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861A -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861A
KR20030079861A KR1020030060473A KR20030060473A KR20030079861A KR 20030079861 A KR20030079861 A KR 20030079861A KR 1020030060473 A KR1020030060473 A KR 1020030060473A KR 20030060473 A KR20030060473 A KR 20030060473A KR 20030079861 A KR20030079861 A KR 20030079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time
po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문
Original Assignee
김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문 filed Critical 김영문
Priority to KR102003006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861A/ko
Publication of KR2003007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8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연결구에 연통되는 급수경로가 내부적으로 형성되어 화분급수용수의 급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화분과 그 화분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은 일측에 화분급수용수가 공급되는 급수연결구가 형성되고, 그 상단 내부에는 상기 급수연결구에 연통되는 급수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경로의 도중에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분사를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의 화분을 다수개 배치하고서 급수관에 대해 급수호스를 매개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장치의 제어하에 설정된 급수시간에 일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ON/OFF제어를 행함으로써 화분에 대한 급수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FLOWERPOT WITH WATER SUPPLYING PATH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내부에 급수경로가 형성되어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화분과 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에 대한 급수ON/OFF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초라든지 분재를 포함하는 특정의 식물이 식재된 화분에는 일정한 시간마다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해주어야만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게 되는 바, 대개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는 일은 수동으로 실행된다.
하지만,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특성을 고려해야만 되는 바, 정해진 주기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지 않게 되면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급수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그 설정된 급수시간마다 일정한 양의 화분급수용수가 공급되도록 설계된 자동급수장치가 제안된 상태이다.
여기서, 자동급수장치에 의해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방식에서는 화분에 급수를 위한 일자를 체크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자동급수장치는 대개 저수조로부터 화분내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상 복잡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상단 내부에 급수경로를 형성하고 그 급수경로의 소정 위치마다 분사공을 형성하여 식물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단 내부에 급수경로가 형성되고 그 급수경로의 소정위치마다 분사공이 형성된 화분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ON/OFF제어를 실행하도록 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일측에 화분급수용수가 공급되는 급수연결구가 형성되고, 그 상단 내부에는 상기 급수연결구에 연통되는 급수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경로의 도중에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분사를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화분에서는 급수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화분급수용수가 해당하는 화분의 상단 내부에 형성된 급수경로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단 내부에 급수경로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급수경로상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경로에 연통되는 급수연결구를 갖춘 다수의 화분과, 일측에 화분급수용수가 유입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개재되어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경로를 ON/OFF하기 위한 전동펌핑모터, 상기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에 유입된 화분급수용수를 각 화분에 전달되도록 각 화분의 급수연결구에 연설되는 급수호스를 갖추어 구성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는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된 전동펌핑모터의 ON/OFF제어를 위한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화분에 대한 자동급수를 위한 시간설정부와,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표시를 위한 표시패널, 상기 시간설정부로부터 설정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관에 화분급수용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동펌핑모터를 ON/OFF개폐하는 급수개폐구동부를 갖추어 구성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각 화분의 급수연결구에 연설되는 각 급수호스의 도중에는 전자제어밸브가 개재되고, 그 전자제어밸브를 개별적으로 ON/OFF구동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그 외관에 설치되는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의 설정을 위한 시간설정부와 그 급수시간의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시간설정부로부터 설정된 각 화분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급수시간설정치에 도달된 화분에 대응하는 전자제어밸브의 ON/OFF구동을 행하기 위한 급수개폐구동부를 갖추어 구성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유리하게, 상기 표시패널은 각 화분의 번호를 나타내는 화분번호표시패널과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표시패널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에서는 급수관에 대해 급수호스를 매개하여 연결된 다수의 화분에 대해 수동적으로 또는 설정된 급수시간에 자동으로 일괄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거나, 각 화분에 대해 설정된 급수기간에 자동으로 개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다수의 화분에 대한 급수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에서는 화분의내부에 급수경로를 일체로 형성해줌으로써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러한 화분을 하나의 급수관에 대해 연설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또는 제어장치에 설정된 시간에 자동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짐으로써 화분의 급수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에 형성된 급수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기능블록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N: 화분, 12: 화분본체,
14: 급수연결구, 16: 분사공,
20: 급수관, 20A∼20N: 급수호스,
40: 제어장치, 42,44: 시간설정부,
48A: 제어부, 50A∼50B: 전자제어밸브,
60: 제어장치, 62: 시간설정부,
66: 제어부.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에 형성된 급수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은 그 화분본체(12)의 소정 위치에 화분급수용수를 급수받기 위한 급수연결구(14)가 형성된다.
또, 해당하는 화분본체(12)의 상단(12a)에는 소정위치마다 상기 급수연결구(14)를 통해 급수되는 화분급수용수가 분사되는 분사공(16)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본체(12)의 상단(12a)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연결구(14)에 연통됨과 더불어 상기 분사공(16)이 연통되는 급수경로(16a)가 형성되는 바, 급수경로(16a)의 일단(16b)은 차단되어 화분급수용수의 분사를 위한 수압이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하게 된다.
또, 해당하는 화분본체(1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12b)에 대해서는 보조적인 배수파이프를 적용하여 그 배수공(12b)으로부터 배수되는 용수가 외부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은 상기 급수연결구(14)에 예컨대 수도전(水道栓)에 연결되는 급수관(또는 급수호스)를 연설하여 상기 수도전을 ON/OFF시키게 되면 그 수도전으로부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화분급수용수가 상기 급수연결구(14)를 통해 상기 급수경로(16a)에 유입되어 상기 분사공(16)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해당하는 화분(10)에 식재된 식물에 자동적인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급수된 화분급수용수는 해당하는 화분본체(1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공(12b)을 통해 예컨대 배수파이프를 통해 외부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에서는 내부에 일체로 급수경로가 형성됨에 따라 간단하게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을 다수개 연설하여 일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화분(10)을 다수개 준비하여 단일의 급수관(20)에 대해 개별적인 급수호스(20A∼20N)를 매개하여 각 화분(10A,---,10N)의 급수연결구(14)에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0)의 입수측에는 예컨대 수도전(또는 승압펌프)(30)를 개재시켜 그 수도전(또는 승압펌프)(30)를 ON구동하게 되면 급수관(20)으로 입수된 화분급수용수가 각 급수호스(20A∼20N)를 매개하여 각 화분(10A,---,10N)에 공급되고, 각 화분(10A,---,10N)의 급수경로(16a; 도 2 참조)를 통해 각 분사공(16)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다수의 화분(10A∼10N)에 대해 일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구성은 특히 동일한 식물이 식재된 다수의 화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화원이라든지 원예농가 또는 농작물경작지에서 다수의 화분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는 유리함이 보장된다.
더욱이, 화분(10A∼10N)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공(16)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급수되기 때문에 화분급수용수의 절수 효과도 제공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급수관(20)의 일측에 개재된 수도전(또는 승압펌프)(30)가 수동적으로 조작되는 경우이지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제어장치(40)에 의해 상기 화분(10A∼10N)에 대한 자동적인 급수ON/OFF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급수관(20)의 일측에는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가 설치되고, 그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에 대해서는 제어장치(40)가 연결되는 바, 그 제어장치(40)의 외관에는 상기 화분(10A∼10N)에 대한 자동급수를 위한 업/다운방식 또는 10-키방식의 시간설정부(42;44)와 그 시간설정부(42;44)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표시를 위한 표시패널(46)이 갖추어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제어장치(40)의 기능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시간설정부(42;44)로부터 설정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8A)와, 그 제어부(48A)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46)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48B), 상기 제어부(48A)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42;44)에서 설정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48C), 상기 제어부(48A)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48D) 및, 상기 제어부(48A)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관(20)에 화분급수용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경로를 ON/OFF개폐하는 급수개폐구동부(48E)를 갖추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상기 시간설정부(42;44)에서 급수시간이 설정되면 그 급수시간이 상기 제어부(48A)에 전달되어 그 제어부(48A)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패널구동부(48B)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46)상에 표시됨과 더불어 상기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48C)에 저장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제어부(48A)는 상기 타이머(48D)에서 제공되는 계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설정된 급수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제어부(48A)는 상기 급수개폐구동부(48E)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상기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를 ON/OFF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의 ON/OFF동작이 실행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전동펌핑모터(또는 전자제어밸브)(30A)가 ON구동되는 시간동안 화분급수용수(예컨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가 각 급수호스(20A,---,20N)를 경유하여 각화분(10A,---,10N)의 급수연결구(14)를 통해 급수되고, 각 화분(10A,---,10N)의 급수경로(16a)를 통해 분사공(16)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다수의 화분(10A∼10N)에 대해 설정된 급수시간에 일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구성은 특히 다수의 화분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는 유리함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각 화분(10A∼10N)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공(16)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급수되기 때문에 화분급수용수의 절수 효과도 제공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의 기능블록도이다.
상기의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다수의 화분(10A∼10N)에 대해 일정한 급수시간에 화분급수용수의 급수가 일괄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이지만,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구성은 각 화분(10A,---,10N)에 상호 다르게 설정된 급수시간에 화분급수용수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급수관(20)으로부터 각 화분(10A,---,10N)의 급수연결구(14)에 연설되는 각 급수호스(20A,---,20N)의 도중에는 전자제어밸브(또는 전동펌핑모터)(50A,---,50N)가 개재되어 제어장치(60)의 개별적인 제어하에 ON/OFF구동된다.
상기 제어장치(60)에 따르면, 그 외관에는 각 화분(10A,---,10A)에 대한 급수시간의 설정을 위한 시간설정부(62)와 그 급수시간의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표시패널(64)이 구비되는 바, 그 표시패널(64)은 각 화분(10A,---,10N)의 번호를 나타내는 화분번호표시패널(64A)과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표시패널(64B)로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시간설정부(62)로부터 설정된 각 화분(10A,---,10N)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6)와, 그 제어부(66)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64)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72), 상기 제어부(66)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62)에서 설정된 각 화분(10A,---,10N)에 대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68), 상기 제어부(66)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70) 및, 상기 제어부(66)의 제어하에 급수시간설정치에 도달된 화분에 대응하는 전자제어밸브(또는 전동펌핑모터)(50A,---,50N)의 ON/OFF구동을 행하기 위한 급수개폐구동부(74)를 갖추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상기 시간설정부(62)에서 각 화분(10A,---,10N)에 대한 급수시간이 설정되면 그 급수시간이 상기 제어부(66)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패널구동부(72)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64)의 화분번호표시패널(64A)과 시간표시패널(64B)상에 표시됨과 더불어 상기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68)에 저장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제어부(66)는 상기 타이머(70)에서 제공되는 계시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화분(10A∼10N)에 대해 설정된 급수시간에 도달되는지를 판단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화분의 급수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급수개폐구동부(74)에 의해 대응하는 전자제어밸브(또는 전동펌핑모터)(50A,---,50N)의 ON/OFF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해당하는 전자제어밸브(또는 전동펌핑모터)를 통해 해당하는 화분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하는 화분의 분사공(16)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각 화분마다 상호 다른 식물이 식재된 다수의 화분(10A∼10N)에 대해 설정된 급수시간에 개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그러한 구성은 특히 다수의 화분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는 유리함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각 화분(10A∼10N)의 상측에 형성된 분사공(16)으로부터 화분급수용수가 급수되기 때문에 화분급수용수의 절수 효과도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화분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조되어도 되고, 분사공의 수도 증감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화분에 형성되는 급수경로(16a)에 대해서는 그 급수경로(16a)가 자체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화분을 제작해도 되지만, 그 급수경로가 예컨대 급속/비철금속/합성수지에 의해 급수경로관을 형성하고나서 그 급수경로관이 상기 화분에 매설되도록 하게 되면 급수경로가 갖추어진 화분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급수경로관이 매설되는 형태에서는 그 급수경로관에 상기급수연결구(14)가 체결되도록 하거나 그 급수경로관에 상기 급수연결구(1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 제어장치(40;60)에 대해서는 유선방식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무선(즉, 리모콘)방식으로 변경가능함은 물론인 바, 리모콘수신부는 해당하는 화분에 제공되도록 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에 의하면, 화분의 내부에 급수경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분사공을 형성함으로써 수도전 또는 전자제어밸브로부터 화분급수용수를 직접 공급받아 급수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식물에 대한 급수가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화분급수용수의 절수 효과가 달성된다.
더욱이, 다수의 화분에 대해 일괄적 또는 설정된 급수시간에 개별적으로 화분급수용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화분에 대한 급수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급수의 부적절한 공급에 의해 식물이 고사되는 상황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일측에 화분급수용수가 공급되는 급수연결구가 형성되고, 그 상단 내부에는 상기 급수연결구에 연통되는 급수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경로의 도중에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분사를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경로는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과 별개의 급수경로관을 매설하는 방식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그 별개의 급수경로관에 상기 급수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
  3. 상단 내부에 급수경로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급수경로상에 분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경로에 연통되는 급수연결구를 갖춘 다수의 화분과,
    일측에 화분급수용수가 유입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개재되어 상기 화분급수용수의 경로를 ON/OFF하기 위한 전동펌핑모퍼,
    상기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에 유입된 화분급수용수를 각 화분에 전달되도록 각 화분의 급수연결구에 연설되는 급수호스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분에 화분급수용수를 공급하는 상기 급수관의 일측에 형성된 전동펌핑모터의 ON/OFF제어를 위한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화분에 대한 자동급수를 위한 시간설정부와,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표시를 위한 표시패널,
    상기 시간설정부로부터 설정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관에 화분급수용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동펌핑모터를 ON/OFF개폐하는 급수개폐구동부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각 화분의 급수연결구에 연설되는 각 급수호스의 도중에는 전자제어밸브가 개재되고, 그 전자제어밸브를 개별적으로 ON/OFF구동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그 외관에 설치되는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의 설정을 위한 시간설정부와 그 급수시간의 설정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시간설정부로부터 설정된 각 화분에 대한 화분급수용수의 급수시간을 수취하여 그 급수시간의 표시와 저장 및 급수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급수시간이 상기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도록 구동하는 표시패널구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이 저장되는 급수시간데이터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계시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급수시간설정치에 도달된 화분에 대응하는 전자제어밸브의 ON/OFF구동을 행하기 위한 급수개폐구동부를 갖추어 구성된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각 화분의 번호를 나타내는 화분번호표시패널과 각 화분에 대한 급수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시간표시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의 제어장치.
KR1020030060473A 2003-08-29 2003-08-29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KR20030079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73A KR20030079861A (ko) 2003-08-29 2003-08-29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73A KR20030079861A (ko) 2003-08-29 2003-08-29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861A true KR20030079861A (ko) 2003-10-10

Family

ID=3238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473A KR20030079861A (ko) 2003-08-29 2003-08-29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8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86B1 (ko) * 2006-07-14 2007-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직렬 확장형 화분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86B1 (ko) * 2006-07-14 2007-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직렬 확장형 화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799B1 (ja) 水耕栽培装置
JP4777909B2 (ja) 植物栽培装置
CN100426948C (zh) 花盆自动供水装置及具有该装置的花盆
CN106659133B (zh) 水耕栽培装置
KR20150084319A (ko) 수경재배 화분
WO2010065703A3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KR20200071246A (ko) 관수 시스템
US20020116870A1 (en) Automatic houseplant watering apparatus for homes and offices
US20080135647A1 (en) Drip Irrigation Devices
CN205546526U (zh) 一种便于自动浇花的机器人
KR20030079861A (ko) 급수경로를 갖춘 화분과 그 제어장치
CN109220741B (zh) 一种智能浇花系统
KR101914766B1 (ko) 장식용 화분 장착형 실내 마감장치
CN206642913U (zh) 一种用于植物浇水的喷头结构
KR200386221Y1 (ko) 압축식 자동분무기
KR200398810Y1 (ko) 식물재배용 자동급수장치
CN205306579U (zh) 一种智能花盆架
JP2014083013A (ja) 自動水遣り装置
KR200414682Y1 (ko) 자동관수장치
CN108513824B (zh) 一种智能化盆栽设备
CN208509689U (zh) 一种新型陶瓷花盆
KR200420106Y1 (ko) 조립식 화단의 급수노즐
CN2733888Y (zh) 自动浇花器
CN217217732U (zh) 一种园艺栽培自动供液装置
KR20050079201A (ko) 자동 급수/배수제어방식의 농작물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