE SHIFT) 또는 위상변이(PHASE SHIFT)는 위상지연(PHASE DELAY)이라고도 한다.
즉,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출력포트(102)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의 위상(PHASE)은 상기 국부발진기(20)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스플리터(30)에 의하여 분리되어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의 위상(PHASE)과 대비할 때, 총 180도의 위상이동 또는 위상변이(PHASE SHIFT)가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위상이동 또는 위상변이는, 출력포트(102)에서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과 정확하게 180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고 약간의 오차(DIFFERENCE)가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미세한 오차(DIFFERENCE)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이 상기 위상조정회로(60)의 나머지 구성부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분리포트(104)에는 제1 인덕터(110),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120,130)와 제2 저항(140) 및 제1 저항(160)의 결합에 의한 구성이 연결되고, 상기 결합포트(103)에는 제2 인덕터(180),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190,200)와 제3 저항(150) 및 제1 저항(160)의 결합에 의한 구성이 연결된다.
상기 제1 저항(160)은 전원전압(VCC)에 접속되는 가변저항(VARIABLE RESISTOR)으로써, 상기 제2 저항(140) 및 제3 저항(150)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고, 상기 컨덴서(170)는 상기 전원전압(VCC)으로부터 인가되는 것으로, 잡음신호가 되는 교류(AC)의 신호를 모두 접지(GROUND 또는 EARTH)로 흐르도록 하므로써 불요파 성분을 차단시킨다.
상기 제1 저항(160)에 의하여 조절된 상태로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제2 및 제3 저항(140,150)을 통하여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120,130)와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190,200)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바락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D1,D2,D3,D4)는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용량(CAPACITANCE)이 변화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이다.
상기 제2 저항과 제3 저항(140,150)은 상기 결합포트(103)와 분리포트(10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 레벨에 각각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의 레벨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저항(16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은 상기 제2 및 제3 저항(140,150)을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바락터 다이오드(D1,D2,D3,D4)에 인가되어 해당 용량(CAPACITANCE) 값을 변경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포트(103)와 분리포트(104)에 각각 연결된 회로 구성은, 전력레벨의 차이를 보상하는 동시에, 용량성분이 가변되는 바락터 다이오드와 해당 인덕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LC 회로에 의하여 해당 결합포트(103)와 분리포트(104)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며, 또한, 해당 포트(PORT)로 출력되는 신호는 출력되지 못하고 반사(REFLECT) 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결합포트(103)와 분리포트(104)로부터 반사(REFLECT)된 각각의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는 상기 방향성결합기(100)의 출력포트(102)로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의 위상(PHASE)을 조절 또는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저항(160)을 조절 또는 조정하므로써, 출력 저항값을 가변하고, 상기와 같이 가변된 저항값은 상기 전원전압(VCC)을 조정하여 각각의 바락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에 인가하므로써, 상기 바락터 다이오드와 인덕터로 이루어지는 LC회로의 제어값이 조절 또는 조정되고, 상기와 같이 조절 또는 조정된 LC 값에 의하여 각각의 결합포트(103)와 분리포트(104)는 해당 국부발진주파수(LOF)를 반사시키므로써, 상기와 같이 반사된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가 출력포트(102)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PHASE)을 조절 또는 조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상조정회로(60)를 제어하므로써,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PHASE)과 상기 위상조정회로(60)로부터 출력되는 위상(PHASE)의 차이를 정확하게 180도 차이가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출력되고 믹서(MIXER)(40)에 인가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IF) 신호를 해당 고주파(RF) 신호로 변환(CONVERSION) 및 변조(MODULATION)한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는, 상기 고주파(RF) 신호와 함께 상기 컴바이너(70)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위상조정회로(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스플리터(30)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와 정확하게 180도의 위상차이(PHASE DIFFERENCE)를 갖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의 출력신호는 상기 컴바이너(70)에 인가된다.
상기 컴바이너(70)는 상기 믹서(4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와 상기 위상조정회로(6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의 위상(PHASE)이 정확하게 180도의 차이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는 서로 상쇄되어 없어진다.
또한, 상기 스플리터(30)에 의하여 동일한 전력레벨(POWER LEVEL)의 2개 신호로 분리되어 각각 출력된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는 위상이 180도 차이가 발생되어 상기 컴바이너(70)에서 결합되고, 서로 상쇄되므로, 전력레벨 차이에 의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컴바이너(COMBINE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력레벨(POWER LEVEL)이 높으므로써 출력으로 유기되는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를 상쇄하는 동시에 변조된 고주파 신호(80) 만을 출력한다.
상기 국부발진주파수(LOF) 신호가 상쇄되지 못하고, 해당 고주파 신호와 함께 출력되는 경우는 불요파(SPURIOUS) 신호인 잡음신호(NOISE SIGNAL)로 작용하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신호의 복조(DEMODULATION)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동시에 복조장비가 복잡하여 지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부피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상하향변조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신호를 완전하게 제거하여 잡음신호 없이 변조된 정보신호만을 출력하므로, 시스템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패스필터보다 가격이 비교적 싼 컴바이너 등을 사용하므로 시스템의 가격을 낮게하는 동시에, 밴드패스필터에 의하여 2 차적으로 여기되는 잡음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조회로의 구성이 용이하여지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기지국 송수신기의 상하향변조기에 있어서,
    할당된 국부발진주파수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국부발진기와,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일한 레벨로 분할하여 각각의 경로로 출력하는 스플리터와,
    상기 스플리터의 일출력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입력되는 중간주파신호를 혼합하여 할당된 주파수로 변조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 스플리터의 다른 일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국부발진주파수의 위상을 90도 이동하여 출력하는 위상변환기와,
    상기 위상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위상변환기의 90도 위상이동을 포함하는 180도의 위상이동이 정확하도록 조정한 후 출력하는 위상조정회로와,
    상기 믹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위상조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더하므로써 국부발진주파수를 제거하여 변조된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컴바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정회로는,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90도 이동하여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동시에 레벨 차이가 있는 상기 90도 위상이동의 신호를 결합포트로 출력하고 180도 위상이동된 신호를 분리포트로 각각 출력하는 방향성결합기와,
    상기 방향성결합기의 분리포트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인덕터와,
    상기 제1 인덕터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전압의 인가되는 레벨에 의하여 컨덴서 용량이 변화하는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및 제2 바락터 다이오드에 공통 접속되는 제2 저항과,
    상기 방향성결합기의 결합포트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인덕터와,
    상기 제2 인덕터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전압의 인가되는 레벨에 의하여 컨덴서 용량이 변화하는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및 제4 바락터 다이오드에 공통 접속되는 제3 저항과,
    상기 제2 및 제3 저항에 공통 접속되는 동시에 전원전압에 접속되어 상기 제2 및 제3 저항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저항과,
    상기 제2 및 제3 저항에 공통 접속되어 상기 제1 저항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신호를 접지로 흐르게 하는 컨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KR10-2002-0019270A 2002-04-09 2002-04-09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KR10046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270A KR100460498B1 (ko) 2002-04-09 2002-04-09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270A KR100460498B1 (ko) 2002-04-09 2002-04-09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572A true KR20030080572A (ko) 2003-10-17
KR100460498B1 KR100460498B1 (ko) 2004-12-08

Family

ID=3237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270A KR100460498B1 (ko) 2002-04-09 2002-04-09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50B1 (ko) * 2004-06-09 2012-06-1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에스. 주파수 변환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를 교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730A (ko) 2015-09-09 2017-03-20 주식회사 암니스 광대역 시스템의 중간주파수 대역 불요파 제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847B1 (ko) * 1997-05-27 2000-10-16 윤종용 주파수변환장치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50B1 (ko) * 2004-06-09 2012-06-1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에스. 주파수 변환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를 교정하는 방법, 및 그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기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498B1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004B1 (ko) 저 잡음 길버트 승산기 셀 및 직각 위상 변조기와 그의 방법
US20060252398A1 (en) Receiver of RFID reader for eliminating leakage signal
US6850749B2 (en) Local oscillator architecture to reduce transmitter pulling effect and minimize unwanted sideband
KR100234129B1 (ko) 시분할 교신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탈 무선통신장치 및 방법
EP1315284A1 (en) Direct-conversion transmitting circuit and integrated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EP1414163A1 (en) Receiver and communication terminal
EP1775843B1 (en) Local oscillator with injection pulling suppression and spurious products filtering
US6560297B1 (en) Image rejection downconverter for a translation loop modulator
US7386278B2 (en)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19920201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bandpass filter, especially a combiner filter
US6747524B2 (en) Modulator and demodulator
KR100460498B1 (ko) 송수신 상하향변환기의 국부발진주파수 제거장치
US6983131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direct modulation
EP1193860B1 (en) Feedforward type linearizer
US5811961A (en) Amplitude and phase adjustment circuit
US6968159B2 (en) Frequency convert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7272187B2 (en) Filter circuit and radio apparatus
US7737760B2 (en) Mixer having controllable load with reduced equivalent load value during switching transients of local oscillating signal
JPS61105127A (ja) マイクロ波二重通信装置
FI94808B (fi) Taajuusmoduloitu lähetinvastaanotin
US6252468B1 (en) Signal generator with improved impedance matching characteristics
KR200193634Y1 (ko) 국부발진신호의 누설 보상 장치
KR20020051547A (ko) 국부발진신호의 누설신호 제거장치
KR100249676B1 (ko) 국부 발진신호의 누설 신호 소거장치
CN116260472A (zh) 一种基于180°电桥的宽带发射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