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052A -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 Google Patents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052A
KR20030079052A KR1020020017812A KR20020017812A KR20030079052A KR 20030079052 A KR20030079052 A KR 20030079052A KR 1020020017812 A KR1020020017812 A KR 1020020017812A KR 20020017812 A KR20020017812 A KR 20020017812A KR 20030079052 A KR20030079052 A KR 2003007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gas
burner
boiler
water pip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686B1 (ko
Inventor
김상남
Original Assignee
김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남 filed Critical 김상남
Priority to KR10-2002-001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68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03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using combustion of hydrogen with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22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 F22B21/26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bent helically, i.e.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30/00Apparatus or devices using heat produced by exothermal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9901Combustion process using hydrogen, hydrogen peroxide water or brown gas as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석연료가 아닌 브라운가스를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역화를 방지하면서 화염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브라운가스버너가 장착된 산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일러 본체는 기대상에 설치되는 인너쉘과 아웃터쉘과 업퍼쉘과 수증기 배출관으로 형체를 이루고 상기 인너쉘과 아웃터쉘 사이에 연소실이 형성되며 연소실 내부에는 코일형태의 제1수관과 제2수관이 설치되고 또한 제1수관과 제2수관 사이에는 발열부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발열부는 기대상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버너장착공을 중심으로 받침블럭을 설치하고 그 위에 발열체A형과 발열체B형을 교대로 쌓아올려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열부를 브라운가스 화염으로 가열하면 하단부로부터 벌겋게 달아오르기 시작하여 발열부 전체가 달아오르면서 발산하는 고온의 복사열에 의해 상기 제1수관과 제2수관속을 순환하는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보일러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따라서 환경공해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얻게 되었다.

Description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Industrial Brown Gas Boiler with Burner}
본 발명은 기름이나 프로판가스,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가 아닌 무공해 연료인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브라운가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대체로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용량의 가스보일러이다.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공해로 인하여 7대 도시에서는 벙커-C유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기름보다는 공해가 적은 가스연료를 권유하고 있으나 가스연료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사용을 꺼리고 있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쓰는 보일러는 대용량이기 때문에 연료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원가상승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대체에너지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고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의 대체에너지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온 것도 사실이나 아직까지 이렇다 할 진전이 없고 겨우 보조난방수단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므로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석연료의 연소방법과 다른 새로운 연소방법에 의한 산업용 가스보일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한 "횡렬식 전해조를 포함한 브라운가스 대량발생장치(특허제0275504호)"를 실용화하여 브라운가스 플랜트를 보급함으로써 산업용 보일러에 필요로 하는 12,000ℓ/h∼160,000ℓ/h급의 브라운가스 공급설비를 제공할 수 있어 드디어 가능하게 되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브라운가스는 물의 전기분해방식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와 산소가 화학당량비 2:1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가스를 말한다.
브라운가스는 불꽃이 파열되지 않고 길게 형성되면서 핀 포인트 화염을 형성하므로 측열이 거의 없어 에너지가 적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기(氣)의 형태로 모든 에너지가 핀 포인트에 모이면서 막대한 에너지를 발산하므로 벽돌과 철을 그대로 용접할 수 있는가 하면 텅스텐의 경우 약 6,000℃의 열을 내면서 기화시켜 버린다.
브라운가스는 탄소가 전혀 없는 완전무공해연료일 뿐만 아니라 알맞은 산소를 자체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산소공급 없이도 완전연소하는 특성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가 종전의 화석연료와 달리 연소용 공기를 투입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새로운 방식의 연소실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 또 다른 목적은 브라운가스 특성에 적합한 브라운가스버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전의 수관식 보일러, 노통 보일러, 열매체 보일러 등의 연소방법은 가스버너 또는 오일버너로 연료를 연소실에 분사하고 블로워(Blower)로 연소용 공기를 넣어 화염을 크게 만들어 연소실의 온도를 높이고 연소실 외벽에 수관을 구성하여 수관 속을 순환하는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를 가열하여 보일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때 블로워에 의해 연소실에 불어넣는 공기만큼 굴뚝으로 내보낼 수 밖에 없으므로 막대한 열 손실을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종전의 연소실은 화석연료를 태우기 위해 설계된 것이므로 브라운가스를 넣어 태워보아야 보일러의 역할을 할 수 없다. 특히 대용량의 산업용 보일러의 경우 열 손실이 대단히 크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다시 말하면 종전의 보일러는 버너로부터 분출하는 화염을 연소실 중앙에 불어넣고 뜨거워진 기류가 코일형태의 제1수관벽과 제2수관벽을 통과하는 사이에 전열되어 보일러수의 온도를 높이고 배기가스는 10M이상의 스택(Stack)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브라운가스 보일러는 종전의 보일러와 달리 제1수관코일과 제2수관코일 사이에 연소실을 구성하고 연소실내부를 발열체로 채워 수관과 근접되도록 한 후, 브라운가스버너에서 형성되는 화염에 의해 발열체를 직접 가열하여 발열하는 복사열에 의해 수관의 온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이 때 버너는 1개의 대형버너가 아니고 다수개의 중형버너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브라운가스는 브라운가스만의 특성이 있어 화염상태로 열을 이용하지 않고 발열체를 가열하여 이용하고 이와 같이 발열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1)"브라운가스 보일러 수중연소장치(특허 제0253429호)" 및 2)"브라운가스 순환연소에 의한 에너지 창출장치(특허출원 제99-037519호)"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참고로 상기 두 특허의 요약서 내용을 일부 인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요약 1) ;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 보일러 수중연소장치로써 연소 시에 공기(산소)의 공급이 없어도 자체 연소하는 브라운가스만의 특성을 응용한 수중연소장치이다. 특히 물의 해리작용으로 생성되는 브라운가스는 수소와 산소가 혼합되어 자체 연소할 뿐만 아니라 브라운가스의 불꽃은 원자와 분자 상태의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가열되는 대상물질에 열핵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열핵반응에 의해 가열되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의 열핵반응 특성을 응용하여 적열구를 적열시킨 후 그 열을 물 속에 흡수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과 에너지 효과를 극대화한 브라운가스 보일러 수중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약 2) ;
본 발명은 에너지 발생장치 내부에 고온 세라믹스로 발열부를 입설하고, 맥반석 등의 적외선 방사체로 외곽을 구축하여 거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브라운가스를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발열부를 1,000℃ 이상으로 가열하고, 발열부에서 방사되는 간접열에 의해 외벽을 가열하여 적외선 방사체에서 적외선을 방사체에서 적외선을 내,외부로 방사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가스의 순환연소에 의한 에너지 창출 장치로써, 연소실 내부로 공급된 브라운가스가 연소된 후 수증기화 되면서 고온의 물분자가 되고, 물분자가 발열부 및 적외선방사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자기 발열 현상에 의해 온도가 초고온으로 상승되면서 H와 O로 이온화되고 재결합하는 연소 사이클을 반복하여 수증기의 연속적인 재 연소에 의해 막대한 양의 새로운 열을 창출해 내는 에너지 발생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대용량의 온수 보일러, 스팀 보일러, 열매체 보일러(Hot oil heater) 등을 대상으로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종전의 보일러는 일반적으로 보일러 본체의 중앙에 연소실을 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나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화석연료의 연소방법과 달리 제1수관과 제2수관 사이에 연소실을 구성하고 연소실 내부는 Al2O3또는 SiO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온세라믹으로 성형된 발열체로 채운 후 브라운가스로발열체를 가열하여 발열체에서 발열하는 복사열에 의해 발열체에 근접된 수관이 직접 가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중대형 보일러의 연료를 브라운가스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브라운가스 연소용 버너가 필요하다.
브라운가스버너는 수소와 산소의 혼합가스의 연소속도가 대단히 빠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역화(Backfire) 또는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해야 한다.
역화 또는 플래시백 현상은 가스분출속도가 화염의 속도보다 낮을 경우 또는 노즐팁이 과열되었을 때 일어나므로 브라운가스버너는 분출속도를 높일 수 있는 노즐(Nozzle) 형태로 구성하고 컴프레서(Compressor)에서 공급되는 쿨링 에어로 버너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발열체는 A형과 B형을 특별히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A형은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장공을 가지고 있는 부채꼴 블록형태의 발열체이고, B형은 외형크기는 똑같지만 상기 방사형 장공과는 90°방향으로 다수개의 장공을 가지고 있는 발열체로서 상기 발열체A형과 발열체B형을 교대로 쌓아올리면 발열부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운가스버너에서 착화된 브라운가스화염으로 상기 발열부의 하단을 가열하면 벌겋게 달구어지면서 온도가 올라가고 점차 발열부 상부까지 고온이 되면서 발열부 전체가 고온의 복사열을 발산한다.
이것은 고열을 낼 수 있는 브라운가스만의 발열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화석연료 보일러에 비해 보일러수관의 전열면적이 작아도 되므로 연소실 체적이 적게 되어 보일러본체 크기가 작고 또한 굴뚝도 필요 없는 것이 장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보일러몸체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버너와 발열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열부의 일구성요소인 발열체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발열부의 받침블럭의 사시도
(b)는 발열체A형의 사시도
(c)는 발열체B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성요소인 버너의 전체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너의 일구성요소인 버너캡과 노즐팁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일러본체 (11)…기대 (12)…인너쉘
(13)…아웃터쉘 (14)…업퍼쉘 (15)…수증기배출관
(16)…보온재 (21)…인렛트헤더 (22)…제1수관
(23)…제2수관 (24)…아웃렛헤더 (30)…발열부
(31)…받침블럭 (32)…발열체A형 (33)…발열체B형
(40)…세라믹블럭 (45)…화기통로 (50)…브라운가스공급라인
(51)…닛플 (53)…브라운가스화염 (55)…에어공급라인
(56)…에어인렛트 (57)…에어챔버 (58)…쿨링에어 배출구
(60)…브라운가스버너 (61)…버너몸체 (62)…버너하우징
(63)…커넥터 (66)…버너캡 (67)…노즐
(68)…노즐팁 (70)…연소실 (80)…버너장착공
(100)…컨트롤패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브라운가스보일러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운가스플랜트로부터 브라운가스를 공급받는 브라운가스공급라인(50)과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쿨링에어 공급라인(55)과 브라운가스를 연소시키는 브라운가스버너(60)로 구성되어 있고 보일러본체(10)는 원통형의 기대(11)상에 인너쉘(Inner shell)(12)과 아웃터쉘(Outer shell)(13)과 업퍼쉘(14)과 수증기배출관(15)으로 형체를 이루고 있고 그 외부에는 세라크울 등의 고온용 보온재(16)로 보온되어 있다.
상기 인너쉘(12)과 아웃터쉘(13) 사이에는 연소실(70)이 형성되고 연소실(70) 내부에는 코일형태의 제1수관(22)과 제2수관(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관의 일측에는 인렛트헤더(Inlet header)(21)와 아웃렛헤더(Outlet header)(24)에 연결되어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가 순환펌프(20)(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상기 코일형태의 수관 속을 순환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30)는 상기 제1수관(22)과 제2수관(23)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버너장착공(80)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받침블럭(31)이 설치되고 그 위에 발열체A형(32)과 발열체B형(33)을 교대로 쌓아올려 발열부(30)를 형성한다.
또한 발열부의 사이사이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블록(40)으로 쌓아올려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11)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버너장착공(80)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버너장착공(80)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개의 브라운가스버너(60)가 장착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A형과 B형은 받침블럭과 같은 외형을 보이고 있으나 내측에는 방사형 방향으로 다수개의 장공(35)을 가지고 있으며 발열체B형(33)은 발열체A형의 방사형 방향과 90°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른 형태의 장공(36)을 가지고 있고 발열체A형과 발열체B형을 겹쳐놓으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자형의 형상(32,33)을 보이고 발열체A형과 발열체B형에 형성된 장공이 교차하면서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관통하는 화기통로(45)를 만든다.
또한, 상기 받침블록(31)은 내부에 형성된 장공(34)의 길이방향과 90°방향에 일정깊이의 홈(37)을 형성하고 발열체A형(32)과 발열체B형(33)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장공(35,36)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홈(38,39)을 형성하도록 하여 화기가 화기통로(45)로부터 발열부(30)의 밖으로도 통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발열체A형과 발열체B형을 교대로 쌓아올려 발열부(30)를 구성하고 브라운가스버너(60)에서 착화된 브라운가스화염(53)으로 상기 발열부(30) 하단을 가열하면 벌겋게 달구어지면서 상단으로 번져 올라가고 발열부 전체가 고온으로 상승한다.
특히 브라운가스가 연소 후 생성되는 수증기는 상기 발열부(30) 내부에 형성되는 화기통로(45)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물분자가 되고 발열부(30) 내부에서 방사되는 일정파장대의 적외선을 흡수한 물분자는 초고온으로 발진하면서 H와 O로 해리되고 재결합하면서 막대한 열을 내게 된다.
상기 브라운가스가 연소후 생성되는 고온의 수증기는 상승기류를 타고 연소실 상부에 모이면서 최종적으로 수증기배출관(15)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다음은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브라운가스버너(60)에 대해서 첨부도면 도 5,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버너몸체(61)는 수직센터라인 상에 드릴홈을 형성하여 브라운가스 공급라인(50)과 닛플(51)로 연결하고 몸체(61) 상단에는 스럿트(Throat)(64)가 형성된 커넥터(Connecter)(63)를 구성하여 나사부 체결에 의해 몸체(61)와 조립되도록 하고 또한 커넥터(63) 위에 버너캡(66)을 조립하여 커넥터(63)와 버너캡(66) 사이에 가스분기실(65)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너캡(66) 상단에는 몇 개의 노즐(67)을 좌우동형으로 설치하여 브래이징으로 용접한다. 노즐(67) 끝의 각각에는 노즐팁(68)을 조립하여 브라운가스가 분출하도록 한다. 브라운가스가 분출되면 자동착화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서 자동 착화된다.
버너몸체(61)의 일측에는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에어공급라인(55)과 연결되는 에어인렛트(56)가 있고 "L" 자 형태 드릴공을 통해 에어챔버(57)로 공급된다.
버너몸체(61) 상부 외측에는 버너하우징(62)을 구성하여 나선부에 의해 조립하면 상기 버너갭(66)과 하우징(6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쿨링에어배출구(58)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에어챔버(57)에 공급된 쿨링에어는 상기 에어배출구(58)를 통해 배출되면서 버너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62)의 일측에는 브라켓트를 돌출시켜 버너 고정 볼트홀(69)을 마련하여 버너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가스버너는 상기 스럿트(64)와 노즐(67)을 지나면서 분출속도를 빨리하고 쿨링에어로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역화 또는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브라운가스화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노즐(67)을 여러 개 설치하여 역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소시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들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만약의 경우 막힘현상이 일어났을 때도 분해청소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 연소용 버너(6)에 의해 안정적인 브라운가스화염(53)을 만들고 연소실에 발열부(30)를 구성하여 브라운가스 발열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복사열로 제1수관(22), 제2수관(23)을 가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컨트롤패널(100)에서 보일러수 순환시스템과 브라운가스 공급시스템 및 버너 컨트롤시스템 등을 통합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산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써 소음이 적고 역화를 방지할 수 있는 브라운가스버너를 장착시켜 브라운가스화염으로 발열부를 가열하여 막대한 열을 창출해 냄으로써 발열부에 근접된 코일형태의 제1수관과 제2수관 속을 흐르는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를 가열하여 산업용 보일러의 목적을 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증기 배출공으로는 일체의 공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단지 수증기만이 배출되므로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가습효과와 난방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환경공해를 원천적으로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전기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브라운가스 즉, 물을 태워 발열시키는 방법이므로 물연료 상용화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연소실 내부에 수관을 구성하여 수관 속을 순환하는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기대(11)상에 인너쉘(12)과 아웃터쉘(13)과 업퍼쉘(14)과 수증기배출관(15)으로 보일러몸체(10)를 형성하고 상기 인너쉘(12)이 아웃터쉘(13)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70)내부에 코일형태의 제1수관(22)과 제2수관(23)이 설치되고 수관의 일측에는 인렛트헤더(21)와 아웃렛트헤더(24)가 연결되어 보일러수 또는 열매체가 순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제1수관(22)과 제2수관(23) 사이에는 다수개의 발열부(30)가 버너장착공(80)위에 설치되고 발열부(30) 사이에는 세라믹블럭(40)의 벽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발열부(30)는 받침블럭(31)위에 발열체A형(32)과 발열체B형(33)을 교대로 쌓아올려 구성한 것으로 상기 발열체A형(32)의 내측에 방사형 방향으로 다수개의 장공(3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발열체B형(33)은 A형의 방사형 방향과 90°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3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기 발열부(30)는 발열체A형과 B형에 형성된 장공(35,36)이 교차하면서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관통하는 화기통로(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4. 상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31)은 내부에 형성된 장공(34)의 길이방향과 90°방향에 일정깊이의 홈(37)을 형성하고 발열체A형(32)과 발열체B형(33)은 각각의 내부에 형성된 장공(35,36)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홈(38,39)을 형성하도록 하여 화기가 화기통로(45)로부터 발열부(30) 밖으로도 통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기대(11) 상단부에 다수개의 버너장착공(80)을 원주상의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고 버너장착공(80)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브라운가스버너(6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브라운가스버너(60)는 몸체(61)의 센터라인 상에 브라운가스 공급라인(50)과 닛플(51)로 연결되고 몸체(61) 상단에는 스럿트(64)가 형성된 커넥터(63)와 나사부 체결에 의해 조립되고 커넥터(63)에는 버너캡(66)을 조립하여 가스분기실(65)을 형성하도록 하고 버너캡(66) 상단에는 소정의 노즐(67)을 좌우동형으로 설치하며 노즐(67)에는 팁(68)을 조립하여 구성한 것으로, 브라운가스 연소시 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화를 방지하여 브라운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엽용 브라운가스버너.
  7. 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몸체(61)의 일측에는 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에어공급라인(55)과 연결되는 에어인렛트(56)와 버너몸체(61) 상부외측에 버너하우징(62)을 구성하여 버너캡(66)과 버너하우징(6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에어인렛트(56)로부터 공급되는 쿨링에어가 에어챔버(57)에서 분산되면서 버너캡(66)을 감싸며 배출구(58)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과열을 방지하여 역화를 방지하고 브라운가스화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브라운가스버너.
KR10-2002-0017812A 2002-04-01 2002-04-01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KR10043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12A KR100434686B1 (ko) 2002-04-01 2002-04-01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812A KR100434686B1 (ko) 2002-04-01 2002-04-01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73U Division KR200280238Y1 (ko) 2002-04-02 2002-04-02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052A true KR20030079052A (ko) 2003-10-10
KR100434686B1 KR100434686B1 (ko) 2004-06-07

Family

ID=3237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812A KR100434686B1 (ko) 2002-04-01 2002-04-01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5129B1 (ja) * 2019-10-25 2020-12-02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WO2021187285A1 (ja) * 2020-03-16 2021-09-23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315B1 (ko) * 1998-12-18 2002-06-27 김상남 브라운가스연소용에어제트버너
KR100379768B1 (ko) * 1999-09-04 2003-04-10 김상남 브라운가스의 순환연소에 의한 에너지 창출장치
KR100377912B1 (ko) * 1999-10-15 2003-03-29 김상남 브라운가스 역화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5129B1 (ja) * 2019-10-25 2020-12-02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WO2021079489A1 (ja) * 2019-10-25 2021-04-29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WO2021187285A1 (ja) * 2020-03-16 2021-09-23 三浦工業株式会社 ボ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686B1 (ko)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74216A (ja) ブラウンガスの循環燃焼によるエネルギー創出装置
JP4694955B2 (ja) 2層式燃焼器
RU2293253C1 (ru) Котел пульсирующего горения (варианты)
RU2069294C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газовой горелки
KR200280238Y1 (ko)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CN100547313C (zh) 一种套管锅炉
KR100434686B1 (ko) 산업용 브라운가스 보일러
CN102559432A (zh) 节能蒸煮系统
KR100748763B1 (ko) 유체 촉매처리 장치
CN208804749U (zh) 一种户外取暖器的自发电吹风机构
RU79985U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CN100512727C (zh) 一种燃气蒸汽机
KR101116758B1 (ko) 보일러
CN206130977U (zh) 一种甲醇燃料真空冷凝热水锅炉
KR100630793B1 (ko) 브라운가스 발열장치를 이용한 관류형 증기보일러
CN219103337U (zh) 一种螺旋式陶瓷换热器及热水设备
RU2032128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вкш &#34;украина&#34;
KR200348367Y1 (ko) 브라운가스 발열장치를 이용한 관류형 증기보일러
CN213578094U (zh) 一种管壁式强力锅炉
KR102229911B1 (ko) 다공체 연소기를 구비한 관류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
CN114151804B (zh) 发电系统的尾气处理燃烧器
KR100780517B1 (ko) 농업용 브라운가스 온풍기
KR102086205B1 (ko) 관류 보일러
KR100417209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CN100400979C (zh) 内热管凝结式燃气热水、采暖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